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409B1 - 디시젼 오차를 줄이기 위한 복조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시젼 오차를 줄이기 위한 복조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409B1
KR100768409B1 KR1020060019505A KR20060019505A KR100768409B1 KR 100768409 B1 KR100768409 B1 KR 100768409B1 KR 1020060019505 A KR1020060019505 A KR 1020060019505A KR 20060019505 A KR20060019505 A KR 20060019505A KR 100768409 B1 KR100768409 B1 KR 10076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ision
value
point
points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447A (ko
Inventor
이동찬
정준형
신현욱
임민중
안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로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로직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로직스
Priority to KR102006001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4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89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3845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 - coherent demodulation, i.e. not using a phase synchronous carrier
    • H04L27/385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 - coherent demodulation, i.e. not using a phase synchronous carrier using a non - coherent carrier, including systems with baseband correction for phase or frequency offset
    • H04L27/3863Compensation for quadrature error in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광대역(Ultra-Wide Band:UWB)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시젼(decision) 오차를 줄이기 위한 DCM(Dual Carrier Modulation) 수신단의 복조기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조기는,
추정한 채널성분을 입력받아 크기를 계산하고 그 크기를 이용하여 채널 보상 되어진 입력 데이터의 채널 성분 크기를 보상하기 위한 정규화 처리부와; 각 채널 샘플의 크기를 계산하여 디폴트값을 가지는 디시젼 포인트와 연산하여 뉴(new) 디시젼 포인트를 계산하는 뉴디시젼 포인트 계산부와; 채널 성분의 크기가 보상된 다수의 복소 데이중 두 복소 데이터의 I,Q성분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좌표값을 가지는 두 포인트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와; 계산된 각각의 거리중 최소 거리를 갖는 뉴 디시젼 포인트를 찾아 그 포인트에 맵핑되어 있는 바이너리값을 하드 디시젼값으로 출력하는 하드 디시젼부와; 상기 두 포인트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디지전 바운더리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소프트 디시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UWB, 디시젼, DCM.

Description

디시젼 오차를 줄이기 위한 복조기 및 그 방법{DEMODULATOR AND METHOD FOR REDUCING A DECISION ERR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M(Dual Carrier Modulation)에 의해 4개 그룹의 데이터가 변조되어지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M 인코딩 테이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M 복조기의 블럭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M 뉴(new) 디시젼 포인트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hard) 디시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soft) 디시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초광대역(Ultra-Wide Band:UWB)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시젼(decision) 오차를 줄이기 위한 DCM(Dual Carrier Modulation) 수신단의 복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디지털 펄스로 알려져 있는 초광대역(UWB) 통신은 단거리 구간에서 저전력으로 넓은 스펙트럼 주파수를 통해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기술이다. 초광대역 통신은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해 수 GHz대의 초광대역을 사용하면서도 단속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주파수 슬롯의 부족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초광대역 통신은 500Mbps ∼ 1Gbps의 초고속 전송속도가 가능하며, 이와 같이 빠른 전송 속도에도 불구하고 전력소모량은 휴대폰이나 무선랜(WLAN) 등의 제품이 필요로 하는 전력량의 100분의 1 수준 밖에 안된다는 장점이 있어 새로운 무선전송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초광대역(UWB) 무선 전송기술을 이용하는 시스템이 대용량 데이터 전송률을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높은 코딩율(1/2, 5/8, 3/5)을 가져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페이딩 채널(fading channel) 환경하에서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열화된 성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모듈레이션(modulation) 차수를 높여 수신단에서 다이버시티(diversity) 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Dual Carrier Modulation)이 제안(MBOA 스펙 V1.0)되기에 이르렀으며, 그에 따라 수신기 복조단 구조에 대한 이슈(issue)가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현재까지 알려진 DCM 수신기 복조단의 구조는 매트릭스(Matrix)를 이용한 방법과 ML(Maximum Likelihood)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매트릭스를 이용한 방법은 수신된 신호를 전송시 사용한 매트릭스의 역함수 관계로 구한후 노멀라이즈(mormalize)를 통해 디시젼(decision) 오차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채널, 노이즈 및 간섭 영향을 최소화하지 못하면 복조(demodulation)하기에 부담스러운 오프셋값이 존재하게 되어 결국 수신기의 성능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한편 ML을 이용한 방법은 추정되어진 확률값(X,Y)에 대한 로그함수 최대값을 이용, 송신한 데이터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 것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ML 방법은 성능열화가 적다는 장점을 가지는데 반하여 복조단의 하드웨어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릭스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성능열화가 적고 ML(Maximum Likelihood) 방법에 비해 구현 및 구조가 간단한 DCM 수신기의 복조기 및 그 복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M 복조기는,
추정한 채널성분을 입력받아 크기를 계산하고 그 크기를 이용하여 채널 보상되어진 입력 데이터의 채널 성분 크기를 보상하기 위한 정규화 처리부와;
각 채널 샘플의 크기를 계산하여 디폴트값을 가지는 디시젼 포인트와 연산하여 뉴(new) 디시젼 포인트를 계산하는 뉴디시젼 포인트 계산부와;
채널 성분의 크기가 보상된 다수의 복소 데이터중 두 복소 데이터의 I,Q성분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좌표값을 가지는 두 포인트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와;
계산된 각각의 거리중 최소 거리를 갖는 뉴 디시젼 포인트를 찾아 그 포인트에 맵핑되어 있는 바이너리값을 하드 디시젼값으로 출력하는 하드 디시젼부와;
상기 두 포인트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디지전 바운더리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소프트 디시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CM 수신단의 복조방법은,
추정한 채널성분을 입력받아 크기를 계산하고 그 크기를 이용하여 채널 보상 되어진 입력 데이터의 채널 성분 크기를 보상하는 단계와;
각 채널 샘플의 크기를 계산하여 디폴트값을 가지는 디시젼 포인트와 연산하여 뉴(new) 디시젼 포인트를 계산하는 단계와;
채널 성분의 크기가 보상된 다수의 복소 데이터중 두 복소 데이터의 I,Q성분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좌표값을 가지는 두 포인트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각각의 거리중 최소 거리를 갖는 뉴 디시젼 포인트를 찾아 그 포인트에 맵핑되어 있는 바이너리값을 하드 디시젼값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두 포인트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디시젼 바운더리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DCM 송신단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면,
우선 DCM은 수신단에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변조방법으로서, 부호화(coded)된 그리고 인터리브드(interleaved) 되어진 바이너리 시리얼 데이터(binary serial data) 200비트를 100개의 복소수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변조방법으로서 표준화된 두 가지의 방법이 있다.
그 첫 번째 방법으로서, 우선 송신 데이터 비트를 바이폴러 심볼(1→ 1, 0→ -1)로 맵핑한다. 이어서 200비트를 4개의 그룹으로 그룹핑(
Figure 112006014833289-pat00001
)한후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2, 1, 1, -2) 매트릭스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신호크기를 정규화(normalize)시키는 과정들을 통해 송신데이터를 변조하는 방법이다.
Figure 112006014833289-pat00002
두 번째 방법으로서, 우선 200비트를 상기 방법에서와 같이 4개의 그룹으로 그룹핑(
Figure 112006014833289-pat00003
)한후 신호크기를 정규화(KMOD = 1/sqrt(10))하여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 번째 방법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이 두 번째 방법으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는 경우에 4개 그룹의 데이터가 변조되는 위치와 DCM 인코딩 테이블을 각각 도시한 것이 도 1 과 도 2이다.
도 2를 참조해 보면, 그룹핑된 4개의 입력비트(
Figure 112006014833289-pat00004
)가 도 2에 도시한 인코딩 테이블에서와 같이 "0000"의 값을 가진다고 할때 변조되어지는 위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igure 112006014833289-pat00005
d 좌표축상에서 (-3,-3)의 좌표위치를 가지거나
Figure 112006014833289-pat00006
좌표축상에서 (1,1)의 좌표위치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DCM 송신단의 동작에 의해 변조되어진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구성 및 그 동작을 도 3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M 복조기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M 뉴(new) 디시젼 포인트의 위치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hard) 디시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soft) 디시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정규화 처리부(100)는 채널 추정기 혹은 DDCE(Direct Decision Channal Estimator)에서 추정한 채널성분(
Figure 112006014833289-pat00007
)을 입력받아 크기를 계산하고 그 크기를 이용하여 채널 보상 되어진 입력 데이터(from FFT)의 채널 성분 크기를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규화 처리부(10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기 계산부(110), 채널성분 크기 보상부(120) 및 승산기(130)를 포함한 다.
상기 크기 계산부(110)는 추정한 채널성분의 크기(
Figure 112006014833289-pat00008
)를 계산하는 것으로
Figure 112006014833289-pat00009
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채널성분 크기 보상부(120)는 채널 보상 되어진 입력 데이터를 크기 계산부(110)에서 계산된 채널성분의 크기로 나누어 줌으로서, 입력데이터에 채널성분이 곱해져 있는 것을 제거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적으로 채널 보상 되어진 입력 데이터가 하기 수학식 2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고 가정할때, 채널성분의 크기 보상식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승산기(130)에 인가되는 상수
Figure 112006014833289-pat00010
은 수학식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CM 송신단에서 입력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해 곱해진 상수(
Figure 112006014833289-pat00011
)을 상쇄시키기 위한 값이다.
Figure 112006014833289-pat00012
Figure 112006014833289-pat00013
상기 수학식 2,3에서
Figure 112006014833289-pat00014
은 각각 수신 데이터, 채널성분, 노이즈 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뉴(new) 디시젼 포인트 계산부(200)는 각 채널 샘플의 크기를 계산하여 디폴트값을 가지는 디시젼 포인트((1,3),(-3,1),(-1,-3),(3,-1))와 연산하여 뉴(new) 디시젼 포인트를 계산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뉴디시젼 포인트 계산부(200)는 각 채널 데이터 샘플의 크기를 수학식 4에 의해 구한후 이를 디폴트값인 디시젼 포인트 (1,3),(-3,1),(-1,-3),(3,-1)에 곱함으로서 뉴 디시젼 포인트를 구한다. 이러한 뉴 디시젼 포인트의 위치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Figure 112006014833289-pat00015
상기 수학식 4에서
Figure 112006014833289-pat00016
,
Figure 112006014833289-pat00017
는 각각 100개의 복소수값 중 0∼49번째 샘플의 크기와 50∼99번째 샘플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i는 샘플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뉴 디시젼 포인트가 계산되면, 거리 계산부(300)는 채널 성분의 크기가 보상된 다수(100개)의 복소 데이터중 두 복소 데이터의 I,Q성분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좌표값을 가지는 두 포인트((x,y), (x1,y1))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러한 거리 계산부(300)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면, 우선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하여 DCM 송신단에서 차수를 높여 변조(modulation) 하였기 때문에 복조 (demodulation) 할 때 100개의 복소 데이터중 0번째 데이터와 50번째 데이터를 매핑하여 디시젼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복소 데이터가
Figure 112006014833289-pat00018
라 가정하면, 0번째 복소 데이터는
Figure 112006014833289-pat00019
이 되고, 50번째 복소 데이터는
Figure 112006014833289-pat00020
이 된다. 이러한 복소 데이터에서 I성분만을 취합하여 한 쌍의 좌표(x,y)로 매핑하고, Q성분만을 취합하여 한 쌍의 좌표(x1,y1)로 매핑한다. 즉,
Figure 112006014833289-pat00021
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복소 데이터의 I,Q성분 매핑으로 두 개의 좌표값이 만들어지면, 수신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x,y),(x1,y1)) 각각과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새로이 만들어진 하나의 좌표값 (x,y)과 뉴 디시젼 포인트간 거리를 예시한 것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해 보면 수신 데이터 (x,y)가 4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와 각각 거리
Figure 112006014833289-pat00022
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거리 계산부에 의해 두 개의 좌표값과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가 계산되면, 하드 디시젼부(400)는 계산된 각각의 거리중 최소 거리를 갖는 뉴 디시젼 포인트를 찾아 그 포인트에 맵핑되어 있는 바이너리값을 하드 디시젼값으로 출력한다.
즉, 하드 디시젼부(400)는 4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와 각각의 좌표간에 거리중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뉴 디시젼 포인트를 찾아 그 포인트에 맵핑되어 있는 바이너리값을 도 2에 도시한 인코딩 테이블에서 찾아 출력한다. 도 5의 예에서는
Figure 112007042906978-pat00023
의 거리가 최소인 관계로 좌표축상에서 (1,3)에 대응하는 바이너리값 "10"이 하드 디시젼값으로 최종 출력되어 DDCE로 입력된다.
한편 소프트 디시젼부(500)는 거리 계산부(300)에서 얻어진 두 포인트((x,y),(x1,y1)) 각각과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디시젼 바운더리값을 결정하여 비터비 복호화부로 출력한다. 디시젼 바운더리 값을 결정하기 위해 적용한 수학식을 정리하면 하기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06014833289-pat00024
상기 수학식 5에서
Figure 112006014833289-pat00025
는 도 6에서와 같이 거리 계산부(300)에서 얻어진 하나의 포인트 (x,y)와 두 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간 각각의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경우
Figure 112006014833289-pat00026
,
Figure 112006014833289-pat00027
이므로,
Figure 112006014833289-pat00028
가 되어 디시젼 바운더리를 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프트 디시젼부(500)에서는 거리계산부(300)에서 얻어진 데이터 매핑값 (x,y) 포인트와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바이너리 MSB와 LSB값을, 또 하나의 데이터 매핑값 (x1, y1) 포인트와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MSB1, LSB1값을 찾는다. 찾은 값 (MSB,LSB,MSB1,LSB1)은 도 2에 서 입력 비트의 순서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포인트(x,y)와 뉴 디시젼 포인트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MSB, LSB를 찾는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우선 소프트디시젼에서 MSB와 LSB를 찾는 방법은 하기 수학식 6에 근거한다.
Figure 112006014833289-pat00029
MSB :
LSB :
Figure 112006014833289-pat00030
즉, 소프트 디시젼부(500)는 거리계산부에서 만들어진 포인트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한후 그 선택된 값들의 차를 MSB로 선택한다.
그리고 소프트 디시젼부(500)는 상기 포인트를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한후 그 선택된 값들의 차를 LSB로 선택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동일하게 또 하나의 포인트 (x1,y1)에 대해서도 수행하여 디시젼 바운더리값에 해당하는 (MSB,LSB, MSB1,LSB1)을 찾아 이를 비터비 입력 비트수로 피팅(fitting)하고, 다시 오프셋 바이너리값으로 변환시켜 최종적으로 비터비 복호화부의 입력값으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M 복조기는, 디시젼 바운더리를 찾기 위해 종전 ML방법에서 사용한 추정식
Figure 112006014833289-pat00031
을 상기 수학식 5에서와 같이
Figure 112006014833289-pat00032
으로 간략화하였기 때문에, 구현이 용이함은 물론 하드웨어 구조가 간단한 실익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시젼 바운더리를 찾기 위해 종전 ML방법에서 사용한 추정식
Figure 112006014833289-pat00033
Figure 112006014833289-pat00034
으로 간략화하였기 때문에, 매트릭스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성능열화가 적고 ML(Maximum Likelihood) 방법에 비해 구현 및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향후 높은 데이터 레이트 무선 송수신을 요구하는 홈 네트워크 가전제품과 단말기, 그리고 PC 등에서 핵심 수신기 구조로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DCM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모든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한 채널성분을 입력받아 크기를 계산하고 그 크기를 이용하여 채널 보상 되어진 입력 데이터의 채널 성분 크기를 보상하기 위한 정규화 처리부와;
    각 채널 샘플의 크기를 계산하여 디폴트값을 가지는 디시젼 포인트와 연산하여 뉴(new) 디시젼 포인트를 계산하는 뉴디시젼 포인트 계산부와;
    상기 정규화 처리부에서 채널 성분의 크기가 보상된 복소 데이터중 두 복소 데이터의 I,Q성분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좌표값을 가지는 두 포인트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와;
    계산된 각각의 거리중 최소 거리를 갖는 뉴 디시젼 포인트를 찾아 그 포인트에 맵핑되어 있는 바이너리값을 하드 디시젼값으로 출력하는 하드 디시젼부와;
    상기 두 포인트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디시젼 바운더리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소프트 디시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CM(Dual Carrier Modulation) 수신단의 복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디폴트값을 가지는 상기 디시젼 포인트는 (1,3), (-3,1),(-1,-3),(3,-1)의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DCM 수신단의 복조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리 계산부에서 만들어지는 두 개의 좌표값중 하나는 복소 데이터의 I성분만으로, 나머지 하나는 복소 데이터의 Q성 분만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DCM 수신단의 복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디시젼부는 상기 거리 계산부에서 만들어지는 두 포인트 각각에 대하여 MSB(MSB1)와 LSB(LSB1)를 산출하여 디시젼 바운더리값으로 결정하되,
    상기 MSB(MSB1)는 해당 포인트를 기준으로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중 두 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하고, 나머지 두 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한후 그 선택된 값들의 차를 MSB(MSB1)로 선택하고,
    상기 LSB(LSB1)는 해당 포인트를 기준으로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중 두 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하고, 나머지 두 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한후 그 선택된 값들의 차를 LSB(LSB1)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DCM 수신단의 복조기.
  5.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한 채널성분을 입력받아 크기를 계산하고 그 크기를 이용하여 채널 보상 되어진 입력 데이터의 채널 성분 크기를 보상하는 제1단계와;
    각 채널 샘플의 크기를 계산하여 디폴트값을 가지는 디시젼 포인트와 연산하여 뉴(new) 디시젼 포인트를 계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채널 성분의 크기가 보상된 복소 데이터중 두 복소 데이터의 I,Q성분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좌표값을 가지는 두 포인트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제3단계와;
    계산된 각각의 거리중 최소 거리를 갖는 뉴 디시젼 포인트를 찾아 그 포인트에 맵핑되어 있는 바이너리값을 하드 디시젼값으로 출력하는 제4단계와;
    상기 두 포인트 각각과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간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디시젼 바운더리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CM 수신단의 복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시젼 바운더리값을 결정하는 제5단계는,
    상기 두 포인트 각각에 대하여 MSB(MSB1)와 LSB(LSB1)를 산출하여 디시젼 바운더리값으로 결정하되,
    상기 MSB(MSB1)는 해당 포인트를 기준으로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중 두 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하고, 나머지 두 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한후 그 선택된 값들의 차를 MSB(MSB1)로 선택하고,
    상기 LSB(LSB1)는 해당 포인트를 기준으로 상기 뉴 디시젼 포인트중 두 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하고, 나머지 두 개의 뉴 디시젼 포인트 각각과의 거리 자승치에서 작은값(min)을 선택한후 그 선택된 값들의 차를 LSB(LSB1)로 선택하여 디시젼 바운더리값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DCM 수신단의 복조방법.
KR1020060019505A 2006-02-28 2006-02-28 디시젼 오차를 줄이기 위한 복조기 및 그 방법 KR10076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505A KR100768409B1 (ko) 2006-02-28 2006-02-28 디시젼 오차를 줄이기 위한 복조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505A KR100768409B1 (ko) 2006-02-28 2006-02-28 디시젼 오차를 줄이기 위한 복조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447A KR20070089447A (ko) 2007-08-31
KR100768409B1 true KR100768409B1 (ko) 2007-10-18

Family

ID=3861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505A KR100768409B1 (ko) 2006-02-28 2006-02-28 디시젼 오차를 줄이기 위한 복조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4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213A (en) 1983-11-22 1987-04-21 Infinet, Inc. Signal structure for data communication
KR20040098136A (ko) * 2003-05-13 200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 결정 방식을 이용한 복조 방법
KR20040100585A (ko) * 2003-05-23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심볼 단위의 결정 경계값 추정을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213A (en) 1983-11-22 1987-04-21 Infinet, Inc. Signal structure for data communication
KR20040098136A (ko) * 2003-05-13 200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 결정 방식을 이용한 복조 방법
KR20040100585A (ko) * 2003-05-23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심볼 단위의 결정 경계값 추정을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447A (ko) 200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88840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和装置
US7653151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demodulation of two-level differential amplitude-shift-keying signals
JP5499687B2 (ja) Ofdm無線通信端末
JP4620685B2 (ja) グレイ・マップされたqamのための高速ソフトバリュー演算方法
KR20040075913A (ko) 수신 다이버시티를 갖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등화, 소프트역매핑 및 위상 에러 보정의 결합 수행 방법 및 무선수신기
US200602913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ilot overhea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6104358A1 (en) Antenna selection d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H10322408A (ja) 受信装置及び信号受信方法
WO2018050117A1 (zh) 一种调制方法、解调方法、相关设备和系统
US201101104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ingle-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3141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ingle-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452652B (zh) 一种基于混沌无线通信系统的多径干扰抑制方法
CN101237434B (zh) 一种格雷映射m-psk调制的软判决方法
EP342580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7583743B2 (en) Method of differential-phase/absolute-amplitude QAM
US9137060B2 (en) Method of cancelling inter-subcarrier interference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8295780B2 (en) Method for applying amplitude use to digital amplyfier with variable bit resolution or clock frequency and apparatus for excuting the method
Chung Orthogonal NOMA
KR100768409B1 (ko) 디시젼 오차를 줄이기 위한 복조기 및 그 방법
KR20050033032A (ko) 직교주파수 분할다중 시스템용 송신기 및 수신기
US20070183536A1 (en) Method of differential-phase/absolute-amplitude polar qam
US201002264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139706B2 (ja) 受信装置
US20070230552A1 (en) Method of differential-phase/absolute-amplitude qam
US8948315B2 (en) Receiver comprising a device for correcting doppler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