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237B1 - Floating vest - Google Patents
Floating ve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3237B1 KR100773237B1 KR1020070001296A KR20070001296A KR100773237B1 KR 100773237 B1 KR100773237 B1 KR 100773237B1 KR 1020070001296 A KR1020070001296 A KR 1020070001296A KR 20070001296 A KR20070001296 A KR 20070001296A KR 100773237 B1 KR100773237 B1 KR 100773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body
- road
- roadway
- floating vest
- separation dist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과제] 착용한 상태에서 앞길과 뒷길의 이간(離間)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이즈 조절이 용이해지는 플로팅 베스트(floating vest)를 제공한다.[Problem]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back road while wearing, providing a floating vest that can be easily adjusted in size.
[해결 수단] 앞길(2)에 접속되고 뒷길(3)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된 앞 벨트체(11)와, 뒷길(3)에 접속되고 앞길(2)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과 함께 선단부(先端部, 121)에 앞 벨트체(11)를 관통하여 앞 벨트체(11)를 전방(前方)으로 접어 겹치기 위한 조절구(13)가 설치된 뒤 벨트체(12)를 구비하고, 접어 겹친 앞 벨트체(11)를 당기는 것에 의하여 앞길(2)과 뒷길(3)의 이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플로팅 베스트(1)에 있어서, 조절구(13)는 앞길(2)의 내측(內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sures] The front belt body 11 connected to the front road 2 and extended toward the rear road 3, and connected to the rear road 3 and extended toward the front road 2, are provided with a tip portion. The front belt body 12 is provided with a rear belt body 12 provided with an adjustment mechanism 13 for penetrating the front belt body 11 forwardly and overlapping the front belt body 11 in the section 121. In the floating vest (1) which can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way (2) and the rear roadway (3) by pulling the sieve (11), the adjustment opening (13) is arranged inside the front roadway (2)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플로팅 베스트, 벨트체, 앞길, 뒷길, 조절구 Floating Vest, Belt Body, Front Length, Back Length, Adjust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플로팅 베스트를 도시하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ating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플로팅 베스트의 요부 확대도.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floating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플로팅 베스트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floating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P-P선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P-P of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플로팅 베스트 2 : 앞길1: floating best 2: the road ahead
3 : 뒷길 6 : 부력 부재3: back road 6: buoyancy member
7 : 계합 부재 8 : 보강체7: engagement member 8: reinforcement
9 : 웨이스트 부재 10 : 신축체9: waste member 10: stretch body
11 : 앞 벨트체 12 : 뒤 벨트체11: front belt body 12: rear belt body
13 : 조절구 14 : 루프13: control 14: loop
93 : 관통공 111 : 선단 접음부93: through hole 111: tip folded portion
136 : 손가락 걸음부 H : 착용자136: finger step H: wearer
S1 :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 S2 : 수납 슬라이드 파스너S1: front slide fastener S2: storage slide fastener
본 발명은, 플로팅 베스트(floating vest)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앞길과 뒷길의 이간(離間)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플로팅 베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v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vest capable of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rear road.
종래, 이러한 종류의 플로팅 베스트로는, 뒷길에 접속되고 뒷길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전방(前方)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된 하나의 벨트체와, 벨트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구와, 벨트체를 접어 겹치는 틀체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벨트체를 틀체에 관통하여 접어 겹치고, 접어 겹친 벨트체의 선단부(先端部)를 조절구에 접속하여, 조절구를 전후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벨트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Conventionally, as this type of floating vest, one belt body connected to the rear road and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road toward the front, an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elt body, and a frame body which folds the belt body overlap It is known to have a. This is because the belt body penetrates and overlaps the frame body, and the front end of the folded belt body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echanism, and the length of the belt body is adjusted by operating the control mechanism back and forth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between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Can be adjusted.
이와 같은 플로팅 베스트는, 벨트체의 길이를 짧게 하여 조일 때에는, 조절구를 후방(後方)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플로팅 베스트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조절구를 착용자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하지 않으면 안 되어, 조임 작업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낚시꾼 등은, 일단 플로팅 베스트를 벗은 상태에서 이간 거리를 조절하고, 또한, 조절을 해제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플로팅 베스트를 벗은 상태에서 작업하던 것이 현상(現狀)이다.Such a floating vest must be operated to move the adjusting mechanism rearward when the belt body is shortened and tightened.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floating vest is worn, the adjustment mechanism must be operated to move to the rear of the wearer, so that it is impossible to perform the tightening operation. Therefore, it is a phenomenon that anglers, etc.,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once the floating vest is taken off, and work when the floating vest is taken off similarly when releasing the adjustment.
그래서 출원인은, 조임 작업을 개선하는 일안으로서,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로팅 베스트를 생각하여, 이미 제안하였다.Accordingly, the applicant has already proposed the floating best described in
즉, 당해 베스트는, 앞길에 접속되고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된 앞 벨트체와, 뒷길에 접속되고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된 뒤 벨트체를 구비하고, 뒤 벨트체의 선단부에는, 앞 벨트체를 관통하여 접어 겹치는 조절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의 경우, 조절구에 관통하여 접어 겹친 앞 벨트체를 전방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vest includes a front belt body connected to the front road and extended toward the rear, and a rear belt body connected to the rear road and extended toward the front, and the front belt body passes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rear belt body. Fold the overlapping control is installed. In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rear road by pulling forward the front belt body, which is folded through the control opening and overlapped.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011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20110
그렇지만, 상기의 플로팅 베스트에 있어서는, 조절구가 뒷길의 내측(內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간 거리를 조절하려고 하여도, 착용자는, 팔을 전방으로부터 등 부근까지 돌리지 않으면 안 되어, 숭고한 플로팅 베스트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실질상 이간 거리를 조절하는 작업이 지극히 곤란하였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floating vest, since the adjustment tool is located inside the rear road, the wearer must turn the arm from the front to the vicinity of the back even when trying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in a worn state. In the state of wearing the sublime floating vest, it was extremely difficult to actually control the separation distance.
따라서, 실제는, 착용한 상태에서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플로팅 베스트를 벗은 상태에서 이간 거리를 조절하고, 또한, 조절을 해제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플로팅 베스트를 벗은 상태에서 작업하던 것이 현상이다.Therefore, in practice, instead of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rear road while wea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loating vest is removed once, and when the release is released, the floating vest is similarly removed. It is a phenomenon.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져, 착용한 상태에서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이즈 조절이 용이해지는 플로팅 베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henomen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ating vest which can be easily adjusted in size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rear road in a worn stat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에 관련되는 플로팅 베스트는, 앞길에 접속되고 뒷길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된 앞 벨트체와, 뒷길에 접속되고 앞길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과 함께 선단부에 앞 벨 트체를 관통하여 앞 벨트체를 전방으로 접어 겹치기 위한 조절구가 설치된 뒤 벨트체를 구비하고, 접어 겹친 앞 벨트체를 당기는 것에 의하여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플로팅 베스트에 있어서, 조절구는 앞길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so that the said subject may be solved, The floating ves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front belt body connected to the front road and extended toward the back road, and connected to the back road and extended toward the front road, In the floating vest which can control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roads by adjusting the front belt body through the front belt body, and having the belt body installed on the front belt body. In this case, the adjus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side the front road.
당해 구성의 플로팅 베스트에 있어서는, 조절구는, 착용자 자신의 전측(前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줄이는 경우에는, 착용자는, 착용자 자신의 전측(앞길의 내측)에 있어서, 조절구에 앞 벨트체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접어 겹칠 수 있다. 그리고 접어 겹친 앞 벨트체의 선단부를 파지(把持)하여 전방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앞뒤 양 벨트체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접어 겹친 부분이 서서히 길어진다. 그것에 따라서,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는 서서히 줄어들고, 앞뒤 양 길은 착용자에 밀착하여 조인 상태로 된다.In the floating vest of the said structure, a regulator is located in front of the wearer himself. Therefore, when reduc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a front road and a back road, a wearer can fold forward and penetrate forward by a front belt body to a control opening in the front side (inside of a front road) of a wearer. Then, by holding the front end of the folded front belt body and pulling it forward, tensile force acts on both front and rear belt bodies, and the overlapped portion is gradually lengthened. As a resul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rear road is gradually reduced, and both front and rear road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
또한,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넓히는 경우에는, 착용자는, 착용자 자신의 전측(앞길의 내측)에 있어서, 조절구에 손가락을 걸어 앞 벨트체의 접어 겹친 부분이 서서히 짧아지도록, 조절구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앞 벨트체의 접어 겹친 부분이 서서히 짧아지면, 앞뒤 양 벨트체에 작용하고 있는 인장력이 서서히 완화되고,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는 서서히 넓어져, 앞뒤 양 길의 조임 상태가 해제된다.In addition, when widen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the wearer operates the control mechanism so that the folded portion of the front belt body is gradually shortened by putting a finger on the control mechanism on the front side of the wearer (inside of the front body). can do. When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front belt body is gradually shortened, the tension force acting on both the front and rear belt bodies is gradually relaxed,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roads is gradually widened, and the tightening state of the front and rear roads is released.
이와 같이, 착용자는, 착용자 자신의 전측에 있어서,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거나 조임을 해제하거나 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wearer can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rear road or release the tightening on the front side of the wearer.
특히, 앞길과 뒷길은, 좌우 양 단부가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waist) 부재에 의하여 접속되고, 뒤 벨트체는, 웨이스트 부재를 통하여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length and the rear length are connected by a waste member that is capable of stretching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and the rear belt body extends through the waste member.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연장되어 설치된 뒤 벨트체는 웨이스트 부재에 지지되기 때문에, 뒤 벨트체를 휘지 않고 곧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간 거리가 줄어들 때 혹은 넓어질 때에는 웨이스트 부재가 신축하는 것이지만, 뒤 벨트체가 웨이스트 부재에 통하여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 부재는 뒤 벨트체를 따라서 신축한다. 따라서, 부드럽게 이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belt body is extended and provided to be supported by the waste member, the rear belt body can be kept straight without being bent. In addition,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is shortened or widened, the waste member expands and contracts. However, since the rear belt body passes through the waste member, the waste member expands and contracts along the rear belt body. Therefore, the separation distance can be adjusted smoothly.
나아가, 조절구는 앞길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로팅 베스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줄여 가면, 조절구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앞길의 전측으로 이동하지만, 조절구를 앞길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면, 이간 거리가 줄어들어 조절구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앞길의 전측으로 이동하여도, 조절구는 앞길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줄여 조인 상태로 하여도, 조절구가 낚시 등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Furthermore, the adjuster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approximately center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ont road, 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rear road is reduced while the floating vest is worn, the position of the control moves relatively to the front side of the front road, If the adjusting tool is disposed at a position approximately center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ont road, the separation distance is reduced so that the adjusting device is located inside the front road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adjusting device moves relatively to the front side of the front road. Therefor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back road is reduced to be in a tightened state, the adjusting mechanism does not interfere with fishing or the like.
또한 나아가, 뒤 벨트체에는, 조절구의 후측(後側)에, 앞 벨트체의 선단부를 유지 가능한 유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줄여 조인 상태로 한 후, 앞 벨트체의 접어 겹친 부분을, 조절구를 덮도록 한층 더 접어 겹치고, 그 선단부를 유지 수단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구를 앞 벨트체로 덮을 수 있다. 따라서, 플로팅 베스트 착용 시에, 조절구가 착용자에게 직접 닿아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착용 중에 조절구가 걸려 부주의하게 해제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belt body is provided with the holding means which can hold | maintain the front-end | tip part of a front belt body in the rear side of an adjustment tool, after reducing the clearance distance between a front road and a back road, and tightening it, The fold can be covered with the front belt by folding the fold-over portion of the belt body further so as to cover the throttle and holding the tip portion by the holding means. Therefore, when the floating vest is wor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justing tool from directly touching the wearer, so that it can be safely wor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rol mechanism from being caught and inadvertently released during wearing.
또한, 조절구에는, 손가락 걸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임을 해제할 때에, 착용자는, 손가락 걸음부에 손가락을 걸어 해제 작업을 할 수 있어,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inger step part is formed in the adjustment tool. When releasing the tightening, the wearer can engage the finger part with the finger step part to perform the release operation, and thus can perform the release operation easily.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플로팅 베스트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xample of the floating bes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도 1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로팅 베스트(1)가 도시되어 있다. 당해 플로팅 베스트(1)는, 좌우 한 쌍의 앞길(2)과, 좌우 각각의 앞길(2)과 연결된 뒷길(3)과, 좌우 각각의 앞길(2)에 접속된 좌우 한 쌍의 앞 벨트체(11)와, 뒷길(3)에 접속된 뒤 벨트체(12)를 구비한다.In Fig. 1, the
앞길(2) 및 뒷길(3)은, 예를 들면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포(內布, 4)와 외포(外布, 5)가 적절하게 봉착(縫着)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내포(4)와 외포(5)로 구성되는 내부 영역에, 예를 들면 우레탄 발포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력 부재(6)가 수납되어 있다. 덧붙여, 앞길(2) 및 뒷길(3)에는, 내포(4) 혹은 외포(5)에 적절하게 포켓(X)이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낚시줄 등의 소품을 적절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좌우의 앞길(2)은, 착용자(H)의 전면(前面) 측(복부 측)의 우측 혹은 좌측 절반을 덮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고, 전면 측의 맞댐부(21)에서 서로 계탈(係脫)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각 앞길(2)의 맞댐부(21, 전면 측의 단부)에는,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lide fastener)(S1) 등의 개폐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앞길(2)의 내측에는, 부력 부재(6)를 넣고 꺼내기 위한 수납구(22)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납구(22)는, 앞길(2)의 내포에 개구부(開口部)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고,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로부터 둘레 방향(측면 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를 따르도록 앞길(2)의 하단부(下端部)로부터 상단부(上端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수납구(22)에는, 수납 슬라이드 파스너(S2)가 설치되어 있고,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또한, 앞길(2)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는, 도시하지 않는 허벅다리 벨트를 계합(係合)하기 위한 계합 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합 부재(7)는, 내포(4)와 앞길(2)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체(8)에 의하여 끼워진 상태로 꿰매어져 있다. 여기서, 보강체(8)는, 앞길(2)의 측단 가장자리(23)로부터 수납 슬라이드 파스너(S2)와 내포(4)의 경계(24)에 걸쳐 연장되는 띠상체이고,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의 하단보다 상방(上方) 측에서 내포(4)에 꿰매어져 있다.Moreover, the engaging
뒷길(3)은, 착용자(H)의 후면(後面) 측(등부 측) 전역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뒷길(3)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는, 허벅다리 벨트를 계합하기 위한 계합 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합 부재(7)는, 내포(4)와 뒤 벨트체(12)에 의하여 끼워진 상태로 꿰매어져 있다.The
앞길(2)과 뒷길(3)은, 착용자(H)의 어깨부에 대응하는 부분(상단부(25, 31)) 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나아가, 착용자(H)의 옆구리부에 대응하는 부분(좌우 양 단부(26, 32))이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부재(9)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앞길(2)과 뒷길(3)은, 좌우 양 단부(26, 32)가 이간하고 있고, 웨이스트 부재(9)가 신축하는 것에 의하여, 이 이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여기서, 웨이스트 부재(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포(91)와 외포(92)로 구성되어 있고, 내포(91)의 외주부(外周部)와 외포(92)의 외주부가 봉착되는 것에 의하여 주머니상으로 되어 있고, 적어도 둘레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웨이스트 부재(9)는, 그 좌우 양측 단부에 한 쌍의 관통공(93)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포(91)의 상하 단부와 외포(92)의 상하 단부는, 각각 대략 전역에 걸쳐 봉착되어 있다. 한편, 내포(91)의 좌우 양측 단부와 외포(92)의 좌우 양측 단부는, 소정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각각 봉착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 영역이란, 웨이스트 부재(9)의 내부 영역과 외부를 연통(連通)하는 개구이며, 이 개구가 관통공(93)으로 되어 있다. 관통공(93)은, 웨이스트 부재(9)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보다 약간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93)은, 그 상단이 보강체(8)의 상단 가장자리(81)와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Here, as shown in FIG. 2, the
또한, 웨이스트 부재(9)의 내부 영역에는, 상하 한 쌍의 신축체(10)가 수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축체(10)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며, 웨이스트 부재(9)의 둘레 방향 대략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띠상체이다. 신축체(10)는, 관통공(93)의 상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내포(91)와 외포 (92)의 양방(兩方)에 봉착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upper and
앞 벨트체(11)는, 좌우의 앞길(2)에 각각 한 쌍 설치되고, 앞길(2)에 접속되어 뒷길(3)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 벨트체(11)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체이며, 그 길이는 보강체(8)의 길이보다도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덧붙여, 앞 벨트체(11)의 폭은, 보강체(8)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앞 벨트체(11)의 선단부에는, 접어 겹쳐져 꿰매어진 선단 접음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봉착 위치(Y1)는, 선단 접음부(111)의 대략 중앙의 위치이다.The pair of
앞 벨트체(11)는, 그 기단부(基端部, 112)가 앞길(2)의 내포(4)에 봉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 벨트체(11)는, 그 기단부(112)가 수납 슬라이드 파스너(S2)와 앞길(2)의 내포(4)의 경계(24)에 봉착되고, 거기에서부터 둘레 방향(앞길(2)의 측단부(26)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앞 벨트체(11)의 기단부(11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슬라이드 파스너(S2)와 앞길(2)의 내포(4)의 경계(24)에 봉착되어 있고, 내포(4)를 전후로 끼우도록 앞길(2)의 내부 영역에 접어 겹쳐져 봉착되며, 접어 겹친 부분에 수납 슬라이드 파스너(S2)가 봉착되어 있다. 여기서, 앞 벨트체(11)의 길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체(8)의 길이보다도 약간 짧은 길이이지만, 바꾸어 말하면, 후술과 같이, 앞뒤 벨트체(11, 12)를 조인 상태에서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나아가, 앞 벨트체(11) 자신의 강성에 의하여 휘지 않고 곧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As for the
앞 벨트체(11)는,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의 하단보다도 상방 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 벨트체(11)는, 그 상단 가장자리(113)가 보강체(8)의 상단 가장자리(81)와 대략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앞 벨트체(11)의 기단부(112)의 접어 겹친 부분에는, 앞길(2)의 내포(4)뿐만 아니라 보강체(8)의 전단부(82)도 끼워져 있고, 앞 벨트체(11)의 기단부(112)에서 내포(4)와 보강체(8)의 전단부(82)를 겹쳐 끼운 상태로 봉착 위치(Y2)에서 봉착되어 있다.The
뒤 벨트체(1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길(3)에 접속되어 앞길(2)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뒤 벨트체(12)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뒤 벨트체(12)의 길이는, 뒷길(3)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덧붙여, 뒤 벨트체(12)의 폭은, 앞 벨트체(11)의 폭과 대략 같은 폭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뒤 벨트체(12)는, 뒷길(3)과 웨이스트 부재(9)의 경계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웨이스트 부재(9)를 통하여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뒤 벨트체(12)는, 뒷길(3)을 둘레 방향으로 횡단하여, 뒷길(3)과 웨이스트 부재(9)의 경계로 되는 뒷길(3)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33)로부터 각각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뒤 벨트체(12) 중 뒷길(3)의 일단 가장자리(33)로부터 타단 가장자리(33)에 걸치는 부분이 내포(4)에 봉착되고, 좌우 양단 가장자리(33)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부분이 각각 웨이스트 부재(9)의 관통공(93)을 통하여 웨이스트 부재(9)의 내부 영역을 통과하여, 선단부(121)가 앞길(2)의 둘레 방향 중앙 부근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뒤 벨트체(12)의 상하 방향의 설치 위치는, 앞 벨트체(11)의 상하 방향의 설 치 위치와 거의 동일하고,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의 하단보다도 상방 측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뒤 벨트체(12) 중 뒷길(3)의 일단 가장자리(33)로부터 타단 가장자리(33)에 걸치는 부분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는, 허벅다리 벨트를 계합하기 위한 계합 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합 부재(7)는, 뒤 벨트체(12)와 뒷길(3)의 내포(4) 사이에 끼워져 봉착되어 있다.The
또한, 뒤 벨트체(12)의 양 단부(121)에는, 앞 벨트체(11)를 관통하여 앞 벨트체(11)를 전방으로 접어 겹치기 위한 조절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구(13)는, 예를 들면 경질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틀체이며, 틀 내를 칸막이하는 제1 칸막이부(131)와 제2 칸막이부(132)가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조절구(13)의 틀 내는, 제1 칸막이부(131) 및 제2 칸막이부(132)에 의하여, 제1 틀 내(133), 제2 틀 내(134), 및 제3 틀 내(135)의 3개의 틀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조절구(13)에는, 그 선단부가 융기한 손가락 걸음부(136)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djusting
조절구(13)는, 뒤 벨트체(12)의 뒷길(3)과 웨이스트 부재(9)의 경계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부분의 선단부(121)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절구(13)는, 뒤 벨트체(12)의 선단부(121)를, 제1 틀 내(133)와 제2 틀 내(134)를 통하여 접어 겹친 환상부(環狀部)에 제1 칸막이부(131)가 걸리는 것에 의하여, 뒤 벨트체(12)의 선단부(121)에 장착되어 있다.The adjusting
상술과 같이, 뒤 벨트체(12)는, 선단부(121)가 앞길(2)의 둘레 방향 중앙 부근에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구(13)는, 앞길(2)의 내측, 즉, 착용자(H)와 앞길(2)의 사이에 배치되고, 나아가, 앞길(2)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 치된다.As mentioned above, since the
또한, 뒤 벨트체(12)에는, 조절구(13)의 후측에, 앞 벨트체(11)의 선단 접음부(111)를 유지 가능한 유지 수단으로서, 뒤 벨트체(12)의 폭 방향으로 권회(卷回)한 루프(loop, 14)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루프(14)는, 뒤 벨트체(12)의 긴쪽 방향으로 관통 가능한 환상체이며, 띠상체를 권회하여 형성되고, 띠상체의 양 단부를 뒤 벨트체(12)에 봉착하는 것에 의하여 뒤 벨트체(12)에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플로팅 베스트(1)에 있어서는, 뒤 벨트체(12)는, 뒷길(3)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33)로부터 앞길(2)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선단부(121)에 장착되어 있는 조절구(13)가 앞길(2)의 내측에서 앞길(2)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플로팅 베스트(1)를 착용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절구(13)가 착용자(H)의 전측, 구체적으로는, 착용자(H)의 배 측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앞길(2)과 뒷길(3)의 이간 거리를 줄이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자(H)는, 착용자(H) 자신의 배 측에 있어서, 조절구(13)의 제2 틀 내(134) 및 제3 틀 내(135)에 앞 벨트체(11)를 관통하여, 제2 칸막이부(132)를 기점으로 전방으로 접어 겹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앞 벨트체(11)는, 그 자신의 강성에 의하여 조절구(13)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자세로 되어 있다.In the floating
따라서, 수평 자세의 앞 벨트체(11)의 선단 접음부(111)에 손가락을 걸도록 하여, 앞 벨트체(11)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앞뒤 양 벨트체(11, 12)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접어 겹친 부분이 서서히 길어진다. 그것에 따라 서, 앞길(2)과 뒷길(3)의 이간 거리는 서서히 줄어들어, 바꾸어 말하면, 웨이스트 부재(9)가 둘레 방향으로 줄어들어, 앞뒤 양 길(2, 3)은 착용자(H)에 밀착하여 조임 상태로 된다.Therefore, the
또한, 앞길(2)과 뒷길(3)의 이간 거리를 넓히는 경우에는, 착용자(H)는, 착용자(H) 자신의 배 측에 있어서, 조절구(13)의 선단부의 손가락 걸음부(136)에 손가락을 걸어 앞 벨트체(11)의 접어 겹친 부분이 서서히 짧아지도록, 조절구(13)를 일으켜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그리고 앞 벨트체(11)의 접어 겹친 부분이 서서히 짧아지면, 앞뒤 양 벨트체(11, 12)에 작용하고 있는 인장력이 서서히 완화되고, 앞길(2)과 뒷길(3)의 이간 거리는 서서히 넓어져(웨이스트 부재(9)가 서서히 연장되어), 앞뒤 양 길(2, 3)의 조임 상태가 해제된다.When the folded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착용자(H)는, 착용자(H) 자신의 배 측에 있어서, 앞길(2)과 뒷길(3)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거나 조임 상태를 해제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한 상태에서, 앞길(2)과 뒷길(3)의 이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wearer H can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또한, 뒷길(3)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33)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부분이 각각 웨이스트 부재(9)의 관통공(93)을 통하여 웨이스트 부재(9)의 내부 영역을 통과하여 앞길(2)의 둘레 방향 중앙 부근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뒤 벨트체(12)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33)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부분은, 웨이스트 부재(9)에 지지되어, 휘지 않고 곧은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간 거리가 줄어들 때 혹은 넓어질 때, 웨이스트 부재(9)가 뒤 벨트체(12)를 따라서 신축한다. 따라서, 부드 럽게 이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나아가, 앞길(2)과 뒷길(3)의 이간 거리를 줄이려고 앞 벨트체(11)를 전방으로 당기면, 앞 벨트체(11)의 접어 겹친 부분이 서서히 길어지는 것과 함께, 조절구(13)의 위치가 앞길(2)의 전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조절구(13)는 앞길(2)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간 거리가 줄어들어 조절구(13)의 위치가 전측으로 이동하여도, 조절구(13)는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보다 전측으로는 나오는 일 없이, 앞길(2)과 착용자(H)의 사이에 들어간다. 따라서, 앞길(2)과 뒷길(3)의 이간 거리를 줄여 조임 상태로 하여도, 조절구(13)가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의 개폐 작업이나 낚시 등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Further, when the
또한 나아가, 앞 벨트체(11)의 선단부에는, 중앙 위치가 봉착된 선단 접음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앞 벨트체(11)를 전방으로 당길 때에, 선단 접음부(111)에 손가락을 걸면, 봉착 위치(Y1)보다 후측의 부분이 일어나 손가락에 밀착하기 때문에, 확실히 앞 벨트체(11)를 전방으로 당길 수 있다. 또한, 부주의하게 조임 상태가 해제하였다고 하여도, 선단 접음부(111)의 봉착 위치(Y1)보다 후측의 부분이 조절구(13)에 걸리기 때문에, 앞 벨트체(11)가 제3 틀 내(135)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또한, 앞 벨트체(11)의 기단부(112)는, 앞길(2)의 내포(4)와 보강체(8)의 전단부(82)를 겹쳐 끼운 상태로 되도록 접어 겹쳐져 봉착되어 있다. 즉, 앞 벨트체(11)의 기단부(112)는, 두껍고 강고하게 봉착되어 있다. 따라서, 앞 벨트체(11)에 인장력이 작용하여도, 기단부(112)의 봉착 상태는 유지되고, 부주의하게 앞 벨트체 (11)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나아가, 앞뒤 벨트체는, 모두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의 하단보다 상방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앞 벨트체(11)의 길이는,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게다가, 앞 벨트체(11) 자신의 강성에 의하여 휘지 않고 곧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의 하단부를 계합한 상태에서, 전면 슬라이드 파스너(S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있는 앞 벨트체(11)를 당겨, 이간 거리의 조절을 행할 수 있어, 보다 한층 정확한 조절을 할 수 있다.Further, both the front and rear belt bodies are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front slide fastener S1.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또한 나아가, 뒤 벨트체(12)에는, 루프(14)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길(2)과 뒷길(3)의 이간 거리를 줄여 조임 상태로 한 후, 앞 벨트체(11)의 접어 겹친 부분을, 조절구(13)를 덮도록 한층 더 접어 겹치고, 루프(14)의 환상 내를 통하여 수납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구(13)를 앞 벨트체(11)로 덮을 수 있다. 따라서, 플로팅 베스트(1) 착용 시에, 조절구(13)가 착용자(H)에 직접 닿아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착용 중에 조절구(13)가 걸려 부주의하게 조임 상태가 해제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나아가, 조절구(13)에는, 손가락 걸음부(136)가 형성되어 있고, 조임 상태를 해제할 때에, 손가락 걸음부(136)에 손가락을 거는 것에 의하여, 한층 용이하게 해제 작업을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nger | claw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뒤 벨트체(12)의 길이가 뒷길(3)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좌우 연결된 하나의 띠상체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뒷길(3)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은 뒤 벨트체(12)를 좌우에 한 쌍 설치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although the length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뒤 벨트체(12)가 웨이스트 부재(9)의 내부 영역을 통하여 앞길(2)까지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웨이스트 부재(9)의 외포의 외측(外側)을 통한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단, 뒤 벨트체(12)를 웨이스트 부재(9)의 내부 영역을 통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낚시 바늘 등이 뒤 벨트체(1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뒤 벨트체(12)가 바위 등에 스치거나 해수 등에 젖거나 하여 마모나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스트 부재(9)를 한 장 구성으로 하여, 그 외측 혹은 내측을 뒤 벨트체(12)가 통과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그때에는, 웨이스트 부재(9)의 외면 혹은 내면에 벨과 안내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구(13)는, 틀 내가 3분할 된 틀체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분할되어 있지 않은 링상의 틀체를 두 개 설치하여 조절구(13)로 하여도 무방하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justing
또한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구(13)가 앞길(2)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앞길(2)과 착용자(H) 사이의 영역이면 어디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단, 앞길(2)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하면, 이간 거리가 줄어들어 조절구(13)의 위치가 앞길(2)의 전측으로 이동하여도, 조절구(13)는 앞길(2)과 착용자(H)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절구(13)가 낚시 등의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플로팅 베스트에 있어서는, 조절구가 앞길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일 때에도 해제할 때에도, 착용자는,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 자신의 전측에 있어서, 조절구를 조작하여,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거나 조임을 해제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앞길과 뒷길의 이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loating v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djuster is disposed inside the front road, the wearer operates the adjuster on the front side of the wearer himself in a worn state even when the adjuster is released.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back road can be adjusted or the tension can be releas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ad and the back road can be easily adjusted.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003883 | 2006-01-11 | ||
JP2006003883A JP4820172B2 (en) | 2006-01-11 | 2006-01-11 | Floating ves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5283A KR20070075283A (en) | 2007-07-18 |
KR100773237B1 true KR100773237B1 (en) | 2007-11-02 |
Family
ID=3825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1296A KR100773237B1 (en) | 2006-01-11 | 2007-01-05 | Floating vest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820172B2 (en) |
KR (1) | KR100773237B1 (en) |
CN (1) | CN100999249B (en) |
TW (1) | TW200738515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49361B2 (en) * | 2008-11-27 | 2012-06-0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Jacket with airbag |
JP5528748B2 (en) * | 2009-09-15 | 2014-06-25 | 中山式産業株式会社 | Posture correction belt |
JP5572401B2 (en) * | 2010-01-20 | 2014-08-13 | 株式会社シマノ | Fishing jacket with buoyancy material |
JP5931532B2 (en) * | 2012-03-26 | 2016-06-08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Floating vest |
CN103653344A (en) * | 2013-12-19 | 2014-03-26 | 苏州志向纺织科研股份有限公司 | Spliced down jacke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5847Y1 (en) * | 2003-03-14 | 2003-06-11 |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 A hing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83873B2 (en) * | 1998-06-16 | 2008-04-30 | 株式会社シマノ | Fishing vest |
JP2001020110A (en) * | 1999-07-09 | 2001-01-23 | Shimano Inc | Floating vest |
JP4326125B2 (en) * | 2000-06-27 | 2009-09-02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Fishing clothes |
US6295650B1 (en) * | 2000-10-04 | 2001-10-02 | Dennis R. Baacke | Upland pack vest |
US6773318B1 (en) * | 2003-03-11 | 2004-08-10 | Lotus Designs, Inc. | Personal floatation device |
-
2006
- 2006-01-11 JP JP2006003883A patent/JP4820172B2/en active Active
-
2007
- 2007-01-04 TW TW096100358A patent/TW200738515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1-05 KR KR1020070001296A patent/KR10077323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1-10 CN CN2007100005293A patent/CN100999249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5847Y1 (en) * | 2003-03-14 | 2003-06-11 |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 A hing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186806A (en) | 2007-07-26 |
JP4820172B2 (en) | 2011-11-24 |
CN100999249A (en) | 2007-07-18 |
TW200738515A (en) | 2007-10-16 |
TWI366536B (en) | 2012-06-21 |
KR20070075283A (en) | 2007-07-18 |
CN100999249B (en) | 2011-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3237B1 (en) | Floating vest | |
KR101204618B1 (en) | Infant carrier with hood | |
US20100133794A1 (en) | Vehicle seat assembly with air bag seam rupturing means | |
CN113329654B (en) | Upper half part of the garment | |
JP4906837B2 (en) | Lead with trunk | |
JP4072179B2 (en) | Animal affected area protective fallout cover | |
JP4467514B2 (en) | Pet forefoot harness | |
JP4868985B2 (en) | girdle | |
JP4083873B2 (en) | Fishing vest | |
JP4217062B2 (en) | Life preserver | |
JP4326125B2 (en) | Fishing clothes | |
JP4262839B2 (en) | Hip guard with floating vest removal prevention tool | |
JP3097900U (en) | pants | |
JP4272950B2 (en) | Bulletproof life preserver | |
CN221128906U (en) | Clothes with a pair of elastic members | |
JP4705810B2 (en) | Life preserver | |
JP2005220462A (en) | Fishing vest | |
JP4416439B2 (en) | Floating vest | |
JP4383183B2 (en) | Easy-to-detach shoes | |
JP4226441B2 (en) | Fishing case with waist belt | |
JP2007236809A (en) | Pants with belt for correcting pelvis | |
JP2001020110A (en) | Floating vest | |
JP3126475U (en) | Tail cover | |
JP2006015817A (en) | Life preserver | |
JP2020137900A (en) | Compression tool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