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422B1 -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장치 및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장치 및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422B1
KR100767422B1 KR1020060034309A KR20060034309A KR100767422B1 KR 100767422 B1 KR100767422 B1 KR 100767422B1 KR 1020060034309 A KR1020060034309 A KR 1020060034309A KR 20060034309 A KR20060034309 A KR 20060034309A KR 100767422 B1 KR100767422 B1 KR 10076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evice
piezoresistive element
audio
bone conduction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2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성에 의해 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와; 상기 진동 전달부재가 결합되어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되는 변위 부재와; 상기 변위 부재가 결합되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진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과; 상기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에 연결되어 변형된 전기적 특성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 전도 오디오가 검출장치로 직접 전달되므로 입출력 소자간의 간섭이나 외부의 다른 소리 또는 진동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아 오디오의 품질이 안정될 수 있고, 반도체 공정을 통해 제조가 가능하여 대량 생산 및 소형화가 가능하며, 또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골 전도, 송수신 장치, 오디오 검출장치, 이어-세트,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DEVICE DETECTING AUDIO BY BONE CONDUCTION AND AUDIO TRANSMITTER-RECEIVER AND TRANSMITTE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송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송수신 장치 삽입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를 절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오디오 송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도 오디오 검출장치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는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의 일 실시예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6a의 선 "A-A"를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6a의 선 "B-B"를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d는 도 6a의 도시된 오디오 검출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8a는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7a의 선 "C-C"를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7a의 도시된 오디오 검출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오디오 송수신 장치 10 ... 본체
11 ... 제어부 12 ... 전원 공급부
20 ... 삽입부 21 ... 삽입부 케이스
31a, 31b ... 연결유닛 200 ... 검출장치
210 ... 기판 220 ... 변위 부재
230 ... 진동 전달부재 300 ... 스피커
400 ... 방진부재 500 ... 출력통로
본 발명은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통신 기술의 발전은 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을 포함한 통신 성능의 개선과 이에 병행한 카메라 기능, 휴대형 음악 재생 기능, 게임 기능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과 휴대형 금융 거래 인증 기능 등의 다양한 응용 기능의 부가되는 등 다양하게 발전을 하였고,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에 힘을 입어 다양한 기능의 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통신 단말기의 주변 장치의 발전 또한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특히, 통신 단말기의 주요 기능인 음성 통화 및 오디오 신호 입출력 장치로서 단말기에 장착된 마이크로폰(microphone) 및 스피커(speaker)와는 별도로 이어폰(earphone) 또는 헤드 셋(headset) 등의 형태로 유선 음성 입출력 주변 장치가 일반화되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발전과 무선 통신 모듈의 소형화 및 저전력 구동 기술,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이산 신호 처리(discrete signal processing) 회로 등 특정 응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저전력화와 집적도 증가에 따른 소형화 및 염가화 등에 힘입어 상기 유선 방식으로 구현되던 통신 단말기의 주변 장치가 고주파 통신 방식에 기반 한 무선 주변 기기로의 대체가 실용적으로 가능해 지고 있다.
특히, 통신 단말기의 주변장치인 이어 셋(ear-set) 또는 헤드 셋(headset) 등의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의 경우, 무선 송수신 방식에 의한 핸즈프리(hands free) 등의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보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음성 송수신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장착 편의성 및 휴대성과 관련하여 이어 셋 또는 헤드 셋의 소형화가 요구되며, 입출력에 따른 오디오 또는 음성 신호를 보다 정밀하고 맑은 신호의 입출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어쿠스틱 방식의 음성 입력 장치인 마이크로폰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어쿠스틱 방식의 음성 입력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는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의 구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소형화에 제약이 있었다.
또한, 유/무선에 상관없이 기존의 어쿠스틱 방식의 마이크로폰은 사용자 주변의 외부 소음이 사용자의 음성과 혼입되어 입력되므로, 사용자 음성 정보의 명료도를 훼손할 수 있고, 주변 소음이 심한 환경 또는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심한 환경 등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분간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 전도를 이용한 검출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또한, 이를 기초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기존 기술에 의한 골 전도 진동 검출 장치는 외이도에 삽입되는 부분에 소형 공기 챔버(air chamber)를 가지는 돌출부(balloon)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에 의한 진동을 기존의 음성 검출 소자인 어쿠스틱 마이크로폰(acoustic microphone)을 통해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종래의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는 상기 돌출부 외이도 피부와 접촉되어 사용자의 발성에 의한 골 전도 진동이 외이도 피부에서 발생하면, 상기 공기 챔버 내에 진동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상응하는 압력(pressure)의 변화가 유기되므로 음압(sound pressure)을 검지하는 어쿠스틱 마이크로폰에 의해 압력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돌출부(balloon) 내부의 공기 등에 의하여 진동이 감쇄(damping)하게 되는 특성에 의해 골 전도 진동의 파형이 왜곡되며, 또한, 진동의 세기 역시 감소 되므로 인하여 검출 음성의 충실도 및 감도(resolution) 등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발생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내부에 스피커와 검출장치가 함께 장착되기 때문에 스피커에 의한 오디오의 출력이 음성 검출장치로 입력되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즉, 종래의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는 소형화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하고 있기는 하지만, 오디오 검출 신호의 정밀도 및 감도 등의 측면에 있어서는 여전히 문제가 발생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목적은 골 전도 진동이 왜곡되거나 감쇄되지 않고 어떠한 변형 없이 검출장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음성 또는 오디오의 입력 소자와 출력 소자 간에 간섭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및 입력되는 오디오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무선 또는 유선의 오디오 입출력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의 주변기기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오디오 송수신 장치에 적용되는 오디오 검출장치를 일반적인 소자의 제조방식은 물론 반도체 제조공정을 통해서도 제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므로 소형의 오디오 송수신 장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오디오 송수신 장치에 적용되는 오디오 검출장치가 오디오 출력장치는 물론 외부의 주변 잡음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지 않고, 소음이 심하게 발생 되는 환경에서도 명료한 오디오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오디오의 입출력이 가능한 양 방향 통신장치 또는 오디오의 입력만 가능한 일 방향 통신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는 음성에 의해 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와; 상기 진동 전달부재가 결합되어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되는 변위 부재와; 상기 변위 부재가 결합되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진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과; 상기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수단에 연결되어 변형된 전기적 특성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은 변위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변전극과 상기 기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정전극 및 상기 가변전극과 고정전극에 연결되는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변전극은 변위 부재를 다이아프램으로 구성하여 변위 부재 자체가 가변전극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은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고정전극이 중앙부 공간에 증착 또는 도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절연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변위 부재는 자체가 가변전극이 되도록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는 음성에 의해 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와; 상기 진동 전달부재가 결합되어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되는 변위 부재와; 상기 변위 부재가 결합되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진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도록 변 위 부재에 결합되어 기준저항 및 측정저항이 되는 다수개의 압저항 소자와, 상기 각 압저항 소자를 연결하는 연결선, 그리고 상기 압저항 소자에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과; 상기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에 연결되어 변형된 전기적 특성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위 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압저항 소자는 상기 변위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면에 도핑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압저항 소자 중 일부는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과 수직 하게 상기 턱 부분에 걸쳐지도록 구성되고, 압저항 소자 중 나머지는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을 따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압저항 소자 중 일부는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과 수직되게 상기 턱 부분에 걸쳐지도록 구성되고, 또한 압저항 소자 중 나머지는 기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압저항 소자들은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는 음성에 의해 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와; 상기 진동 전달부재가 결합되어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되는 변위 부재와; 상기 변위 부재가 결합되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진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도록 변위 부재에 결합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전 소자와, 상기 각 압전 소자를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과; 상기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에 연 결되어 변형된 전기적 특성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압전 소자는 압전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과 수직하게 되도록 상기 턱 부분에 걸쳐지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 압전 소자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변위 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여 압전 소자가 상기 변위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면에 증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진동 전달부재는 구 형상 또는 기둥 형상으로 변위 부재에 집적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골전도 오디오 검출장치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송수신 장치는 송수신 유닛과 오디오신호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스피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출력통로가 형성되도록 방진부재가 채워지는 삽입부와;상기 스피커 및 검출장치를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장치는 음성에 의해 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와; 상기 진동 전달부재가 결합되어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되는 변위 부재와; 상기 변위 부재가 결합되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진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과; 상기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에 연결되어 변형된 전기적 특성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오디오 송수신 장치에 적용되는 검출장치는 위에 언급된 실시예의 검출장치의 변형된 구성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되는 오디오 송수신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골전도 오디오 검출장치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송신 장치는 송신 장치와 오디오신호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본체와;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 및 방진부재가 채워지는 삽입부와;상기 검출장치를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장치는 음성에 의해 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와; 상기 진동 전달부재가 결합되어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되는 변위 부재와; 상기 변위 부재가 결합되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진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과; 상기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에 연결되어 변형된 전기적 특성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오디오 송수신 장치에 적용되는 검출장치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송신 장치에 적용되는 검출장치 또한 위에 언급된 실시예의 검출장치의 변형된 구성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되는 오디오 송신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가 이어-세트(ear-set)에 적용되는 일 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를 이용하는 오디오 송수신 장치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오디오 송수신 장치(1)는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20)와 귀바퀴 부근에 위치되는 본체(10)로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본체(10)에는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어부(11)와 상기 제어부(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20)는 상기 제어부(11)에 연결유닛(31a)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300)와 상기 제어부(11)에 연결유닛(31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검출장치(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20)의 일 측 단부(고막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측면)에는 상기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된 소리가 고막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개구(도면 부호 미표시)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0)의 내부에는 방진부재(400)가 충진된다.
상기 방진부재(400)는 상기 검출장치(200)가 케이스(21)의 내부 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스피커(3300)로부터 상기 삽입부(20) 케이스(21)의 일 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이르는 출력통로(500)가 형성되도록 충진된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400)는 상기 스피커(300)와 검출장치(200)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검출장치(20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오디오 신호로 입력될 수 있는 영향(즉, 잡음신호를 유발하는 원인)으로부터 상기 검출장치(200)를 보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를 이용하는 오디오 송신 장치의 내부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오디오 송신 장치(1-2)는 상기 오디오 송수신 장치(1)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는데, 오디오 송수신장치(1)의 구성요소인 스피커(300)와 연결유닛(31a), 그리고 오니오 수신 수단이 구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20-2)의 구성에 있어서, 개구와 출력통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오디오 송신 장치(1-2)는 출력수단이 없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오디오 송수신 장치(1)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오디오 송신 장치(1-2)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오디오 송신 장치(1-2)는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20-2)와 귀바퀴 부근에 위치되는 본체(10-2)로 구성되는데, 상기 본체(10-2)에는 오디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제어부(11-2)와 상기 제어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20-2)는 상기 제어부(11-2)에 연결유닛(31b-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검출장치(200-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20-2)는 그 내부에 방진부재(400-2)가 충진되는데, 상기 방진부재(400-2)는 상기 검출장치(200-2)가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오디오 신호로 입력될 수 있는 영향(즉, 잡음신호를 유발하는 원인)으로부터 상기 검출장치(200-2)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400-2)는 검출장치(200-2)가 케이스의 내부 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오디오 송수신 장치(1) 및 송진 장치(1-2)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200)에 대한 설명 이후에 상기 검출장치(200)와 연결하여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검출장치(200)는 오디오 송수신 장치(1) 및 송진 장치(1-2) 모두에 적용되는 요소로서 특별한 차이가 없으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오디오 송수신 장치(1)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검출장치(20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유닛(31b)와 연결되는 기판(210)과 골 전도에 전달된 진동에 의해 그 형상 변화를 일으켜 전기적인 특성이 변화시키게 되는 변위 부재(220), 그리고, 상기 변위 부재(220)에 진동을 전달시키는 매개 부재인 진동 전달부재(2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골 전도에 전달되는 진동이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를 통해 변위 부재(220)에 진동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진동에 의해 변위 부재(220)는 그 형상의 변화를 일으켜, 이하 설명되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을 통해 진동값을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식된 진동값은 연결유닛(31b)를 통해 제어부 (11)로 전달되어 오디오(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는 진동의 전달을 보다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강도와 경도가 높은 물질 즉, 진동 전달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는 내부에 공간이 전혀 없는 조밀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출장치(200)가 오디오 송수신 장치(1)에 장착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물론 오디오 송신 장치(1-2)에 장착되는 구조도 이하 설명되는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오디오 송수신 장치(1)에 장착되는 구조에 대한 설명만 하겠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보면, 골 전도의 오디오 검출장치(200)가 피부(40)로부터 골 전도된 오디오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두 가지 실시예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검출장치(200)의 장착 상태에 대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a의 도시와 같이, 전달부재(230)가 삽입부(20)의 케이스(21) 내부 면에 접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검출장치(200)는 삽입부(20)의 내부에 충진된 방진부재(4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게 됨은 물론이며, 외부의 진동 등이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가 접하도록 구성되는 삽입부(20)의 케이스(21) 귀속으로 삽입되어 외이도의 피부(40)에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말을 하게 되면, 성대에 의해 발성된 음이 사용자의 두개골을 울리게 되고, 이로 인해 외이도의 피부로도 발성된 음의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달된 진동은 케이스(21)를 통해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로 전달되고,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는 변위 부재(220)로 진동을 다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가 접하지 않는 케이스(21)의 나머지 위치로 전달되는 외부의 진동 등은 내부에 충진된 방진부재(400)에 의해 감쇄되기 때문에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로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전달된다 하더라도 그 정도가 매우 미미하게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진동만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200)의 장착 상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b의 도시와 같이, 삽입부(20)의 케이스(21-1)는 외이도와 접하는 어느 일 위치에 구멍(22)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22)은 전달부재(230) 보다 약간 더 넓은 크기로 형성되는데, 상기 구멍(22)의 위치에 전달부재(230)의 단부가 삽입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전달부재(230)와 구멍(22) 사이에는 상기 방진부재(4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21-1)와 전달부재(230)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검출장치(200)는 삽입부(20)의 내부에 충진된 방진부재(4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게 됨은 물론이며, 외부의 진동 등이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가 외이도의 피부(40)에 직접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말을 하게 되면, 성대에 의해 발성된 음이 사용자의 두개골을 울리게 되고, 이로 인해 외이도의 피부로도 발성된 음의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달된 진동은 직접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로 전달되고,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는 변위 부재(220)로 진동을 다시 전달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케이스(21-1)에 전달되는 외부의 진동 등이 방진부재(400)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감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송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상기 장치들은 유선 또는 무선 장치 모두를 포함한다.
이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발성된 소리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인 검출장치(200)에 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검출장치는 그 방식에 따라 용량 변화를 이용한 방식과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 및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를 적절하게 응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전기적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발성된 소리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변형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는 검출장치(200-1)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검출장치(200-1)는 기판(210-1)과 변위 부재(220-1), 그리고 진동 전달부재(230-1)와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과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1) 및 출력단자(2270-1)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210-1)은 상기 변위 부재(220-1)가 결합 된 상태에서 진동 전달부재(230-1)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그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중간 위치에 공간(250-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250-1)의 바닥면에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을 구성하게 되는 고정전극(240-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전극(240-1)의 어느 일 측에는 출력단자(270-1)와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1)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고정전극(240-1)은 기판(210-1)의 공간(250-1) 위치에 전극 판을 결합시켜 구성시킬 수도 있고, 또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전극물질을 증착시켜 구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도금 방식을 이용하여 전극물질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력단자(270-1)와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유닛(31b)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판(210-1)에 전극패턴을 인쇄하여 구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판(210-1)의 상부위치 즉, 상기 공간(250-1)의 상부 위치에는 변위 부재(220-1)가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변위 부재(220-1)는 하부 위치에는 상기 고정전극(240-1)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을 구성하게 되는 또 다른 전극, 즉 가변전극(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된다.
상기 가변전극의 일 위치에는 상기 고정전극(240-1)과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각각의 출력단자(270-1)와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1)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가변전극 또한 고정전극(240-1)과 마찬가지로 상기 변위 부재(220-1)에 전극 판을 결합시켜 구성시킬 수도 있고, 또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전극물질을 증착시켜 구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도금 방식을 이용하여 전극물질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가변전극에 연결되는 출력단자(270-1)와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1) 역시 연결유닛(31b)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판(210-1)에 전극패턴을 인쇄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 다. 즉, 상기 고정전극(240-1)과 가변전극에 연결되는 출력단자(270-1)와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1)의 형성은 종래의 다양한 패턴인쇄 방법을 통해 구성에 적합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위 부재(220-1)는 가변전극 형성을 위하여 전극을 결합 또는 형성시키지 않고 변위 부재 자체가 가변전극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기판(210-1)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기판(210-1)과 그 자체가 가변전극이 되는 변위 부재(220-1) 사이에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판(210-1)의 상부면에 산화막 등과 같은 유전체 물질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변위 부재(220-1)는 그 변위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박막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 또는 멤브레인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변위 부재(220-1)의 상부 위치에는 진동 전달부재(230-1)가 배치되는데, 진동의 전달량이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210-1)에 형성되는 공간(250-1)의 중앙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1)는 변위 부재(220-1)의 상부 위치에 증착 방식 등에 의해 상기 변위 부재(220-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검출장치(200-1)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를 기초로 하는 제조가 가능하게 되므로 다수개의 검출장치가 미소한 크기로 동시에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가변전극과 고정전극은 일정한 간극을 가지게 되므로 캐패시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1)가 진동을 하게 되면, 이에 동기되어 상기 변위 부재(220-1)가 진동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상기 가변전극과 고정전극 사이의 간극이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간극의 변화는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주게 되고, 이와 같은 정전용량의 변화 값이 출력단자를 통해 검지되어 음성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1)는 상기 캐패시터(즉, 가변전극 및 고정전극)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검출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인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검출장치(200-2)에 대한 구성을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검출장치(200-2)는 기판(210-2)과 변위 부재(220-2), 그리고 진동 전달부재(230-2)와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과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2) 및 출력단자(270-2)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진동 전달부재(230-2)에 의해 전달된 진동을 통해 변위 부재(220-2)의 변형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위치에 응력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소자를 배치하여 저항 변화에 따른 출력 값으로 발생 된 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판(210-2)은 상기 변위 부재(220-2)가 결합 된 상태에서 진동 전달부재(230-2)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그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중간 위치에 공간(250-2)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210-2)의 상부위치 즉, 상기 공간(250-2)의 상부 위치에는 변위 부재(220-2)가 결합 된다. 여기서, 상기 변위 부재(220-2)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 을 구성하게 되는 소자로 응력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소자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저항 변형 소자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저항 소자(240-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압저항 소자(240-2)는 도 7b에 도시되 것과 같이 압저항 소자(240-2)의 길이방향이 상기 기판(210-2)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250-2)을 형성하게 되는 턱 부분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턱 부분에 상기 압저항 소자(240-2)의 중간 부분이 걸쳐지도록 구성되고, 나머지 일부의 압저항 소자(240-2)는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저항 소자(240-2)의 길이방향이 상기 기판(210-2)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250-2)을 형성하게 되는 턱 부분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턱 부분을 따라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도 7b에 도시되 것과 같은 위치로 압저항 소자(240-2)의 길이방향이 상기 기판(210-2)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250-2)을 형성하는 턱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압저항 소자는 변위소자가 되고, 상기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로 압저항 소자(240-2)의 길이방향이 상기 기판(210-2)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250-2)을 형성하게 되는 턱 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압저항 소자는 기준소자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변위부재(220-2)가 구불어지게 되면, 응력이 변하는 위치의 압저항 소자(즉, 수직으로 배치된 소자)의 저항은 변하게 되고, 응력이 변하지 않게 되는 위치의 압저항 소자(즉, 평행으로 배치된 소자)의 저항은 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압저항 소자(240-2)에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2)와 출 력단자(270-2)를 각각 연결하여 기준 저항값과 측정 저항값의 차이를 통해 음성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준 저항이 되는 압저항 소자는 변위부재(220-2)에 의해 영향을 전혀 받지 않도록 기판(210-2)에 형성되는 공간(250-2)의 바닥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를 갖는 압저항 소자(240-2)들은 각각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2) 및 출력단자(270-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각 압저항 소자(240-2)들을 연결선(도면부호 미표시)으로 연결한 후에 압저항 소자(240-2)가 일정 영역으로 나누어지도록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2) 및 출력단자(270-2)에 연결하여 도 7a 및 도 7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출력 값이 더욱 안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변위부재(220-2)는 압저항 소자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과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2) 및 출력단자(270-2)는 위에서 설명한 용량 변화형 검출장치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전극 패턴을 이용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종래의 다양한 패턴인쇄 방법을 통해 구성에 적합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저항 소자(2240-2)는 압저항 소자를 상기 변위부재(220-2) 및/또는 기판(210-2)에 결합시켜 구성시킬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상기 변위부재(220-2)를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변위부재(220-2) 어느 일 면에 n -형 및/ 또는 p-형 도핑을 하여 압저항 소자(2240-2)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변위부재(220-2)의 상부 위치에는 진동 전달부재(230-2)가 배치되는데, 진동의 전달량이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210-2)에 형성되는 공간(250-2)의 중앙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2)는 변위 부재(220-2)의 상부 위치에 증착 방식 등에 의해 상기 변위 부재(220-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검출장치(200-2)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를 기초로 하는 제조가 가능하게 되므로 다수개의 검출장치가 미소한 크기로 동시에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2)가 진동을 하게 되면, 이에 동기 되어 상기 변위 부재(220-2)가 진동되고, 상기 진동을 통해 변위 부재(220-2)는 그 형상이 변하게 된다. 즉, 상기 변위 부재(220-2)는 진동 전달부재(230-2)가 배치된 부근이 하부 방향을 처지거나 상부 방향으로 융기된다.
이때, 상기 변위 부재(220-2)의 변형에 의해 압저항 소자(240-2)들 중 측정 소자는 응력변형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저항값이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저항값의 차이를 검지하여 음성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260-2)는 상기 각 압저항 소자(240-2)들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검출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인 전류 변화를 이용하는 검출장치(200-3)에 대한 구성을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검출장치 (200-3)는 기판(210-3)과 변위 부재(220-3), 그리고 진동 전달부재(230-3)와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 및 출력단자(27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된 용량 변화형 검출장치와 저항 변화형 검출장치의 실시예에서는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가 구비되어야 하지만, 전류 변화를 이용하는 검출장치의 실시예에서는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하 설명되는 전류 변화를 이용하는 검출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진동 전달부재(230-3)에 의해 전달된 진동을 통해 변위 부재(220-3)의 변형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위치에 응력 변화에 따라 전류가 발생 되는 소자를 배치하여 전류 변화에 따른 출력 값으로 발생 된 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판(210-3)은 상기 변위 부재(220-3)가 결합 된 상태에서 진동 전달부재(230-3)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그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중간 위치에 공간(250-3)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210-3)의 상부위치 즉, 상기 공간(250-3)의 상부 위치에는 변위 부재(220-3)가 결합 된다. 여기서, 상기 변위 부재(220-3)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을 구성하게 되는 소자로 응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변하는 소자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전류 변형 소자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전소자(240-3)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압전소자(240-3)는 도 8b에 도시되 것과 같이 압전소자(240-3)의 길이방향이 상기 기판(210-3)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250-3)을 형성하게 되는 턱 부분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턱 부분에 상기 압전소자(240-3)의 중간 부분이 걸쳐지도록 배치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변위부재(220-3)가 구부러지게 되면, 응력이 변하는 위치의 압전소자에 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전류의 세기가 달라진다. 즉, 변형이 클수록 전류의 세기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압전소자(240-3)에 출력단자(270-3)를 각각 연결하여 발생되는 전류의 세기를 검출하여 음성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압전소자(240-3)는 연결선(도면부호 미표시)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게 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병렬로 연결되게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변위부재(220-3)는 압전소자(240-3)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과 출력단자(270-3)는 위에서 설명한 용량 변화형 검출장치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전극 패턴을 이용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종래의 다양한 패턴인쇄 방법을 통해 구성에 적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변위부재(220-3)의 상부 위치에는 진동 전달부재(230-3)가 배치되는데, 진동의 전달량이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210-3)에 형성되는 공간(250-3)의 중앙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3)는 변위 부재(220-3)의 상부 위치에 증착 방식 등에 의해 상기 변위 부재(220-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검출장치(200-3)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를 기초로 하는 제조가 가능하게 되므로 다수개의 검출장치가 미소한 크기로 동시에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진동 전달부재(230-3)가 진동을 하게 되면, 이에 동기 되어 상기 변위 부재(220-3)가 진동되고, 상기 진동을 통해 변위 부재(220-3)는 그 형상이 변하게 된다. 즉, 상기 변위 부재(220-3)는 진동 전달부재(230-3)가 배치된 부근이 하부 방향을 처지거나 상부 방향으로 융기된다.
이때, 상기 변위 부재(220-3)의 변형에 의해 각 압전소자(240-3)들은 응력변형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류가 발생되며, 변형의 증가 정도에 따라 전류의 세기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류의 값을 검지하여 음성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 변화형 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바이어스 전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진동 전달부재는 진동의 전달을 보다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 형상 또는 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골 전도 오디오가 검출장치로 직접 전달되므로 외부의 다른 소리 또는 진동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수신되는 오디오의 왜곡, 감쇄, 하울링 또는 에코 등과 같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또는 오디오의 입력 소자와 출력 소자 간에 간섭이 발생 되지 않게 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및 입력되는 오디오의 감도를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송수신 장치 또는 송신 장치는 유선은 물론 무선 방식의 통신장치에도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입출력 소자 간의 간섭 또는 외부 음성이나 오디오 잡음이 방지되어 속삭이는 수준의 음성도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소자의 제조 방식은 물론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검출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크기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의 주변장치는 물론이며, 다른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주변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음성에 의해 골에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와;
    상기 진동 전달부재가 결합되어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되는 변위 부재와;
    상기 변위 부재가 결합되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진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변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변위 부재가 골의 진동에 동기되어 변형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과;
    상기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에 연결되어 변형된 전기적 특성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기적 특성 변형수단은 변위 부재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압저항 소자와 상기 각 압저항 소자를 연결하는 연결선, 그리고 상기 압저항 소자에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저항 소자는 기준저항 및 측정저항으로 구성되어 저항값의 변화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압저항 소자는 상기 변위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면에 도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소자 중 일부는 측정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과 수직 하게 상기 턱 부분에 걸쳐지도록 구성되고, 압저항 소자 중 나머지는 기준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을 따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소자 중 일부는 측정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과 수직되게 상기 턱 부분에 걸쳐지도록 구성되고, 압저항 소자 중 나머지는 기준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기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소자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송수신 장치와 음성신호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된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및 제 5 항의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스피커 및 검출장치를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외부 또는 스피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에 의해 감지되지 않도록 그 내부에 방진부재가 채워지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스피커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피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출력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압저항 소자는 상기 변위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면에 도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소자 중 일부는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과 수직 하게 상기 턱 부분에 걸쳐지도록 구성되고, 압저항 소자 중 나머지는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을 따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소자 중 일부는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과 수직되게 상기 턱 부분에 걸쳐지도록 구성되고, 압저항 소자 중 나머지는 기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소자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소자 중 일부는 측정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과 수직 하게 상기 턱 부분에 걸쳐지도록 구성되고, 압저항 소자 중 나머지는 기준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을 따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소자 중 일부는 측정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압저항 소자의 길이방향이 기판의 공간을 형성하는 턱 부분과 수직되게 상기 턱 부분에 걸쳐지도록 구성되고, 압저항 소자 중 나머지는 기준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기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을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압전 소자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 치.
  27. 삭제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송수신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 장치.
  29. 삭제
  30. 송신 장치와 음성신호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 5 항의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가 내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검출장치를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외부 소음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에 의해 감지되지 않도록 그 내부에 방진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신 장치.
  31. 삭제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송신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 음성 검출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송신 장치.
KR1020060034309A 2006-04-14 2006-04-14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장치 및 송신 장치 KR10076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309A KR100767422B1 (ko) 2006-04-14 2006-04-14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장치 및 송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309A KR100767422B1 (ko) 2006-04-14 2006-04-14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장치 및 송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422B1 true KR100767422B1 (ko) 2007-10-17

Family

ID=3881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309A KR100767422B1 (ko) 2006-04-14 2006-04-14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장치 및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8906A (zh) * 2015-10-21 2017-06-20 奥迪康医疗有限公司 用于骨导听力装置的测量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273A (ja) * 1995-01-24 1996-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骨伝導音声振動検出素子および骨伝導音声振動検出装置
JP2002262377A (ja) * 2001-02-28 2002-09-13 Taiyo Yuden Co Ltd 骨導ピックアップ素子及びその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273A (ja) * 1995-01-24 1996-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骨伝導音声振動検出素子および骨伝導音声振動検出装置
JP2002262377A (ja) * 2001-02-28 2002-09-13 Taiyo Yuden Co Ltd 骨導ピックアップ素子及びそのユニ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8906A (zh) * 2015-10-21 2017-06-20 奥迪康医疗有限公司 用于骨导听力装置的测量设备
CN106878906B (zh) * 2015-10-21 2020-11-06 奥迪康医疗有限公司 用于骨导听力装置的测量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4815B2 (en)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CN102934464B (zh) 麦克风单元以及设有该麦克风单元的声音输入装置
US9628904B2 (en) Voltage control device for ear microphone
US20120288130A1 (en) Microphone Arrangement
US20080273736A1 (en) Electrostatic microphone
US11303993B2 (en) Sound transducer unit for generating and/or detecting sound waves in the audible wavelength spectrum and/or in the ultrasonic range
CN101827298A (zh) 麦克风单元
US20100246861A1 (en) Small-sized sound receiver for producing body-sensing vibration
US20150189443A1 (en)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CN101321413B (zh) 电容式麦克风
CN202135311U (zh) 麦克风
WO2008062849A1 (fr) Dispositif à circuit intégré, dispositif d'entrée vocale et systèm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CN111031424A (zh) 振动感测装置、耳机以及电子设备
US20150030195A1 (en) In-ear headphone with sound pick-up capability
US20140003628A1 (en) Condenser Microphone
KR20200040958A (ko) 지향성 멤스 마이크로폰 및 이를 포함하는 멤스 마이크로폰 모듈
WO2022100551A1 (zh) Mems压电微扬声器、微扬声器单元及电子设备
US11388496B2 (en) Microelectromechanical microphone having a stoppage member
KR100767422B1 (ko) 골 전도 오디오 검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송수신장치 및 송신 장치
CN101835075A (zh) 麦克风单元
JP5152906B2 (ja) 無指向性コンデンサー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無指向性コンデンサーマイクロホン
WO2009116256A1 (ja) マイクロホン装置
CN209627691U (zh) 一种带机械式开关功能的麦克风
CN201226594Y (zh) 硅基电容式麦克风
KR200216321Y1 (ko) 마이크겸용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