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709B1 -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709B1
KR100768709B1 KR1020050066057A KR20050066057A KR100768709B1 KR 100768709 B1 KR100768709 B1 KR 100768709B1 KR 1020050066057 A KR1020050066057 A KR 1020050066057A KR 20050066057 A KR20050066057 A KR 20050066057A KR 100768709 B1 KR100768709 B1 KR 100768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ositive electrode
organic light
substrate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008A (ko
Inventor
이동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6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7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4An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e.g. ITO layer combined with metal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6Multilayers, e.g. transparent mult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의 소정 영역에서 절연막을 이루는 감광막이 박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위에 줄무늬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양전극층;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 및 기판 위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 상에 복수의 화소 개구부를 정의하고 있는 절연막;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과 직교하는 소정 영역의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 상기 화소 개구부의 양전극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음전극층; 및 ITO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판의 말단부에서 상기 기판 및 상기 절연막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더미 패턴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 절연막, 폴리이미드 감광막, 박리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간략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간략히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판 12 : 양전극층
14 : 절연막 16 : 화소 개구부
18 : 격벽 20 : 더미 패턴
22 : 유기 발광층 24 : 음전극층
본 발명은 기판 상의 소정 영역에서 절연막을 이루는 감광막이 박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는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중 하나로 기판 상의 양전극층(anode layer)과 음전극층(cathode layer) 사이에 유기 발광층 등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을 삽입하여 구성하며, 매우 얇은 두께의 매트릭스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는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좁은 광 시야각, 느린 응답 속도 등 종래에 LCD에서 문제로 지적되어온 결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특히, 중형 이하에서 다른 디스플레이와 동등하거나(예를 들어, "TFT LCD") 그 이상의 화질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다는 점에서,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 및 그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간략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에서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0) 위에 줄무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양전극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양전극층(12)은 ITO 또는 IZO 등의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 및 기판(10) 위에는, 절연막(14)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 상에 복수의 화소 개구부(16)를 정의하고 있다. 상기 절연막(14)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와 같이, 상기 절연막(14)이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 및 기판(10) 위에 폴리이미드계 감광막 조성물을 도포하고 나서 이의 경화를 위한 프리베이크(또는 소프트베이크) 열공정을 진행한 후,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에 대한 노광 및 현상 공정 등을 진행함으로서, 상기 격자 형태의 절연막(14)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과 직교하는 소정 영역의 상기 절연막(14) 위에는, 상기 절연막(14)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으로 이루어진 격벽(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18)은, 예를 들어, 단면으로 보아 역경사(negative profile)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화소 개구부(16) 간의 음전극층(도시 생략)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화소 개구부(16)의 상기 양전극층(12) 위에는 유기 발광층(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기 발광층 위에는 음전극층(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에 따르면, 각 화소 개구부(16)에서 유기 발광층과 접하고 있는 양전극층(12) 및 음전극층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 내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 내에서 정공-전자쌍을 형성하고 바닥 상태로 떨어지면서 빛 에너지를 내어 유기 발광 소자의 각 화소가 발광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서는, 절연막(14)이 폴리이 미드계 감광막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특성상, 각 영역별로 절연막(14)의 접착력이 다르게 되어, 일부 영역에서 절연막(14)이 박리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해 보다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은 상기 양전극층(12)을 이루는 ITO 또는 IZO 등의 물질이나, 이러한 양전극층(12)의 저항을 보다 낮추기 위해 상기 양전극층(12) 위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보조 전극(도시 생략)을 이루는 크롬 등의 물질에 대해서는 비교적 강한 접착력을 가지지만, 기판(10)을 이루는 유리 등의 물질에 대해서는 비교적 약한 접착력을 가진다. 또한,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을 경화시키기 위해 진행하는 상기 프리베이크 열공정에서, 정상 온도보다 약 5-7℃ 만큼만 낮은 온도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정상 온도에서 상기 프리 베이크 공정을 진행한 경우에 비해,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접착력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최근 들어 유기 발광 소자가 더욱 대형화됨에 따라,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을 경화시키기 위한 상기 프리베이크 열공정에서, 핫 플레이트 등을 이용해 대형화된 유기 발광 소자의 기판(10) 전면에 균일한 온도의 열을 가하기가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프리베이크 열공정에서는 기판(10)의 각 영역별로 불균일한 온도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되는데, 특히,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판(10)의 말단부, 즉,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0) 위에 직접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0)의 말단부에, 정상 온도보다 약 5℃ 이상 낮은 온도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술한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해당 영역에서의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어, 이러한 폴리이미드계 감광막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막(14)이 박리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각 화소 개구부(16)를 정의하는 격자 형태의 절연막(14)이 제대로 형성될 수 없게 됨에 따라, 최종 제조된 유기 발광 소자의 신뢰성 및 품질에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히, 기판 위에 바로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의 말단부에서 절연막을 이루는 감광막이 박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 위에 줄무늬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양전극층;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 및 기판 위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 상에 복수의 화소 개구부를 정의하고 있는 절연막;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과 직교하는 소정 영역의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 상기 화소 개구부의 양전극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음전극층; 및 상기 기판 및 상기 절연막 사이에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기판의 말단부에서 연속적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화소 개구부를 제외한 양전극층의 소정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서, 상기 양전극층 및 상기 더미 패턴이 ITO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보조 전극 및 상기 더미 패턴이 크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서, 상기 절연막은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간략히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서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0) 위에 줄무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양전극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양전극층(12)은 ITO 또는 IZO 등의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 및 기판(10) 위에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 드계 감광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막(14)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 상에 복수의 화소 개구부(16)를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연막(14)이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 및 기판(10) 위에 폴리이미드계 감광막 조성물을 도포하고 나서, 핫 플레이트 등을 이용해 이의 경화를 위한 프리베이크(또는 소프트베이크) 열공정을 진행한 후,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에 대한 노광 및 현상 공정 등을 진행함으로서, 상기 격자 형태의 절연막(14)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연막(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으로 보아 정경사(positive profile)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음전극층(24)이 상기 절연막(14)을 타고 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유기 발광 소자가 점점 더 대형화됨에 따라,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경화를 위한 프리베이크 열공정에서, 핫 플레이트 등을 이용해 기판(10) 전면에 균일한 온도의 열을 가하기가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음은 이미 종래 기술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런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특성상, 1)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0)에 대한 접착력이 떨어지며, 2) 상기 프리베이크 열공정에서 정상 온도보다, 예를 들어, 5℃ 이상 낮은 온도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더욱 떨어지기 때문에, 결국, 상기 프리베이크 열공정에서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판(10)의 말단부에 정상 온도보다 약 5℃ 이상 낮은 온도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영역의 기판(10) 상에서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으로 이 루어진 절연막(14)이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서는,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판(10)의 말단부에서, 상기 기판(10)과 상기 절연막(14) 사이에 더미 패턴(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더미 패턴(20)은, 유리 등의 기판(10)에 비해, 폴리이미드계 감광막과 비교적 큰 접착력을 가지는 ITO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절연막(14)을 이루는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접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절연막(14)이 박리될 개연성이 높은 기판(10)의 말단부에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과 높은 접착력을 가지는 ITO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진 더미 패턴(20)을 형성함으로서, 절연막(14)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프리베이크 열공정에서 기판(10)의 말단부에 정상 온도보다 약 5℃ 이상 낮은 온도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해당 영역에서 상기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으로 이루어진 절연막(14)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절연막(14)이 박리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더미 패턴(20)은 양전극층(12)과 동일한 ITO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상기 더미 패턴(20)과 양전극층(12)을 단일 공정으로 형성하여, 상기 더미 패턴(20)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 부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는, 경우에 따라, 상기 양전극층(12)의 저항을 보다 낮추기 위해, 상기 화소 개구부(16)를 제외한 양전극층(12)의 소정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는 크롬 등의 저저항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보조 전극(도시 생략)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보조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더미 패턴(20)은 상기 보조 전극과 동일한 크롬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더미 패턴(20)을 상기 보조 전극과 단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크롬 역시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0)에 비해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에 대한 높은 접착력을 가지므로, 본 실시예가 의도하는 작용 효과를 동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과 직교하는 소정 영역의 상기 절연막(14) 위에는, 상기 절연막(14)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으로 이루어진 격벽(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1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으로 보아 역경사(negative profile)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12)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화소 개구부(16) 간의 음전극층(24)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화소 개구부(16)의 상기 양전극층(12) 위에는 유기 발광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기 발광층 위에는 음전극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소자는,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와 마찬가지로, 각 화소 개구부(16)에서 유기 발광층(22)과 접하고 있는 양전극층(12) 및 음전극층(24)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22) 내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22) 내에서 정공-전자쌍을 형성하고 바닥 상태로 떨어지면서 빛 에너지를 내어 유기 발광 소자의 각 화소가 발광하게 된다.
이에 부가하여, 상기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서는, 절연막(14)을 이루는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접착력이 현저히 저하될 개연성이 높고, 특히, 플리베이크 열공정에서 정상 온도보다 약 5℃ 이상의 낮은 온도의 열이 가해질 경우, 이러한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접착력이 더더욱 현저히 저하되어 절연막(14)의 박리가 일어날 개연성이 높은 기판(10)의 말단부에, 크롬 또는 ITO로 이루어진 더미 패턴(2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절연막(14)을 이루는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의 접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의 말단부에서 절연막(14)이 박리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격자 형태의 절연막(14)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발광 소자의 기판 상에서 절연막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박리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막의 박리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신뢰성 및 품질 저 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5)

  1. 기판 위에 줄무늬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양전극층;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 및 기판 위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 상에 복수의 화소 개구부를 정의하고 있는 절연막;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과 직교하는 소정 영역의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
    상기 화소 개구부의 양전극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음전극층; 및
    상기 기판 및 상기 절연막 사이에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양전극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기판의 말단부에서 연속적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개구부를 제외한 양전극층의 소정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 전극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층 및 상기 더미 패턴은 ITO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소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 및 상기 더미 패턴은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소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폴리이미드계 감광막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050066057A 2005-07-20 2005-07-20 유기 발광 소자 KR100768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057A KR100768709B1 (ko) 2005-07-20 2005-07-20 유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057A KR100768709B1 (ko) 2005-07-20 2005-07-20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08A KR20070011008A (ko) 2007-01-24
KR100768709B1 true KR100768709B1 (ko) 2007-10-19

Family

ID=3801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057A KR100768709B1 (ko) 2005-07-20 2005-07-20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44B1 (ko) 2013-05-30 2020-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6379B1 (ko) 2013-10-07 2020-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3872089B (zh) 2014-02-28 2016-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480A (ko) * 2005-07-11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70007576A (ko) * 2005-07-11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480A (ko) * 2005-07-11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70007576A (ko) * 2005-07-11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08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5569B2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8258026B (zh) 显示面板的绑定区结构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
JP2008021653A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22375A1 (en)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including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220376007A1 (en) Display substrate,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7567028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supporting pl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20849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68709B1 (ko) 유기 발광 소자
KR20060091666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222971B1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20150002119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002775A (ko)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7169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768711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531597B2 (ja) 有機電界発光装置
KR100605152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6871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03747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US20060108917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763594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omprising uniform thickness light-emitting layer
KR20090019207A (ko) 티자형 격벽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47428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61161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27667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488146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