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367B1 -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367B1
KR100770367B1 KR1020060039523A KR20060039523A KR100770367B1 KR 100770367 B1 KR100770367 B1 KR 100770367B1 KR 1020060039523 A KR1020060039523 A KR 1020060039523A KR 20060039523 A KR20060039523 A KR 20060039523A KR 100770367 B1 KR100770367 B1 KR 100770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rmentation
frame
packag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천일
Original Assignee
고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천일 filed Critical 고천일
Priority to KR1020060039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potato 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합통에 사료와 미생물과 부형재등을 적정한 비율로 투입하고, 히터에 의해 배합통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고 수분(물)을 공급하면서 일정한 시간 동안 교반장치에 의해 투입된 사료와 미생물및 부형재등을 교반시켜 투입된 사료와 미생물의 부형재등을 충분히 교반되고 숙성시켜 주며, 교반 및 숙성이 완료된 사료를 배출하여 포장장치에 의해 일정한 량(무게)만큼씩 포장용 포대에 담아 포장하도록 된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합통에 투입되는 사료를 사료함에 담아 자동투입장치에 의해 투입시켜 줌으로서 용이하고 정확한 량을 투입시킬 수 있고, 미생물은 투입되는 사료의 량에 적정량을 투입시키고 교반통의 내부를 숙성이 양호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켜 줌으로서 배합과 숙성능력 및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배합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에 복수 개의 교반날개를 상하 교대로 설치하여 줌으로서 교반 능력(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숙성사료를 배출시켜 자동개폐장치와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포장용기에 일정한 량씩 자동으로 충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발효배합장치부. 포장장치부. 이송스크루컨베이어. 발효배합통. 사료투입장치.

Description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A Fermentation - Mixing Apparatus of Livestock Feed}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의 전체를 보인 정면도 와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에서 발효배합장치부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에서 포장장치부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축사료발효배합장치 2: 발효배합장치부 3: 포장장치부
4: 이송스크루컨베이어 10: 발효배합장치틀 20: 발효배합통
30: 블로어 31: 라인히터 40: 메인워터공급관
43: 물통 50: 사료투입장치 51: 장치대
55: 감속모터 60: 리프트 64: 가이드롤러
70: 사료함 80: 포장장치틀 84: 보관호퍼
86: 받침틀 88: 이송컨베이어 90: 포장용기
본 발명은 가축사료에 미생물과 부형재등을 첨가하여 배합 및 발효시키는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배합통에 사료와 미생물 및 부형재등을 적정한 비율로 투입하고, 히터에 의해 배합통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고 수분(물)을 공급하면서 일정한 시간 동안 교반장치에 의해 투입된 사료와 유기물을 교반시켜 투입된 유기물이 충분히 교반되고 숙성시켜 주며, 교반 및 숙성이 완료된 사료를 배출하여 포장장치에 의해 일정한 량(무게)만큼씩 포장용 포대에 담아 포장하도록 된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과 유사한 종래의 사료배합(배합숙성)장치로서는 국내의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5-2984호와 공고번호 제20-1995-2985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0-335275호 및 특허등록 제10-269815호가 알려져 있다.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5-2984호와 공고번호 제20-1995-2985호의 "사료배합장치"는, 배합기체의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루봉을 설치하여 투입되는 사료를 배합하도록 하고, 배합기체의 일면 하측에 형성되어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의 외측에는 벨트컨베이어 또는 스크루컨베이어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사료를 다른 곳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사료를 배합시킬 때에 자전하는 스크루를 회전시켜 배합을 실 시하므로 배합능력이 떨어지고, 종류가 다른 사료를 단순히 배합기체의 내부에 투입하여 스크루봉을 단순하게 회전시켜 투입되는 사료들을 배합시켜 주므로 용이하고 고르게 배합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335275호의 "사료배합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사료와 각종 첨가제를 투입하여 스크루에 의해 배합시키고, 본체를 링크부재 도는 모터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사료를 배합시킬 때에는 본체를 바르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배합하고, 배출시킬 때에는 본체를 회전시켜 투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서 배합된 사료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사료를 배합시킬 때에 자전하는 스크루를 회전시켜 배합을 실시하므로 배합능력이 떨어지고, 종류가 다른 사료를 단순히 배합기체의 내부에 투입하여 스크루봉을 단순하게 회전시켜 투입되는 사료들을 배합시켜 주므로 용이하고 고르게 배합시킬 수 없으며, 중량체의 본체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등록 제10-269815호의 "사료배합숙성장치"는, 하우징(배합통)을 상하 이중으로 설치하되 상측 하우징의 배출구와 하측 하우징의 투입구를 연통시키고, 각 하우징의 내부에는 스크루봉을 설치하여 풀리와 벨트를 이용하여 각각 회전시키도록 하며, 상측 하우징의 투입구를 통해서는 사료와 당밀 및 액상의 원료를 투입하고, 하측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해서는 당밀과 액상원료가 배합된 사료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하우징을 상하로 배치하여 투입되는 사료와 다른 물질을 이중 으로 배합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사료를 배합시킬 때에 자전하는 스크루를 회전시켜 배합을 실시하므로 배합능력이 떨어지고, 종류가 다른 사료를 단순히 배합기체의 내부에 투입하여 스크루봉을 단순하게 회전시켜 투입되는 사료들을 배합시켜 주므로 용이하고 고르게 배합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사료(숙성)배합장치들은 사료를 단순하게 뒤집어 섞어주거나 다른 물질과 배합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제공되는 사료를 사육되는 동물에 적합하도록 숙성 자체를 실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합통에 사료와 미생물과 부형재를 적정한 비율로 투입하고, 히터에 의해 배합통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고 수분(물)을 공급하면서 일정한 시간 동안 교반장치에 의해 투입된 사료와 미생물 및 부형재를 교반시켜 투입된 대상물을 충분히 교반하고 숙성시켜 주며, 이때 호기성 발효를 유지시키기 위해 일정한 공기를 링블로어에서 공급을 시켜주며, 교반 및 숙성이 완료된 사료를 배출하여 포장장치에 의해 일정한 량(무게)만큼씩 포장용 포대에 담아 포장하도록 된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합통에 투입되는 사료를 사료함에 담아 자동투입장치에 의해 투입시켜 줌으로서 용이하고 정확한 량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미생물은 투입되는 사료의 량에 적정량을 투입시켜 줌으로서 배합과 숙성을 가장 활발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된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합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샤프트에 복수 개의 교반날개를 상하 교대로 설치하여 줌으로서 교반 능력(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교반통에는 히터장치와 수분(물)공급장치를 설치하여 교반통의 내부를 숙성이 양호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켜 용이하게 숙성시키고 숙성능력과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합 숙성된 숙성사료를 배합통에서 배출시켜 스크루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시켜 포장장치부의 보관호퍼에 투입시키고, 보관호퍼에 보관된 숙성사료를 자동개폐장치와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포장용기에 일정한 량(무게)씩 자동으로 충진시켜 줌으로서 충진과 포장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숙성사료가 충진된 포장용기를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다른 작업장소로 용이하게 이송시키도록 된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발효배합장치틀(10)에는 상부와 하부에 메인물투입구(21)와 배출구(35)가 형성된 발효배합통(20)을 설치하되, 발효배합통(2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교반날개(24)가 장착된 샤프트(23)를 양면의 지지뭉치(25)에 의해 자유스럽게 회전되고 외부의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발효배합통(20)이 설치된 받침틀(11)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주는 발효배합장치틀(10)과;
발효배합통(20)의 사프트(23)에 상하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교반날개(24)와;
발효배합통(20)의 상면에 형성된 메인물투입구(21)의 커버(21-1)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장치(18) 및 발효배합통(20)의 외면에 설치되어 커버(22-1)에 의해 개폐되는 보조물투입구(22)와;
발효배합통(20)의 외면에 설치되어 발효배합통(20)을 일정한 온도로 가온시켜 주는 트레이시히터(20-1)와;
발효배합통(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열풍을 발효배합통(20)의 내부로 공급시키는 열풍공급장치와;
발효배합통(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분을 발효배합통(20)의 내부에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와;
받침틀(11)에 의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발효배합장치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료가 담아진 사료함(3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담아진 사료를 메인물투입구(21)를 통해 발효배합통(20)에 투입시켜 주도록 된 사료투입장치(50)와;
발효배합통(20)의 하측 배출구(35)의 하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발효사료를 포장장치부(3)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루컨베이어(4)와;
이송스크루컨베이어(4)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발효사료를 포장장치틀(8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는 보관호퍼(84)에 보관하고, 보관호퍼(84)에 보관된 발효사료를 일정한 량만큼씩 포장용기(90)에 배출시켜 주는 포장장치부(3)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발효배합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발효배합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발효배합장치(1)의 전체를 보인 정면도 와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치에서 발효배합장치부(2)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서 포장장치부(3)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발효배합장치(1)는, 일정한 온열상태로 유지되는 배합통에 투입되는 사료와 유기물을 투입하고 열풍과 수분을 공급하면서 배합시켜 주는 발효배합장치부(2)와, 발효배합장치부(2)에서 배합 발효되어 배출되는 발효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컨베이어(4)와, 이송스크루컨베이어(4)를 통해 공급되는 발효사료를 일정한 량(무게)만큼씩 배출하여 포장용 포대에 담아 포장하는 포장장치부(3)로 크게 분할 형성하였다.
투입되는 사료와 유기물을 배합시켜 주는 발효배합장치부(2)는 도 2a 내지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발효배합통(20)을 장치틀(10)에 설치하되, 장치틀(10)은 받침판(12)의 저면에 복수 개의 다리(13)가 장착 고정된 받침틀(11)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켰고, 각 다리의 하단 일면에는 지지판(14)을 고정시켜 받침단봉(17)이 장착된 지지편(15)을 고정볼트(16)에 의해 고정시키되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장치틀(10)에 설치된 발효배합통(20)의 밑면에는 트레이시히터(20-1)를 설치하여 발효배합통(20)을 일정한 온도로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발효배합통(20)의 상면에는 메인물투입구(21)를 형성하여 커버(21-1)를 축(21-2)으로 설치하되 상기 커버(21-1)를 지지대(19)에 의해 지지되는 개폐장치(18)와 연결하여 메인물투입구(2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발효배합통(20)의 측면에는 보조물투입구(22)를 형성하여 커버(22-1)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일 측면의 하단부에는 배출구(35)를 형성하여 배출커버(35-1)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발효배합통(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열풍을 발효배합통(20)의 내부로 공급시키는 열풍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발효배합통(20)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열풍가지관(34)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통되게 설치하여 열풍분배관(33)으로 연결하였고, 열풍분배관(33)에는 라인히터(31)의 배출구와 연통된 메인열풍공급관(32)과 연결하였으며, 블로우(30)의 분사관(30-1)을 라인히터(31)의 공급구와 연통되게 연결하였다.
발효배합통(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분을 발효배합통(20)의 내부에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는, 발효배합통(20)의 상측부에 복수 개의 급수가지관(41)을 등 간격으로 연통되게 설치하여 메인급수관(40)과 연통되게 연결하였고, 메인급수관(40) 은 급수펌프(44)를 통하여 물통(43)에 설치된 급수관(42)과 연통되게 연결하였다.
사료가 담아진 사료함(3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담아진 사료를 메인물투입구(21)를 통해 발효배합통(20)에 투입시켜 주도록 된 사료투입장치(5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발효배합통(20)의 상면에 형성된 메인물투입구(21)가 개방되는 장치틀(10)의 일면(전면)에는 한 쌍의 장치대(51)를 받침판(54) 위에 나란하게 수직으로 설치하였고, 각 장치틀(10)의 대향면(내면)의 상단과 하단에 상단스프로킷(56)과 하단스프로킷(57)을 장착하여 연결편(59)에 의해 단부가 연결되는 체인(58)을 걸어 설치하되 일측의 하단스프로킷(57)에는 감속모터(55)를 설치하였다.
체인(58)의 사이에는 사료함(70)을 착탈할 수 있도록 된 리프트(60)를 장착하였고, 각 장치틀(10)의 대향면에는 직선레일(52)을 하단에서 상단부까지 형성하고 직선레일(52)의 상단부에는 곡선레일(53)을 메인물투입구(21)측으로 형성하였으며, 리프트(60)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지지롤러(62)(63)와 하나의 가이드롤러(64)를 장착하여 직선레일(52)과 곡선가이드레일(53)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하였다.
상기 리프트(60)에 장착되어 사료함(70)을 착탈할 수 있도록 된 착탈수단은, 리프트(60)의 양 측면 외측에 지지관(65)을 고정시켰고, 지지관(65)에는 억류편(68)이 상단에 일체로 된 지지봉(67)을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지관(65)에 볼트(66)를 체결하여 지지봉(67)을 억류시키도록 하였다.
발효배합통(20)에 형성된 배출구(35)의 하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발효사료를 포장장치부(3)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루컨베이어(4)는 도 3a 내지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 상측에 공급틀(37)을 연통되게 형성하여 받이호퍼(36)를 장착하였고, 하단면으로 돌출되는 축봉에는 스프로킷(4-3)을 장착하여 감속모터(4-1)의 회전축에 장착된 스프로킷(4-2)과는 체인(4-4)으로 연결하였으며, 이송스크루컨베이어(4)의 하단부는 받침대(89)에 의해 받쳐 지지하였고 상단부는 지지대(89-1)에 의해 포장장치부(3)의 포장장치틀(80)에 고정하였다.
보관호퍼(84)에 보관된 발효사료를 일정한 량만큼씩 포장용기(90)에 배출시켜 주는 포장장치부(3)는 도 3a 내지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일측에 계단(82)이 설치된 포장장치틀(80)의 내부에는 하단 배출구에 자동계폐장치(85)가 장착된 보관호퍼(84)를 설치하되, 보관호퍼(84)의 상단이 받침판(8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였고, 받침판(81)의 가장자리와 계단(82)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난간(83)을 설치하였으며, 자동계폐장치(85)의 하측에는 전자저울(87)과 이송컨베이어(88) 및 컨트롤판넬(89)이 장착된 받침틀(86)을 설치하였으며, 자동계폐장치(85)의 하측에서 받침틀(86)의 상면에는 포장용기(80)를 안치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발효배합장치(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발효배합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발효배합장치부(2)의 발효배합통(20)에 사료와 유기물을 투입시켜 주어야 하는데, 사료는 사료투입장치(50)를 이용하여 투입시키고, 유기물은 보조물투입구(22)를 통하여 투입시켜준다.
사료투입장치(50)를 이용하여 발효배합통(20)에 사료를 투입시키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메인컨트롤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개폐장치(18)를 작동시켜 메인물투입구(21)의 커버(21-1)를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방시킨다.
착탈장치의 볼트(66)를 풀어 지지봉(67)을 자유스럽게 하고, 일정 량의 사료가 충진된 사료함(70)을 이동시켜 리프트(60)의 받침편(61) 위에 안치시키며, 지지봉(67)의 상단에 형성된 억류편(68)을 사료함(70)의 상면에 걸어준 상태에서 풀어 놓은 볼트(66)를 체결하여 지지봉(67)을 고정시켜 줌으로서 사료함(70)을 억류시킨다.
사료투입장치(5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감속모터(55)가 작동하여 하단스프로킷(57)을 회전시키게 되고, 하단스프로킷(57)이 회전하면 상단스프로킷(56)과 함께 걸어진 체인(58)은 도 2c에서 보아 반 시계방향으로 공전하게 되며, 체인(58)이 공전하게 되면 체인(58)에 장착된 리프트(60)와 함께 사료함(70)이 상승하게 된다.
리프트(60)가 상승하게 되면 리프트(60)의 양 측면에 장착된 지지롤러(62)(63)와 가이드롤러(64)가 롤링되면서 대향된 양측 장치대(51)의 직선가이드레일(52)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가이드롤러(64)가 직선가이드레일(52)의 상단을 벗어나 가이드곡선레일(53)로 인입되면 리프트(60)와 함께 사료함(70)은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향이 메인물투입구(21)측으로 전환되어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롤러(64)가 가이드곡선(53)의 선단까지 완전히 이동하면 감속모터(55)의 작동은 정지되고, 리프트(60)와 함께 사료함(70)은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숙여지게 되며, 리프트(60)와 함께 사료함(70)은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숙여지면 사료함(70)의 뚜껑(71)은 축(72)을 기준으로 개방되며, 뚜껑(71)이 개방되면 사료함(70)에 충진된 사료가 개방된 메인물투입구(21)를 통하여 발효배합통(20)의 내부로 투입된다.
사료함(70)에 충진된 사료가 발효배합통(20)의 내부로 완전히 투입되면 사료투이장치(50)의 감속모터(55)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역으로 작동시켜 감속모터(55)를 역으로 작동시키고, 감속모터(55)가 역으로 작동되면 체인(58)이 역으로 작동되면서 리프트(60) 및 사료함(70)을 후진 및 하향시키게 된다.
체인(58)이 역으로 작동하면 가이드롤러(64)가 가이드곡선레일(53)을 따라 후진하게 되므로 리프트(60)와 사료함(70)도 함께 후진하게 되고, 이어서 가이드롤러(64)와 지지롤러(62)(63)들이 직선가이드레일(52)을 따라 하향하게 되므로 리프트(60)와 사료함(70)도 함께 하향하게 되며, 리프트(60)의 받침편(61)이 받침판(54)의 위에 얹혀지면 감속모터(55)의 작동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사료함(70)들에 충진된 사료의 일정량을 발효배합통(20)의 내부에 충진시킨다.
일정량의 사료를 발효배합통(20)의 내부에 충진시킨 상태에서 보조물투입구(22)를 통해서는 보조물 즉, 유기물을 투입된 사료와 비례하여 투입시킨다.
사료와 유기물을 적정 비율로 발효배합통(20)의 내부에 충진시킨 상태에서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들을 조작하여 트레이스히터(20-1)를 작동시키고, 발효배합장치부(2)의 감속모터(26)를 작동시켜 교반날개(24)를 회전시키며, 열풍공급장치인 블로어(30)와 라인히터(31)를 작동시켜 열풍을 공급하며, 수분공급장치인 금수펌프(44)를 가동시켜 수분을 공급한다.
감속모터(26)가 작동하게 되면 기동스프로킷(27)이 회전하면서 체인(29)으로 연결된 연동스프로킷(28)을 회전시키게 되고, 연동시프로킷(28)이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230가 회전하면서 지지봉(24-1)으로 연결된 교반날개(24)을 회전이동(공전)시켜 충진된 사료와 유기물을 저어 배합시켜준다.
감속모터(26)의 작동에 의해 교반날개(24)가 회전되면서 충진된 사료와 유기물을 저어 배합시켜 주기 시작함과 동시에 트레이스히터(20-1)가 작동하게 되면, 발효배합통(20)은 트레이스히터(20-1)에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가온 되고, 발효배합통(20)이 이미 설정된 온도 이상을 상승하면 트레이스히터(20-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재 가동시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트레이스히터(20-1)에 의해 일정한 온도(가온)를 유지하고 감속모터(26)의 작동에 의해 교반날개(24)가 회전하여 발효배합통(20)에 충진된 사료와 유기물을 혼합(배합)시키는 상태에서, 열풍공급장치인 블로어(30)와 라인히터(31)를 작동시켜 열풍을 공급하고, 수분공급장치인 금수펌프(44)를 가동시켜 수분을 공급한다.
블로어(30)가 작동하게 되면 바람은 분사관(30-1)을 통해 라인히터(31)로 공급(분사)되고, 라인히터(31)로 공급되는 바람은 라인히터(3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여 열풍으로 변환되며, 변환된 열풍은 메인열풍공급관(32)과 열풍분배관(33) 및 각 열풍가지관(34)을 통하여 발효배합통(20)의 내부로 분사된다.
또한 수분공급장치의 급수펌프(44)가 작동하게 되면 물통(43)에 충진된 물은 금수관(42)과 메인급수관(40) 및 각 급수가지관(41)을 통하여 발효배합통(20)의 내부로 급수(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블로어(30)와 라인히터(31) 및 급수펌프(44)를 작동시켜 열풍과 수분(물)을 발효배합통(20)의 내부로 분사 및 공급시키는 상태에서, 트레이스히터(20-1)에 의해 발효배합통(20)를 일정한 온도(가온)로 유지시키고, 감속모터(26)의 작동에 의해 교반날개(24)를 회전시켜 충진된 사료와 유기물을 혼합(배합)시키면, 발효배합통(20)의 내부를 숙성이 양호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켜 유기물을 용이하고 활발하게 숙성(증식)시킬 수 있으며, 증식(숙성)되는 유기물을 고르게 배합(교반)시킬 수 있게 된다.
배합(교반) 및 숙성이 완료된 숙성사료는 배출구(35)를 통해 이송스크루컨베이어(4)의 하단에 설치된 받이호퍼(36)로 배출시키고, 받이호퍼(36)로 배출되는 숙성사료는 공급틀(37)에서 스크루컨베이어(4)로 유입된다.
스크루컨베이어(4)는 감속모터(4-1)의 작동에 의해 스프로킷(4-2)이 회전하고 체인(4-4)으로 연결된 스프로킷(4-3)이 회전하게 되므로 스크루봉이 회전하게 되며, 스크루봉이 회전하게 되면 공급틀(37)을 통하여 공급되는 숙성사료는 회전하는 스크루봉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단의 배출구를 통해 포장장치부(3)의 보관호퍼(84)로 낙하하여 보관된다.
포장장치부(3)의 보관호퍼(84)에 숙성사료가 충진되면 컨트롤판넬(89)의 스 위치를 조작하여 자동개폐장치(85)와 전자저울(87)을 작동시킨다.
자동개폐장치(85)의 배출구 하측에서 전자저울(87)의 위에 포장용기(90)를 안치한 상태에서 자동개폐장치(85)를 개방 작동시켜 숙성사료를 배출시키고, 배출되는 숙성사료는 포장용기(90)에 충진되면서 그 중량이 전자저울(87)에 의해 달아지며, 포장용기(90)에 담아지는 숙성사료의 중량이 기히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컨트롤판넬(89)의 컨트롤부는 자동개폐장치(85)의 작동(개방)을 정지시켜 폐쇄시킨다.
자동개폐장치(85)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숙성사료가 충진된 포장용기(90)를 이송컨베이어(88)를 따라 차기공정으로 이동시키고, 새로운 포장용기(90)를 자동개폐장치(85)의 하측에서 전자저울(87)의 위에 안치시킨 후에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실시한다.
포장장치부(3)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보관호퍼(84)에 충진 보관된 숙성사료를 각 포장용기(90)에 일정한 량(중량)만큼씩 충진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발효배합장치(1)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자동(AUTO)으로 실시하거나, 또는 각 공정을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는 수동(MANUAL)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하여만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 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는, 배합통에 사료와 유기물 및 미생물, 부형재를 적정한 비율로 투입하고, 히터에 의해 배합통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고 수분(물)을 공급하면서 일정한 시간 동안 교반장치에 의해 투입된 사료와 유기물을 교반시켜 투입된 유기물이 충분히 교반되고 숙성시켜 주며, 교반 및 숙성이 완료된 사료를 배출하여 포장장치에 의해 일정한 량(무게)만큼씩 포장용 포대에 담아 포장하도록 된 것으로서, 배합통에 투입되는 사료를 사료함에 담아 자동투입장치에 의해 투입시켜 줌으로서 용이하고 정확한 량을 투입시킬 수 있고, 미생물은 투입되는 사료의 량에 적정량을 투입시켜 줌으로서 배합과 숙성을 가장 활발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배합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샤프트에 복수 개의 교반날개를 상하 교대로 설치하여 줌으로서 교반 능력(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교반통에는 히터장치와 수분(물)공급장치를 설치하여 교반통의 내부를 숙성이 양호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켜 용이하게 숙성시키고 숙성능력과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합 숙성된 숙성사료를 배합통에서 배출시켜 스크루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시켜 포장장치부의 보관호퍼에 투입시키고, 보관호퍼에 보관된 숙성사료를 자동개폐장치와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포장용기에 일정한 량(무게)씩 자동으로 충진시켜 줌으로서 충진과 포장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숙성사료가 충진 된 포장용기를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다른 작업장소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발효배합장치틀(10)에는 상부와 하부에 메인물투입구(21)와 배출구(35)가 형성된 발효배합통(20)을 설치하되, 발효배합통(2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교반날개(24)가 장착된 샤프트(23)를 양면의 지지뭉치(25)에 의해 자유스럽게 회전되고 외부의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발효배합통(20)이 설치된 받침틀(11)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주는 발효배합장치틀(10)과;
    발효배합통(20)의 사프트(23)에 상하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교반날개(24)와;
    발효배합통(20)의 상면에 형성된 메인물투입구(21)의 커버(21-1)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장치(18) 및 발효배합통(20)의 외면에 설치되어 커버(22-1)에 의해 개폐되는 보조물투입구(22)와;
    발효배합통(20)의 외면에 설치되어 발효배합통(20)을 일정한 온도로 가온시켜 주는 트레이시히터(20-1)와;
    발효배합통(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열풍을 발효배합통(20)의 내부로 공급시키는 열풍공급장치와;
    발효배합통(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분을 발효배합통(20)의 내부에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와;
    받침틀(11)에 의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발효배합장치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료가 담아진 사료함(3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담아진 사료를 메인물투입구(21)를 통해 발효배합통(20)에 투입시켜 주도록 된 사료투입장치(50)와;
    발효배합통(20)의 하측 배출구(35)의 하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발효사료를 포장장치부(3)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루컨베이어(4)와;
    이송스크루컨베이어(4)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발효사료를 포장장치틀(8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는 보관호퍼(84)에 보관하고, 보관호퍼(84)에 보관된 발효사료를 일정한 량만큼씩 포장용기(90)에 배출시켜 주는 포장장치부(3)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효배합통(2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시키는 열풍공급장치는;
    발효배합통(20)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열풍가지관(34)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통되게 설치하여 열풍분배관(33)으로 연결한 것과;
    열풍분배관(33)에는 라인히터(31)의 배출구와 연통된 메인열풍공급관(32)과 연결한 것과;
    블로우(30)의 분사관(30-1)을 라인히터(31)의 공급구와 연통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효배합통(20)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는;
    발효배합통(20)의 상측부에 복수 개의 급수가지관(41)을 등 간격으로 연통되 게 설치하여 메인급수관(40)과 연통되게 연결한 것과;
    메인급수관(40)은 급수펌프(44)를 통하여 물통(43)에 설치된 급수관(42)과 연통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사료가 담아진 사료함(30)을 상하로 이동시켜 사료를 발효배합통(20)에 투입시켜 주는 사료투입장치(50)는;
    발효배합통(20)의 상면에 형성된 메인물투입구(21)가 개방되는 장치틀(10)의 일면에는 한 쌍의 장치대(51)를 받침판(54) 위에 나란하게 수직으로 설치한 것과;
    각 장치틀(10)의 대향면의 상단과 하단에 상단스프로킷(56)과 하단스프로킷(57)을 장착하여 연결편(59)에 의해 단부가 연결되는 체인(58)을 걸어 설치한 것과;
    일측의 하단스프로킷(57)에는 감속모터(55)를 설치한 것과;
    체인(58)의 사이에는 사료함(70)을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할 수 있도록 된 리프트(60)를 장착한 것과;
    각 장치틀(10)의 대향면에는 직선레일(52)을 하단에서 상단부까지 형성하고 직선레일(52)의 상단부에는 곡선레일(53)을 메인물투입구(21)측으로 형성한 것과;
    리프트(60)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지지롤러(62)(63)와 하나의 가이드롤러(64)를 장착하여 직선레일(52)과 곡선가이드레일(53)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효배합통(20)의 배출구(35)에서 배출되는 발효사료를 포장장치부(3)에 공급하는 이송스크루컨베이어(4)는;
    하단부 상측에 공급틀(37)을 연통되게 형성하여 받이호퍼(36)를 장착하고, 하단면으로 돌출되는 축봉에는 스프로킷(4-3)을 장착하여 감속모터(4-1)의 회전축에 장착된 스프로킷(4-2)과는 체인(4-4)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관호퍼(84)에 보관된 발효사료를 일정한 량만큼씩 배출시켜 포장하는 포장장치부(3)는;
    계단(82)이 일측에 설치된 포장장치틀(80)의 내부에는 하단 배출구에 자동계폐장치(85)가 장착된 보관호퍼(84)를 설치하되, 보관호퍼(84)의 상단이 받침판(8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것과;
    받침판(81)의 가장자리와 계단(82)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난간(83)을 설치한 것과;
    자동계폐장치(85)의 하측에는 전자저울(87)과 이송컨베이어(88) 및 컨트롤판넬(89)이 장착된 받침틀(86)을 설치한 것과;
    자동계폐장치(85)의 하측에서 받침틀(86)의 상면에는 포장용기(80)를 안치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리프트(60)에 장착되어 사료함(70)을 착탈하는 착탈수단은;
    리프트(60)의 양 측면 외측에 지지관(65)을 고정시키고, 지지관(65)에는 상단에 억류편(68)이 일체로 된 지지봉(67)을 삽입하며, 지지관(65)에 볼트(66)를 체결하여 지지봉(67)을 억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KR1020060039523A 2006-05-02 2006-05-02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KR10077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523A KR100770367B1 (ko) 2006-05-02 2006-05-02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523A KR100770367B1 (ko) 2006-05-02 2006-05-02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367B1 true KR100770367B1 (ko) 2007-10-26

Family

ID=3881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523A KR100770367B1 (ko) 2006-05-02 2006-05-02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3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227B1 (ko) * 2008-12-19 2009-05-18 오헌식 사료 발효제조기에서 원료의 자동공급장치
KR20150128271A (ko) 2014-05-09 2015-11-18 김중관 발효 사료 제조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 사료 제조 라인
KR20160006895A (ko) * 2014-07-09 2016-01-20 주식회사 린도 버킷엘리베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제조장치
KR101614759B1 (ko) * 2015-10-23 2016-04-22 김영남 사료 제조 시스템
KR20210054235A (ko) 2019-11-05 2021-05-13 박상훈 배합사료 제조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합사료 제조 라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650A (ja) * 1991-10-14 1993-04-27 Kawasaki Steel Corp 飼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90401A (ja) 1997-09-24 1999-04-06 Daikei Ri 食品廃棄物の移動式回収兼発酵装置
KR20000003166A (ko) * 1998-06-26 2000-01-15 하재성 음식물 쓰레기와 도축(屠畜)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및 발효장치
KR20000031445A (ko) * 1998-11-06 2000-06-05 김명웅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습식 사료 제조 방법및 장치
KR20020027087A (ko) * 2000-10-06 2002-04-13 변기원 멸균 및 발효 사료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650A (ja) * 1991-10-14 1993-04-27 Kawasaki Steel Corp 飼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90401A (ja) 1997-09-24 1999-04-06 Daikei Ri 食品廃棄物の移動式回収兼発酵装置
KR20000003166A (ko) * 1998-06-26 2000-01-15 하재성 음식물 쓰레기와 도축(屠畜)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및 발효장치
KR20000031445A (ko) * 1998-11-06 2000-06-05 김명웅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습식 사료 제조 방법및 장치
KR20020027087A (ko) * 2000-10-06 2002-04-13 변기원 멸균 및 발효 사료 제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227B1 (ko) * 2008-12-19 2009-05-18 오헌식 사료 발효제조기에서 원료의 자동공급장치
KR20150128271A (ko) 2014-05-09 2015-11-18 김중관 발효 사료 제조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 사료 제조 라인
KR101658889B1 (ko) * 2014-05-09 2016-09-22 김중관 발효 사료 제조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 사료 제조 라인
KR20160006895A (ko) * 2014-07-09 2016-01-20 주식회사 린도 버킷엘리베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제조장치
KR101599770B1 (ko) * 2014-07-09 2016-03-07 주식회사 린도 버킷엘리베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제조장치
KR101614759B1 (ko) * 2015-10-23 2016-04-22 김영남 사료 제조 시스템
KR20210054235A (ko) 2019-11-05 2021-05-13 박상훈 배합사료 제조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합사료 제조 라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367B1 (ko) 가축사료 발효배합장치
CN108160238A (zh) 一种园林养护用土壤修复处理装置
WO2008014369A2 (en) Vertical composter with leachate retention system
KR20160043313A (ko) 원통형 수평 교반 발효조
CN110407147A (zh) 一种百香果果汁灌装机构
CN208604034U (zh) 一种自动混料弧形加热管厨余垃圾生物降解窑
JP3604954B2 (ja) 有機固形廃棄物の好気発酵方法とその装置
CN210869116U (zh) 一种无土栽培用培养基质配料装置
CN216998124U (zh) 一种便于加料的畜禽粪便堆肥加工用混料装置
CN214178354U (zh) 一种食用菌菌包的一体化制作设备
CN211864655U (zh) 一种2-氰基-4-硝基苯胺生产用混合装置
CN115646240A (zh) 一种青稞酒酿造用原材搅拌设备
CN215050059U (zh) 一种智能化集成摊晾设备
CN214206832U (zh) 一种水产品养殖用饲料投放装置
CN208177344U (zh) 一种便于送料的物料搅拌装置
CN209968219U (zh) 餐厨双轴搅拌发酵器
CN112293163A (zh) 一种食用菌菌包的一体化制作设备
CN213050204U (zh) 一种养殖用饲料调配混合装置
CN218981312U (zh) 一种饲料搅拌机
KR101078299B1 (ko) 다수의 발효배합기를 구비하는 대용량 퇴비 및 사료 제조장치
CN204529842U (zh) 一种有机物料腐熟剂生产设备
CN217910002U (zh) 一种农业用化肥搅拌机
CN214566287U (zh) 一种鸡粪有机肥颗粒料保温杀菌包装装置
CN211407219U (zh) 一种传送带式饲料配送装置
CN109317034A (zh) 一种用于喜树种植中营养液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