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948B1 -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948B1
KR100767948B1 KR1020060051117A KR20060051117A KR100767948B1 KR 100767948 B1 KR100767948 B1 KR 100767948B1 KR 1020060051117 A KR1020060051117 A KR 1020060051117A KR 20060051117 A KR20060051117 A KR 20060051117A KR 100767948 B1 KR100767948 B1 KR 100767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information
light
storage medium
information storag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5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8Modul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기준광과 정보광 사이의 간섭 패턴을 광정보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광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광을 상기 기준광과 상기 정보광으로 분리시키는 광분할기와 상기 정보광에 데이터를 적재하는 공간광변조기 및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정보광의 세기를 검출하여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이다.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정보광의 세기를 검출하여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함으로써 광정보 저장매체에 서보정보 저장영역을 별도로 생성함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 저장효율의 감소를 막을 수 있고, 서보정보의 기록재생을 위해 요구되는 시스템을 줄여서 기기의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정보 저장매체의 초기 트랙의 위치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Apparatus for recording of optical information, Apparatus for reproducing of optical information and Method of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 광정보를 기록할 때의 정보광과 기준광의 광경로를 포함한 광정보 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초기 트랙을 검색할 때의 정보광의 광경로를 포함한 광정보 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광정보 저장매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광정보를 재생하는 광정보 재생방법을 도시한 블록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광원
110 : 광분할기
120 : 공간광변조기
130 : 광정보 저장매체
140 : 검출기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영역과 광정보저장영역을 포함하는 광정보 저장매체에 정보광을 입사시켜 상기 광정보저장영역의 초기트랙을 찾는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적인 데이터 처리장치는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HD-DVD, 블루레이디스크(BD), 근접장(near field) 광 처리장치, 홀로그래픽 광 처리장치 등이 있다.
홀로그래픽 광 처리장치는 레이저 광원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간섭성(coherency)을 가지는 광을 광정보를 실은 정보광(information beam)과 기준광(reference beam)으로 분리하여 두 광을 광정보 저장매체에 동시에 입사시키면 두 광의 공간적인 간섭무늬가 기록되며, 광정보를 재생할 때는 기준광만을 광정보 저장매체에 입사시키면 기준광이 기록된 간섭무늬에 회절되어 광정보를 가진 정보광을 재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광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특정 좌표별로 밝기정보를 한 점(Bit)씩 일일이 저장하는 DVD 등의 기존 방식과 달리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장치는 평면의 전체 정보를 푸리에(Fourier) 변환방식 등을 이용하여 한 점에 기록하는 페이지 지향적인 메모리(Page-Oriented Memory)방식을 사용하는 대용량 저장기술이다.
또한,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장치는 데이터의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동일 지점에 홀로그램을 중첩 기록·재생하는 기법인 다중화 기법(Multiplexing Technique)을 사용한다. 다중화 기법에는 각도 다중화(Angle Multiplexing), 위상코드 다중화(Phase-coded Multiplexing), 파장 다중화(Wavelength Multiplexing), 쉬프트 다중화(Shift Multiplexing) 등이 있다.
대용량의 광정보를 다중화 방법 등에 의하여 작은 광정보 저장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처리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광정보 저장매체에 기록된 대용량의 광정보의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찾아내서 재생할 수 있는 처리기술 또한 중요시 되고 있다.
광정보 저장매체로부터 광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광정보 저장매체를 스핀들(spindle)로 회전시키면서 픽업장치(pick up system)를 이동시켜 광정보 저장위치를 찾아서 광정보를 재생한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광정보 저장영역을 신속하게 찾기 위해서는 초기 트랙(track)을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 트랙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광정보 저장매체에 서보정보 저장영역을 별도로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광정보 저장매체에 서보정보 저장영역을 별도로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개된 기술로 "대우일렉트로닉스사"에 의해 출원된 공개특허 2004-0039884호 "볼륨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및 재생 시스템"에 개시된 바 있다.
광정보 저장매체에 서보정보 저장영역을 별도로 마련하는 방법은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 저장영역을 감소시켜 광정보 저장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별도의 서보정보를 마련하지 않으면 트랙킹 에러 시그널(tracking error signal)이 나오지 않아 초기 트랙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각도 다중화의 경우에 초기 트랙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하면 다중화를 위한 시그널(signal)도 감지할 수 없다.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 저장효율을 감소시키지 않고 초기 트랙의 위치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보광을 이용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의 초기 트랙을 찾고,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광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광정보 기록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보광을 이용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의 초기 트랙을 찾고,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광정보 재생장치와 그 재생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광을 기준광과 정보광으로 분리시키는 광분할기와 상기 정보광에 데이터를 적재하는 공간광변조기 및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정보광의 세기를 검출하여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광정보 재생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을 기준광과 검색광으로 분리시키는 광분할기 및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검색광의 세기를 검출하여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기준광에 의해 재생되는 광정보 재생광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기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검색광의 세기를 검출하여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하는 제 1검출기와 상기 기준광에 의해 재생되는 광정보 재생광을 검출하는 제 2검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광정보 재생방법은 광정보 저장매체에 검색광이 입사되는 단계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검색광의 세기가 검출되어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기준광이 입사되어 광정보 재생광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정보 재생광이 검출기에 입사되어 광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 광정보를 기록할 때의 정보광과 기준광의 광경로를 포함한 광정보 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을 방출하는 광원(100)이 구비된다. 상기 광원(100)으로는 가간섭성(coherency)이 좋은 He-Ne 레이저, Ar 레이저 및 반도체 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을 정보광과 기준광으로 분리하는 광분할기(110)가 구비된다.
상기 광분할기(110)에서 분리된 정보광은 제 1셔터(101)를 통과한다. 상기 제 1셔터(101)는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도 3a의 133)을 찾을 때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광정보를 기록할 때 개방되며,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기록된 광정보를 재생할 때 폐쇄된다. 상기 제 1셔터(101)를 통과한 상기 정보광은 광정보 적재에 적절한 넓이로 확장시키는 빔익스팬더(Beam Expander;105)로 입사된다.
상기 빔익스팬더(105)를 통과한 상기 정보광은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SLM;120)에 입사된다. 상기 공간광변조기(120)는 TFT LC(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수동매트릭스의 STN LC(Super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강유전성 LC(ferro Liquid Crystal), 고분자 분산 LC(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플라즈마 구동형 LC(PALC; Plasma Address Liquid Crystal) 등의 투과형 공간광변조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광변조기(120)는 상기 정보광에 광정보를 적재한다.
또한, 상기 공간광변조기(120)는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찾을 때에는 모든 픽셀(pixel)을 온(on)으로 하거나 특정 픽셀만을 온(on)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광은 검색광이 된다.
상기 공간광변조기(120)를 통과한 정보광은 푸리에 변환렌즈(125)를 통과하여 광정보 저장매체(130)로 입사된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는 정보광과 기준광에 의한 간섭 패턴이 기록되는 광정보저장영역(131)과 상기 광정보저장영역(131)의 초기 트랙(133)을 찾기 위해 정보광을 차단하는 차단영역(13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영역(132)은 상기 정보광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광을 반사할 수도 있다.
상기 초기 트랙(133)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서 광정보가 최초로 기록되는 트랙으로서, 광정보 기기의 픽업장치(pick up system)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트랙을 찾는 기준이 된다. 상기 초기 트랙(133)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안쪽 테두리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바깥쪽 테두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광분할기(110)에서 분리된 기준광은 제 2셔터(102)로 입사된다. 상기 제 2셔터(102)는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찾을 때 폐쇄되고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광정보를 기록할 때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기록된 광정보를 재생할 때 개방된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찾은 후 상기 제 2셔터(102)가 개방되면, 상기 기준광은 반사거울(103)과 회전거울(104)에 반사되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입사된다. 상기 회전거울(104)은 각도다중화를 위해 상기 기준광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로 입사하는 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갈바노 미러(Galvano mirror)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광은 정보광과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광정보 저장영역(131)에 간섭 패턴을 만들어 광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기록된 광정보를 재생할 때는 상기 제 1셔터(101)는 개방되고 상기 제 2셔터(102)는 폐쇄되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찾는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찾은 후에는 상기 제 1셔터(101)는 폐쇄되고 상기 제 2셔터(102)는 개방되어 기준광만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로 입사된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기록된 간섭 패턴에 의하여 상기 기준광이 회절되면서 광정보 재생광을 생성한다. 상기 광정보 재생광은 상기 광정보 재생광의 확산을 막는 렌즈(135)를 통과하여 검출기(140)로 입사된다. 상기 검출기(140)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입사되는 기준광에 의해 재생되는 광정보 재생광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CCD(charge-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픽셀 어레이(pixel array)를 가진 화상인식장치(image sensing device)가 채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초기 트랙을 검색할 때의 정보광의 광경로를 포함한 광정보 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원(100)에서 방출된 광은 광분할기(110)에서 정보광과 기준광으로 분리된다. 상기 기준광은 제 2셔터(102)에 의해 차단된다. 상기 정보광은 제 1셔터(101), 빔익스팬더(105), 공간광변조기(120) 및 푸리에 변환렌즈(125)를 통과하여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입사된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찾기 위한 상기 정보광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차단영역(132)으로 입사된다. 상기 차단영역(132)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광정보 저장영역(131)의 초기 트랙(133)과 인접해 있으며,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안쪽 테두리나 바깥쪽 테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정보광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차단영역(132)에 입사되면, 상기 정보광은 검출기(140)에 입사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광정보 기기의 픽업장치(pick up system)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광정보 저장영역(131) 쪽으로 이동하면서 정보광을 입사시킨다. 상기 정보광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를 통과하여 검출기(140)에 입사된다. 상기 검출기(140)로 입사되는 정보광 세기의 차이는 상기 차단영역(132)과 상기 광정보 저장영역(131)의 경계에서 가장 크게 된다. 상기 검출기(140)는 상기 차단영역(132)과 상기 광정보 저장영역(131)의 경계에서 의 상기 정보광 세기의 차이를 인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영역(132)과 상기 광정보 저장영역(131)의 경계를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으로 인지한다. 상기 정보광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정보광은 검색광이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인지한 후에 상기 제 1셔터(101)와 상기 제 2셔터(102)를 개방하여 정보광과 기준광을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입사시킨다. 상기 정보광과 상기 기준광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간섭 패턴을 형성하여 광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기록된 광정보를 재생할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인지한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인지한 후에 기준광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입사된다. 상기 기준광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기록된 간섭 패턴에 회절되어 광정보 재생광을 생성한다. 상기 광정보 재생광은 검출기(140)로 입사되어 광정보가 검출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광정보 저장매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광정보 저장매체(130)는 정보광과 기준광에 의한 간섭 패턴이 기록되는 광정보 저장영역(131)과 상기 광정보 저장영역(131)의 초기 트랙(133)을 찾기 위해 상기 정보광을 차단하는 차단영역(132)을 구비한다. 상 기 차단영역(132)은 상기 정보광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광을 반사할 수도 있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상기 차단영역(132)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초기 트랙(133)이 선정되어 광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상기 차단영역(132)은 링(ring)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상기 차단영역(132)이 링 모양이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가 회전하면서 초기 트랙(133)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상기 차단영역(132)은 링 모양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상기 차단영역(132)이 링 모양의 일부분이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를 회전시키지 않고 초기 트랙(133)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도 4는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광정보를 재생하는 광정보 재생방법을 도시한 블록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원(100)에서 방출된 광은 광분할기(110)에서 검색광과 기준광으로 분리된다. 상기 기준광은 제 2셔터(102)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검색광은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입사된다(단계 S100).
상기 검색광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차단영역(132)에 차단되면 픽업장치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광정보 저장영역(13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검색광을 입사시킨다. 상기 검색광은 상기 차단영역(132)과 상기 광정보 저장영역(131)의 경계에서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를 통과하여 검출기(140)에 입사 된다. 상기 검출기(140)는 입사되는 상기 검색광 세기의 차이를 인지하여 제어부에 그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영역(132)과 상기 광정보 저장영역(131)의 경계를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으로 인지한다(단계 S200).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이 인지되면 제 1셔터(101)는 폐쇄되고 상기 제 2셔터(102)는 개방된다. 상기 제 2셔터(102)를 통과한 기준광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입사된다. 상기 기준광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기록된 간섭 패턴에 회절되어 광정보 재생광을 생성한다(단계 S300).
상기 광정보 재생광은 렌즈(135)를 통과하여 검출기(140)로 입사된다. 상기 검출기(140)는 입사한 광정보 재생광을 검출하여 판독한다(단계 S40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광정보 기록재생장치에서 광정보 저장매체(130)를 통과한 정보광의 경로상에 제 2광분할기(200)와 제 1검출기(210)를 구비하고, 상기 제 2광분할기(200)의 일측에 제 2검출기(220)를 구비한다.
광원(100)에서 방출된 광은 제 1광분할기(110)에서 정보광과 기준광으로 분리된다. 상기 정보광은 제 1셔터(101), 빔익스팬더(105), 공간광변조기(120) 및 푸리에 변환렌즈(125)를 통과하여 광정보 저장매체(130)에 입사된다. 상기 정보광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차단영역(132)에 차단되면 픽업장치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광정보 저장영역(131) 쪽으로 이동하면서 정보광이 입사된다. 상기 정보광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를 통과하여 제 2광분할기(200)에 입사된다. 상기 정보광은 상기 제 2광분할기(200)에서 제 1정보광과 제 2정보광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 1정보광은 제 1검출기(210)에 입사된다. 상기 제 1검출기(210)는 입사된 상기 제 1정보광을 감지하여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130)의 초기 트랙(133)을 선정한다. 상기 제 1정보광이 검색광이다. 상기 제 1검출기(210)는 4분할 디텍터(detector)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검출기(220)는 광정보 재생시 기준광에 의하여 재생되어 입사되는 광정보 재생광을 감지하여 광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제 1검출기(210)와 상기 제 2검출기(220)의 위치를 바꾸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광정보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나, 상기 광정보 기록재생장치에서의 검출기가 광정보 저장매체의 초기 트랙을 검색하는데에만 사용되는 검출기로 구비되는 광정보 기록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광정보 기록재생장치에서 공간광변조기를 제외하면 광정보 재생장치가 구성된다. 또한 공간광변조기를 투과형 공간광변조기로 구비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나, 상기 공간광변조기를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igital Micro-Mirror Deveice :DMD)의 반사형 공간광변조기로 구비하여 광정보 기록장치와 광정보 재생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정보광의 세기를 검출하여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함으로써 광정보 저장매체에 서보정보 저장영역을 별도로 생성함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 저장효율의 감소를 막을 수 있고, 서보정보의 기록재생을 위해 요구되는 시스템을 줄여서 기기의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정보 저장매체의 초기 트랙의 위치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Claims (4)

  1. 기준광과 정보광 사이의 간섭 패턴을 광정보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을 상기 기준광과 상기 정보광으로 분리시키는 광분할기;
    상기 정보광에 데이터를 적재하는 공간광변조기; 및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정보광의 세기를 검출하여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 광정보 저장매체에 기록된 간섭 패턴에 기준광을 입사시켜 광정보 재생광을 재생하는 광정보 재생장치에 있어서,
    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을 상기 기준광과 검색광으로 분리시키는 광분할기; 및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검색광의 세기를 검출하여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기준광에 의해 재생되는 광정보 재생광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검색광의 세기를 검출하여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하는 제 1검출기; 및
    상기 기준광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광정보 재생광을 검출하는 제 2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4. 광정보 저장매체에 기록된 간섭 패턴에 기준광을 입사시켜 광정보 재생광을 재생하는 광정보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검색광이 입사되는 단계;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검색광의 세기가 검출되어 초기 트랙의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에 상기 기준광이 입사되어 광정보 재생광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정보 재생광이 검출기에 입사되어 광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정보 재생방법.
KR1020060051117A 2006-06-07 2006-06-07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 KR100767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117A KR100767948B1 (ko) 2006-06-07 2006-06-07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117A KR100767948B1 (ko) 2006-06-07 2006-06-07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948B1 true KR100767948B1 (ko) 2007-10-18

Family

ID=3881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117A KR100767948B1 (ko) 2006-06-07 2006-06-07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9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526A (ko) * 1996-06-26 1998-03-30 알. 이. 루드닉 홀로그래픽 데이타 기억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20702A (ko) * 1999-05-07 2002-03-15 추후제출 Gps 보조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81597A (ko) * 2002-04-12 2003-10-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및 재생 시스템과 그어드레싱 방법
KR20030081600A (ko) * 2002-04-12 2003-10-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및 재생 시스템과 그어드레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526A (ko) * 1996-06-26 1998-03-30 알. 이. 루드닉 홀로그래픽 데이타 기억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20702A (ko) * 1999-05-07 2002-03-15 추후제출 Gps 보조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81597A (ko) * 2002-04-12 2003-10-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및 재생 시스템과 그어드레싱 방법
KR20030081600A (ko) * 2002-04-12 2003-10-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 및 재생 시스템과 그어드레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4530B2 (ja) 検索方法
US20080106996A1 (en)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787097B2 (ja) サーボを用いるホログラフィック記憶再生システム
US8593927B2 (en) Method of reading optical information and method of recording optical information
JP2005321372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デジタルデータシステムのミラー角度測定装置及びミラー角度サーボ装置
KR100767948B1 (ko)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
KR100727779B1 (ko) 광정보 재생장치, 광정보 기록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광정보 재생방법
KR100817717B1 (ko) 광정보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광정보 기록방법 및 광정보재생방법
JP5211816B2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749101B1 (ko)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저장매체
KR100738977B1 (ko) 광정보 처리장치 및 이를 위한 서보 제어방법, 광정보기록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그리고 광정보 서보 제어방법
KR100710839B1 (ko) 광정보 처리장치, 광정보 재생방법, 광정보 기록방법
KR100787755B1 (ko) 광정보 처리장치 및 광정보 재생방법
KR100846574B1 (ko) 광정보 처리를 위한 공간 광 변조기 및 공간 광 변조기에광정보 처리를 위한 패턴을 나타내는 방법
KR100626958B1 (ko) 레퍼런스빔 각도 자유도를 증가시키는 홀로그래픽 롬시스템 및 방법
KR100727778B1 (ko) 광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38981B1 (ko) 광정보 처리장치와 처리방법
KR100759493B1 (ko) 광정보 처리장치와 광정보 처리방법
KR100812916B1 (ko) 광정보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KR100812915B1 (ko) 광정보 기록장치와 기록방법
KR101473251B1 (ko) 광정보 저장매체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처리장치
KR100750264B1 (ko) 광정보 재생장치 및 방법, 광정보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JP2008041230A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再生装置
KR20090095788A (ko) 광정보 저장매체의 포맷 및 이를 이용한 서보제어 방법
KR20090095790A (ko) 광정보 저장매체 및 이를 이용한 서보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