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069B1 -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069B1
KR100689069B1 KR1020050053445A KR20050053445A KR100689069B1 KR 100689069 B1 KR100689069 B1 KR 100689069B1 KR 1020050053445 A KR1020050053445 A KR 1020050053445A KR 20050053445 A KR20050053445 A KR 20050053445A KR 100689069 B1 KR100689069 B1 KR 100689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clined surface
elastic
elastic mean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2258A (en
Inventor
김웅렬
김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to US11/596,215 priority Critical patent/US7869844B2/en
Priority to JP2007514931A priority patent/JP4511596B2/en
Priority to DE602005011788T priority patent/DE602005011788D1/en
Priority to AT05808779T priority patent/ATE418184T1/en
Priority to EP08171508A priority patent/EP2063541A3/en
Priority to PCT/KR2005/003075 priority patent/WO2006031078A1/en
Priority to CN200580017484A priority patent/CN100589331C/en
Priority to EP05808779A priority patent/EP1745555B1/en
Publication of KR2006010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2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0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슬라이드 바디에 초기에만 힘을 가하면 자동으로 오픈 되거나 클로즈 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개폐장치는 제 1플레이트와, 제 1플레이트로부터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변곡점이 중심영역에 있는 1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 2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수단과, 탄성수단을 제 1플레이트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재와,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받아 경사면에 전달하여 제 2플레이트가 제 1플레이트로부터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1이상의 슬립부재를 갖는다. 이러한 개폐장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1개의 탄성부재만으로 충분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변위가 작아서 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Disclosed is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when a force is initially applied to the slide body. The disclosed switchgear includes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coupled to slide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plate, and having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at an inflection point in which the inclined direction is reversed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late moves. An elastic means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 binding member for fixing the elastic means on the first plate, and one or more slip members for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and transferring it to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econd plate slides from the first plate. Has Such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n efficiently obtain the elastic force by only one elastic member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efficiently,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member is small, thereby extending its life.

휴대 단말기, 슬라이드, 개폐 Mobile terminal, slide, opening and closing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제 2플레이트가 닫힌 상태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plate of the switchgear shown in FIG.

도 4는 제 1실시예인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sed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 2플레이트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shown in FIG. 3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제 2플레이트가 열린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 state where the second plate shown in FIG. 4 is moved to an open position;

도 7은 도 4에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state of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4;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ure 8,

도 10은 제 2실시예인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sed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제 2플레이트가 키패드 오픈 방향으로 열 리는 도중의 사시도,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late of the switchgear shown in FIG. 9 in the keypad open direction;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 2플레이트가 키패드 오픈 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plate shown in FIG. 11 opened in the keypad open direction;

도 13은 도 10에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키패드 오픈 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0 opened in a keypad open direction;

도 14는 도 9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제 2플레이트가 카메라 오픈 방향으로 열리는 도중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pl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 9 being opened in the camera opening direction;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제 2플레이트가 카메라 오픈 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shown in FIG. 14 is opened in the camera open direction;

도 16은 도 10에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카메라 오픈 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0 opened in a camera open direc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본체부 12: 키패드10: main body 12: keypad

14: 카메라 20: 디스플레이부14: camera 20: display unit

22: 액정화면 100: 제 1플레이트22: LCD screen 100: first plate

102: 슬라이드공 104: 커버102: slide ball 104: cover

120: 제 2플레이트 122: 결합공120: second plate 122: coupling hole

130: 경사면 130a: 제 1경사면130: inclined surface 130a: first inclined surface

130b: 제 2경사면 132: 변곡점130b: second slope 132: inflection point

132a: 제 1변곡점 132b: 제 2변곡점132a: first inflection point 132b: second inflection point

140: 제 1고정홈 142: 제 2고정홈140: first fixing groove 142: second fixing groove

144: 제 3고정홈 150: 가이드 봉144: third fixing groove 150: guide rod

160: 비틀림 스프링 162: 고리160: torsion spring 162: hook

170: 링크 172: 돌출부170: link 172: protrusion

180: 제 1중심축 190: 롤러180: first central axis 190: roller

192: 제 2중심축192: second axis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에 초기에만 힘을 가하면 자동으로 오픈 되거나 클로즈 되는 구조를 갖는 슬라이드 개폐장치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탄성부재의 수를 절감하고 그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particularly in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when a force is initially applied to the slid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efficiently To reduce the number of and extend its life.

최근에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단순한 무선통신의 고유기능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부가적인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penetration rat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s increases, additional functions that are suitable for the user's taste are required for the portable terminals, as well as simple functions of wireless communication.

이러한 요구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들은 일반적인 바 타입(bar type)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플립 업 타입(flip u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등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 들어서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response to these demands, portable terminals have evolved from a general bar type to a flip type, a flip up type, a folder type, and the like. To achieve.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 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 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folder type terminal has enough space for adopting the wide LCD module as the display device, and because the portable terminal is folded in half, the portability is superior to other terminals.

한편,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가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have a display device having a wide LCD module of a similar size as a folder typ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a slide type terminal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is known.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 단말기는, 메인 바디상에서 커버에 해당하는 서브 바디가 슬라이딩 동작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 새로운 동작으로 개폐된다는 부가 장점이 있다.Such a slide type terminal has an additional advantage that the sub body corresponding to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by a sliding operation on the main body,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 new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folder type terminal.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 단말기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2003-0000136호에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As such a slide type terminal, a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03-0000136.

이 출원에 개시된 단말기는, 슬라이드 바디를 메인 바디상에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서 슬라이드 바디의 일정 슬라이딩 위치를 기준으로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탄성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한 개방 또는 폐쇄동작시 별도의 스토퍼 없이 최대 개방 위치 또는 최대 폐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수단으로서 일단이 메인 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드 바디에 고정되는 비틀림 스프링을 채용하고 있다.The terminal disclosed in this application is adapt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force in an opening direction or a clo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slide body on the main body and a sliding position of the slide body between the slide body and the main body. It includes at least one elastic means is installed. And the elastic body can maintain the maximum open position or the maximum closed position without a separate stopper during the fully open or closed operation. As such elastic means, a torsion spring is adopted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lide body.

그런데 이러한 개폐장치는, 비틀림 스프링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바디에 탄성력을 가하므로, 비틀림 스프링이 큰 폭으로 긴장했다 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 로 비틀림 스프링은 동작이 크게 이루어지는 반면 탄성력이 적은 것을 사용하였고, 부족한 탄성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을 배치하였다.By the way, since the torsion spring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 body while the torsion spring rotates, the torsion spring is greatly tensioned and unfolded. For this reason, the torsion spring is operated largely while using less elastic force, and two torsion springs are arranged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elastic force.

따라서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함에 따라 조립 공정이 복잡하였고, 비틀림 스프링의 변위가 커짐에 따라 그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by using two torsional springs, there is a problem that its life is shortened as the displacement of the torsional spring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에 초기에만 힘을 가하면 자동으로 오픈 되거나 클로즈 되는 구조를 갖는 슬라이드 개폐장치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탄성부재의 수를 절감하고 그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lid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only initially. In order to effectively use it to reduce the number of elastic members and to extend the lif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로부터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변곡점이 중심영역에 있는 1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 2플레이트;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을 상기 제 1플레이트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재; 및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경사면에 전달하여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상기 제 1플레이트로부터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1이상의 슬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plate; A second plate coupled to be slid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plate and having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at an inflection point in which the inclined direction is reversed; Elastic means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late moves; A binding member for fixing the elastic means on the first plate; And at least one slip member which receive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and transmits it to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econd plate slides from the first plate.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이동하는 경로를 축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씩 형성되고, 상기 탄성수단과 상기 결속부재 및 상기 슬립부재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ath along which the second plate moves, and the elastic means, the binding member, and the slip member are each paired.

상기 제 2플레이트를 기준위치로부터 양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경사면을,In order to move the second plate in both direction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inclined surface,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이동하는 일방향에 형성되며,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제 1변곡점이 중심영역에 있는 제 1경사면; 및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in one direction from which a second plate moves from a reference position and having a first inflection point in which the inclined direction is reversed; And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제 1경사면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제 2변곡점이 중심영역에 있는 제 2경사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may be configured as a second inclined surface having a second inflection point in which the inclined direction is reversed.

상기 제 2플레이트에는 1이상의 가이드 봉이 상기 제 2플레이트의 이동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1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 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공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At least one guide rod is fixed to the second plat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and the first plate is formed with a guide ball to which the guide rod is slidably coupled, and the first rod is coupled with the guide ball. One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slidably coupled.

상기 탄성수단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The elastic means is made of a torsion spring.

상기 제 1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수단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결합된다.The first plate is coupled to a cover for preventing the elastic means from being separated.

상기 결속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1플레이트에 축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수단의 단부에 축지지되어 상기 탄성수단을 상기 제 1플레이트에 지지시키는 1이상의 링크로 이루어진다.The binding member has one or more links, one end of which is axially supported by the first plat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xially supported by the end of the elastic means, to support the elastic means to the first plate.

상기 슬립부재는, 상기 링크에 축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경사면에서 구르는 롤러로 이루어진다.The slip member is formed of a roller that is axially supported by the link and rolls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각각의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롤러에 소정의 정지력을 가하기 위한 1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된다.At least one fixing groove is formed in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to apply a predetermined stopping force to the roller.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제 1실시예인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제 1실시예인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휴대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본체부(10)의 상면 하단에는 키패드(12)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보드가 내장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에는 액정화면(22)이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20)와 본체부(10)는 플렉시블 피씨비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keypad 12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constitu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ain board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is embedded therein.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22 is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20, and the display unit 20 and the main body unit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lexible PC.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를 메인 바디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장치는,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main body,

본체부(10)에 결합되는 제 1플레이트(100); 제 1플레이트(100)로부터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변곡점(132)이 중심영역에 있는 1이상의 경사면(130)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부(20)에 결합되는 제 2플레이트(120); 제 2플레이트(120)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수단; 탄성수단을 제 1플레이트(100)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재; 및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받아 경사면(130)에 전달하여 제 2플레이트(120)가 제 1플레 이트(100)로부터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1이상의 슬립부재로 이루어진다.A first plate 100 coupled to the main body 10; One or more inclined surfaces 130 are coupled to slide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plate 100, and the inflection point 132 in which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reversed is formed in the center area, and the second plate coupled to the display unit 20 ( 120); Elastic means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late 120 moves; A binding member for fixing the elastic means on the first plate 100; And one or more slip members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and transferring the inclined surface 130 so that the second plate 120 slides from the first plate 100.

경사면(130)은 제 2플레이트(120)의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씩 형성되며, 변곡점에서 양측 경사면(130)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된다.One inclined surface 130 is formed at each symmetrical position of the second plate 12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130 is minimized at the inflection point.

그리고 탄성부재와 결속부재 및 슬립부재는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the binding member, and the slip member are each formed of a pair disposed at symmetrical positions.

제 2플레이트(120)에는 1이상의 가이드 봉(150)이 제 2플레이트(120)의 이동방향으로 고정되고, 제 1플레이트(100)에는 가이드 봉(15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공(102)이 형성되어, 가이드 봉(150)과 가이드 공(102)의 결합에 의해 제 1플레이트(100)와 제 2플레이트(1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One or more guide rods 150 are fixed to the second plate 120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120, and the guide balls 102 are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100. ) Is formed, the first plate 100 and the second plate 120 is slidably coupled by the coupling of the guide rod 150 and the guide ball 102.

제 2플레이트(120)의 양측의 각 단부에는 가이드 봉(150)을 끼우기 위한 결합공(122)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122)에 가이드 봉(150)의 양단부가 결합된다. Coupling holes 122 for fitting the guide rods 150 are formed at respective ends of both sides of the second plate 120, and both ends of the guide rods 150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122.

탄성수단은, 비틀림 스프링(160)으로 이루어진다.The elastic means consists of a torsion spring 160.

결속부재는, 일단이 제 1플레이트(100)에 축지지되고, 타단이 탄성수단의 단부에 축지지되어 탄성수단을 제 1플레이트(100)에 지지시키는 1이상의 링크(17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링크(170)는 제 1중심축(180)에 의해 제 1플레이트(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중심축(180)은 링크(170)의 회전중심이 된다. The binding member includes one or more links 170 having one end axially supported by the first plate 100 and the other end axially supported by the end of the elastic means to support the elastic means to the first plate 100. Each link 17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100 by the first central axis 180. The first central axis 180 becomes the rotation center of the link 170.

비틀림 스프링(160)의 설치를 위하여, 비틀림 스프링(160)의 각 단부를 구부려 고리(162)를 형성하고, 각각의 링크(170)에는 고리(162)에 결합되는 돌출부(172)를 형성한다. 각각의 돌출부(172)를 각각의 고리(162)에 결합시킴으로써 비틀림 스프링(160)의 각 단부는 링크(17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In order to install the torsion spring 160, each end of the torsion spring 160 is bent to form a ring 162, and each link 170 forms a protrusion 172 coupled to the ring 162. By coupling each protrusion 172 to each ring 162, each end of the torsion spring 16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k 170.

슬립부재는, 링크(170)에 축지지되어 탄성부재의 경사면(130)에서 구르는 롤러(190)로 이루어진다. 롤러(190)는 제 2중심축(192)으로 링크(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롤러(190)는 경사면(130)에서 구르므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lip member is formed of a roller 190 axially supported by the link 170 and rolling on the inclined surface 130 of the elastic member. The roller 19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nk 170 by the second central axis 192. Since the roller 190 rolls on the inclined surface 130, the friction force may be minimized.

롤러(190)가 경사면(130)상에서 변곡점(132)을 기준으로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2플레이트(120)에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롤러(190)가 경사면(130)상에서 변곡점(132)을 기준으로 열리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2플레이트(120)에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When the roller 190 is in the position closed on the inclined surface 130 with respect to the inflection point 132, a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plate 120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the roller 190 is the inflection point 132 on the inclined surface 130. When in the open position based on th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plate 120 in the opening direction.

제 2플레이트(120)가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정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각 경사면(130)의 양단부에 반원형의 제 1고정홈(140)과 제 2고정홈(142)을 형성한다.Semi-circular first fixing grooves 140 and second fixing grooves 142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inclined surface 130 to generate a stopping force when the second plate 120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본체부(10)의 메인 보드에 디스플레이부(20)가 열렸을 때 액정화면(22)이 온 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20)가 본체부(10)에 닫혔을 때 액정화면(22)이 오프되도록 하는 기능을 설정한다.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22 is turned on when the display unit 20 is opened on the main board of the main body unit 10, and when the display unit 20 is closed on the main body unit 10, the liquid crystal display ( 22) to turn off the function.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제 2플레이트가 닫힌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 2플레이트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 2플레이트가 열린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가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plate of the switchgear shown in FIG. 2 is closed, and FIG. 5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plate shown in FIG. 6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shown in FIG. 5 is moved to an open posi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4 is open.

먼저, 휴대용 단말기가 클로즈된 상태는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20)에 결합된 제 2플레이트(120)가 제 1플레이트(100) 상에서 일방향으로 밀려져 있게 된 다.First, as the portable terminal is closed,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plate 120 coupled to the display unit 20 is pushed in one direction on the first plate 100.

이때 제 1플레이트(100)에 지지된 비틀림 스프링(160)의 탄성력을 받는 링크(170)는 그 탄성력을 롤러(190)에 전달하고, 롤러(190)는 제 1고정홈(140)에 결합되어 제 2플레이트(120)의 유동을 억제한다.In this case, the link 170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60 supported by the first plate 100 transmits the elastic force to the roller 190, and the roller 190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groove 140. The flow of the second plate 120 is suppressed.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오픈 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손으로 밀면, 디스플레이부(20)와 제 2플레이트(120)가 도 3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 1플레이트(100)와 제 2플레이트(120)는 가이드 봉(150)을 통해 결합되어 있어서, 제 2플레이트(120)는 양호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display unit 20 is pushed by hand to open the terminal,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econd plate 120 slide downward based on FIG. 3. At this time, the first plate 10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coupled through the guide rod 150, so that the second plate 120 has a good linear motion.

제 2플레이트(120)가 오픈 되기 시작하면, 양측의 롤러(190)가 제 1고정홈(140)으로부터 벗어나 양측 경사면(130)에서 구르게 된다. 처음에는 양측 경사면(130) 간의 거리가 점차 좁아지므로, 롤러(190)가 링크(170) 및 비틀림 스프링(160)을 압축시킨다. 이 과정에서는 소정의 저항력이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롤러(190)가 변곡점(132)에 도달할 때까지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 제 2플레이트(120)를 이동시켜야 한다.When the second plate 120 starts to open, the rollers 190 on both sides are rolled out of the first fixing groove 140 on both inclined surfaces 130. Initi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130 gradually narrows, so that the roller 190 compresses the link 170 and the torsion spring 160. Since a predetermined resistance force is generated in this process, the user must move the second plate 120 by pushing the display unit 20 until the roller 190 reaches the inflection point 132.

도 4와 같이 롤러(190)가 변곡점(132)을 넘게 되면, 양측 경사면(130) 간의 거리가 점차 넓어지므로, 비틀림 스프링(160)이 팽창한다. 이 과정에서는 비틀림 스프링(160)의 팽창력이 롤러(190)를 통해 제 2플레이트(120)를 열리는 방향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사용자는 롤러(190)가 변곡점(132)을 통과한 이후부터는 디스플레이부(20)를 밀지 않아도 제 2플레이트(120)는 열린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한다.When the roller 190 exceeds the inflection point 132 as shown in FIG. 4,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130 gradually increases, and the torsion spring 160 expands. In this process, since the expansion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60 acts as a force pushing the second plate 120 in the opening direction through the roller 190, the user displays the display after the roller 190 passes the inflection point 132. Even if the part 20 is not pushed, the second plate 120 automatically moves to the open position.

디스플레이부(20) 및 제 2플레이트(120)가 도 5와 같이 완전히 오픈 되면, 롤러(190)는 다시 제 2고정홈(142)에 걸려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2플레이트(12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completely open as shown in FIG. 5, the roller 190 is caught by the second fixing groove 142 again to generate a predetermined braking force. Therefore, the second plate 120 is maintained in the open state.

디스플레이부(20)가 오픈 되면 본체부(10)의 키패드(12)가 오픈되고, 미리 설정된 기능에 따라 액정화면(22)이 온 되므로, 사용자는 단말기의 고유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display unit 20 is opened, the keypad 12 of the main body unit 10 is opened, and the LCD screen 22 is turned on according to a preset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use a unique function of the terminal.

한편, 디스플레이부(20)가 오픈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클로즈 시키려면, 사용자는 손으로 디스플레이부(20)를 오픈시와 반대 방향으로 민다. 디스플레이부(20)의 클로즈 동작은 상기 오픈 동작과 역순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lose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display unit 20 is open, the user pushes the display unit 20 by h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 state. The clos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20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to the open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로서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탄성부재로는 압축스프링, 판스프링 등 양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수단이면 본 발명의 개폐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torsion spring is used as the elastic member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may be appli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elastic member generates elastic force in both directions such as a compression spring and a leaf spr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제 2실시예인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 2실시예인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 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 8,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to be.

휴대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본체부(10)의 상면 하단에는 키패드(12)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보드가 내장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에는 액정화면(22)이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20)와 본체부(10)는 플렉시블 피씨비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keypad 12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constitu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ain board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is embedded therein.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22 is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20, and the display unit 20 and the main body unit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lexible PC.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를 메인 바디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장치는,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main body,

본체부(10)에 결합되는 제 1플레이트(100); 제 1플레이트(100)로부터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기준위치로부터 제 2플레이트(120)가 이동하는 일방향에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제 1변곡점(132a)이 중심영역에 있는 제 1경사면(130a)과 기준위치로부터 제 1경사면(130a)과 대칭되는 위치에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제 2변곡점(132b)이 중심영역에 있는 제 2경사면(130b)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부(20)에 결합되는 제 2플레이트(120); 제 2플레이트(120)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수단; 탄성수단을 제 1플레이트(100)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재; 및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받아 경사면(130)에 전달하여 제 2플레이트(120)가 제 1플레이트(100)로부터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1이상의 슬립부재로 이루어진다.A first plate 100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a coupled to the first plate 100 so as to slide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inflection point 132a in which the inclined direction is reversed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late 120 move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130b having a second inflection point 132b in which the inclined direction is revers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a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formed in the center area, and being coupled to the display unit 20. Two plates 120; Elastic means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late 120 moves; A binding member for fixing the elastic means on the first plate 100; And at least one slip member which is transferred to the inclined surface 130 by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so that the second plate 120 slides from the first plate 100.

제 1경사면(130a)과 제 2경사면(130b)은 제 2플레이트(120)의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씩 형성되며, 제 1변곡점(132a) 및 제 2변곡점(132b)에서 양측 제 1경사면(130a)과 제 2경사면(130b)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된다.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30b are each formed at a symmetrical position of the second plate 120, and both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32a and 132b are formed at the first inflection point 132a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132b. The distance between 130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30b is minimum.

그리고 탄성부재와 결속부재 및 슬립부재는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the binding member, and the slip member are each formed of a pair disposed at symmetrical positions.

제 2플레이트(120)에는 1이상의 가이드 봉(150)이 제 2플레이트(120)의 이동방향으로 고정되고, 제 1플레이트(100)에는 가이드 봉(15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공(102)이 형성되어, 가이드 봉(150)과 가이드 공(102)의 결합에 의해 제 1플레이트(100)와 제 2플레이트(1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One or more guide rods 150 are fixed to the second plate 120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120, and the guide balls 102 are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100. ) Is formed, the first plate 100 and the second plate 120 is slidably coupled by the coupling of the guide rod 150 and the guide ball 102.

제 2플레이트(120)의 양측의 각 단부에는 가이드 봉(150)을 끼우기 위한 결합공(122)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122)에 가이드 봉(150)의 양단부가 결합된다. Coupling holes 122 for fitting the guide rods 150 are formed at respective ends of both sides of the second plate 120, and both ends of the guide rods 150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122.

탄성수단은, 비틀림 스프링(160)으로 이루어진다.The elastic means consists of a torsion spring 160.

결속부재는, 일단이 제 1플레이트(100)에 축지지되고, 타단이 탄성수단의 단부에 축지지되어 탄성수단을 제 1플레이트(100)에 지지시키는 1이상의 링크(17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링크(170)는 제 1중심축(180)에 의해 제 1플레이트(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중심축(180)은 링크(170)의 회전중심이 된다. The binding member includes one or more links 170 having one end axially supported by the first plate 100 and the other end axially supported by the end of the elastic means to support the elastic means to the first plate 100. Each link 17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100 by the first central axis 180. The first central axis 180 becomes the rotation center of the link 170.

비틀림 스프링(160)의 설치를 위하여, 비틀림 스프링(160)의 각 단부를 구부려 고리(162)를 형성하고, 각각의 링크(170)에는 고리(162)에 결합되는 돌출부(172)를 형성한다. 각각의 돌출부(172)를 각각의 고리(162)에 결합시킴으로써 비틀림 스프링(160)의 각 단부는 링크(17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In order to install the torsion spring 160, each end of the torsion spring 160 is bent to form a ring 162, and each link 170 forms a protrusion 172 coupled to the ring 162. By coupling each protrusion 172 to each ring 162, each end of the torsion spring 16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k 170.

제 1플레이트(100)에는 탄성수단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04)가 결합된다.A cover 104 is coupled to the first plate 100 to prevent the elastic means from being separated.

슬립부재는, 링크(170)에 축지지되어 탄성부재의 제 1경사면(130a)과 제 2경사면(130b)에서 구르는 롤러(190)로 이루어진다. 롤러(190)는 제 2중심축(192)으로 링크(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롤러(190)는 제 1경사면(130a)과 제 2경사면(130b)에서 구르므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lip member includes a roller 190 which is axially supported by the link 170 and rolls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30b of the elastic member. The roller 19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nk 170 by the second central axis 192. Since the roller 190 is roll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30b, the friction force may be minimized.

롤러(190)가 제 1경사면(130a)과 제 2경사면(130b)상에서 제 1변곡점(132a)과 제 2변곡점(132b)을 기준으로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2플레이트(120)에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롤러(190)가 제 1경사면(130a)과 제 2경사면(130b)상에서 제 1변곡점(132a)과 제 2변곡점(132b)을 기준으로 열리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2플레이트(120)에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When the roller 190 is in the closed position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30b with respect to the first inflection point 132a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132b, the roller 190 is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o the second plate 120. Applying a force, the second plate 120 when the roller 190 is in the ope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inflection point 132a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132b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30b. Force in the open direction.

제 2플레이트(120)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정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제 1경사면(130a)과 제 2경사면(130b)의 사이에 반원형의 제 1고정홈(140)을 형성한다.A semi-circular first fixing groove 140 is formed between each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30b to generate a stopping force when the second plate 120 is in the closed position.

그리고 제 2플레이트(120)가 키패드 오픈 방향으로 오픈되었을 때 정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제 1경사면(130a)의 나머지 단부에 제 2고정홈(142)을 형성하며, 제 2플레이트(120)가 카메라 오픈 방향으로 오픈되었을 때 정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제 2경사면(130b)의 단부에 제 3고정홈(144)을 형성한다.In order to generate a stopping force when the second plate 120 is opened in the keypad open direction, a second fixing groove 142 is formed at the remaining end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s 130a, and the second plate 120 is formed. The third fixing groove 144 is formed at the end of each second inclined surface 130b to generate a stopping force when the camera is opened in the camera open direction.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본체부(10)의 메인 보드에 디스플레이부(20)가 열렸을 때 액정화면(22)이 온 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20)가 본체부(10)에 닫혔을 때 액정화면(22)이 오프되도록 하는 기능을 설정한다.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22 is turned on when the display unit 20 is opened on the main board of the main body unit 10, and when the display unit 20 is closed on the main body unit 10, the liquid crystal display ( 22) to turn off the function.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휴대용 단말기가 클로즈된 상태는 도 9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에 결합된 제 2플레이트(120)가 제 1플레이트(100) 상에서 일방향으로 밀려져 있게 된다.First, as the portable terminal is closed,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plate 120 coupled to the display unit 20 is pushed in one direction on the first plate 100.

이때 제 1플레이트(100)에 지지된 비틀림 스프링(160)의 탄성력을 받는 링크(170)는 그 탄성력을 롤러(190)에 전달하고, 롤러(190)는 제 1고정홈(140)에 결합되어 제 2플레이트(120)의 유동을 억제한다.In this case, the link 170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60 supported by the first plate 100 transmits the elastic force to the roller 190, and the roller 190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groove 140. The flow of the second plate 120 is suppressed.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오픈 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손으로 밀면, 디스플레이부(20)와 제 2플레이트(120)가 도 9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 1플레이트(100)와 제 2플레이트(120)는 가이드 봉(150)을 통해 결합되어 있어서, 제 2플레이트(120)는 양호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display unit 20 is pushed by hand to open the terminal,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econd plate 120 slide upward based on FIG. 9. At this time, the first plate 10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coupled through the guide rod 150, so that the second plate 120 has a good linear motion.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제 2플레이트가 키패드 오픈 방향으로 열리는 도중의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l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 9 opened in the keypad open direction.

제 2플레이트(120)가 오픈 되기 시작하면, 양측의 롤러(190)가 제 1고정홈(140)으로부터 벗어나 양측의 제 1경사면(130a)에서 구르게 된다. 처음에는 양측의 제 1경사면(130a) 간의 거리가 점차 좁아지므로, 롤러(190)가 링크(170) 및 비틀림 스프링(160)을 압축시킨다. 이 과정에서는 소정의 저항력이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롤러(190)가 제 1변곡점(132a)에 도달할 때까지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 제 2플레이트(120)를 이동시켜야 한다.When the second plate 120 starts to open, the rollers 190 on both sides are rolled out of the first fixing groove 140 and roll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s 130a on both sides. Initially,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a on both sides gradually narrows, the roller 190 compresses the link 170 and the torsion spring 160. Since a predetermined resistance force is generated in this process, the user must move the second plate 120 by pushing the display unit 20 until the roller 190 reaches the first inflection point 132a.

롤러(190)가 제 1변곡점(132a)을 넘게 되면, 양측 제 1경사면(130a) 간의 거리가 점차 넓어지므로, 비틀림 스프링(160)이 팽창한다. 이 과정에서는 비틀림 스프링(160)의 팽창력이 롤러(190)를 통해 제 2플레이트(120)를 열리는 방향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사용자는 롤러(190)가 제 1변곡점(132a)을 통과한 이후부터는 디스플레이부(20)를 밀지 않아도 제 2플레이트(120)는 열린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한다.When the roller 190 exceeds the first inflection point 132a,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irst inclined surfaces 130a gradually widens, so that the torsion spring 160 expands. In this process, since the expansion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60 acts as a force pushing the second plate 120 through the roller 190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user may pass the roller 190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inflection point 132a. The second plate 120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open position even if the display unit 20 is not pushed.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 2플레이트가 키패드 오픈 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키패드 오픈 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shown in FIG. 11 is opened in the keypad open direction,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0 is opened in the keypad open direction.

디스플레이부(20) 및 제 2플레이트(120)가 키패드 오픈 방향으로 완전히 오픈 되면, 롤러(190)는 다시 제 2고정홈(142)에 걸려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2플레이트(12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completely opened in the keypad open direction, the roller 190 is caught by the second fixing groove 142 again to generate a predetermined braking force. Therefore, the second plate 120 is maintained in the open state.

디스플레이부(20)가 오픈 되면 본체부(10)의 키패드(12)가 오픈되고, 미리 설정된 기능에 따라 액정화면(22)이 온 되므로, 사용자는 단말기의 고유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display unit 20 is opened, the keypad 12 of the main body unit 10 is opened, and the LCD screen 22 is turned on according to a preset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use a unique function of the terminal.

한편, 디스플레이부(20)가 오픈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클로즈 시키려면, 사용자는 손으로 디스플레이부(20)를 오픈시와 반대 방향으로 민다. 디스플레이부(20)의 클로즈 동작은 상기 오픈 동작과 역순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lose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display unit 20 is open, the user pushes the display unit 20 by h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 state. The clos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20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to the open operation.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0)를 도 9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민다. 이때 제 1플레이트(100)와 제 2플레이트(120)는 가이드 봉(150)을 통해 결합되어 있어서, 제 2플레이트(120)는 양호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camera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pushes the display unit 20 downward based on FIG. 9. At this time, the first plate 10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coupled through the guide rod 150, so that the second plate 120 has a good linear motion.

도 14는 도 9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제 2플레이트가 카메라 오픈 방향으로 열리는 도중의 사시도이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pl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 9 opened in the camera opening direction. FIG.

제 2플레이트(120)가 오픈 되기 시작하면, 양측의 롤러(190)가 제 1고정홈(140)으로부터 벗어나 양측의 제 2경사면(130b)에서 구르게 된다. 처음에는 양측의 제 2경사면(130b) 간의 거리가 점차 좁아지므로, 롤러(190)가 링크(170) 및 비틀림 스프링(160)을 압축시킨다. 이 과정에서는 소정의 저항력이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롤러(190)가 제 2변곡점(132b)에 도달할 때까지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 제 2플레이트(120)를 이동시켜야 한다.When the second plate 120 starts to open, the rollers 190 on both sides are rolled off the first fixing groove 140 and roll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s 130b on both sides. Initially,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30b on both sides gradually narrows, the roller 190 compresses the link 170 and the torsion spring 160. Since a predetermined resistance force is generated in this process, the user must move the second plate 120 by pushing the display unit 20 until the roller 190 reaches the second inflection point 132b.

롤러(190)가 제 2변곡점(132b)을 넘게 되면, 양측 제 2경사면(130b) 간의 거리가 점차 넓어지므로, 비틀림 스프링(160)이 팽창한다. 이 과정에서는 비틀림 스프링(160)의 팽창력이 롤러(190)를 통해 제 2플레이트(120)를 열리는 방향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사용자는 롤러(190)가 제 2변곡점(132b)을 통과한 이후부터는 디스플레이부(20)를 밀지 않아도 제 2플레이트(120)는 열린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한다.When the roller 190 exceeds the second inflection point 132b,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econd inclined surfaces 130b gradually widens, and the torsion spring 160 expands. In this process, since the expansion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60 acts as a force pushing the second plate 120 through the roller 190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user may move the roller 190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flection point 132b. The second plate 120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open position even if the display unit 20 is not pushed.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제 2플레이트가 카메라 오픈 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0에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카메라 오픈 방향으로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shown in FIG. 14 is opened in the camera opening direction,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0 is opened in the camera opening direction.

디스플레이부(20) 및 제 2플레이트(120)가 카메라 오픈 방향으로 완전히 오픈 되면, 롤러(190)는 다시 제 3고정홈(144)에 걸려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2플레이트(12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completely opened in the camera open direction, the roller 190 is caught by the third fixing groove 144 again to generate a predetermined braking force. Therefore, the second plate 120 is maintained in the open state.

이에 따라 본체부(10)의 카메라(14)가 오픈되므로 사용자는 카메라(14)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camera 14 of the main body 10 is opened, the user can take an image using the camera 14.

한편, 디스플레이부(20)가 오픈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클로즈 시키려면, 사용자는 손으로 디스플레이부(20)를 오픈시와 반대 방향으로 민다. 디스플레이부(20)의 클로즈 동작은 상기 오픈 동작과 역순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lose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display unit 20 is open, the user pushes the display unit 20 by h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 state. The clos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20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to the open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로서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탄성부재로는 압축스프링, 판스프링 등 양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수단이면 본 발명의 개폐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torsion spring is used as the elastic member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may be appli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elastic member generates elastic force in both directions such as a compression spring and a leaf spr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 1플레이트와, 제 1플레이트로부터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변곡점이 중심영역에 있는 1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 2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수단과, 탄성수단을 제 1플레이트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재와,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받아 경사면에 전달하여 제 2플레이트가 제 1플레이트로부터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1이상의 슬립부재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로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1개의 탄성부재만으로 충분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변위가 작아서 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having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coupled to slide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plate, and having an inflection point in which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reversed, in the center region, and the second plate. An elastic means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ate moves, a binding member for fixing the elastic means on the first plate, and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to be transmitted to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econd plate is transferred to the first plate.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having at least one slip member for sliding from the surface, wherein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efficiently, a sufficient elastic force can be obtained with only one elastic member,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member is small to extend its life. It can be effecti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can make a variety of variations.

Claims (9)

제 1플레이트;First plate; 상기 제 1플레이트로부터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변곡점이 중심영역에 있는 1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 2플레이트;A second plate coupled to be slid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plate and having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at an inflection point in which the inclined direction is reversed;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수단;Elastic means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late moves; 상기 탄성수단을 상기 제 1플레이트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재; 및A binding member for fixing the elastic means on the first plate; And 상기 탄성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상기 경사면에 전달하여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상기 제 1플레이트로부터 슬라이드되도록 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경사면에서 구르는 1이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ans to transfer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to the inclined surface to slide the second plate from the first plate,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roller rolling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이동하는 경로를 축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씩 형성되고,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e each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axis along the path that the second plate is moved, 상기 탄성수단과 상기 결속부재 및 상기 롤러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elastic means, the binding member and the roller is a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nsisting of a pai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이동하는 일방향에 형성되며, 경사방향 이 역전되는 제 1변곡점이 중심영역에 있는 제 1경사면; 및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late moves from a reference position, and having a first inflection point in which the inclined direction is reversed; And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제 1경사면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경사방향이 역전되는 제 2변곡점이 중심영역에 있는 제 2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having a second inflection point in which the inclined direction is revers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플레이트에는 1이상의 가이드 봉이 상기 제 2플레이트의 이동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1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 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공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 least one guide rod is fixed to the second plat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The first plate is formed with a guide ball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slidably coupled by the coupling of the guide rod and the guide ball.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lastic means is made of a torsion sprin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수단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slide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cover for preventing the elastic means from being separated is coupled to the first pla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1플레이트에 축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수단의 단부에 축지지되어 상기 탄성수단을 상기 제 1플레이트에 지지시키며, 상기 롤러가 축지지되는 1이상의 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inding member, one end is axially supported on the first plate, the other end is axially supported by the end of the elastic means to support the elastic means to the first plate And at least one link on which the roller is axially support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롤러에 소정의 정지력을 가하기 위한 1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fixing groove is formed on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to apply a predetermined stopping force to the roller.
KR1020050053445A 2004-09-15 2005-06-21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KR1006890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96,215 US7869844B2 (en) 2004-09-15 2005-09-15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JP2007514931A JP4511596B2 (en) 2004-09-15 2005-09-15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mobile phone
DE602005011788T DE602005011788D1 (en) 2004-09-15 2005-09-15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MOBILE PHONE
AT05808779T ATE418184T1 (en) 2004-09-15 2005-09-15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MOBILE PHONE
EP08171508A EP2063541A3 (en) 2004-09-15 2005-09-15 A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PCT/KR2005/003075 WO2006031078A1 (en) 2004-09-15 2005-09-15 A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CN200580017484A CN100589331C (en) 2004-09-15 2005-09-15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portable phone
EP05808779A EP1745555B1 (en) 2004-09-15 2005-09-15 A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28 2005-03-22
KR20050023528 2005-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258A KR20060102258A (en) 2006-09-27
KR100689069B1 true KR100689069B1 (en) 2007-03-02

Family

ID=3763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445A KR100689069B1 (en) 2004-09-15 2005-06-21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0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9844B2 (en) 2004-09-15 2011-01-11 Laird Technologies, Inc.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786B1 (en) * 2006-12-05 2012-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98197B1 (en) * 2007-10-18 2009-05-18 (주)엘티엠에이피 Slid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US8139367B2 (en) * 2008-09-25 2012-03-20 Motorola Mobility, Inc. Torsion spring mechanism supportive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257A (en) * 2002-07-02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type portab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257A (en) * 2002-07-02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type portable phon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0325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9844B2 (en) 2004-09-15 2011-01-11 Laird Technologies, Inc.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258A (en)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9844B2 (en)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KR100689069B1 (en)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KR100627605B1 (en)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100650695B1 (en)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100698458B1 (en)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an electronic equipment
KR100571045B1 (en) Sliding switchgear of portable terminal
KR100812626B1 (en) Slid and swing hinge apparatus
KR100692311B1 (en)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100570724B1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100573452B1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050022038A (en) Cellular phone having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100659002B1 (en)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100774569B1 (en) Apparatus for dual swing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cellular phone
KR200387453Y1 (en) Apparatur for operating bodies of a slide type cellular phone
KR100704973B1 (en)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KR100997747B1 (en) Slide tilting hinge apparatus
KR100668262B1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20050067717A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100652638B1 (en) Slide openning/shutt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196470B1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s
KR100956301B1 (en) Slide Hinge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KR100801162B1 (en) Slide typ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924465B1 (en) Slid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KR100970470B1 (en) Slide Hinge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KR20050094025A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