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880B1 -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사운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사운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880B1
KR100772880B1 KR1020060046755A KR20060046755A KR100772880B1 KR 100772880 B1 KR100772880 B1 KR 100772880B1 KR 1020060046755 A KR1020060046755 A KR 1020060046755A KR 20060046755 A KR20060046755 A KR 20060046755A KR 100772880 B1 KR100772880 B1 KR 100772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value
external noise
media player
portable media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구키란팔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는 외부 노이즈를 감지하는 센서부, 감지된 상기 외부 노이즈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를 포함하며 재생되는 사운드를 합산하여 이를 기초로 소정의 동작을 하는 제어부, 상기 합산된 볼륨값이 과도한 경우에 이를 경고하는 경고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가 포함된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외부 노이즈, 사운드, 센서부, 제어부, 출력부, 경고부, 컨버터, 스토리지, TPM(Trusted platform module), 히스토리, 볼륨값

Description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 사운드 관리 방법{Portable media player and sound managing method using the information of ambient noises}
도 1은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히스토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스토리지에 볼륨값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볼륨값이 과도한 경우 경고하고 볼륨 레벨을 증대시키는 조작을 제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센서부 20: 제어부
30: 출력부 40: 경보부
201: 컨버터 202: 스토리지
203: TPM
본 발명은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의 외부 노이즈와 재생되는 사운드의 볼륨값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 외부 노이즈 센서부를 설치하여 외부 노이즈 볼륨값을 측정하고, 이를 재생되는 사운드 볼륨값과 합산하여 과도한 경우 이를 경고하고 사운드 볼륨 레벨을 증대시키는 조작을 허용하지 않으며, 이렇게 얻어진 정보의 히스토리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수준의 시끄러운 소음이나 음악을 일정 시간 이상 듣게 되면 청각의 손실을 초래한다. 영국의 RNID(the Royal National Institute of Deaf)의 조사결과 많은 사람들이 오랜 기간 동안 청각의 손실이 올 정도의 볼륨으로 음악을 듣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볼륨값을 나타나는 단위로서 데시벨(decibel)이 사용되는데, 이는 줄여서 dB, db, 또는 DB 등으로 표기하며, 이는 소리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보편적인 단위이다. 소리에서, 두 소리 레벨의 차이는 그들의 출력레벨비 상용대수의 10배이다. 소리에서 데시벨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점을 0 dB로 하여 척도를 정한 것으로, 점점 위로 올라가 85 dB 정도가 되면 청각에 해로운 정도가 되며, 120dB이 되면 위험하고 150dB가 되면 인체에 물리적인 피해를 미치게 된다.
다음의 표는 미국 노동부가 제시한 특정한 볼륨값에서 인체에 안전한 노출 시간을 나타낸 표이다.
볼륨값(dB) 노출 시간 예 시
85 8시간 진공청소기
90 2시간 트럭엔진
100 15분 경찰사이렌
110 2분 콘서트/락그룹
115 30초 전기톱
130 고통을 느끼는 순간 10미터 전방의 기차소리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를 작동시키는 동안에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와 외부 노이즈가 사용자의 귀에 함께 영향을 미치므로, 사용자의 귀에 도달하는 소리의 볼륨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운드의 볼륨값과 외부 노이즈의 볼륨값을 합산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80dB의 음악이 출력되고 사용자 주위의 소음이 70dB인 경우, 이 둘의 합을 계산하면 사용자의 귀에 도달하는 볼륨값은 약 75dB이 된다. 외부 노이즈와 미디어 플레이어의 사운드를 합산한 볼륨값이 85dB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청력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외부 노이즈가 클수록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볼륨 레벨을 높이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청력이 손상될 개연성이 상당히 높다 하겠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를 사용함에 있어, 외부 노이즈를 차단하고 재생되는 사운드만 사용자가 듣게 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개발되어왔다. 예컨대, 외부 노이즈를 측정하여 외부 노이즈에 해당되는 위상을 소거하는 방법 등을 통해 외부 노이즈를 제거하려는 시도들이 있으나 아직까지 완벽한 해결책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어떠한 볼륨값의 소리에 얼마동안 노출되어 있었는지에 관한 히스토리를 제공하고, 노출된 정도와 시간에 따라 과도하게 노출된 경우에 이 를 경고하며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기 위해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볼륨 레벨을 제어하는 상위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를 고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어떠한 볼륨값의 소리에 얼마동안 노출되어 있었는지에 관한 히스토리를 제공하고, 노출된 정도와 시간에 따라 과도하게 노출된 경우에 이를 경고하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볼륨 레벨을 증대시키는 조작을 제한하는 상위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를 구현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 사운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는 외부 노이즈를 감지하는 센서부, 감지된 상기 외부 노이즈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컨버터를 포함하며 재생되는 사운드를 합산하여 이를 기초로 소정의 동작을 하는 제어부, 상기 합산된 볼륨값이 과도한 경우에 이를 경고하는 경고부,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사운드 관리 방법은 센서부에서 외부 노이즈를 수집하는 단계, 컨버터에서 상기 외부 노이즈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외부 노이즈 볼륨값과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볼륨값을 합산하는 단계, 상기 외부 노이즈 볼륨값, 상기 사운드 볼륨값과 상기 합산된 볼륨값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합산된 볼륨값이 과도한 경우에 경고하는 단계 및 상기 합산된 볼륨값에 따라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볼륨 레벨을 증대시키는 조작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센서부(10), 제어부(20), 출력부(30), 경보부(4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 즉 '~모듈'은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 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부(10)에서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20)로 보낸다. 제어부(20)는 컨버터(201), 스토리지(202) 및 TPM(203)을 포함한다.
센서부에서 수집된 외부 노이즈는 아날로그 정보이므로 제어부에 있는 컨버터(201)에서 이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한다. 제어부(20)에서는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된 외부 노이즈의 볼륨값과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합산한다. 이렇게 합산된 볼륨값, 외부 노이즈 볼륨값,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사운드 볼륨값의 히스토리는 제어부에 포함된 스토리지(202)에 저장된다.
출력부(30)는 제어부(2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이는 LCD, O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합산된 볼륨값, 외부 노이즈 볼륨값,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볼륨값에 대한 히스토리를 출력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어부(20)에 포함되어 있는 TPM(203)은 Trusted platform module의 줄임으로서, 특정한 볼륨값에서 인체에 안전한 노출시간에 대한 정보가 영구적으로 고정 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어떠한 조작이나,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를 둘러싼 어떠한 주변의 환경에 변화에도 그 정보가 변경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귀에 도달하는 합산된 볼륨값이 인체에 유해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다.
외부 노이즈와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사운드를 합산한 볼륨값이 TPM(203)에 저장된 안전한 볼륨값과 노출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제어부(20)는 경고부(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한다. 경고부(40)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일정한 진동을 느끼게 하는 진동자가 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경보음을 출력하는 방법으로 경고할 수도 있다. 합산된 볼륨값이 과대한 경우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볼륨 레벨을 증대시키는 조작을 하는 경우에, 제어부(20)는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을 제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202)에 저장되는 히스토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외부 노이즈의 볼륨값, 재생 사운드의 볼륨값, 합산한 볼륨값, 노출시간 및 휴대용 플레이어를 사용자가 사용한 날짜 등의 히스토리가 스토리지에 저장된다. 이렇게 스토리지에 저장된 히스토리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도 2와 같은 형식으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거나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그래픽으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202)에 볼륨값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센서부(10)에서 외부 노이즈를 수집한다(S11). 이렇게 수집된 외부 노이즈를 제어부(20)의 컨버터(201)에서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시킨다(S12). 제어부(20)에서 수집된 외부 노이즈의 볼륨값과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볼륨값을 합산하며(S13), 외부 노이즈의 볼륨값 및 사운드의 볼륨값과 합산된 볼륨값의 히스토리를 스토리지(202)에 저장한다(S14). 그 후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출력부(30)에 히스토리를 출력한다(S15).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값이 과도한 경우 경고하고 볼륨 레벨을 증대시키는 조작을 제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볼륨 레벨을 높이려는 시도를 한 경우(S21), 제어부(20)는 외부 노이즈의 볼륨값과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재생 사운드의 볼륨값을 합산한 볼륨값이 TPM(203)에 저장되어 있는 안전한 볼륨값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22).
안전한 볼륨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경고부(40)에서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고(S23), 제어부(20)에서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볼륨값을 높이는 조작을 제한하고(S24), 이전의 볼륨으로 재생한다(S25).
안전한 볼륨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20)에서는 사용자가 증대시킨 볼륨 레벨에 따라 볼륨 레벨을 높여서 재생한다(S26).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어떠한 볼륨값의 소리에 얼마동안 노출되어 있었는 지에 관한 히스토리가 제공되며, 사용자가 노출된 정도와 시간에 따라서 과도하게 노출된 경우에 이를 경고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볼륨 레벨을 증대시키는 조작을 하는 것을 제한하는 상위 제어 기능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Claims (5)

  1. 외부 노이즈를 감지하는 센서부;
    감지된 상기 외부 노이즈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노이즈의 볼륨값과 재생되는 사운드의 볼륨값을 합산하는 제어부;
    상기 합산된 볼륨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볼륨값과 기준 노출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이를 경고하는 경고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볼륨값과 기준 노출시간을 설정하는 TPM(Trusted platform module)을 포함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노이즈, 상기 재생되는 사운드 및 상기 합산된 볼륨값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산된 볼륨값이 상기 기준 볼륨값과 기준 노출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재생되는 사운드의 볼륨값을 증대시키는 조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5. 센서부에서 외부 노이즈를 수집하는 단계;
    컨버터에서 상기 외부 노이즈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외부 노이즈 볼륨값과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사운드의 볼륨값을 합산하는 단계;
    상기 외부 노이즈 볼륨값, 상기 사운드 볼륨값과 상기 합산된 볼륨값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합산된 볼륨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볼륨값과 기준 노출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경고하는 단계; 및
    상기 합산된 볼륨값에 따라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의 볼륨 레벨을 증대시키는 조작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관리 방법.
KR1020060046755A 2006-05-24 2006-05-24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사운드 관리 방법 KR100772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755A KR100772880B1 (ko) 2006-05-24 2006-05-24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사운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755A KR100772880B1 (ko) 2006-05-24 2006-05-24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사운드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880B1 true KR100772880B1 (ko) 2007-11-05

Family

ID=3906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755A KR100772880B1 (ko) 2006-05-24 2006-05-24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사운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8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401B1 (ko) * 2015-09-30 2017-08-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음향 처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CN111854830A (zh) * 2019-04-25 2020-10-30 德尔格制造股份两合公司 用于监控声音和气体暴露的设备和方法
CN113849151A (zh) * 2021-08-26 2021-12-28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音频设备及其音量调节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650A (ko) * 1997-10-14 1999-05-06 구자홍 오디오시스템의 자동음량조절방법 및 장치
KR20040088245A (ko) * 2003-04-09 2004-10-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오디오의 음량 조절 장치
KR20050000085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주위잡음에 대응하여 볼륨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텔레비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650A (ko) * 1997-10-14 1999-05-06 구자홍 오디오시스템의 자동음량조절방법 및 장치
KR20040088245A (ko) * 2003-04-09 2004-10-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오디오의 음량 조절 장치
KR20050000085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주위잡음에 대응하여 볼륨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텔레비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401B1 (ko) * 2015-09-30 2017-08-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음향 처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CN111854830A (zh) * 2019-04-25 2020-10-30 德尔格制造股份两合公司 用于监控声音和气体暴露的设备和方法
CN111854830B (zh) * 2019-04-25 2022-07-12 德尔格制造股份两合公司 用于监控声音和气体暴露的设备和方法
CN113849151A (zh) * 2021-08-26 2021-12-28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音频设备及其音量调节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8552B2 (en) Earguard monitoring system
US8218784B2 (en) Digital audio processor device and method
JP5396685B2 (ja)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音声出力システムおよび音声出力処理用プログラム
US20130035608A1 (en) Ear input sound pressure level monitoring system
US20070195970A1 (en) Sound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hearing protection
JP2008177629A (ja)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音声出力システムおよび音声出力処理用プログラム
CN105075289B (zh) 用于改进特定声音对用户的可听度的装置和方法
CN112019975B (zh) 环境和聚合声学剂量测定
EP2021746A2 (en) Apparatus for reducing the risk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WO2002018889A1 (fr) Procédé de mesure sonore et dispositif prenant en compte des caractéristiques de l&#39;audition
JP7009165B2 (ja) 収音装置、収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US9264828B2 (en) Sound level dosage system for vehicles
KR100772880B1 (ko) 외부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사운드 관리 방법
KR102407686B1 (ko) 환경 및 종합 음향 선량측정
US20190373388A1 (en) Headphone Device
KR101069687B1 (ko) 청력손상 예방기능을 갖는 휴대형 음향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333114A (ja) 警報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携帯端末装置、基地局、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101627A1 (en) Noise ind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noise
EP2299591A1 (en) Ambient sound capture and management device
US20230379625A1 (en) Adaptive resonance-controlled audio systems and methods
US20230379626A1 (en) Adaptive resonance-controlled audio systems and methods
JP2006215232A (ja) 騒音低減装置及び騒音低減方法
CN117098038A (zh) 自适应谐振控制的音频系统和方法
US20070078648A1 (en) Audio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hearing protecting
JP4973313B2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