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168B1 -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168B1
KR100772168B1 KR1020060088894A KR20060088894A KR100772168B1 KR 100772168 B1 KR100772168 B1 KR 100772168B1 KR 1020060088894 A KR1020060088894 A KR 1020060088894A KR 20060088894 A KR20060088894 A KR 20060088894A KR 100772168 B1 KR100772168 B1 KR 10077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music
fil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이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주 filed Critical 이창주
Priority to KR102006008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3/00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악보에 따른 음악에 연동되는 색채의 지정이 가능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악보 파일에 상응하여 픽셀 단위의 색채를 지정하고 이를 통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악보 파일에 대하여 픽셀 단위의 색채가 지정되고, 상기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 파일이 재생될 때 상응하여 지정된 색채가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음악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 등의 심리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음악, 색채, 악보, 편집, 표시

Description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usic and color coupling system, method thereof and recorded medium recorded program perform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되는 디지털 악보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구동 프로그램 형태의 색채 지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채 지정부의 외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채 지정부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채 지정부의 각 픽셀에서의 온/오프(on/off) 방법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및 색채 연동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110 : 악보 저장부
120 : 표시부
130 : 입력부
140 : 색채 지정부
150 : 제어부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악보에 따른 음악에 연동되는 색채의 지정이 가능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악과 미술은 표현 방법만이 다를 뿐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우뇌를 사용하고, 직관력을 필요로 하는 점 등에서 유사하다.
종래 음악과 미술을 각각 대표하는 음과 색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음색 상호변환 공식 등을 통해 음을 색으로 자동 변환시켜 주는 장치는 그래픽 이퀄라이져(graphic equalizer) 등이 있었다. 하지만, 단순히 주파수 대역별로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음압의 크기만을 표시할 뿐이므로, 표시되는 화상이 단순하고 응용범위가 협소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감정이 전혀 개입될 여지가 없어 심리 치료에도 전혀 응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악보 파일에 상응하여 색채 픽셀 단위의 색채를 지정하고 이를 통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도록 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악보 파일에 대하여 색채 픽셀 단위의 색채가 지정되고, 상기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 파일이 재생될 때 상응하여 지정된 색채가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음악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 등의 심리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악보 파일을 저장하는 악보 저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악보 파일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악보 파일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할 악보 파일의 선택 신호 및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 파일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음표 정보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음표 정보의 선택 신 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음표 정보에 상응하는 색채 정보를 지정하는 색채 지정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되는 악보 파일과 상기 색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색채 정보를 연관지어 상기 악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채 지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색채 픽셀의 위치를 색채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색채 픽셀 지정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색채 비율을 상기 색채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비율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색채 픽셀에 대하여 선택된 색채 비율에 따라 색채를 지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색채 제어부; 및 상기 색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색채 픽셀의 색채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인접한 하나 이상의 픽셀들을 하나의 색채 픽셀 단위로 하는 다수의 색채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표시부는 발광 소자를 하나의 색채 픽셀 단위로 하는 다수의 색채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색채 제어부는 상기 색채 픽셀의 색채가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되는 시간이 상기 음표 정보 중 음길이에 상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색채 비율은 적녹청(RGB) 비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악보 파일의 모든 음표 정보에 상응하는 색채 정보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색채 파일을 저장하는 색채 파일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색채 정보는 상응하는 음표 정보 중 음길이에 상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색채 지정부에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음악 파일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 파일과 상기 색채 정보를 연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음악 파일 재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색채 지정부는 상기 음악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음악 파일에 연관된 색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하나 이상의 악보 파일 중 표시하고자 하는 악보 파일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선택된 상기 악보 파일을 표시하는 단계; (c) 표시된 상기 악보 파일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음표 정보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d) 선택된 상기 음표 정보에 상응하는 색채 정보를 지정받는 단계; 및 (e) 상기 음표 정보와 상기 색채 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d)는, (d-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색채 픽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2)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색채 픽셀의 색채 비율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든 색채 픽셀에 대하여 상기 단계 (d-1) 및 (d-2)를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색채 정보는 상응하는 음표 정보 중 음길이에 상응하는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음악 파일에 연관된 색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악과 색채를 연동시키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음악 및 색채 연동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동일 또는 유사한 개체를 순차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표시되는 디지털 악보의 예시도이다.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100)은 악보 저장부(110), 표시부(120), 입력부(130), 색채 지정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악보 저장부(110)는 하나 이상의 악보 파일을 저장한다. 악보 파일은 악보 프로그램(예를 들어, 앙코르, NWC 등)에 의해 작성되어, 음표 및 쉽표가 하나씩 지정가능한 디지털 악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음표 및 쉼표를 통칭하여 음표라고 하기로 한다. 즉, 음표의 음길이라 함은 음표의 음표길이 및 쉽표의 쉼표길이를 의미한다.
악보 저장부(110)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저장 장치로 구성되며, 하기의 방법에 의해 악보 파일을 저장한다. PSTN 모뎀, 이더넷(ethernet), xDSL, ISDN, 케이블 모뎀, 무선데이터 모뎀등의 인터넷이나 단독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격지 서버에 접속하여 직접 원격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악보 파일을 다운로드함으로써 악보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악보 파일은 음악 재생 장치(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장치 또는 컴퓨터 등에서 구동되는 음악 재생 프로그램 등)에서 재생 가능한 음악 파일과 동기화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음악 파일은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악 재생 장치를 통해 음악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상응하는 악보 파일에서 현재 재생중인 마디 또는 음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부(120)는 악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악보 파일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악보 파일을 표시한다. 또는 표시부(120)는 악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모든 악보 파일 또는 일부 악보 파일의 파일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 해 파일 리스트의 악보 파일 중에서 특정 악보 파일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악보 파일의 일례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표시부(120)의 전체 또는 일부에 악보 파일 표시창(200)이 표시된다. 악보 파일 표시창(200) 내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악보 파일의 악보 파일 기본 정보(230), 음표 정보(240(a))가 표시된다. 그리고 악보 파일의 제목 정보(210) 및/또는 인명 정보(220)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제목 정보(2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의 제목을 포함한다. 인명 정보(220)는 해당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의 작곡자 및/또는 작사자를 포함한다. 악보 파일 기본 정보(230)는 해당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의 음자리표, 박자, 장조 종류, 빠르기 정보 등을 포함한다.
빠르기 정보 중 빠르기말, 읽기, 뜻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빠르기말에 상응하는 음악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메트로놈속도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6066355016-pat00001
Figure 112006066355016-pat00002
빠르기 정보는 빠르기말 또는 메트로놈속도로 악보 파일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메트로놈속도는 악보 파일에 상응하여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악보 파일 기본 정보(23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메트로놈의 빠르기를 기준으로 하여 1분 동안 해당 음표를 치는 숫자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 = 120 의 경우 4분 음표를 1박으로 기준할 때 1분 동안에 ♩(4분 음표)를 120번 되풀이하는 빠르기(즉, ♩(4분 음표)는 60/120초의 음길이를 가짐)로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 2에 나타난 빠르기말과 메트로놈속도의 대응 관계에 의해 해당 악보 파일에서 각 음표의 음길이를 알 수 있다.
음표 정보(240(a))는 해당 음표의 음길이를 포함한다.
악보 파일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5선 상에 음높낮이가 표현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그 외에도 악보 파일에 포함되는 음표들이 음길이만을 포함하고 음높낮이에 상관없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형태, 즉 리듬만이 표현된 리듬 악보 등으로 표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경우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의 전체 빠르기에 대한 빠르기 정보 역시 악보 파일에 포함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의 각종 작업을 선택하고, 필요한 작업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사용자에 의한 특정 악보 파일의 선택은 입력부(130)를 통해 수행된다. 통상적으로 입력부(130)는 버튼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미리 지정된 신호들(예를 들어, 악보 선택 신호, 음표 선택 신호 등)을 발생시키게 된다.
입력부(130)에서의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부(120)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악보 파일이 표시된다. 표시부(120)에는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형태로 악보 파일에 포함되는 음표 정보(240(a))가 표시된다. 음표 정보(240(a))는 4분 음표, 8분 음표 등을 표시하는 이미지, 각 음표의 음길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30)를 이용하여 표시부(120)에 표시된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디지털 악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음표(240(a) 또는 240(b))를 선택한다. 또는 하나 이상의 마디(240(c)) 또는 소절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한 음표의 선택 신호에 의해 색채 지정부(140)가 활성화된다. 사용자는 색채 지정부(140)를 이용하여 현재 선택된 음표에 대해 임의의 그림 또는 문양을 설정한다. 색채 지정부(140)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색채 지정부(140)는 별도의 장치로 구형되어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색채 지정부(140)에 의한 그림 또는 문양의 생성은 추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임의의 그림 또는 문양을 색채 정보라 하며, 흑백 또는 컬러 모두 가능하다. 색채 정보는 해당 음악 파일의 재생 중 해당 음표에 상응하는 부분에서의 사용자의 감정에 따른 색채, 문양 형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감정이 포함된 색채 정보를 이용하여 추후 음악 파일과 연관지어 심리 분석 또는 심리 치료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악보 파일 선택 신호에 따라 악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악보 파일 중에서 상응하는 악보 파일이 표시부(120)에 표시되도록 악보 저장부(110) 및 표시부(120)를 제어하는 등 각 구성요소들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악보 파일의 선택된 음표 정보에 대하여 상기 색채 지정부(140)에 의해 지정된 색채 정보를 연관짓고, 이를 악보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은 음표의 순서에 따라 또는 순서에 상관없이 입력부를 통한 음표의 선택을 통해 원하는 그림 또는 문양 등의 색채 정보 지정이 가능하고, 미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은 색채 지정부를 이용하여 악보 파일 상의 모든 음표에 대해서 상응하는 색채 정보를 지정한 색채 파일을 저장하는 색채 파일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응하는 음표의 음길이에 상응하는 시간만큼 상응하는 색채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색채 파일을 별도로 생성한다. 즉, 악보 파일의 각 음표 정보마다 색채 정보를 연관시키는 대신에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 파일이 재생되는 시작 순간에 모든 음표에 대해 상응하는 색채 정보가 저장된 색채 파일도 동시에 실행시킴으로써 시간적으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간적인 동기화는 음악 파일이 재생됨과 동시에 실행된 색채 파일은 색채 지정부를 통해 지정된 색채 정보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각 색채 정보는 해당 음표의 음길이에 상응하는 시간 동안 표시되어야 하는 바, 색채 파일은 각 색채 정보의 표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음악 파일의 재생 시간과 색채 파일의 실행 시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은 음악 파일 저장부 및 음악 파일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악 파일 저장부는 악보 저장부에 저장된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음악 파일은 mp3, wav, ogg 등 다양한 파일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음악 파일 재생부는 음악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한다. 음악 파일의 재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각 음악 파일은 상응하는 악보 파일과 동기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기화되어 있다는 것은 소정의 음악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 파일에서 현재 재생되는 소리에 상응하는 음표가 하이라이트, 반전, 강조 등의 방법에 의해 다른 음표들과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음악 파일을 재생시키고,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 파일 상에서 현재 재생되는 소리에 상응하는 음표의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재생되는 음악을 들으면서 자신의 심리 상태에 따라 색채 지정부를 이용하여 음악에 따른 색채 정보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색채 정보가 지정된 이후, 해당 음악 파일이 음악 파일 재생부를 통해 재싱되는 경우 상기 음악 파일에 연관된 색채 정보가 색채 지정부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1) 음악 파일의 재생시 음악 파일에 연관되는 악보 파일이 선택되고, 악보 파일에 연관되어 저장된 색채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2) 또는 음악 파일의 재생시 음악 파일에 연관되는 색채 파일이 선택되고, 음악 파일의 재생과 동시에 색채 파일의 표시도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색채 지정부의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색채 파일의 색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3) 또는 음악 파일의 재생시 사용자가 직접 연관되는 색채 파일을 선택하고, 음악 파일의 재생과 동시에 색채 파일의 표시를 시간적으로 동기화시켜 색채 지정부의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색채 파일의 색채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음악 파일의 재생과 함께 색채 정보의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음악 파일과 색채 파일은 연동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를 이용한 선택을 통해 상응하는 음악 파일과 색채 파일을 검색하여 연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은 네크워크를 통해 심리 분석, 심리 치료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심리 분석 또는 심리 치료에 사용될 음악 파일 및 이에 연동되는 색채 파일을 웹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웹서버는 심리 분석 또는 심리 치료를 위한 웹사이트를 하나 이상 운영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해당 음악 파일에 대해 설정한 색채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면 웹서버를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웹서버는 음악 파일 및 이에 연동하는 색채 파일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상담 내용을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심리 치료용 그림 및/또는 음악을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색채 지정부(14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구동 프로그램 형태의 색채 지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채 지정부의 외관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채 지정부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색채 지정부는 악보 파일이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에 나타나는 구동 프로그램(300)일 수 있다. 색채 지정부는 악보 파일 중 특정 음표 정보의 선택에 의해 구동되며, 표시부(120)에 별도의 팝업 창 형태로 표시되거나, 악보 파일을 표시하는 부분 중 일부가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표시창(310) 및 색채 지정창(320)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화살표(330), 마우스 커서 등으로 표시창(310) 내의 색채 픽셀들 중 하나를 지정한다.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을 이용하여 색채 픽셀을 지정할 수도 있으며, 기타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디바이스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색채 픽셀은 표시부(120)의 기본 픽셀 또는 인접한 둘 이상의 기본 픽셀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기본 픽셀은 LCD와 같은 표시부(120)에서 각 도트(dot)를 의미한다.
표시창(310)은 표시부(120)의 하나의 픽셀 또는 픽셀들의 조합인 색채 픽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색채 지정창(color palette)(320)에서 지정된 색채 픽셀의 색채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색채 지정창(320)은 색채 선택부(332), 채도 선택부(334) 및 선택 색채 표시부(336)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색채 선택부(332) 및/또는 채도 선택부(334)를 통해 해당 색채 픽셀의 색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색채 표시부(336)를 통해 선택한 색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전 색채 픽셀 또는 일부 색채 픽셀에 대하여 색채를 지정하여, 하나의 그림 또는 문양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림 또는 문양의 색채 정보는 사용자가 표시된 악보 파일 중에서 선택한 음표 정보에 연관되어 표시된다. 선택한 음표 정보에 상응하는 음이 재생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그림 또는 문양의 색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악보 파일의 각 음표 정보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색채 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거나 각 음표 정보 중 음길이에 상응하여 해당 색채 정보의 표시 시간을 결정하고 모든 음표 정보에 대하여 색채 정보를 지정하여 하나의 색채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채 지정부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460)의 일면에 구성되는 표시창(410), 방향키(420), 적녹청(red, green, blue; 이하 간단히 'RGB'라 함) 비율 조정 버튼(430), 비율 표시창(440) 및 연결 디바이스(450)를 포함한다.
표시창(410)은 RGB의 3색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간단히 'LED'라 함) 등의 발광 소자를 하나의 색채 픽셀 단위로 하는 색채 픽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발광 소자는 LED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기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간단히 'OLED'라 함) 등 이와 같은 기능의 소자를 말한다 할 수 있다. 사용자는 RGB 비율 조정 버튼(430)으로 해당 색채 픽셀의 RGB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색채를 연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RGB 비율 조정 버튼(430)으로 색채 픽셀의 RGB를 조정할 경우, 비율 표시창(440)에는 해당 색채 픽셀의 RGB의 비율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방향키(420)를 이용하여 현재 색채를 나타내는 색채 픽셀에서 다른 색채 픽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색채 픽셀을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방향키(420)만을 제시하였으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을 이용하여 색채 픽셀을 지정할 수도 있으며, 기타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디바이스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색채 지정부는, 사용자가 직접 RGB 비율 조정부(430)를 사용하여 색채 픽셀의 색채를 각각 지정할 수 있으며, 또는 연결 디바이스(450)를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연결하여, 구동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동하여 이를 이용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채 지정부는, RGB 비율 입력부(510), 색채 픽셀 지정부(520), 색채 제어부(530) 및 표시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GB 비율 입력부(5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RGB 비율을 색채 제어부(530)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사용자는 도 3의 색채 지정창(320) 또는 도 4의 RGB 비율 조정 버튼(430)을 이용하여 해당 색채 픽셀의 RGB 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색채 픽셀 지정부(4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색채 픽셀을 지정하여 색채 제어부(430)에 알리는 기능을 담당한다. 사용자는 도 4의 방향키(420)를 이용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색채 픽셀을 선택할 수 있다.
색채 제어부(4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색채 픽셀에 대하여 RGB 비율에 따라 색채를 지정하도록 표시부(440)를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표시부(440)는 해당 색채 픽셀에 대하여 색채 제어부(430)가 지정한 색채로 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도 4에 도시된 별도의 장치인 색채 지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모든 색채 픽셀의 색채를 지정하여 완성한 그림을 도 3의 사용자 단말의 구동 프로그램(300)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구동 프로그램(300) 상에서 색채를 지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색채 픽셀의 RGB 비율을 색채 제어부(430)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색채 제어부(430)는 위 경우와 동일하게 표시부(44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은 선택된 음표 정보에 포함된 음길이에 상응하는 시간동안 색채 지정부의 표시창의 각 색채 픽셀에 지정된 색채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악보 정보 상에서 빠르기가 ♩= 90 (보통 빠르기 의미)일 경우, 한 박자 음표 ♩= 60/90초, 반 박자 음표 ♪= 0.5X(60/90) 초이다. 악보 정보에서 ♩♬♪♩ 에 상응하는 마디(하나 이상의 음표)를 지정한 경우, 선택된 음표 정보의 총 음길이는 (60/90) +(2 X 0.25 X (60/90))+(0.5 X (60/90))+(60/90) = 2초이다. 이 경우 색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색채 정보(그림 또는 문양)은 2초 동안 색채 지정부의 표시창(310 또는 410)에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색채 지정부의 표시창(310 또는 410)의 각 색채 픽셀은 선택되는 음표 정보의 구간에 따라 온/오프(on/off)가 제어된다. 이 경우 각 색채 픽셀에서의 온/오프(on/off)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각 색채 픽셀이 지정된 색채로 변화함에 있어서 시간 지연이 없거나(도 6의 (a) 참조), 시간 지연이 존재하는(도 6의 (b) 참조) 경우가 있다. 또한, 지정된 색채로 서서히 변화하거나(도 6의 (c) 참조), 지정된 색채에서 서서히 오프 상태로 변화하는(도 6의 (d) 참조)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및 색채 연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악보 파일 중 표시부(120)에 표시하고자 하는 악보 파일의 선택 신호를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는다(S710). 상기 입력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악보 파일의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악보 파일은 표시부(120)에 표시된다(S720).
악보 파일이 표시부(120)에 표시될 때, 악보 파일에 포함되는 각 음표 정보들 중 사용자에 의해 색채를 지정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음표, 마디 또는 소절을 선택받는다(S730).
선택된 음표 정보에 상응하는 색채 정보를 색채 지정부(140)를 이용하여 지정한다(S740).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색채 픽셀의 위치를 결정한다(S742).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색채 픽셀의 색채 비율(RGB 비율 또는 색채/채도값)을 지정한다(S744). 모든 색채 픽셀에 대하여 S742 및 S744를 반복함으로써(S746) 해당 음표 정보에 대해 임의의 그림 또는 문양을 나타내는 색채 정보가 결정된다.
해당 음표 정보에 대하여 상기 색채 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한다(S750).
추가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음악 파일이 선택되어 재생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음악 파일이 선택되어 재생되면(S760), 재생되는 음악 파일과 연관되는 색채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하게 된다(S770). 음악 파일은 악보 파일과 연관되어 있어 색채 정보가 추출되거나, 음악 파일이 상응하는 색채 파일에 직접 연관되어 있어 색채 정보가 추출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음악 파일과 색채 파일을 연관시켜 색채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악보 파일에 상응하여 색채 픽셀 단위의 색채를 지정하고 이를 통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악보 파일에 대하여 색채 픽셀 단위의 색채가 지정되고, 상기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 파일이 재생될 때 상응하여 지정된 색채가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음악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 등의 심리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악보 파일을 저장하는 악보 저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악보 파일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악보 파일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할 악보 파일의 선택 신호 및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된 악보 파일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음표 정보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음표 정보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음표 정보에 상응하는 색채 정보를 지정하는 색채 지정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되는 악보 파일과 상기 색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색채 정보를 연관지어 상기 악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 지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색채 픽셀의 위치를 색채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색채 픽셀 지정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색채 비율을 상기 색채 제어부에 전달하 기 위한 비율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색채 픽셀에 대하여 선택된 색채 비율에 따라 색채를 지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색채 제어부; 및
    상기 색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색채 픽셀의 색채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인접한 하나 이상의 픽셀들을 하나의 색채 픽셀 단위로 하는 다수의 색채 픽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발광 소자를 하나의 색채 픽셀 단위로 하는 다수의 색채 픽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 제어부는 상기 색채 픽셀의 색채가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되는 시간이 상기 음표 정보 중 음길이에 상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 비율은 적녹청(RGB) 비율인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파일의 모든 음표 정보에 상응하는 색채 정보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색채 파일을 저장하는 색채 파일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 정보는 상응하는 음표 정보 중 음길이에 상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색채 지정부에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음악 파일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악보 파일에 상응하는 음악 파일과 상기 색채 정보를 연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음악 파일 재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색채 지정부는 상기 음악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음악 파일에 연관된 색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11. (a) 하나 이상의 악보 파일 중 표시하고자 하는 악보 파일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선택된 상기 악보 파일을 표시하는 단계;
    (c) 표시된 상기 악보 파일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음표 정보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d) 선택된 상기 음표 정보에 상응하는 색채 정보를 지정받는 단계; 및
    (e) 상기 음표 정보와 상기 색채 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색채 픽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2)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색채 픽셀의 색채 비율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든 색채 픽셀에 대하여 상기 단계 (d-1) 및 (d-2)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 정보는 상응하는 음표 정보 중 음길이에 상응하는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음악 파일에 연관된 색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및 색채 연동 방법.
  15. 음악과 색채를 연동시키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음악 및 색채 연동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60088894A 2006-09-14 2006-09-14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77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94A KR100772168B1 (ko) 2006-09-14 2006-09-14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94A KR100772168B1 (ko) 2006-09-14 2006-09-14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168B1 true KR100772168B1 (ko) 2007-10-31

Family

ID=3881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894A KR100772168B1 (ko) 2006-09-14 2006-09-14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1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952B1 (ko) 2009-05-13 2009-10-09 김정중 시각정보와 청각정보의 상호전환 시스템
WO2011040660A1 (ko) * 2009-10-04 2011-04-07 Kang Min-Su 좌표와 색을 이용한 전자악기
WO2017196016A1 (ko) * 2016-05-12 2017-11-16 김영언 소리를 감지하여 상응하는 빛으로 변환하는 장치
WO2019194345A1 (ko) * 2018-04-06 2019-10-10 심재훈 이미지 기반 악보 생성장치 및 악보 기반 이미지 생성장치
WO2022164134A1 (ko) * 2021-01-29 2022-08-04 조관희 음악에 기초하여 이미지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
KR20240057174A (ko) 2022-10-24 2024-05-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의 이미지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204A (ko) * 2000-01-31 2000-06-05 선증수 디지털 악보 표기 방법
KR20010020900A (ko) * 1999-08-18 2001-03-15 김길호 화성법과 색음 상호변환을 이용하여 색채를 조화하는 방법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900A (ko) * 1999-08-18 2001-03-15 김길호 화성법과 색음 상호변환을 이용하여 색채를 조화하는 방법및 장치
KR20010084954A (ko) * 1999-08-18 2001-09-07 김길호 화성법을 이용한 조화색 선정방법 및 장치와, 음색 및색음 변환방법 및 장치
KR20000030204A (ko) * 2000-01-31 2000-06-05 선증수 디지털 악보 표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952B1 (ko) 2009-05-13 2009-10-09 김정중 시각정보와 청각정보의 상호전환 시스템
WO2011040660A1 (ko) * 2009-10-04 2011-04-07 Kang Min-Su 좌표와 색을 이용한 전자악기
WO2017196016A1 (ko) * 2016-05-12 2017-11-16 김영언 소리를 감지하여 상응하는 빛으로 변환하는 장치
WO2019194345A1 (ko) * 2018-04-06 2019-10-10 심재훈 이미지 기반 악보 생성장치 및 악보 기반 이미지 생성장치
WO2022164134A1 (ko) * 2021-01-29 2022-08-04 조관희 음악에 기초하여 이미지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
KR20240057174A (ko) 2022-10-24 2024-05-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의 이미지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8190B1 (en) Network musical instrument
US96914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usic videos synchronized with an audio track
US89071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training
KR100772168B1 (ko) 음악 및 색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802954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omposite videos
US200601508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sic score capture and synthesized audio performance with synchronized presentation
US201702365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omposite videos
CN105243920A (zh) 键盘类乐器弹奏指导系统及教学方法
CN108064406A (zh) 用于多媒体播放为音乐声频片段的交叉淡变的节奏性同步
US20180082606A1 (en) Apparatus to detect, analyze, record, and display audio data, and method thereof
WO2018010401A1 (zh) 一种投影式钢琴指引系统及控制方法
JP4404820B2 (ja) 歌唱順位表示システム
JP2007264569A (ja) 検索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32413B2 (ja) 歌唱採点結果に応じた歌唱者画像合成表示システム
KR102087491B1 (ko) 반주기와 연결되는 악보영상출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보영상출력방법
JP2006276550A (ja) カラオケ演奏装置
JP4839967B2 (ja) 指導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304489A (ja) 楽曲練習支援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744182A (ja) 音楽再生装置
JP3974069B2 (ja) 合唱曲や重唱曲を処理するカラオケ演奏方法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CN110164242A (zh) 一种声乐演唱模拟训练平台
JP6037557B2 (ja) コラボレーション歌唱における歌唱動作事前報知システム
JP4382631B2 (ja) ハーモニー歌唱ガイドシステム
JP4161714B2 (ja) カラオケ装置
KR102524870B1 (ko) 미디 음악 기반의 안무 영상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