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137B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137B1
KR100773137B1 KR1020050103922A KR20050103922A KR100773137B1 KR 100773137 B1 KR100773137 B1 KR 100773137B1 KR 1020050103922 A KR1020050103922 A KR 1020050103922A KR 20050103922 A KR20050103922 A KR 20050103922A KR 100773137 B1 KR100773137 B1 KR 10077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ound
speaker unit
cover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127A (ko
Inventor
배성곤
Original Assignee
배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곤 filed Critical 배성곤
Priority to KR102005010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1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외부 신호에 의하여 사용자의 귀로 향하는 전방음 및 전방음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후방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유닛, 스피커 유닛을 고정하며 외측면에 그루브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된 이어폰 몸체 및 전방음을 사용자의 귀로 가이드 및 후방음을 반사시켜 사용자의 귀로 전달하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갖는 이어폰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어폰{EAR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어폰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출력된 음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다양한 음향 기기, 예를 들면, 휴대용 카세트, MP3플레이어, 어학 학습기 등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한다.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된다.
종래 이어폰은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변경하는 스피커 유닛, 스피커 유닛을 고정하는 이어폰 몸체를 포함한다. 비록 종래 스피커 유 닛에는 스피커 유닛의 후면으로 음의 일부를 전송하는 전송부가 있지만, 스피커 유닛의 후면으로 배출된 음은 대부분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지 못하여 이어폰으로부터 발생된 음향의 품질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이어폰은 스피커 유닛의 후면으로 배출된 음이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문제점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다 풍부한 음질 및/또는 음색을 갖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을 구현하기 위한 이어폰은 외부 신호에 의하여 사용자의 귀로 향하는 전방음 및 전방음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후방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유닛, 스피커 유닛을 고정하며 외측면에 그루브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된 이어폰 몸체 및 전방음을 사용자의 귀로 가이드 및 후방음을 반사시켜 사용자의 귀로 전달하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갖는 이어폰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 유닛 및 이어폰 몸체는 후방음을 통과시키기 위한 갭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는 링 형상을 갖고, 고정홈은 고정부를 수납하기 위한 그루브 형상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어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어폰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폰(100)은 스피커 유닛(30), 이어폰 몸체(10) 및 이어폰 커버(50)를 포함한다.
스피커 유닛(30)은 회로기판(20)이 결합되는 프레임(32), 프레임(32)에 형성된 요크부(31)에 수납되는 자석(311, 도 2 참조) 및 자석(311) 주위에 배치된 코일(331, 도 2 참조), 코일(331) 전면에 부착된 진동판(22), 진동판(22)의 외측을 덮는 제 1 보호망(40) 및 제 2 보호망(4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보호망들(40, 42)은 진동판(22)의 파손 및 오염을 방지 및 스피커유닛(30)에서 발생된 음을 이어폰의 외부로 방출시킨다. 제 1 보호망(40)은 스피커유닛(30)의 전면에 결합된다. 제 1 보호망(40)은 진동판(22)과 소정거리 이격 되고, 제 1 보호망(40)에는 다수의 통공(41)이 형성되어 진동판(22)의 떨림에 의해 발생된 음을 제 1 보호망(40)의 외부로 출력한다. 제 2 보호망(42)에도 다수의 통공(4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30)으로부터 발생된 음은 스피커 유닛(30)의 전방 또는 스피커 유닛(30)의 후방으로 진행된다.
이하, 스피커 유닛(30)의 전방으로 진행하는 음을 전방음, 스피커 유닛(30)의 후방으로 진행하는 음을 후방음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후방음은 스피커 유닛 (30)의 프레임(32)에 형성된 후방음 배출공(321)을 통해 스피커 유닛(30)의 후방으로 진행된다.
이어폰 몸체(10)는 합성수지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이어폰 몸체(10)는 사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어폰 몸체(10)의 내부에는 전선(60)이 배치되고, 전선(60)의 일측 단부는 스피커 유닛(30)의 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이어폰 몸체(10) 및 스피커 유닛(30)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이어폰 몸체(10)의 내부에는 스피커 유닛(30)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편(12)들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고정편(12)들의 내측면은 스피커 유닛(30)의 요크부(31)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또한, 스피커 유닛(30) 및 이어폰 몸체(10)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크부(31)의 외주면에는 제 1 결합부(312)가 형성되고, 요크부(31)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고정편(12)의 내측면에는 제 2 결합부(12a)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결합부(312, 12a)들은 상호 결합된다.
제 1 결합부(312)는, 예를 들어, 요크부(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그루브 형상의 홈일 수 있다. 제 2 결합부(12a)는 요크부(31)의 외주면에 형성된 그루브 형상의 홈에 결합되는 돌기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1 결합부(312)는 요크부(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일 수 있고, 제 2 결합부(12a)는 요크부(31)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결합되는 홈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1 결합부는 리세스(recess)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몸체(10)의 외측면에는 후술되는 이어폰 커버(50)를 고정할 수 있는 커버 고정홈(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고정홈(14)은 그루브(groove) 형상을 갖는다.
한편, 스피커 유닛(30) 및 이어폰 몸체(1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요크부(31)에 고정된 회로기판(20)에는 고정편(12)을 향해 돌기(21)가 돌출 되고, 고정편(12)의 측면에는 돌기(21)와 결합되는 결합홈(12b)이 형성된다. 회로기판(20)의 고정편(12)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결합홈(12b)에 결합된다.
또한, 고정편(12)은 스피커 유닛(30) 및 이어폰 몸체(1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스피커 유닛(30)의 후방음 배출공(321)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32) 하면과 이어폰 몸체(10)의 하우징 상면을 상호 이격 시켜 갭을 형성함으로써 후방음이 원활하게 이어폰의 전면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갭은 약 0.5mm 내지 약 1.5mm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mm 정도이다.
이어폰 커버(50)는 스피커유닛(30)을 감싼다. 이어폰 커버(50)는 후면으로 배출되는 후방음을 이어폰 몸체(10)의 전면으로 가이드 및 사용자의 귀에 딱딱한 스피커 유닛(30)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부드럽고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이어폰 커버(50)는 고탄력성 및 고인장력을 갖는 고무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과 같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이어폰 커버(50)는 살균력이 우수한 나노 사이즈의 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커버(50)가 나노 사이즈를 갖는 은(silver)을 포함할 경우, 사용자의 귀와 접촉된 이어폰 커버에 부착된 병원균 또는 세균은 살균되어 이어폰 커버(50)가 병원균 또는 세균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이어폰 커버(50)는 토르말린 광석 가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토르말린에 약 100℃ 정도의 열을 가할 경우, 토르말린은 주변의 먼지를 끌어 들이는 초전기성(Pyroelectricity) 특성을 갖는다. 또한, 토르말린에 압력을 가할 경우, 압전기성(Piezoelectricity)이 발생된다.
이와 다르게, 이어폰 커버(50)는 상기 나노 사이즈의 은 및 상기 토르말린 광석 가루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어폰 커버(50)는 고정링(54)에 의하여 형성된 제1 개구부(51), 제 1 개구부(51)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어 스피커 유닛(30)의 대부분을 수납하는 커버몸체(52) 및 커버 몸체(52)의 상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개구부(53)를 포함한다.
커버 몸체(52)의 고정링(54)은 제 1 개구부(51)에 형성된다. 고정링(54)은 이어폰 몸체(1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이어폰 몸체(10)의 커버 고정홈(14)에 이어폰 커버(50)의 고정링(54)이 결합될 경우, 이어폰 유닛(30)의 후면으로 배출된 음을 이어폰 유닛(30)의 전면으로 제공하여 이어폰 유닛(30)으로부터 발생된 음량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몸체(10)의 커버 고정홈(14)에 이어폰 커버(50)의 고정링(54)이 결합될 경우, 이어폰 몸체(10)의 후면으로 제공된 음의 순환 및 공명을 보다 향상시켜 음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몸체(10)의 커버 고정홈(14)에 이어폰 커버(50)의 고정링(54)이 결합될 경우, 이어폰 몸체(10)의 후면으로 제공된 음이 이어폰 커버(50)의 내측면을 따라 이어폰 몸체(10)의 상부로 제공되어 음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몸체(10)의 커버 고정홈(14)에 이어폰 커버(50)의 고정링(54)이 결합될 경우, 이어폰 커버(50)의 내부에 형성된 요철 등에 의하여 음의 순환 및 공명 현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몸체(10)의 커버 고정홈(14)에 이어폰 커버(50)의 고정링(54)이 결합될 경우, 스피커 유닛(30)의 하부면 및 이어폼 몸체(10)의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해 음이 스피커 유닛(30)의 전면으로 순환 및 공명되어 음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몸체(10)의 커버 고정홈(14)에 이어폰 커버(50)의 고정링(54)이 결합될 경우, 고음 영역의 음의 왜곡을 감소시키고, 입체적인 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할 수 잇다.
또한, 이어폰 몸체(10)의 커버 고정홈(14)에 이어폰 커버(50)의 고정링(54)이 결합될 경우, 이어폰 몸체(10) 및 이어폰 커버(50)의 결합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고, 스피커 유닛(3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몸체(10)의 커버 고정홈(14)에 이어폰 커버(50)의 고정링(54)이 결합될 경우, 이어폰 커버(50) 및 사용자의 귀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착용감을 증가시킨다.
커버몸체(52)는 제 1 개구부(51)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면서 스피커유닛(30)을 감싸고, 스피커 유닛(30)으로부터 발생된 후방음이 스피커 유닛(30)의 전면으로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커버 몸체(52)의 내측면 및 스피커 유닛(30)의 외측면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다. 스피커 유닛(30)의 후면으로 배출된 후방음은 커버몸체(52)의 내측 공간에서 반사되는 도중 음이 울려지는 공명효과를 발생시켜 더욱 향상된 고음질의 음성이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된다.
제 2 개구부(53)는 제 1 개구부(51)와 마주보도록 링 형상으로 배치되며, 제 2 개구부(53)는 스피커 유닛(30)을 통해 배출되는 음 및 스피커유닛(30)의 후방으로 출력되어 커버몸체(52)를 따라서 되돌아 나온 음을 이어폰의 외부로 출력한다.
커버몸체(52)는 후방음 배출공(321)으로 배출된 음을 스피커 유닛(30)의 전방으로 가이드 함으로써 이어폰몸체(10)의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음의 손실을 방지 및 이어폰에서 발생된 음이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몸체(52) 및 제 2 개구부(53)는 스피커유닛(30)의 프레임(32)의 외측면과 소정거리 이격 되도록 배치되어, 고탄력성 커버몸체(52)는 사용자의 귀에 부드럽고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다.
한편, 커버 몸체(52)의 내측면에는 음의 공명 현상, 음의 순환 및 음을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해 다양한 처리를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몸체(52)의 내측면에는 나선 형상으로 복수개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융기부(52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커버 몸체(52)의 내측면에는 음의 공명 현상, 음의 순환 및 음을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해 금형 제작시 금형의 부식 가공 등을 통해 미세한 요철(52b)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요철(52b)은 바람직하게, 돌기 또는 리세스(recess), 돌기 및 리세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라운드부(55)를 더 포함한다. 라운드부(55)는 제 2 개구부(53)의 내측 끝단이 커버 몸체(52)의 내측으로 원형으로 말려 들어가 형성된다.
라운드부(55)는 상술한 후방음 배출공(321)을 통해 스피커유닛(30)의 후방으로 배출된 음이 커버몸체(52)를 따라 흐르다가 라운드부(55)의 내측에서 공명되면서 더욱 풍부한 음색을 만들어 내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 2 개구부(53)가 커버 몸체(52)와 제 1 보호망(40) 사이의 공간으로 말려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음성이 공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더불어 제 2 개구부(53)는 라운드부(55)가 형성된 상태에서도 스피커유닛(30)과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커버(50)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귀 모양에 따라 이어폰 커버(50)의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스피커 유닛(30)과의 이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어폰 커버의 고정링을 이어폰 몸체에 형성된 커버 고정홈에 결합시켜 스피커 유닛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음을 스피커 유닛의 전면으로 순환, 배출시킴으로써 음질을 보다 향상 및 이어폰 착용 시 부드러운 착용감을 유지하여 이어폰의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귓속의 통증 과 피부질환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이어폰을 사용하여 음악과 어학 등의 음성신호를 청취할 때 주위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더욱 더 선명하고 풍부한 음질과 음색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3)

  1. 외부 신호에 의하여 사용자의 귀로 향하는 전방음 및 상기 전방음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후방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유닛;
    상기 스피커 유닛을 고정하며 외측면에 그루브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된 이어폰 몸체; 및
    상기 전방음을 상기 사용자의 귀로 가이드 및 상기 후방음을 반사시켜 상기 사용자의 귀로 전달하며,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제1 개구부, 출력된 음을 사용자의 귀로 전달하기 위한 제2 개구부 및 상기 스피커 유닛의 외측면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리세스 형상의 홈이 형성된 커버 몸체를 갖는 이어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개구부의 하단에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후방음이 상기 이어폰 몸체 내부에서의 공명 작용 및 순환 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 및 상기 이어폰 몸체는 상기 후방음을 통과시키기 위한 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 삭제
KR1020050103922A 2005-11-01 2005-11-01 이어폰 KR10077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922A KR100773137B1 (ko) 2005-11-01 2005-11-01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922A KR100773137B1 (ko) 2005-11-01 2005-11-01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127A KR20070047127A (ko) 2007-05-04
KR100773137B1 true KR100773137B1 (ko) 2007-11-02

Family

ID=3827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922A KR100773137B1 (ko) 2005-11-01 2005-11-01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880B1 (ko) * 2018-04-17 2019-03-12 부전전자 주식회사 고역 필터를 구비한 이어폰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909A (ko) *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셀을 이용한 부팅 전압 검출 회로 및 이를 이용한메모리의 동작 전압 공급 회로
KR20030000685A (ko) * 2001-06-26 2003-01-0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온수 재순환 회로를 이용한 고효율 히트펌프 온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685A (ko) * 2001-06-26 2003-01-0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온수 재순환 회로를 이용한 고효율 히트펌프 온수기
KR20030000909A (ko) *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셀을 이용한 부팅 전압 검출 회로 및 이를 이용한메모리의 동작 전압 공급 회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685140000
200390996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127A (ko) 200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2164B2 (ja) 音響出力装置
US8139806B2 (en) Earphone for placement in an ear
JP5473640B2 (ja) スピーカー装置
US7925038B2 (en) Earset assembly
JP4401396B2 (ja) 音出力装置
US20090052711A1 (en) Earpiece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7020398B2 (ja) ウェアラブル装置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KR102287938B1 (ko) 헤드셋의 마이크 장착 구조
JP2012244350A (ja) カナル型イヤホン
JP7262850B2 (ja) 乳様突起及び耳介を同時に刺激する耳鳴り治療専用の骨伝導ヘッドセット
JP2007189673A (ja) 着用式導音装置
KR20110031604A (ko) 골전도(骨傳導) 뮤직 칫솔
JPWO2017149915A1 (ja) 音響出力装置
JP2008270879A (ja) 受話装置
JPWO2009107578A1 (ja) 音響装置
KR101897669B1 (ko) 이어폰용 일체형 스피커 장치
KR20140068629A (ko) 무통증 이어폰
KR100807787B1 (ko) 진동 스피커가 구비된 산모용 복대
KR100773137B1 (ko) 이어폰
JP6421360B2 (ja) インナーイヤホン
KR20110010033A (ko) 골전도(骨傳導) 이어폰
JP6835093B2 (ja) 耳栓およびイヤーセット
KR20160032642A (ko) 체감진동형 복합 음향리시버
JP2013115799A (ja) 耳掛け型補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