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259B1 -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 Google Patents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259B1
KR100769259B1 KR1020060126132A KR20060126132A KR100769259B1 KR 100769259 B1 KR100769259 B1 KR 100769259B1 KR 1020060126132 A KR1020060126132 A KR 1020060126132A KR 20060126132 A KR20060126132 A KR 20060126132A KR 100769259 B1 KR100769259 B1 KR 10076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ist
medical supplies
waist pac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영
Original Assignee
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영 filed Critical 강재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몸체의 양단에 클립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이면에는 다수의 고정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허리를 지지함과 동시에 부목으로 사용가능한 지지부재가 개폐구를 통해 상기 수납 공간에는 수납되는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이 개시된다.
가방, 팩, 휴대, 허리, 의약품, 지지대, 허리 통증

Description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PACK FOR RECEIVING MEDICAL SUPPLIES}
도 1은 본 발명의 허리 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특히 팔꿈치에 골절이 발생한 경우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140)를 적용한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허리 팩을 가방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에 이용되는 지지블록과 보조블록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5의 제 1 및 제 2 지지블록으로 구성되는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가 허리 지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5의 제 1 및 제 2 지지블록으로 구성되는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가 부목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허리를 보호함과 동시에 비상시 부목으로 적용할 수 있는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가 수납된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운동경기에 있어서 의료진이 몸에 착용하는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은 이면에 고정 포켓(pocket)이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양단에는 클립이 길이 조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허리 팩의 고정 포켓에는 다수의 의료용품이 수납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종류와 양이 많아 중량이 커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허리 팩을 착용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장시간 착용에 의해 허리 통증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산이나 운동중에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골절부위에 부목을 대고 테이프로 단단하게 고정하여 골절부위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사용되는 부목은 골절부위에 따라 일자형이거나 절곡된 형태일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비할 수 있도록 별도로 수납해야 한다. 그러나, 별도로 수납하는 관계로 부목을 일일이 챙기지 못한 경우, 또는 의료진의 움직임이 잦고 경미한 부상으로 치료하는 중 급박하게 부목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 부목을 준비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골절에 심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 팩의 장시간 착용에도 착용자가 허리 통증을 느 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시 부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기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몸체의 양단에 클립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이면에는 다수의 고정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허리를 지지함과 동시에 부목으로 사용가능한 지지부재가 개폐구를 통해 상기 수납 공간에는 수납되는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재는 일렬로 인접 분리하여 배치되는 육면체 형상의 지지블록과, 상기 배치된 지지블록들이 접착되어 고정되는 연결 스트립(strip)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서 절곡이 생길 때, 상기 절곡에 의한 공간을 채우는 보조블록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블록은 상기 배치된 지지블록의 양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다른 예로, 상기 지지부재는, 육면체 형상으로 대향하는 좌우측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지지블록;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제 1 지지블록의 관통공에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 2 지지블록; 및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블록의 관통공에 끼워져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을 일렬로 고정하는 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블록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경사면이 짝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충격 완충부재가 배열되며, 일 예로 에어 쿠션 블록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이 약품수납용 가방의 외측면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클립을 개재하여 상기 가방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의료용품 수납유닛이 개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허리 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허리 팩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몸체(100)로 구성된다. 몸체(100)는, 예를 들어, 나이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단에는 클립(130, 132)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몸체(100)의 이면에는 다수의 고정 포켓(110)이 형성되고, 몸체(100)의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지퍼(102)를 통하여 후술하는 지지부재가 수납된다. 고정 포켓(110)에는 다양한 종류의 의료용품이 수납된다. 또한, 고정 포켓(110)에 더하여 착탈 가능한 포켓이 몸체(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퍼(102)가 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지퍼(102)는 몸체(100)의 전면과 이면의 경계인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 퍼(102) 대신 다른 수단, 예를 들어, 벨크로 테이프나 버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몸체(100)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에어 쿠션 블록(air cushion block; 120)이 배열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에어 쿠션 블록(120) 대신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른 재질의 충격완충부재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는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가 수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140)는 일렬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지지블록(144)과, 지지블록들(144)이 일렬로 배치되도록 접착되어 고정되는 연결 스트립(strip; 142)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연결 스트립(142)은 천 부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블록(144)은 아크릴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지지블록(144)은 접착제를 개재하여 연결 스트립(142)에 접착된다.
지지블록(144)과 연결 스트립(142)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블록(144)으로 목재가 이용되거나 연결 스트립(142)으로 가죽이나 기타 유연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지지블록(144)은, 예를 들어, 가로와 세로가 각각 4㎝일 수 있으며, 허리 사 이즈에 따라 연결 스트립(142)에 접착되는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보조블록(도 3의 146)이 배열된 지지블록(144)의 양단에 추가로 더 접착될 수 있다. 보조블록의 용도는 후술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허리 팩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착용자는 각종 의료용품을 고정 포켓(110)이나 착탈 가능한 포켓에 수납한 상태에서 클립(130, 132)을 이용하여 자신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길이를 조절한다.
이어, 지퍼(102)를 열고,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140)를 일자로 펴서 넣고 지퍼(102)를 닫는다.
이 상태에서, 클립(130, 132)을 서로 체결하여 착용하면, 일렬로 배치된 에어 쿠션 블록(120)이 허리 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단단한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140)가 허리 부분을 강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허리 팩을 오래 착용함에도 허리 통증을 느끼지 않으며, 오히려 허리가 약한 경우 허리를 바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상태에서 등산을 하더라도 움직임에 따른 허리 팩의 중량을 충분히 커버함으로써 허리에 큰 무리를 주지 않는다.
한편, 골절 환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수납된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140)를 꺼내어 골절 부위에 대고 테이프나 붕대로 감아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특히 팔꿈치에 골절이 발생한 경우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140)를 적용한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140)의 원하는 위치를 절곡하여 팔(10)을 연결 스트립(142) 위에 놓는다. 이때, 서로 인접하여 분리된 지지블록(144) 간에 공간이 발생하며, 이 공간에 보조블록(146)을 끼워 절곡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블록(146)은 배열된 지지블록(144)의 양단에 접착되고, 필요시 떼어내어 사용한 후, 다시 원래 위치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이어, 붕대 또는 테이프(20)를 이용하여 팔(10)과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140)를 한꺼번에 감아 골절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허리 팩을 가방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허리 팩을 착용하지 않고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의 몸체(100)가 약품수납용 가방(200)의 외측면을 감은 상태에서 클립(130, 132)을 이용하여 가방(2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허리 팩을 착용하지 않고도 가방과 함께 일체로 소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가방에 많은 양의 내용물이 수납된 경우, 허리 팩을 용이하게 가방과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에 이용되는 지지블록과 보조블록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5a는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의 제 1 지지블록(210)을 나타내는데, 상기한 지지블록(144)과 대략 같은 사이즈를 가지며, 대향하는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211, 212, 213, 214)이 형성된다.
도 5b는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의 제 2 지지블록(210a)을 나타내는데, 제 1 지지블록(210)과 같이 대향하는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6과 7은 각각 도 5의 제 1 및 제 2 지지블록으로 구성되는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200)가 허리 지지용과 부목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제 1 지지블록(210)과 적어도 2개의 제 2 지지블록(210a)이 일렬로 정렬되어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210)를 구성한다. 이때, 제 2 지지블록(210a)은 경사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211)에 줄(300)을 끼워 계속 진행하면 줄이 반대측으로 튀어나오며, 다시 반대측에서 관통공(211)에 인접하는 관통공(212)에 줄을 끼우고 계속 진행하면 일측의 관통공(212)으로 튀어나온다. 마찬가지로, 관통공(213)으로 줄(302)을 끼우고 반대측에서 관통공(214)으로 그 줄(302)을 다시 끼워 일측의 관통공(214)으로 줄(302)이 튀어나오게 한다.
이어, 관통공(211)과 관통공(212)로부터 튀어나온 줄(300)과 관통공(213)과 관통공(214)로부터 튀어나온 줄(302)을 각각 서로 묶어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지지블록(210, 210a)은 줄(300, 302)에 의해 서로 인접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210)는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수납된다.
상기 예에서, 관통공의 개수와 크기는 제한이 없으며, 하나의 관통공에 하나 줄을 별도로 끼워 넣고 양단을 묶음 처리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지지 블록(210, 210a)의 경사각은 45도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210)를 부목으로 사용하는 경우, 줄(300, 302)을 풀어 관통공(211, 212, 213, 214)으로부터 인출하고, 꺾이는 경계부분에 제 2 지지블록(210a, 210a)이 인접하도록 배치한 후 다시 줄(300, 302)을 넣어 조이면, 제 2 지지블록(210a, 210a)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일정한 꺾임 각도, 가령 제 2 지지블록(210a)의 경사각이 45도라면 꺾임 각도는 90도를 이룬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가령, 지지블록(144, 146, 210, 210a)을 구성하는 재료나 사이즈, 및 형상, 또는 인접한 지지블록 간의 이격 거리 등은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허리 팩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착용자가 허리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허리가 약한 착용자의 허리를 바쳐 보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납된 허리 지지 및 부목용 지지부재를 비상시 부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에 있어서,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몸체의 양단에 클립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이면에는 다수의 고정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허리를 지지함과 동시에 부목으로 사용가능한 지지부재가 개폐구를 통해 상기 수납 공간에는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렬로 인접 분리하여 배치되는 육면체 형상의 지지블록과, 상기 배치된 지지블록들이 접착되어 고정되는 연결 스트립(stri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서 절곡이 생길 때, 상기 절곡에 의한 공간을 채우는 보조블록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록은 상기 배치된 지지블록의 양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육면체 형상으로 대향하는 좌우측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지지블록;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제 1 지지블록의 관통공에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 2 지지블록; 및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블록의 관통공에 끼워져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을 일렬로 고정하는 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블록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경사면이 짝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충격 완충부재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7. 청구항 1에 기재된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이 약품수납용 가방의 외측면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클립을 개재하여 상기 가방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품 수납유닛.
KR1020060126132A 2006-11-07 2006-12-12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KR100769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559 2006-11-07
KR20060109559 2006-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259B1 true KR100769259B1 (ko) 2007-10-22

Family

ID=388154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132A KR100769259B1 (ko) 2006-11-07 2006-12-12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KR1020070051430A KR100824355B1 (ko) 2006-11-07 2007-05-28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430A KR100824355B1 (ko) 2006-11-07 2007-05-28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769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58B1 (ko) * 2013-08-30 2014-11-04 길석면 부목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허리 부착형 가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849A2 (en) * 2010-09-29 2012-04-19 Body Cool Llc Body cool harness
KR101620614B1 (ko) 2015-05-07 2016-05-13 주식회사 메스코리아 환자 분류용 띠가 내장된 가방
KR200480926Y1 (ko) 2016-03-07 2016-07-22 박성진 도구 수납이 가능한 이중 허리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161A (ja) * 1989-06-02 1991-05-21 Wood Worm Design Ag ベルト状あるいは帯状薄皮材の製造方法、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薄皮材およびその用途
KR19990015786A (ko) * 1997-08-09 1999-03-05 단흥덕 쿳션벨트
KR200334381Y1 (ko) 2003-09-02 2003-11-22 이명철 다목적 벨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161A (ja) * 1989-06-02 1991-05-21 Wood Worm Design Ag ベルト状あるいは帯状薄皮材の製造方法、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薄皮材およびその用途
KR19990015786A (ko) * 1997-08-09 1999-03-05 단흥덕 쿳션벨트
KR200334381Y1 (ko) 2003-09-02 2003-11-22 이명철 다목적 벨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58B1 (ko) * 2013-08-30 2014-11-04 길석면 부목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허리 부착형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355B1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1502B2 (en) Combination massage table with one or more resistance bands
US9849021B2 (en) Orthopedic back support or vertebral column brace
AU761883B2 (en) Wrist brace
ES2300594T3 (es) Soporte de tobillo, de poco volumen, para usar con calzado.
US8147438B2 (en) Adjustable wrist brace
US5445601A (en) Back support device having bands securing the support plate
EP1738796A2 (en) Tool belt
US9630083B2 (en) Molded grip glove
US6561994B1 (en) Wrist brace
ES2309329T3 (es) Almohada.
KR100769259B1 (ko) 의료용품 수납용 허리 팩
CA2923137A1 (en) Protective sheath
ES2276070T3 (es) Tobillera.
US7182088B2 (en) Arm immobilizer
KR20190015524A (ko) 선골 압압 기구 및 선골 압압 유닛
US9763838B2 (en) Spine board with interior channels
US20070049854A1 (en) Weighted back brace
US5363523A (en) Surgical pillow with removable weight
KR101883055B1 (ko) 경추보호대
US20180000665A1 (en) Spine board with interior channels
US20120023782A1 (en) Thermal Therapy Boot
US20050240140A1 (en) Wrist brace with adjustable support
KR20200115475A (ko) 사람의 팔다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커프
CN213491212U (zh) 一种术中输液固定装置
US20220040031A1 (en) Muscle massaging bel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