KR100774569B1 - Apparatus for dual swing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ual swing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569B1
KR100774569B1 KR1020060045230A KR20060045230A KR100774569B1 KR 100774569 B1 KR100774569 B1 KR 100774569B1 KR 1020060045230 A KR1020060045230 A KR 1020060045230A KR 20060045230 A KR20060045230 A KR 20060045230A KR 100774569 B1 KR100774569 B1 KR 100774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eesaw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순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to KR102006004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569B1/en
Priority to JP2008545482A priority patent/JP2009519669A/en
Priority to PCT/KR2006/005270 priority patent/WO2007069834A1/en
Priority to EP06823977A priority patent/EP1961125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enable a display unit to be rotated in both ways while the display unit is able to be opened/closed in sliding manner,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a user. A swing member(100) is fixed to a display member, and has a central shaft. The first slide member(200) has a cam with which the central shaft is rotatively combined. A cover member(300) is combined with the first slide member(200) as covering the swing member(100) in the vicinity, and is opened so that a portion of the swing member(100) is exposed. A pressurizing member(400) generates a predetermined stopping force by pressurizing the cam in both states when the swing member(100) is not rotated and rotated at predetermined angle, respectively. A braking member limits further rotations while the swing member(100) is rotated at the predetermined angle.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APPARATUS FOR DUAL SWING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CELLULAR PHONE}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switchgea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UAL SWING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CELLULAR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of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장치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idirectional rotat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장치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another direction of the bidirectional rotat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3;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is rotated;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 회전장치의 회전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ro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ot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 회전장치의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8 and 9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rotat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otat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 시도;10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 1;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닫힌 상태의 평면도;FIG. 11 is a plan view of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 10 in a closed state; FIG.

도 12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평면도;12 is a plan view of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shown in FIG. 10 moving in the opening direction;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열린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13 is a plan view of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shown in FIG. 10 moved to an open position;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0 in an open state;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슬라이드 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FIG. 1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5 is slid;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FIG. 1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idirectional rotated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5; FIG.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20은 도 18에 도시된 시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9 and 2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esaw shown in FIG. 18;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슬라이드 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FIG. 2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8 is slid;

도 22은 도 18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FIG. 2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rotated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8.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스윙 부재 200: 제 1 슬라이드 부재100: swing member 200: first slide member

300: 커버 부재 400: 가압 부재300: cover member 400: pressing member

500: 제 2 슬라이드 부재 600: 비틀림 스프링500: second slide member 600: torsion spring

700: 링크 800: 롤러700: link 800: roller

910: 가이드 리벳 920: 곡선관통공910: guide rivet 920: curved through hole

930: 직선가이드 홈 940: 곡선가이드 홈930: straight guide groove 940: curved guide groove

1010: 시소가이드 1020: 시소1010: Seesaw Guide 1020: Seesaw

1030: 시소스프링 1040: 가압편1030: sea source spring 1040: pressing piece

1050: 시소리벳관통공 1060: 제동홈1050: Sisori Bet through 1060: Braking groov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재가 양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simultaneously rotated and the display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에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단순한 무선통신의 고유기능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부가적인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penetration rat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s increases, additional functions that are suitable for the user's taste are required for the portable terminals, as well as simple functions of wireless communication.

이러한 요구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들은 일반적인 바 타입(bar type)부터 플 립 타입(flip type), 플립 업 타입(flip u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등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 들어서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response to these demands,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from a general bar type to a flip type, a flip up type, a folder type, and the like. It is mainstream.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 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 folder type terminal has enough space to adopt a wide LCD module as a display device, and because it is folded in half and portable, the portability is superior to other terminals.

한편,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가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have a display device having a wide LCD module of a similar size as a folder typ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a slide type terminal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is known.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 단말기는, 메인 바디 상에서 커버에 해당하는 서브 바디가 슬라이딩 동작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 새로운 동작으로 개폐된다는 부가 장점이 있다.Such a slide type terminal has an additional advantage that the sub body corresponding to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by a sliding operation on the main body,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 new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folder type terminal.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 단말기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2003-0000136호에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As such a slide type terminal, a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03-0000136.

이 출원에 개시된 단말기는, 슬라이드 바디를 메인 바디상에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서 슬라이드 바디의 일정 슬라이딩 위치를 기준으로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탄성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한 개방 또는 폐쇄동작시 별도의 스토퍼 없이 최대 개방 위치 또는 최대 폐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수단으로서 일단이 메인 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드 바디에 고정되는 비틀림 스프링을 채용하고 있다.The terminal disclosed in this application is adapt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force in an opening direction or a clo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slide body on the main body and a sliding position of the slide body between the slide body and the main body. It includes at least one elastic means is installed. And the elastic body can maintain the maximum open position or the maximum closed position without a separate stopper during the fully open or closed operation. As such elastic means, a torsion spring is adopted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lide body.

그런데 이러한 개폐장치는, 비틀림 스프링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바디에 탄성력을 가하므로, 비틀림 스프링이 큰 폭으로 긴장했다 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비틀림 스프링은 동작이 크게 이루어지는 반면 탄성력이 적은 것을 사용하였고, 부족한 탄성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을 배치하였다.By the way, since the torsion spring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 body while the torsion spring rotates, the torsion spring is greatly tensioned and unfolded. For this reason, the torsion spring is operated largely while using less elastic force, and two torsion springs are arranged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elastic force.

따라서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함에 따라 조립 공정이 복잡하였고, 비틀림 스프링의 변위가 커짐에 따라 그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by using two torsional springs, there is a problem that its life is shortened as the displacement of the torsional spring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출원 2004-48684호를 통해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pplied for a display rotating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patent application 2004-48684.

이 회전장치는 디스플레이부재를 회전시켜 액정화면을 수평방향으로 길게 되도록 함으로써, 액정화면의 전체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사이즈의 영화 등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었다.By rotating the display member so as to lengthen the liquid crystal scre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otating device can display a movie of a normal size or the like using the entire liquid crystal screen.

그런데, 이 출원에서는 디스플레이부재가 특정한 일 방향으로만 회전된다는 제한을 언급하지 않고 포괄적인 회전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출원에서 제시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재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By the way, this application has described the comprehensive rotation operation without mentioning the limitation that the display member is rotated only in one specific direction. Howeve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shown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member can rotate only in one direction.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재가 회전되는 방향을 습관적으로 익숙해져 있지 않다면, 디스플레이부재를 회전시킬 때마다 회전가능한 방향을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느낀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재가 양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사용자는 편리 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s not habitually accustom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member is rotated, it is inconvenient to check the rotatable direction every time the display member is rotated. Therefore, if the display member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the user may feel convenient.

또한, 디스플레이부재가 양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하다면 사용자는 더욱 편리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user may feel more convenient if the display member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and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동시에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otating a display me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both directions and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a slid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디스플레이부재재와 본체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a display member and the main body,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재에 고정되고, 중심축을 갖는 스윙 부재:A swing member fixed to the display member material and having a central axis:

상기 중심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을 구비한 제 1 슬라이드 부재; A first slide member having a cam to which the central axis is rotatably coupled;

상기 스윙 부재를 주위에서 덮은 상태로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스윙 부재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된 커버 부재;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while covering the swing member around, the cover member being open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swing member;

상기 스윙 부재와 제 1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윙 부재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와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캠을 가압하여 소정의 정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A press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swing member and the first slide member and configured to press the cam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topping force in a state where the swing member is not rotated and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스윙 부재가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더 이상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동 부재;A braking member for limiting further rotation of the swing member in a state of being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 고,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변곡점이 중심영역에 있는 1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 2 슬라이드 부재;A second slide member fixed to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so as to slide, and having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at an inflection point whose inclination direction is reversed;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An elastic member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lide member moves;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 부재; A binding member for fixing the elastic member on the first slide member;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경사면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로부터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1 이상의 슬립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And at least one slip member configured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first slide member slides from the second slide member.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동시에 슬라이드 개폐 가능한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play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slide opening and closing feature.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장치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idirectional rotat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idirectional rotat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크게 양방향 회전장치와 슬라이드 개폐장치로 구성된다.1 to 4,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bidirectional rotating device and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먼저, 양방향 회전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bidirectional rotary device will be described.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장치는 중심축(110)을 갖는 스윙 부재(100); 중심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에 형성되며,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된 위치에 돌출된 돌출부(212)를 갖는 캠(210)을 구비한 제 1 슬라이드 부재(200); 스윙 부재(100)를 주위에서 덮은 상태로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 결합되며, 스윙 부재(10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된 커버 부재(300); 스윙 부재(100)와 제 1 슬라이드 부재(200) 사이에 설치되며, 제 1 슬라이드 부재(20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와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각각 캠(210)을 가압하여 소정의 정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400); 및 제 1 슬라이드 부재(200)가 스윙 부재(100)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더 이상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동 부재;로 구성된다.The bidirectional rotat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swing member 100 having a central axis 110; A first slide member 200 having a cam 210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110 and form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rotation and protruding at a position rotated a predetermined angle from a reference position. ); A cover member 300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200 while covering the swing member 100 around the opening, the cover member 300 being open to expose a part of the swing member 100; It is installed between the swing member 100 and the first slide member 200, and presses the cam 2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slide member 200 is not rotated and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respectively, to apply a predetermined stopping force. A pressing member 400 for generating; And a braking member for limiting further rotation of the first slide member 200 in a state where the first slide member 20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wing member 100.

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follows.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부재(10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재(미도시)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그 중심영역에는 중심축(110)이 형성된다. 중심축(110)에는 본체와 디스플레이부재로 연결되는 시그널 라인이 통과되는 중심공(112)이 형성된다. 중심축(110)의 가장자리영역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슬라이드블록 직선이동 안내공(120)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블록 직선이 동 안내공(120)은 후술할 슬라이드블록(410)이 안착되어 수평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3 and 4, the swing member 100 is fixed to the display member (not show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otate, the central axis 110 is formed in the center area. The central shaft 110 is formed with a central hole 112 through which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member passes. The slide block linear movement guide hole 120 facing outward from the edge region of the central axis 110 is formed radially. The slide block linear movement guide hole 120 is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by mounting the slide block 410 to be described later.

제 1 슬라이드 부재(200)는 중심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면에는 캠(210)이 형성된다. 캠(210)에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된 위치에 돌출부(212)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각각의 돌출부(212)는 90°간격으로 형성된다. 캠(210)의 중앙영역에는 중심축(110)이 끼워지기 위한 중심축삽입공(214)이 형성된다.The first slide member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110, the cam 210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The cam 210 is radially formed from the rotation center, and the protrusions 212 protrud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Each protrusion 212 is formed at 90 ° intervals. A central axis insertion hole 214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am 210 to accommodate the central axis 110.

커버 부재(300)는 스윙 부재(100)를 주위에서 덮은 상태로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 결합 되며, 그 중앙영역은 스윙 부재(100)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The cover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200 in a state of covering the swing member 100 at the periphery thereof, and a central region of the cover member 300 is opened to allow a part of the swing member 100 to be coupled to the display member. do.

가압 부재(400)는 스윙 부재(10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와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각각 캠(210)을 가압하여 소정의 정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윙 부재(100)의 슬라이드블록 직선이동 안내공(12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410)과 슬라이드블록(410)을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420)으로 구성된다.The pressing member 400 is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stopping force by pressing the cam 210 in a state where the swing member 100 is not rotated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lide block of the swing member 100. The slide block 410 is installed in the linear movement guide hole 120 so as to be movable horizontally and is composed of a spring 420 for pressing the slide block 410.

슬라이드블록(410)은 스윙 부재(100)의 슬라이드블록 직선이동 안내공(120)에 끼워진 상태로 캠(210)과 접촉되어 설치된다. 캠(210)과 접촉된 면의 반대 면 양측에는 돌기(412)가 형성되고, 돌기(412)에는 스프링(420)이 끼워진다. 스프링(420)은 슬라이드블록(410)을 탄성지지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캠(210)을 가압한다.The slide block 410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cam 210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slide block linear movement guide hole 120 of the swing member 100. Protrusions 4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opposite to the cam 210, and springs 420 are fitted to the protrusions 412. The spring 420 elastically supports the slide block 410 to press the cam 210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제동 부재는 디스플레이부재와 결합된 스윙 부재(100)가 소정각도 회전된 상 태에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축(110)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114)와 캠(210)의 중심축삽입공(214)에 형성되는 걸림 턱(216)으로 구성된다.The braking member is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swing member 100 coupled to the display membe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further rotating. The braking member 114 and the cam 210 are formed on the central shaft 110. It is composed of a locking jaw 216 formed in the central axis insertion hole (214).

걸림돌기(114)는 중심축(110)의 자유단에 중심축(1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locking protrusion 114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110 at the free end of the central axis 110.

걸림턱(216)은 스윙 부재(100)의 양방향 회전시 걸림돌기(114)에 걸려 소정 각도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중심축삽입공(214)의 2곳에 형성된다. 즉, 걸림돌기(114)는 중심축(110)의 12시 방향에 형성되고, 걸림턱(216)은 중심축삽입공(214)의 3시와 9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윙 부재(10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12시 방향에 위치한 걸림 돌기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3시 방향에 위치한 걸림턱(216)에 접촉되고, 반대로 스윙 부재(1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12시 방향에 위치한 걸림돌기(11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9시 방향에 위치한 걸림턱(216)에 접촉된다. The locking jaw 216 is formed at two locations of the central shaft insertion hole 214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swinging member 100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14 in both directions. 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114 is formed at the 12 o'clock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110, and the locking jaw 216 is formed at the 3 o'clock and 9 o'clock positions of the central axis insertion hole 214. Therefore, when the swing member 10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locking projection located at the 12 o'clock position rotates counterclockwise to contact the locking jaw 216 located at the 3 o'clock position, and conversely, the swing member 100 is rotated. When rotated clockwise, the locking projection 114 locat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rotates clockwise to contact the locking projection 216 located in the 9 o'clock direction.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idirectional rotat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 회전장치의 회전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 회전장치의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is rotated, and FIG. 7 is a movement shown in FIG.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is rotated, and FIGS. 8 and 9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rot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shown in FIG. 1.

평상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재(D)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이 긴 상태로 본체(B)에 닫혀져 있게 된다.Normally, the display member 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losed to the main body B in a vertical state as shown in FIG. 5.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재(D)를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부재에 결합된 스윙 부재(100)가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부재(D)가 도 6과 같이 오픈 된다.When the user rotates the display member D in either direction, the swing member 100 coupled to the display member is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110 so that the display member D is opened as shown in FIG. 6. .

이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20)의 탄성을 받는 슬라이드블록(410)이 캠(210)의 각 돌출부(212) 사이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가압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재(130)가 본체에 대해 수직방향이 긴 상태로 본체에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재(D)를 양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부재(D)와 함께 스윙 부재(100)가 도 8과 같이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각각의 슬라이드블록(410)은 캠(210)의 돌출부(212)에 의해 스프링(420)의 탄성을 이기고 뒤로 밀린다. 이 후 슬라이드 블록(4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캠(210)을 가압하여 디스플레이부재(D)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more detail, this process, as shown in Figure 7, the slide block 410 is subjected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420 by press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between each projection 212 of the cam 210, the display member The 130 maintains the state closed in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direction is lo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ubsequently, when the user rotates the display member D in one of two directions, the swing member 100 along with the display member D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110 as shown in FIG. 8. In this process, each slide block 410 is pushed back to overcome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420 by the protrusion 212 of the cam 210. Thereafter, as shown in FIG. 9, the slide block 410 presses the cam 210 agai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20 to maintain the display member D in an open state.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부재(100)가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어느 방향으로든지 90°회전하게 되면,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 형성된 걸림턱(216)과 중심축(110)에 형성된 걸림돌기(114)가 접촉하여 스윙 부재(10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S. 7 to 9. When the swing member 100 rotates 90 ° in any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110, the locking projections 216 formed on the first slide member 20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14 formed on the central axis 110 are rotated. Contact causes the swing member 100 to no longer rotate.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재(D) 및 스윙 부재(100)는 양 방향으로 90°이내의 범위에서만 회전하게 된다.Therefore, the display member D and the swing member 100 rotate only within a range of 90 ° in both directions.

디스플레이부재(D)가 양방향으로 90°회전하면, 디스플레이부재(D)의 액정화면이 수평방향으로 폭이 길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정화면을 통해 영화 등을 정상적인 사이즈로 보게 된다.When the display member D is rotated by 90 ° in both directions,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display member D becomes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state, the movie is viewed at a normal size through the LCD screen.

디스플레이부재(D)를 다시 원상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은, 상기의 과정과 역순으로 이루어진다.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display member D back to the original state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to the above process.

다음은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ll be described.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재를 본체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장치는, 본체에 고정되고,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와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변곡점(520a)이 중심영역에 있는 1 이상의 경사면(520)이 형성된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와, 제 1 슬라이드 부재(200)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200)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경사면(520)에 전달하여 제 1 슬라이드 부재(200)가 제 2 슬라이드 부재(500)로부터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1 이상의 슬립 부재로 구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play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main body, coupled to slide with the first slide member 200, the inclination point 520a in which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reversed is one or more in the center region The first slide member 200 includes a second slide member 500 having an inclined surface 520, an elastic member that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lide member 200 moves, and the elastic member. A binding member for fixing onto the upper surface, and one or more slip members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ransferring the same to the inclined surface 520 so that the first slide member 200 slides from the second slide member 500. .

이를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10 as follows.

제 2 슬라이드 부재(50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미도시)에 고정되어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와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것으로, 1 이상의 가이드 봉(510)이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의 이동방향으로 고정되고,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는 가이드 봉(51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공(220)이 형성되 어, 가이드 봉(510)과 가이드 공(220)의 결합에 의해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와 제 2 슬라이드 부재(5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의 양측의 각 단부에는 가이드 봉(510)을 끼우기 위한 끼움공(512)이 형성되고, 이 끼움공(512)에 가이드 봉(510)의 양단부가 결합된다. The second slide member 500 is fixed to the main body (not show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lides in one direction with the first slide member 200. The at least one guide rod 510 is the second slide member 500. It is fix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first slide member 200 is formed with a guide ball 220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od 510, by the coupling of the guide rod 510 and the guide ball 220 The first slide member 20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500 are slidably coupled. At each end of both sides of the second slide member 500, fitting holes 512 for fitting the guide rods 510 are formed, and both ends of the guide rods 510 are coupled to the fitting holes 512.

경사면(520)은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의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씩 형성되며, 변곡점(520a)에서 양측 경사면(520)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된다.One inclined surface 520 is formed at a symmetrical position of the second slide member 500,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inclined surfaces 520 is minimized at the inflection point 520a.

그리고 결속 부재 및 슬립 부재는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The binding member and the slip member are each paired in a symmetrical position.

탄성 부재는 비틀림 스프링(600)으로 이루어진다.The elastic member is made of torsion spring 600.

결속 부재는, 일단이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 축지지 되고, 타단이 탄성 부재의 단부에 축지지 되어 탄성 부재를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 지지시키는 1 이상의 링크(70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링크(700)는 제 1 중심축(710)에 의해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중심축(710)은 링크(700)의 회전중심이 된다. The binding member includes one or more links 700 whose one end is axially supported by the first slide member 200 and the other end is axially supported by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to support the elastic member to the first slide member 200. Each link 70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irst slide member 200 by a first central axis 710. The first central axis 710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link 700.

비틀림 스프링(600)의 설치를 위하여, 비틀림 스프링(600)의 각 끝 부분을 구부려 고리(610)를 형성하고, 각각의 링크(700)에는 고리(610)에 결합되는 돌출부(720)를 형성한다. 각각의 돌출부(720)를 각각의 고리(610)에 결합시킴으로써 비틀림 스프링(600)의 각 끝부분은 링크(70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In order to install the torsion spring 600, each end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600 is bent to form a ring 610, and each link 700 forms a protrusion 720 coupled to the ring 610. . By coupling each protrusion 720 to each ring 610, each end of the torsion spring 6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k 700.

슬립 부재는, 링크(700)에 축지지 되어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의 경사면(520)에서 구르는 롤러(800)로 이루어진다. 롤러(800)는 제 2 중심축(730)으로 링 크(7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롤러(800)는 경사면(520)에서 구르므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lip member consists of a roller 800 which is axially supported by the link 700 and rolls on the inclined surface 520 of the second slide member 500. The roller 8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nk 700 by the second central axis 730. Since the roller 800 rolls on the inclined surface 520, the friction force may be minimized.

롤러(800)가 경사면(520) 상에서 변곡점(520a)을 기준으로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에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롤러(800)가 경사면(520) 상에서 변곡점(520a)을 기준으로 열리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에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When the roller 800 is in a position where the roller 800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inflection point 520a on the inclined surface 520, a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500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the roller 800 is in the inflection point 520a on the inclined surface 520. In the open position with reference to), a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500 in the open direction.

제 2 슬라이드 부재(500)가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정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각 경사면(520)의 양단부에 반원형의 제 1 고정 홈(522)과 제 2 고정 홈(524)을 형성한다.Semicircular first fixing grooves 522 and second fixing grooves 524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inclined surface 520 to generate a stopping force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500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B)의 메인 보드에 디스플레이부재(D)가 열렸을 때 액정화면이 온 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재(D)가 본체(B)에 닫혔을 때 액정화면이 오프 되도록 하는 기능을 설정한다.Such a mobile terminal has a function of turning on the LCD screen when the display member D is opened on the main board of the main body B, and turning off the LCD screen when the display member D is closed on the main body B. Set.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닫힌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2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열린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 10, and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 10. Is a plan view in the direction of moving in the open direction, FIG. 13 is a plan view of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 10 to the open position,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to be.

먼저, 이동통신단말기가 클로즈 된 상태는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부재(D)에 결합된 제 1 슬라이드 부재(200)가 제 2 슬라이드 부재(500) 상에서 일 방향으로 밀려져 있게 된다.First,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losed,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slide member 200 coupled to the display member D is pushed in one direction on the second slide member 500.

이때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 지지된 비틀림 스프링(600)의 탄성력을 받는 링크(700)는 그 탄성력을 롤러(800)에 전달하고, 롤러(800)는 제 1 고정 홈(522)에 결합되어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의 유동을 억제한다.In this case, the link 700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600 supported by the first slide member 200 transmits the elastic force to the roller 800, and the roller 800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groove 522. To suppress the flow of the first slide member 200.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오픈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재(D)를 손으로 밀면, 디스플레이부재(D)와 제 1 슬라이드 부재(200)가 도 11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와 제 2 슬라이드 부재(500)는 가이드 봉(510)을 통해 결합되어 있어서, 제 1 슬라이드 부재(200)는 양호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display member D is pushed by hand to open the terminal, the display member D and the first slide member 200 are slid upward based on FIG. 11. At this time, the first slide member 20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500 are coupled through the guide rod 510, so that the first slide member 200 has a good linear motion.

제 1 슬라이드 부재(200)가 오픈 되기 시작하면, 양측의 롤러(800)가 제 1 고정 홈(522)으로부터 벗어나 양측 경사면(520)에서 구르게 된다. 처음에는 양측 경사면(520) 간의 거리가 점차 좁아지므로, 롤러(800)가 링크(700) 및 비틀림 스프링(600)을 압축시킨다. 이 과정에서는 소정의 저항력이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롤러(800)가 변곡점(520a)에 도달할 때까지 디스플레이부재(D)를 밀어 제 1 슬라이드 부재(200)를 이동시켜야 한다.When the first slide member 200 starts to open, both rollers 800 are rolled off the first fixing grooves 522 on both inclined surfaces 520. Initi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520 is gradually narrowed, so that the roller 800 compresses the link 700 and the torsion spring 600. Since a predetermined resistance force is generated in this process, the user must move the first slide member 200 by pushing the display member D until the roller 800 reaches the inflection point 520a.

도 12와 같이 롤러(800)가 변곡점(520a)을 넘게 되면, 양측 경사면(520) 간의 거리가 점차 넓어지므로, 비틀림 스프링(600)이 팽창한다. 이 과정에서는 비틀림 스프링(600)의 팽창력이 롤러(800)를 통해 제 1 슬라이드 부재(200)를 열리는 방향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사용자는 롤러(800)가 변곡점(520a)을 통과한 이후부터는 디스플레이부재(D)를 밀지 않아도 제 1 슬라이드 부재(200)는 열린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한다.When the roller 800 exceeds the inflection point 520a as shown in FIG. 12,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520 gradually increases, and the torsion spring 600 expands. In this process, since the expansion force of the torsional spring 600 acts as a force pushing the first slide member 200 in the opening direction through the roller 800, the user has since the roller 800 passes through the inflection point 520a. Even if the display member D is not pushed, the first slide member 200 automatically moves to the open position.

디스플레이부재(D) 및 제 1 슬라이드 부재(200)가 도 13과 같이 완전히 오픈 되면, 롤러(800)는 다시 제 2 고정 홈(524)에 걸려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When the display member D and the first slide member 200 are fully opened as shown in FIG. 13, the roller 800 is caught by the second fixing groove 524 again to generate a predetermined braking force.

따라서 제 1 슬라이드 부재(20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slide member 200 is to maintain the open state.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재(D)가 오픈 되면 본체(B)의 키패드가 오픈되고, 미리 설정된 기능에 따라 액정화면이 온 되므로, 사용자는 단말기의 고유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4, when the display member D is opened, the keypad of the main body B is opened, and the LCD screen is turned on according to a preset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use a unique function of the terminal.

한편, 디스플레이부재(D)가 오픈 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클로즈 시키려면, 사용자는 손으로 디스플레이부재(D)를 오픈시와 반대 방향으로 당긴다. 디스플레이부재(D)의 클로즈 동작은 상기 오픈 동작과 역순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lo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open state of the display member (D), the user pulls the display member (D) by h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when opened.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play member D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opening ope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재가 양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and slide open and close.

도 1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있다.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제동 부재가 스윙 부재(1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벳(910)과 가이드 리벳(910)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 관통되어 형성된 곡선관통공(920)과 가이드 리벳(910)의 자유 단이 안착되어 직선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에 형성된 직선가이드 홈(930)과 직선가이드 홈(930)과 연결되고, 가이드 리벳(910)의 양방향 회전운동을 안내 및 제한하기 위한 곡선가이드 홈(9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다.As shown in FIG. 15,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guide rivets 910 and a guide in which a brak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wing member 100. The second slide member 500 is mounted so that the curved through hole 920 formed through the first slide member 200 and the free end of the guide rivet 910 are seated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It is connected to the linear guide groove 930 and the linear guide groove 930 formed in the curved guide groove 940 for guiding and limiting the bidirectional rotational movement of the guide rivet 910;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가이드 리벳(9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스윙 부재(100)에 고정된다.The guide rivets 910 are formed in a pair and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re fixed to the swing member 100.

곡선관통공(920)은 스윙 부재(100)의 양방향 회전시 가이드 리벳(910)이 간섭되지않도록 원주형상의 곡선으로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 관통 형성된다.The curved through hole 920 is formed through the first slide member 200 in a circumferential curve so that the guide rivet 910 does not interfere when the swing member 100 is bidirectionally rotated.

직선가이드 홈(930)은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에 소정의 깊이를 갖으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직선가이드 홈(930)에는 곡선관통공(920)을 통과한 가이드 리벳(910)의 자유단이 안착된다.The linear guide groove 930 has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second slide member 500 and is formed in a pair. The free end of the guide rivet 910 passing through the curved through hole 920 is seated in the straight guide groove 930.

곡선가이드 홈(940)은 스윙 부재(100)가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더 이상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곡선관통공(920)과 동일한 형상으로 직선가이드 홈(930)과 연결되어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에 형성된다. Curved guide groove 940 is to limit the further rot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wing member 10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s connected to the linear guide groove 930 in the same shape as the curved through-hole 920, the second It is formed in the slide member 500.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슬라이드 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도 15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 향 회전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 1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5 is slid, and FIG. 1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wo-way rotated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The figure is shown.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재의 액정화면을 통하여 정상적인 사이즈의 영화 등을 감상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양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user slides the display member and rotates it in both directions in order to watch a movie of a normal size through the LCD screen of the display member.

이와 같은 작동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operation process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디스플레이부재(D)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부재(D)에 고정된 스윙 부재(100)와 스윙 부재(100)에 고정 결합된 가이드 리벳(910)이 디스플레이부재(D)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 리벳(910)의 자유단은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의 직선가이드 홈(930)을 따라 이동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재(D)를 시계반대방향으로 90°회전시키게 되면, 디스플레이부재(D)에 고정된 스윙 부재(100)와 스윙 부재(100)에 고정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 리벳(910)은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의 곡선가이드 홈(940)을 따라 회전하여 곡선가이드 홈(940)의 끝단에 접촉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90°회전된다. 이때, 가이드 리벳(910)은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의 곡선가이드 홈(94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곡선관통공(920)에 의해 양방향 회전시 간섭받지않고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재(D)를 양방향으로 90°이상 회전시키려 하여도 곡선가이드 홈(940)의 끝단과 가이드 리벳(910)이 접촉되어 더 이상 디스플레이부재(D)가 회전되지 않는다.First, when the display member D is slid, the swing member 100 fixed to the display member D and the guide rivet 910 fixedly coupled to the swing member 100 move along the display member D. . At this time, the free end of the guide rivet 910 is moved along the straight guide groove 930 of the second slide member 500 is positione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When the display member D is rotated 90 ° counterclockwise, the swing member 100 fixed to the display member D and the pair of guide rivets 910 fixedly coupled to the swing member 100 are It rotates along the curved guide groove 940 of the second slide member 500 to contact the end of the curved guide groove 940 and is rotated 90 °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 17. At this time, the guide rivet 910 can be freely rotated without interference during bidirectional rotation by the curved through hole 920 formed in the same shape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guide groove 940 of the second slide member 500. will be.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attempts to rotate the display member D by more than 90 ° in both directions, the end of the curved guide groove 940 and the guide rivet 9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isplay member D is no longer rotated.

도 1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있다.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제동 부재가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에 고정되는 시소가이드(1010)와 시소가이드(1010)에 시소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시소리벳(1022)이 돌출형성되고, 타측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누름편(1024)이 형성된 시소(1020)와 시소(1020)가 시소운동 되도록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편(1024)을 가압하는 가압편(1040)과 시소(1020)의 시소운동시 상기 시소리벳(1022)이 통과하여 돌출되도록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에 형성된 시소리벳관통공(1050)과 시소가이드(1010)와 시소(10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시소(1020)를 탄력지지하는 시소스프링(1030)과 디스플레이부재(D)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제동홈(1060)으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다.As shown in FIG. 18,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esaw guide 1010 and a seesaw guide in which a braking member is fix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500. The seesaw 1010 is coupled to the seesaw movement, the side of the sisoribet 1022 is protruding,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esaw 1020 and the seesaw 1020 is formed the inclined push piece 1024 is the seesaw movement The second slide member 500 is formed in the first slide member 200 so that the sisoribet 1022 passes through and protrudes during the seesaw movement of the pressing piece 1040 and the seesaw 1020 to press the pressing piece 1024. It is provided between the sisoribet through-hole 1050 and the seesaw guide 1010 and the seesaw 1020 formed on the side of the seesaw spring (1030) and the display member (D)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esaw (1020) The semicircular braking groove 1060 is composed of And is the same as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시소가이드(1010)는 시소(1020)를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의 상부 일측에 시소가이드(1010)의 양측이 고정된다. The seesaw guide 1010 is for installing the seesaw 1020 on the second slide member 500, and both sides of the seesaw guide 1010 are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second slide member 500.

시소(1020)는 시소가이드(1010)에 의해 시소운동하는 것으로, 시소가이드(1010)와 시소(1020)는 힌지결합된다. 시소(1020)의 일측에는 시소리벳(1022)이 형성된다. 타측에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누름편(1024)이 형성된다. The seesaw 1020 is a seesaw movement by the seesaw guide 1010, the seesaw guide 1010 and the seesaw 1020 is hinged. On one side of the seesaw 1020 is a sisoribet 102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s formed a pressing piece 1024 bent obliquely to one side.

시소스프링(1030)은 시소(1020)를 탄력 지지하는 것으로, 시소가이드(1010) 와 시소(1020) 사이에 설치된다. The seesaw spring 1030 supports the seesaw 1020 elastically,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seesaw guide 1010 and the seesaw 1020.

가압편(1040)은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의 상단 일측에 돌출형성된다. 돌출형성된 가압편(1040)은 제 1 슬라이드 부재(200)가 슬라이드 이동시 시소(1020)가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시소(1020)의 누름편(1024)을 가압한다.The pressing piece 1040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lide member 200. The protruding pressing piece 1040 presses the pressing piece 1024 of the seesaw 1020 so that the seesaw 1020 can perform a seesaw movement when the first slide member 200 slides.

시소리벳관통공(1050)은 시소(1020)가 시소운동함에 따라 시소(1020)의 일측에 형성된 시소리벳(1022)이 통과하여 돌출되도록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에 형성된다.The sisoribet through-hole 1050 is formed in the second slide member 500 such that the sisoribet 1022 formed on one side of the seesaw 1020 passes through and protrudes as the seesaw 1020 moves.

제동홈(1060)은 디스플레이부재(D)가 양방향 회전시 돌출된 시소리벳(1022)에 접촉되어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재(D)의 일측면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Braking groove 1060 is for limiting the display member (D)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sisoribet (1022)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when rotated in both directions, in a semi-circular shape on one side of the display member (D) Is formed.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9, 20은 도 18에 도시된 시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1에는 도 18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슬라이드 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도 18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19 and 20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esaw shown in FIG. 18, and FIG. 2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8 is slid. FIG. 2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rotated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8.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재(D)의 액정화면을 통하여 정상적인 사이즈의 영화 등을 감상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재(D)를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양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user slides the display member D and rotates it in both directions in order to watch a movie of a normal size through the LCD screen of the display member D.

이와 같은 작동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operation process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재(D)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의 상단 일측에 돌출형성된 가압편(1040)은 슬라이드 이동하며 시소(1020)의 누름편(1024)과 접촉하여 시소(1020)의 누름편(1024)을 가압한다. 가압편(1040)이 시소(1020)의 누름편(1024)을 가압하면 힌지 결합된 시소(1020)와 시소가이드(1010)는 힌지를 축으로 시소운동하여 시소(1020)의 누름편(1024)과 반대 측에 돌출형성된 시소리벳(1022)이 회전한다. 이때 시소(1020)와 시소가이드(1010) 사이에 설치된 시소스프링(1030)은 압축된다. 이어서 시소리벳(1022)이 회전하여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의 시소리벳관통공(1050)을 통하여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재(D)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부재(D)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동홈(1060)이 회전하여 제 2 슬라이드 부재(500)의 시소리벳관통공(1050)으로 돌출된 시소리벳(1022)과 반원형상의 제동홈(1060) 양끝단 중 일측 끝단이 접촉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재(D)는 시계반대방향으로 90°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재(D)를 시계반대방향으로 90°이상 회전시키려 힘을 가하여도 시소리벳(1022)과 제동홈(1060)의 일측 끝단이 접촉되어 더 이상 디스플레이부재(D)가 회전하지 않는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S. 19 to 22, when the display member D is slidably moved, the pressing piece 1040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first slide member 200 is slidably moved to the seesaw 1020.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iece 1024, the pressing piece 1024 of the seesaw 1020 is pressed. When the pressing piece 1040 presses the pressing piece 1024 of the seesaw 1020, the hinged seesaw 1020 and the seesaw guide 1010 are moved along the hinge to seesaw and the pressing piece 1024 of the seesaw 10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ding sisoribet 1022 is rotated. At this time, the seesaw spring 1030 installed between the seesaw 1020 and the seesaw guide 1010 is compressed. Subsequently, the sisoribet 1022 is rotated to protrude through the sisoribet through-hole 1050 of the second slide member 500. Then, when the user rotates the display member D counterclockwise, the braking groove 1060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member D is rotated to the sisoribet through-hole 1050 of the second slide member 500. The display member D is rotated 90 ° counterclockwise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protruding sisoribet 1022 and both ends of the semicircular brake groove 106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ubsequently, even if the user applies a force to rotate the display member D 90 degre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e end of the sisoribet 1022 and the braking groove 1060 is contacted and the display member D no longer rotates. .

또한, 디스플레이부재(D)가 양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90°회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재(D)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려 힘을 가하게 되면, 돌출된 시소리벳(1022)이 제동홈(1060)의 측벽과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slide the display member D while the display member D is rotated by 90 ° in either of two directions, the protruding sisoribet 1022 may cause the braking groove 1060. It does not slide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재(D)를 닫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재(D)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와 일치시킨 후 디스플레이부재(D)를 손으로 당기게 되면, 제 1 슬라이드 부재(200)의 가압편(1040)이 누름편(1024)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떨어지게 되고, 시소(1020)와 시소가이드(1010) 사이에서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소(102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시소리벳(1022)이 시소리벳관통공(105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부재(D)는 원활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close the display member D, when the display member D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coincide with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member D is pulled by hand, the pressing piece 1040 of the first slide member 200 is pulled. The pressing piece 1024 is dropped while being pressed, and the seesaw 1020 rotates around the hing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compressed between the seesaw 1020 and the seesaw guide 1010 to the sisoribet 1022. ) Is escaped from the sisori bet through hole (1050). Subsequently, the display member D may slide smoothly.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an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modified embodiment within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and the modified form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동시에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otate the display in both directions, and at the same time, the slide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user can feel convenience.

Claims (16)

디스플레이부재와 본체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a display member and the main body,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에 고정되고, 중심축을 갖는 스윙 부재:A swing member fixed to the display member and having a central axis: 상기 중심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을 구비한 제 1 슬라이드 부재; A first slide member having a cam to which the central axis is rotatably coupled; 상기 스윙 부재를 주위에서 덮은 상태로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스윙 부재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된 커버 부재;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while covering the swing member around, the cover member being open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swing member; 상기 스윙 부재와 제 1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윙 부재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와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캠을 가압하여 소정의 정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A press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swing member and the first slide member and configured to press the cam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topping force in a state where the swing member is not rotated and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스윙 부재가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더 이상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동 부재;A braking member for limiting further rotation of the swing member in a state of being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변곡점이 중심영역에 있는 1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 2 슬라이드 부재;A second slide member fixed to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so as to slide, and having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at an inflection point in which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reversed;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An elastic member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lide member moves;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 부재; A binding member for fixing the elastic member on the first slide member;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경사면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로부터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1 이상의 슬립 부 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And at least one slip member configured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first slide member slides from the second slide member. .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윙 부재의 중심축에는 시그널 라인이 통과되는 중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swing member is formed in the center hole through which the signal line passes.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캠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중심축이 끼워지기 위한 중심축삽입공이 형성되고,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에 90°간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도 90°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central shaf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am to insert the central shaft, and projections are formed at radial intervals of 90 ° from the rotational center, and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at 90 ° intervals.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switchgea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The press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스윙 부재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에 접촉하여 상기 돌출부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슬라이드 블록; 및A slide block installed on the swing member so as to be movable horizontally, the slide block being in contact with the cam to suppress rotation of the protrusion; And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Spring for pressing the slide block;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스윙 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수평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블록 직선이동 안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swing member is a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block linear movement guide hole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lide block is form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braking member, 상기 중심축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 및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entral axis; And 상기 스윙 부재가 양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캠의 중심축삽입공에 형성되는 걸림 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ocking jaw formed in the central axis insertion hole of the cam to block the swing member to rotate in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in both directions.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걸림 턱은 180°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locking jaw is formed at intervals of 180 °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braking member, 상기 스윙 부재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벳;A pair of guide rivets coupled to the swing member; 상기 가이드 리벳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관통형성된 곡선 관통공;A curved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slide member to allow the guide rivet to pass therethrough; 상기 곡선관통공을 통과한 가이드 리벳의 자유단이 안착되도록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된 직선가이드 홈;A straight guid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slide member so that the free end of the guide rivet passing through the curved through hole is seated; 상기 직선가이드 홈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리벳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곡선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And a curved guide groove connected to the straight guide groove and limiting rotation of the guide rive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braking member,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시소가이드;A seesaw guide fix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상기 시소가이드에 시소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시소리벳이 돌출형성되고, 타측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누름편이 형성된 시소;A seesaw coupled to the seesaw guide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 seesaw, a sisoribet protruding from one side thereof, and a pressing piece inclined to one side of the seesaw; 상기 시소가 시소운동 되도록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편을 가압하는 가압편;A pressing piece formed on the first slide member so as to move the seesaw and pressurizing the pressing piece; 상기 시소의 시소운동시 상기 시소리벳이 통과하여 돌출되도록 제 2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된 시소리벳관통공;Sisoribet through-hole formed in the second slide member so that the sisoribet protrudes through the seesaw movement of the seesaw; 상기 시소가이드와 시소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시소를 탄력지지하는 시소스프링; A see-through spring provided between the seesaw guide and the seesaw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esaw;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제동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micircular brak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member.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를 축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씩 형성되고,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e each in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axis along the path that the second slide member is moved, 상기 결속 부재 및 상기 슬립 부재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binding member and the slip member is a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nsisting of a pai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에는 1 이상의 가이드 봉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공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According to claim 6, At least one guide rod is fix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econd slide member, The first slide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ball is slidably coupled, the guide rod and the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is slidably coupled by the coupling of the guide bal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lastic member comprises a torsion spr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slide member is coupled with a cover for preventing the elastic member from being separated.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축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에 축 지지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 1 슬라이드 부재에 지지시키는 1 이상의 링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said binding member has one end axially supported by the said 1st slide member, and the other end is axially supported by the edge part of the said elastic member, and the said elastic member is attached to the said 1st slide member.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ne or more link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슬립 부재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lip member, 상기 링크에 축 지지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경사면에서 구르는 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is supported on the link and roll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청구항 13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롤러에 소정의 정지력을 가하기 위한 1 이상의 고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회전 및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bidirectional rotation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laim 13, wherein at least one fixing groove is formed on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to apply a predetermined stopping force to the roller.
KR1020060045230A 2005-12-13 2006-05-19 Apparatus for dual swing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cellular phone KR100774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230A KR100774569B1 (en) 2006-05-19 2006-05-19 Apparatus for dual swing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cellular phone
JP2008545482A JP2009519669A (en) 2005-12-13 2006-12-07 Oscillation mechanism for mobile phone display parts
PCT/KR2006/005270 WO2007069834A1 (en) 2005-12-13 2006-12-07 A swing mechanism for display part of cellular phone
EP06823977A EP1961125A4 (en) 2005-12-13 2006-12-07 A swing mechanism for display part of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230A KR100774569B1 (en) 2006-05-19 2006-05-19 Apparatus for dual swing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cellular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569B1 true KR100774569B1 (en) 2007-11-08

Family

ID=3906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230A KR100774569B1 (en) 2005-12-13 2006-05-19 Apparatus for dual swing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56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710A (en)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엠투시스 Sw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20060091484A (en) * 2005-02-15 2006-08-21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720 degree swing type of hin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710A (en)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엠투시스 Sw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20060091484A (en) * 2005-02-15 2006-08-21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720 degree swing type of hi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734B1 (en)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JP2005147401A (en) Sliding/hinge apparatus of sliding/rotating type portable terminal machine
JP3923636B2 (en) Document crimp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20080055829A1 (en)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KR200372903Y1 (en) Slide hinge module
KR100576007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KR100547726B1 (en) Rotation stop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folder
KR100689069B1 (en)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KR100774569B1 (en) Apparatus for dual swing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cellular phone
KR100686095B1 (en) Mobile phone and hinge module thereof
KR100505961B1 (en) Cellular phone having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200372886Y1 (en) Sw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equipment
JP2009519669A (en) Oscillation mechanism for mobile phone display parts
KR100570071B1 (en) Forder-type mobile phone
KR100998877B1 (en)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663653B1 (en) 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0628916B1 (en) Sw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equipment
KR100761663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wing type cover of cell phone
KR20050109383A (en) A semi-auto slide device, a dual slide device of cellular phone and cellualar phones having that
KR100652638B1 (en) Slide openning/shutt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704973B1 (en)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KR20050067717A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JP3140969U (en) Elastic hinge
KR100801162B1 (en) Slide typ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