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165B1 -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165B1
KR100769165B1 KR1020010031527A KR20010031527A KR100769165B1 KR 100769165 B1 KR100769165 B1 KR 100769165B1 KR 1020010031527 A KR1020010031527 A KR 1020010031527A KR 20010031527 A KR20010031527 A KR 20010031527A KR 100769165 B1 KR100769165 B1 KR 10076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panel display
display device
coupling
rea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733A (ko
Inventor
안삼영
장은석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1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시스템 하우징의 체적을 줄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시킴과 함께 대형화 추세 있는 평판표시장치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평판표시장치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전면(前面)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하우징 및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後面)부에 위치하는 리어 하우징을 갖는 시스템과,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부에 상기 리어 하우징을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부와 상기 리어 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유닛과, 상기 평판표시장치가 지지되도록 일측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하부를 받치고 타측은 결합유닛에 맞물리는 브라켓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평판표시장치, 시스템, 결합

Description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Mounting structure of flat displaoy device and system}
도 1a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평판표시장치가 구비된 노트북 컴퓨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평판표시장치가 구비된 데스크탑 컴퓨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평판표시장치 중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는 종래기술의 일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b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프레임(frame) 10: 평판표시장치
10a: 부피부재 20: 프론트 하우징(front housing)
30: 리어 하우징(rear housing) 101: 결합홈
301: 결합공 400: 결합유닛
401: 결합부재 500: 브라켓
501: 통과공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컴퓨터등의 평판표시장치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평판표시장치를 장착하는 구 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표시장치를 갖는 시스템은, 컴퓨터와, 텔레비젼등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는, 도 1a에 도시된 노트북 컴퓨터(휴대용 컴퓨터)와, 도 1b에 도시된 데스크탑 컴퓨터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시스템은 하우징(20, 30)내에 화면을 디플레이하는 평판표시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평판표시장치(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등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LCD는 그 장착 시스템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용 LCD와, 랩탑 컴퓨터용 LCD(이하 모니터용 LCD)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눈에 피로가 적고 전자파발생이 거의 없어 그 사용빈도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인 LC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발하는 배광부(1)와, 상기 배광부(1) 전면에 구비되어 배광부(1)의 빛을 받아 화상을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또는 액정판넬부)(2)와, 상기 배광부(1)와 디스플레이부(2)의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상호 필요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프레임(3)과, 상기 배광부(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 그리고 프레임(3)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전면 케이스(4) 및 후면 케이스(5)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부(2)에 들어있는 액정(도시생략)의 분자운동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시키게 된다.
한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2)를 갖는 평판표시장치(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구부(21)를 갖는 프론트 하우징(20, front housing) 및 상기 프론트 하우징(20)에 상응하는 리어 하우징(30, rear housing)을 갖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상기 평판표시장치(10)가 상기 프론트 하우징(20)과 상기 리어 하우징(30) 사이에 안착되도록 상호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표시장치(10)가 상기 리어 하우징(30)에 장착되되,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전면에서 리어 하우징(30)을 향하여 스크류등으로 장착되는 프론트 마운팅(Front Mounting) 구조를 한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는, 먼저,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2)에 직접 체결할 수 없으므로,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측면에서 통과공(11a)이 형성된 결합편(11)을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리어 하우징(30)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편(11)의 통과공(11a)에 상응하도록 결합홈(31)을 형성시키며, 체결용 스크류(41)를 준비하여, 상기 스크류(41)를 결합편의 통과공(11a)에 삽입시킨 후 상기 결합홈(31)에 체결한다. 이후, 상기 리어 하우징(30)에 상기 프론트 하우징(20)을 결합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중 프론트 마운팅 구조는, 평판표시장치(10)의 측면에서 결합편(11)이 돌출 형성됨에 따라, 결합편(11)이 그 폭만큼 하우징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평판표시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2)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평판표시장치(10)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결합편(11)이 대형화 추세에 있는 평판표시장치의 하중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고 불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표시장치(10)가 상기 리어 하우징(30)에 장착되되,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측면부가 리어 하우징의 내측 측면부에 장착되는 사이드 마운팅(Side Mounting) 구조를 한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는, 먼저,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양측면부에 결합홈(12)을 형성시키고, 상기 리어 하우징(30)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결합홈(12)과 상응하도록 결합공(32) 형성시키며, 체결용 스크류(42)를 준비하여, 상기 스크류(42)를 결합공(32)에 통과시킨 후 상기 결합홈(12)에 나사 체결한다. 이후, 상기 리어 하우징(30)에 상기 프론트 하우징(20)을 결합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중 사이드 마운팅 구조는, 조립시 한번에 나사체결될 수 없고. 양측면을 별도로 나사체결을 하여야 하므로,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평판표시장치(10)의 양측면에 나사체결됨에 따라 대형화 추세에 있는 평판표시장치의 하중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시스템 하우징의 체적을 줄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시키는 한편, 대형화 추세 있는 평판표시장치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평판표시장치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전면(前面)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하우징 및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後面)부에 위치하는 리어 하우징을 갖는 시스템과,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부에 상기 리어 하우징을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부와 상기 리어 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유닛과, 상기 평판표시장치가 지지되도록 일측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하부를 받치고 타측은 상기 결합유닛에 맞물리는 브라켓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시스템의 구성은 종래기술에 언급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출력하는 평판표시장치(10)와,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전면(前面)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하우징(20) 및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후면(後面)부에 위치하는 리어 하우징(30)을 갖는 시스템(도 1a 또는 도 1b 참조)과,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후면부에 상기 리어 하우징(30)을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장착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장착수단은, 도 5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후면부와 상기 리어 하우징(3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유닛(400)과, 상기 평판표시장치(10)가 지지되도록 일측은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하부를 받치고 타측은 상기 결합유닛(400)에 맞물리는 브라켓(5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유닛(400)은, 도 5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01)과, 상기 결합홈(101)에 상응하도록 상기 리어 하우징(30)에 형성되는 결합공(301)과, 상기 결합공(301)과 상기 결합홈(101)에 삽입되어 상기 평판표시장치(10)와 상기 리어 하우징(3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40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401)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용 스크류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할 경우, 우선, 형상기억합금을 소정온도로 가열하여 바(bar)형상으로 편 후, 상기 결합공(301)과 상기 결합홈(101)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자연냉각 또는 강제냉각시키게 되면, 결합홈(101) 내에서 기억된 형상으로 합금이 변형되면서 결합홈에 맞물려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101)은 도 5와 도 6a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평판표지장치(10)가 상기 시스템의 리어 하우징(30)에 균형있게 장착되도록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후면 가장자리에 소정간격을 두어 복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평판표시장치(1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홈(101)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체적을 갖는 부피부재(10a)가 구비된 것임이 바람직하며, 더 상세하게는, 상기 평판표시장치(10)는 액정표시장치(LCD)이고, 상기 부피부재(10a)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여러 부품을 지지하는 프레임(도 2의 3참조)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결합홈(10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결합부재(401)가 체결되는 홈을 갖는 인서트(insert)가 상기 결합홈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인서트는 체결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상기 브라켓(500)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하우징(30)의 내측면과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후면 사이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결합부재(401)가 관통되도록 통과공(501)이 형성된 일단부와,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하부측면에 구비되는 타단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하우징(30)의 외측 후면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결합부재(401)가 관통되도록 통과공(301)이 형성된 일단부와, 상기 리어 하우징(30)의 외측 하부측면에 구비되는 타단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500)의 타단부는,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후면(後面)부 및 전면(前面)부를 모두 지지하도록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전면(前面)까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500)은 대형화 추세에 있는 상기 평판표시장치(10)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500)은 상기 평판표시장치(10)에 구비되는 각각의 결합홈(101)에 상응하도록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평판표시장치(10)의 하단 전체를 지지하도록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 하우징(30)은, 도 6b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00)의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브라켓 착탈홈(310, 3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브라켓(500)의 일단부의 두께로 인해 시스템 하우징부 두께(도 1a의 'T'참조)가 두꺼워지는 문제를 막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리어 하우징(30) 자체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리어 하우징에 상기와 같은 브라켓 착탈홈(310) 형성이 곤란하므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00)의 일단부가 착탈되도록 상기 리어 하우징에 함몰부(3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6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도 7a에 도시된 제3 실시예를 참조하여,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과의 조립 및 해제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따른 평판표시장치 와 시스템의 결합구조에 의한,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조립과정 및 해제과정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립시, 브라켓(500)이 구비되지 않는 곳에서는 스크류(401)를 리어 하우징의 결합공(301)과 평판표시장치(10)의 결합홈(101)에 순서대로 삽입시켜 나사체결시키게 되고, 브라켓(500)의 구비되는 시스템 하우징 하부에는 스크류(401)를 리어 하우징의 결합공(301)과 브라켓의 통과공(501) 그리고 평판표시장치의 결합홈(101)에 순서대로 삽입시켜 나사체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해제시, 조립시와 반대로 반대방향으로 스크류(401)를 풀어 평판표시장치(10)와 리어 하우징(30) 또는 브라켓(500)을 해제시키게 된다.
둘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에 의한,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조립과정 및 해제과정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립시, 브라켓(500)이 구비되지 않는 곳에서는 스크류(401)를 리어 하우징의 결합공(301)과 평판표시장치의 결합홈(101)에 순서대로 삽입시켜 나사체결시키게 되고, 브라켓(500)의 구비되는 시스템 하우징 하부에는 스크류(401)를 브라켓의 통과공(501)과 리어 하우징의 결합공(301)과 그리고 평판표시장치(10)의 결합홈(101)에 순서대로 삽입시켜 나사체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해제시, 조립시와 반대로 반대방향으로 스크류(401)를 풀어 평판표시장치(10)와 리어 하우징(30) 또는 브라켓(500)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의 후면부에 상기 리어 하우징을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프론트 마운팅과 달리, 평판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측 또는 프론트 하우징의 전면부에 별도의 체결부를 구비시키지 않아도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평판표시장치의 하중이 크고 적음에 상관없이 효과적인 지지가 가능함에 따라, 평판표시장치의 대형화에 알맞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어셈블리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언급된 모든 효과를 다 포함한다.

Claims (11)

  1. 영상을 출력하는 평판표시장치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전면(前面)부에 위치하는 프론트 하우징 및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後面)부에 위치하는 리어 하우징을 갖는 시스템과,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부에 상기 리어 하우징을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부와 상기 리어 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유닛과,
    상기 평판표시장치가 지지되도록 일측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하부를 받치고 타측은 상기 결합유닛에 맞물리는 브라켓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상응하도록 상기 리어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평판표시장치와 상기 리어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리어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 사이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통과공이 형성된 일단부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하부측면에 구비되는 타단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리어 하우징의 외측 후면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되도록 통과공이 형성된 일단부와, 상기 리어 하우징의 외측 하부측면에 구비되는 타단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타단부는,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後面)부 및 전면(前面)부를 모두 지지하도록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전면(前面)까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 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스크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후면 가장자리에 소정간격을 두어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표시장치는, 그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체적을 갖는 부피부재가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이고, 상기 부피부재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여러 부품을 지지하는 프레임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시스템 결합구 조.
KR1020010031527A 2001-06-05 2001-06-05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 KR100769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527A KR100769165B1 (ko) 2001-06-05 2001-06-05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527A KR100769165B1 (ko) 2001-06-05 2001-06-05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733A KR20020092733A (ko) 2002-12-12
KR100769165B1 true KR100769165B1 (ko) 2007-10-23

Family

ID=2770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527A KR100769165B1 (ko) 2001-06-05 2001-06-05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893A (ko) * 2012-08-23 2014-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267A (ja) * 1995-12-20 1997-06-30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の筐体構造
KR19990031475A (ko) * 1997-10-13 1999-05-06 윤종용 전자 시스템의 브래킷 장착 구조 및 전자 시스템의 브래킷 장착구조가 사용된 휴대용 컴퓨터
KR20000008918U (ko) * 1998-10-29 2000-05-25 김영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론트 하우징
JP2001056748A (ja) * 1999-08-20 2001-02-27 Funai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ネル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267A (ja) * 1995-12-20 1997-06-30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の筐体構造
KR19990031475A (ko) * 1997-10-13 1999-05-06 윤종용 전자 시스템의 브래킷 장착 구조 및 전자 시스템의 브래킷 장착구조가 사용된 휴대용 컴퓨터
KR20000008918U (ko) * 1998-10-29 2000-05-25 김영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론트 하우징
JP2001056748A (ja) * 1999-08-20 2001-02-27 Funai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ネルの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893A (ko) * 2012-08-23 2014-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733A (ko)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994B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 - 하우징 어셈블리
KR100487435B1 (ko) 마운팅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US6411501B1 (en)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for mounting a flat display device module
US766778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straining deformation of a cabinet by heat
US7477528B2 (en) Frame bracket for printed board assembly and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296154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용 마운팅브라켓
US20060028790A1 (en) Display device
US6891718B2 (en) Structure for assembling flat display
EP3177127A2 (en) Heat dissipation over rear frame of a display
US6618240B1 (en) Computer having a flat panel display
US10291877B2 (en) Display and television set
US8477256B2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020094428A (ko) 평판표시장치의 케이스 결합구조
JP4019381B2 (ja) 液晶テレビジョン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769165B1 (ko)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
JPH1013765A (ja) Pdpの取付構造
KR100831295B1 (ko) 평판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결합구조
US8011624B2 (en) Stand attachment structure
KR20030073783A (ko) 평면형 영상표시장치의 결합구조
KR100637212B1 (ko) 기판 장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9551B1 (ko) 평판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KR20000026792A (ko) 평판표시장치, 컴퓨터 및 평판표시장치의 고정방법
KR20110052126A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14066799A (ja) 表示装置のフロントキャビネットおよびフロントキャビネットを構成するフレーム部材と連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