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371B1 -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371B1
KR100772371B1 KR1020040070779A KR20040070779A KR100772371B1 KR 100772371 B1 KR100772371 B1 KR 100772371B1 KR 1020040070779 A KR1020040070779 A KR 1020040070779A KR 20040070779 A KR20040070779 A KR 20040070779A KR 100772371 B1 KR100772371 B1 KR 10077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ryption
encrypted
unit
bit string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025A (ko
Inventor
김치헌
안철홍
유용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371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장치로서, 콘텐츠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고, 암호화 단위마다,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가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리밍 서버가 암호화된 상태로 콘텐츠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경우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암호화 단위를 정확하게 인식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teaming a encrypted contents}
도 1 은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종래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도 1 의 암호화된 콘텐츠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장치 및 스트리밍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스트리밍 장치내에서 다양한 스트림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유닛 추출부가 암호화단위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흐름도.
도 7은 도 6의 방법에 따라 스트리밍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리밍 서버가 암호화된 상태로 콘텐츠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경우 스트리 밍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암호화 단위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는 전송 채널을 통해 다른 기기로 전송된다. 콘텐츠를 전송 받는 기기가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기일 경우에는,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기는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스트리밍한다. 스트리밍은 콘텐츠를 하나이상의 스트리밍 패킷으로 구분한후 다른 기기로 전송한다.
또한 콘텐츠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때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암호화는 디지털 권한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를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종래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기기(10)이 콘텐츠(13)를 제 2 기기(20)로 스트리밍하고자한다. 콘텐츠(13)는 제 1 기기(10)내의 저장 매체(12)에 저장되어 있으며 현재 일정한 크기의 암호화 단위로 암호화된 상태이다. 스트리밍 서버(14)는 암호화된 콘텐츠(13)를 여러 가지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패킷타이징함으로써 스트리밍 패킷(15)를 생성한후 이를 제 2 기기(20)로 전송한다.
제 2 기기(20)내의 스트리밍 클라이언트(22)는 스트리밍 패킷(15)를 수신한 후, 스트리밍 패킷(15)들을 조합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23)를 복원한다. 복호화부(24)는 암호화된 콘텐츠(23)를 복호화하여 암호화되지 않은 콘텐츠(25)를 생성하고, 재생부(26)는 암호화되지 않은 콘텐츠(25)를 재생한다. 콘텐츠(25)가 엠펙 2 동영상 표준을 이용하여 압축된 경우에, 재생부(26)는 엠펙 디코더(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2 는 도 1 의 암호화된 콘텐츠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의 스트림(200)는 도 1 의 암호화된 콘텐츠(13,23)에 대응된다. 스트림(200)는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210,220,...)을 포함하며, 하나의 암호화 단위(210)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212)과 암호화된 상태인 암호화 부분(214)을 포함한다. 비암호화 부분(212)는 암호화부분(214)를 복호화하는데 사용되는 복호화키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키 생성 정보이다. 즉 도 1의 복호화 부(24)는 키 생성 정보(212)를 이용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부분(214)를 복호화한다.
암호화 이전의 콘텐츠가 엠펙 2 동영상 표준에 따라 생성된 경우, 암호화 단위(210)는 MPEG2 TS 패킷(202)이다. MPEG2 TS 패킷(202)는 4바이트의 전송 헤더(216) 및 188바이트의 페이로드 데이터(218)을 포함한다. 비암호화부분(212)는 4바이트의 전송헤더(216) 및 페이로드(218)의 앞부분 4 바이트를 포함한다. 즉 콘텐츠가 엠펙 2 인 경우, 복호화부(24)는 192바이트단위로 암호화 단위(210)를 추출한 후 앞의 8바이트를 키 생성 정보(212)로 간주하고, 뒤의 184바이트를 암호화부분(214)로 간주한후, 키 생성 정보(212)를 이용하여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부분(214)를 복호화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트리밍 방법에 의하면, 패킷중의 일부 비트의 유실시에 복호화부가 콘텐츠를 올바르게 복호화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스트림(20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호화부(24)에 전송되는 스트림(204)는 아주 랜덤한 2진수의 나열이기 때문에(이는 스트림(204)은 대부분 암호화 부분 (214)으로 구성되고, 암호화 부분(214)은 암호화 알고리즘의 특성상 아주 랜덤한 이진수의 나열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복호화부(24)는 결국 입력된 스트림(204)의 비트 넘버를 기준으로 비암호화부분(212)와 암호화부분(214)를 구별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만약 전송중에 비트 유실이 발생하면, 비트 넘버가 변하게 되고, 복호화부(24)는 비암호부분(212)와 암호화부분(214)의 구분에 오류가 생겨 동영상을 올바로 재생할 수 없다. 특히, 이러한 구분의 오류는 다음 암호화단위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트유실이 발생한 패킷 이후의 모든 영상은 올바로 재생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트리밍 서버가 암호화된 상태로 콘텐츠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경우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암호화 단위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장치로서, 상기 콘텐츠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상기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가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리밍 장치는, a)상기 패킷 구분자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에 첨부하는 패킷 구분자 생성부; b)상기 패킷 구분자가 첨부된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패킷 구분자는 랜덤한 비트열과 구분되도록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로 구성되거나,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 및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특정된 비트열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받아 재생하는 장치로서, 상기 콘텐츠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상기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가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재생 장치는, a)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받음으로써, 상기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랜덤한 비트열을 획득하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b)상기 랜던한 비트열로부터 상기 패킷 구분자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단위를 추출하는 유닛 추출부; c)상기 암호화 단위에 포함된 상기 비암호화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부분을 복호화함으로써 복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호화부; 및 d)상기 복호화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유닛 추출부는, 미리결정된 패킷 구분자와 동일한 비트로 나열된 부분을 패킷 구분자로 선택하고, 상기 비트열에서 상기 패킷 구분자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암호화 단위로 추출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로부터 비트수에 기초하여 상기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암호화 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상기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가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스트리밍 방법은, a)상기 패킷 구분자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에 첨부하는 패킷 구분자 생성 단계; b)상기 패킷 구분자가 첨부된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방법로서, 상기 콘텐츠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상기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가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재생 방법은, a)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받음으로써, 상기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랜덤한 비트열을 획득하는 단계; b)상기 랜덤한 비트열로부터 상기 패킷 구분자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단위를 추출하는 유닛 추출 단계; c)상기 암호화 단위에 포함된 상기 비암호화 부 분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부분을 복호화함으로써 복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호화 단계; 및 d)상기 복호화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장치 및 스트리밍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스트리밍 장치(300)는 저장 매체(310), 패킷 구분자 생성부(320) 및 스트리밍 서버(330)를 포함한다.
암호화된 콘텐츠(312)는 스트리밍 장치(300)내의 저장 매체(310)에 저장된다. 암호화된 콘텐츠(312)는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고, 암호화 단위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한다.
패킷 구분자 생성부(320)는 암호화된 콘텐츠(312)내의 암호화 단위마다,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를 생성하여 암호화 단위마다 첨부함으로써 암호화되고-구분된(encrypted/sectionalized) 콘텐츠(322)를 생성한다.
스트리밍 서버(330)는 암호화되고-구분된 콘텐츠(322)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장치로 스트리밍한다. 스트리밍 과정은 콘텐츠(322)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패킷을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도 4 는 스트리밍 장치내에서 다양한 스트림 포맷을 나타낸다.
도 4 의 스트림(471)은 암호화된 콘텐츠(312)의 포맷을 나타낸다. 각각의 암호화 단위(410,420,...)는 각각 비암호화 부분(411,421,...) 및 암호화 부분(412,422,...)를 포함한다. 비암호화 부분(41,421,..)은 암호화 부분(412,422,...)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사용된다.
스트림(472)는 암호화되고-구분된 콘텐츠(322)의 포맷을 나타낸다. 각각의 암호화 단위(410,420,...)앞에는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413,4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패킷 구분자(413,423,...)는 랜덤한 비트열과 구분되도록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0000,0000,0000,0000 과 같은 비트열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패킷 구분자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 및 암호화 단위마다 특정된 비트열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암호화단위앞의 패킷 구분자는 0000,0000,0000,0001 이고 두 번째 암호화 단위앞의 패킷 구분자는 0000,0000,0000,0010 이다. 이러한 패킷 구분자는 패킷 구분자사이에 어떠한 규칙을 제공함으로써 재생 장치가 패킷 구분자를 올바르게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킨다.
패킷 구분자(413,423,...)는 스트리밍 장치(300) 및 재생 장치(380)사이에서 약속되어 미리 정해진 비트열로 구성된다.
스트림(472)는 모두 랜덤한 "0" 또는 "1" 의 배열이므로, 재생 장치(380)가 패킷 구분자(413,423,...)를 인식함으로써 암호화 단위(410,420,...)를 구분할 확률이 100% 는 아니다. 하지만 패킷 구분자(413,423,..)는 랜덤한 신호내에 소정의 특징을 가지는 신호이므로, 분명히 재생 장치(380)가 암호화 단위(410,420,...)를 구분할 확률을 매우 증가시킨다. 패킷 구분자(413,423,..)를 무엇으로 정하는가에 관해서는 수학적 원리가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좀 더 규칙적인 비트열을 선택할수록 재생 장치(380)가 암호화 단위(410,420,...)를 구분할 확률이 매우 증가한다.
패킷 구분자(413,423,..)의 위치는 암호화 단위(410,420,...)앞 또는 뒤 모두 가능하다.
스트림(473)는 스트림(472)가 스트리밍되기 위해 패킷타이징된 포맷을 나타낸다. 스트림(473)는 일정한 길이의 패킷(401,402,..)으로 나누어지고, 패킷(401,402,...)이 재생 장치(380)로 전송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재생 장치(380)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40), 유닛 결정부(350), 복호화부(350) 및 재생부(370)를 포함한다.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40)는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스트리밍 패킷(352)를 전송받은 후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암호화되고-구분된 콘텐츠(342)를 생성한다. 암호화되고-구분된 콘텐츠(342)의 포맷은 도 4 의 스트림(47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유닛 추출부(350)는 암호화되고-구분된 콘텐츠(342)로부터 패킷 구분자를 식별함으로써, 암호화 단위(352)를 추출한다.
복호화부(350)는 암호화 단위(352)의 비암호화 부분을 이용하여 암호화부분을 복호화함으로써 복호화된 콘텐츠(362)를 생성한다. 콘텐츠가 MPEG2로 압축된 경우, 복호화된 콘텐츠(362)는 188바이트의 페이로드 데이터(도 2 의 218)이다.
재생부(370)는 복호화된 콘텐츠(362)를 소정의 동영상 압축 표준에 따라 디 코딩하고 재생한다.
도 5는 유닛 추출부가 암호화단위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트림(510)는 유닛 추출부(350)으로 입려되는 암호화되고-구분된 콘텐츠(342)를 나타낸다. 스트림(510)는 "1" 및 "0" 이 랜덤하게 나열되어 있으며, 현재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암호화 단위인지를 확인할 수 없다. 즉 비트수에 기초하여 암호화 단위를 추출하지 않는다.
유닛 추출부(350)는 먼저 미리결정된 패킷 구분자와 동일한 비트로 나열된 부분을 패킷 구분자(512,514,...)로 선택한다.
그 후 유닛 추출부(350)는 패킷 구분자(512,514,..)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암호화 단위9522,524,..)로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유닛 추출부(360)는 비트수에 기초하여 비암호화 부분(531,533,...) 및 암호화 부분(532,534,...)를 추출한다. 즉 MPEG2 의 경우, 유닛 추출부(360)는 처음 8바이트를 비암호화 부분으로 추출하고, 나머지 184바이트를 암호화 부분으로 추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흐름도이다.
단계 610에서, 저장 매체로부터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추출한다.
단계 620에서,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콘텐츠에 대하여, 암호화단위마다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하는 패킷 구분자를 생성한 후 이를 암호화 단위 앞 또는 뒤에 삽입한다. 이때 암호화 단위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한다.
패킷 구분자는 랜덤한 비트열과 구분되도록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 및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특정된 비트열로 구성된다.
단계 630에서, 패킷 구분자가 첨부된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도 7은 도 6의 방법에 따라 스트리밍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간흐름도이다.
단계 710에서,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40)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받음으로써,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랜덤한 비트열을 획득한다.
단계 720에서, 유닛 추출부(350)는 랜덤한 비트열로부터 패킷 구분자를 식별함으로써, 암호화 단위를 추출한다. 단계 720는 이하의 단계 722 내지 726 으로 분할된다.
단계 722에서, 유닛 추출부(350)는 먼저 미리결정된 패킷 구분자와 동일한 비트로 나열된 부분을 패킷 구분자(512,514,...)로 선택한다.
단계 724에서, 유닛 추출부(350)는 패킷 구분자(512,514,..)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암호화 단위9522,524,..)로 추출한다.
단계 726에서, 유닛 추출부(360)는 비트수에 기초하여 비암호화 부분 (531,533,...) 및 암호화 부분(532,534,...)를 추출한다. 즉 MPEG2 의 경우, 유닛 추출부(360)는 처음 8바이트를 비암호화 부분으로 추출하고, 나머지 184바이트를 암호화 부분으로 추출한다.
단계 730에서, 복호화 부(350)는 암호화 단위에 포함된 비암호화 부분을 이용하여 암호화 부분을 복호화함으로써 복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한다.
단계 740에서, 재생부(360)는 복호화된 콘텐츠를 소정의 동영상 압축 표준에 따라 디코딩함으로써 복호화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방법 및 스트림 재생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방법 및 스트림 재생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스트림내에서 암호화단위를 정확하게 추출함으로써 암호화단위의 정확한 복호화 및 재생이 가능하다.

Claims (22)

  1.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장치로서,
    상기 콘텐츠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상기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가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a)상기 패킷 구분자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에 첨부하는 패킷 구분자 생성부;
    b)상기 패킷 구분자가 첨부된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구분자는 랜덤한 비트열과 구분되도록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구분자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 및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특정된 비트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받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a)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받음으로써,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랜덤한 비트열을 획득하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b)상기 랜덤한 비트열로부터 패킷 구분자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단위를 추출하는 유닛 추출부;
    c)상기 암호화 단위에 포함된 비암호화 부분을 이용하여 암호화 부분을 복호화함으로써 복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호화부; 및
    d)상기 복호화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하는, 암호화 단위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상기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가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b)상기 유닛 추출부는,
    미리결정된 패킷 구분자와 동일한 비트로 나열된 부분을 패킷 구분자로 선택하고,
    상기 비트열에서 상기 패킷 구분자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암호화 단위로 추출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로부터 비트수에 기초하여 상기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암호화 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구분자는 랜덤한 비트열과 구분되도록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구분자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 및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특정된 비트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부분을 복호화하는데 이용되는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상기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부분을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상기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가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a)상기 패킷 구분자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에 첨부하는 패킷 구분자 생성 단계;
    b)상기 패킷 구분자가 첨부된 하나이상의 암호화 단위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구분자는 랜덤한 비트열과 구분되도록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구분자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 및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특정된 비트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암호화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소정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받음으로써, 암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랜덤한 비트열을 획득하는 단계;
    b)상기 랜덤한 비트열로부터 패킷 구분자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단위를 추출하는 유닛 추출 단계;
    c)상기 암호화 단위에 포함된 비암호화 부분을 이용하여 암호화 부분을 복호화함으로써 복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호화 단계; 및
    d)상기 복호화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는, 평문 상태인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복호화가능한 암호화 부분을 포함하는 암호화 단위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상기 암호화 단위의 시작을 식별시키는 패킷 구분자가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b)상기 유닛 추출 단계는,
    b1)미리결정된 패킷 구분자와 동일한 비트로 나열된 부분을 패킷 구분자로 선택하는 단계;
    b2)상기 비트열에서 상기 패킷 구분자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암호화 단위로 추출하는 단계; 및
    b3)상기 암호화 단위로부터 비트수에 기초하여 상기 비암호화 부분 및 상기 암호화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는 MPEG2 동영상 표준으로 압축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구분자는 랜덤한 비트열과 구분되도록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구분자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비트열 및 상기 암호화 단위마다 특정된 비트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c)상기 복호화 단계는,
    c1)상기 비암호화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부분을 복호화하는데 이용되는 복호화 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c2)상기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부분을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2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70779A 2004-09-06 2004-09-06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KR100772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779A KR100772371B1 (ko) 2004-09-06 2004-09-06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779A KR100772371B1 (ko) 2004-09-06 2004-09-06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25A KR20060022025A (ko) 2006-03-09
KR100772371B1 true KR100772371B1 (ko) 2007-11-01

Family

ID=3712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779A KR100772371B1 (ko) 2004-09-06 2004-09-06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39B1 (ko) * 2007-03-21 2008-08-01 주식회사 에이스엠이 동영상 파일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948Y1 (ko) * 2001-10-05 2002-01-17 임양열 차양모자의 차양판과 밴드 결합장치
KR200291254Y1 (ko) * 2002-07-15 2002-10-11 김우현 건축용바닥판재
KR200442673Y1 (ko) * 2007-09-18 2008-12-02 (주)마닉스 다기능 공작기기용 공구 걸이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948Y1 (ko) * 2001-10-05 2002-01-17 임양열 차양모자의 차양판과 밴드 결합장치
KR200291254Y1 (ko) * 2002-07-15 2002-10-11 김우현 건축용바닥판재
KR200442673Y1 (ko) * 2007-09-18 2008-12-02 (주)마닉스 다기능 공작기기용 공구 걸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25A (ko)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6204B2 (ja) 暗号化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8041034B2 (en) Multi-streaming apparatus and multi-streaming method using temporary storage medium
KR20040043740A (ko) 디지털 방송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제어 장치
JP2006501764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トリックモード再生システム
KR20060051144A (ko) 암호화방법, 암호화장치, 데이터축적 배신장치 및 데이터배신시스템
JP5678326B2 (ja) 送信制御装置、受信制御装置、送信制御方法、受信制御方法、及び送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7518294A (ja) 動画ファイルの暗号化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デジタル著作権の管理方法
US20030212886A1 (en) Encryption/decryption system and encryption/decryption method
KR19980081704A (ko)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US82250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uthentication c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ata through authentication
US7570766B2 (en) Transparently embedding non-compliant data in a data stream
JP4083678B2 (ja) 暗号化されたフレームの次のパケットにおいて冗長なストリーム暗号情報
JP705273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1962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content using encryption with embedded key in content
JP2009100265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集積回路
KR100772371B1 (ko)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JP6018880B2 (ja) 暗号化装置、復号装置、暗号化プログラム、および復号プログラム
JP6744262B2 (ja) 電子装置及び方法
JPH11225140A (ja) データ暗号化装置および復号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6331483A (ja) 復号装置、ストリーム録画再生装置、および暗号化ストリームの復号方法
JPWO2005043806A1 (ja) 暗号化記録装置および方法
WO201615855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49764B2 (ja) 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KR100728242B1 (ko) 스트리밍 서비스되는 동영상 파일의 보호 시스템 및 그의보호 동영상 생성/재생 장치 및 그 방법
JP2006345234A (ja) 暗号化装置および暗号化方法、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