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696B1 -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 - Google Patents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696B1
KR100771696B1 KR1020060096025A KR20060096025A KR100771696B1 KR 100771696 B1 KR100771696 B1 KR 100771696B1 KR 1020060096025 A KR1020060096025 A KR 1020060096025A KR 20060096025 A KR20060096025 A KR 20060096025A KR 100771696 B1 KR100771696 B1 KR 10077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vulcanizing medium
medium
vulcanizing
lower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1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9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steam or dam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가류 고무 시편이 거치되는 하부폴더, 상기 하부폴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의 상단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폴더, 상기 상부폴더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상부가류매체공급부, 상기 하부폴더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하부가류매체공급부, 및 상기 하부폴더에 공급된 가류매체를 배출시키는 가류매체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제품양산과정에서 실험을 해야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생산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양산 중인 제품에 다수의 센서를 삽입하는 작업이 생략됨으로 그에 따른 작업과정이나 비용이 생략되며, 실험실에서 실험부위별로 용이하게 실험할 수 있음으로,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타이어, 가류도측정, 가류장치

Description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Device of cure press for laboratory t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미가류 고무 시편 10 : 하부폴더
20 : 상부폴더 22 : 공간부
30 : 상부가류매체공급부 40 : 하부가류매체공그부
42 : 물공급기 44 : 질소공급기
46 : 스팀공급기 50 : 가류매체배출부
52 : 재생기 54 : 배출기
56 : 진공기 60 : 개폐밸브
70 : 제어부
본 발명은 가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가류 고무 시편이 거치되는 하부폴더, 상기 하부폴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의 상단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폴더, 상기 상부폴더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상부가류매체공급부, 상기 하부폴더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하부가류매체공급부, 및 상기 하부폴더에 공급된 가류매체를 배출시키는 가류매체배출부를 구비하여 종래 제품양산과정에서 실험을 해야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생산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양산 중인 제품에 다수의 센서를 삽입하는 작업이 생략됨으로 그에 따른 작업과정이나 비용이 생략되며, 실험실에서 실험부위별로 용이하게 실험할 수 있음으로,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제조 공정에서 일정한 제원으로 배합·압출·성형 공정을 걸쳐 완성된 그린케이스는 가류공정에서 일정한 온도, 압력 및 시간에 의하여 가교반응이 발생되어 열경화성 탄성체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가류공정에서 일정 압력과 온도를 가진 가류 매체들의 공급량과 배출량이 일정한 단계를 거치면서 제어되는 것을 가류스텝이라 하며, 상기 가류스텝을 통해 타이어의 각부위의 가류된 정도를 측정하여 타이어 최적의 가류상태를 측정하게 되는 시험이다.
그러나, 상기 가류스텝 시험은 10 ~ 20개의 온도센서를 그린케이스에 삽입해야 되고, 별도의 시험장치가 없어 양산되는 그린케이스에 적용해야 됨으로 안전사고 발생율이 증가하며,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 발생율을 저하시키기 위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가류스텝 시험을 실시하였으나, 각 그린케이스 측정부위에 따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비용이 발생하여 작업비용이 증가되고, 실제값과 결과값이 현저한 차이가 있어 실물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미가류 고무 시편이 거치되는 하부폴더, 상기 하부폴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의 상단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폴더, 상기 상부폴더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상부가류매체공급부, 상기 하부폴더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하부가류매체공급부, 및 상기 하부폴더에 공급된 가류매체를 배출시키는 가류매체배출부를 구비하여 종래 제품양산과정에서 실험을 해야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생산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양산 중인 제품에 다수의 센서를 삽입하는 작업이 생략됨으로 그에 따른 작업과정이나 비용이 생략되며, 실험실에서 실험부위별로 용이하게 실험할 수 있음으로,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미가류 고무 시편이 거치되는 하부폴더, 상기 하부폴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의 상단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폴더, 상기 상부폴더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상부가류매체공급부, 상기 하부폴더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하부가류매체공급부, 및 상기 하부폴더에 공급된 가류매체를 배출시키는 가류매체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가류매체공급부는, 상기 하부폴더에 고압 및 저압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기, 상기 하부폴더에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기, 상기 하부폴더에 고압 및 저압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류매체배출부는, 상기 하부폴더에 공급된 가류매체를 재활용하는 재생기, 상기 하부폴더에 공급된 가류매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기, 상기 하부폴더와 상부폴더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세척하는 진공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가류매체공급부와 상기 하부가류매체공급부 및 상기 가류매체배출부를 각각 개폐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종래 제품양산과정에서 실험을 해야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생산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양산 중인 제품에 다수의 센서를 삽입하는 작업이 생략됨으로 그에 따른 작업과정이나 비용이 생략되며, 실험실에서 실험부위별로 용이하게 실험할 수 있음으로,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험실 가류 장치는 미가류 고무 시편(1)이 상측에 거치되는 하부폴더(1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폴더(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이 안착되는 공간부(22)가 형성된 상부폴더(2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폴더(20)의 내부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상부가류매체공급부(3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폴더(10)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하부가류매체공급부(40) 및 상기 하부폴더(10)에 공급된 가류매체를 배출시키는 가류매체배출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가류매체공급부(30)는 상기 상부폴더(20)에 고압 또는 저압의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을 상측에서 가류시키는 것이고, 상기 하부가류매체공급부(40)는 상기 하부폴더(10)에 고압 또는 저압의 물이나 스팀 및 질소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을 하측에서 가류시킴으로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을 전체적으로 가류 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루매체배출부(50)는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을 가류 시킨 가류매체를 외부로 재생, 배출시키고, 상기 상부폴더(20)의 공간부(22)를 진공으로 세척하는 것으로, 다음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가류매체공급부(40)는 고압 또는 저압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기(42)와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기(44) 및 고압 또는 저압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기(46)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에 하고자하는 시험에 맞는 가류매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가류 시킴으로 최적의 가류 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류매체배출부(50)는 재생기(52)와 배출기(54) 및 진공기(56)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재생기(52)는 상기 하부가류매체공급부(40)의 질소공급기(44)에서 공급된 질소를 재활용하기 위해 흡입하고, 상기 질소공급기(44)로 순환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기(54)는 상기 물공급기(42)와 스팀공급기(46)에서 공급된 물 또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고, 상기 진공기(56)는 상기 배출기(54)를 통하여 가류매체가 배출된 상기 상부폴더(20)의 공간부(22)를 진공상태로 세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가류매체공급부(30)와 하부가류매체공급부(40) 및 가류매체배출부(50)에는 각각의 개폐밸브(60)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밸브(60)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더 구비되어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실험실 가류 장치는 시험이 필요한 미가류 고무 시편(1)의 부분과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에 대응되는 공간부(22)를 형성한 상부폴더(20)와 하부폴더(10)를 준비한 후,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을 상기 하부폴더(10)의 상단부에 거치시키고, 상기 상부폴더(20)로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의 상부를 덮음으로 가류 시험준비가 완료된다.
상기 가류 시험준비가 완료된 후, 상기 상부폴더(20)와 하부폴더(10)에 가류매체를 공급하여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의 가류를 시작하게 되는데,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의 시험 요건에 맞도록 상기 상부가류매체공급부(30)에 의해 고압 또는 저압의 스팀을 상기 상부폴더(20)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류매체공급부(40)에 의해 상기 하부폴더(20)에 고압 또는 저압의 물이나 스팀 및 질소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되어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을 전반적으로 가류 시키게 된다.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1)이 가류 된 후, 가류매체배출부(50)에 의해 가류매체가 재생되거나 배출되고, 진공으로 세척됨으로 다음 가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가류 된 미가류 고무 시편(1)의 각 부위의 온도를 측정함으로 최적의 가류 조건을 찾는 가류 스텝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류매체공급부(30)와 하부가류매체공급부(40) 및 가류매체배출부(50)에는 각각의 개폐밸브(60)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밸브(60)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더 구비되어 자동제어됨으로 상기 가류 스텝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에 의하면, 종래 제품양산과정에서 실험을 해야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생산량을 저하시키지 않 고, 양산 중인 제품에 다수의 센서를 삽입하는 작업이 생략됨으로 그에 따른 작업과정이나 비용이 생략되며, 실험실에서 실험부위별로 용이하게 실험할 수 있음으로,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4)

  1. 미가류 고무 시편이 거치되는 하부폴더;
    상기 하부폴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가류 고무 시편의 상단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폴더;
    상기 상부폴더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상부가류매체공급부;
    상기 하부폴더에 가류매체를 공급하는 하부가류매체공급부; 및
    상기 하부폴더에 공급된 가류매체를 재생 및 배출시키는 가류매체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가류매체공급부는,
    상기 하부폴더에 고압 및 저압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기;
    상기 하부폴더에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기;
    상기 하부폴더에 고압 및 저압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류매체배출부는,
    상기 하부폴더에 공급된 가류매체를 재활용하는 재생기;
    상기 하부폴더에 공급된 가류매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기;
    상기 하부폴더와 상부폴더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세척하는 진공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류매체공급부와 상기 하부가류매체공급부 및 상기 가류매체배출부를 각각 개폐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
KR1020060096025A 2006-09-29 2006-09-29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 KR10077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025A KR100771696B1 (ko) 2006-09-29 2006-09-29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025A KR100771696B1 (ko) 2006-09-29 2006-09-29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696B1 true KR100771696B1 (ko) 2007-10-31

Family

ID=3881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025A KR100771696B1 (ko) 2006-09-29 2006-09-29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752A (zh) * 2021-12-23 2022-04-26 赛轮(沈阳)轮胎有限公司 一种全钢子午线轮胎硫化工序氮气介质硫化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554A (ko) * 1997-06-07 1999-01-15 남일 타이어의 복합 가류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24765A (ko) * 1997-09-08 1999-04-06 홍건희 타이어의 가스 가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554A (ko) * 1997-06-07 1999-01-15 남일 타이어의 복합 가류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24765A (ko) * 1997-09-08 1999-04-06 홍건희 타이어의 가스 가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752A (zh) * 2021-12-23 2022-04-26 赛轮(沈阳)轮胎有限公司 一种全钢子午线轮胎硫化工序氮气介质硫化方法
CN114393752B (zh) * 2021-12-23 2023-12-29 赛轮(沈阳)轮胎有限公司 一种全钢子午线轮胎硫化工序氮气介质硫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696B1 (ko) 실험실 타이어 가류 장치
US5486319A (en) Tire c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6048085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加硫方法および加硫システム
ATE274409T1 (de) Verfahren zum vulkanisieren eines reifens durch bestimmung seines vulkanisationsgrades
JP2008279720A (ja)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ユニットの予熱装置、タイヤ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04758242U (zh) 一种阀体自动检测装置
CN109297806B (zh) 一种具有径向轴向功能的半自动岩芯夹持器及其操作方法
KR100876437B1 (ko) 그린타이어의 가류장치와 가류방법
CN203606088U (zh) 一种试漏机封堵装置
EP3519172B1 (en) Method of detecting tire mold bladder leakage by smell
BRPI0520581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vulcanizar pneus pneumáticos
KR101299743B1 (ko) 실험실용 타이어 가류 측정 장치
KR20130026672A (ko) 그린 타이어 가황장치
KR100365299B1 (ko) 타이어용 가류브라더의 열원과 압력원 공급 방법 및 그 장치
KR100995661B1 (ko) 가류기 브라다의 내부온도 감지장치
KR101383107B1 (ko) 타이어의 가류방법
KR101358198B1 (ko) 타이어 가류기의 배관 가열장치
JP2016055528A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加硫方法
US111435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 testing green tire assembly enclosures
CN213766769U (zh) 一种可精准测温自控排气装置及轮胎模具
KR101126730B1 (ko) 타이어의 가류방법
CN203824716U (zh) 一次性手套孔洞检测装置
CN220409720U (zh) 自动排除硫化轮胎胶囊内部冷凝水的装置
JP6191339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加硫方法および加硫システム
CN203004173U (zh) 一种专用橡胶轮胎内胎局部硫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