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599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599B1
KR100766599B1 KR20050131134A KR20050131134A KR100766599B1 KR 100766599 B1 KR100766599 B1 KR 100766599B1 KR 20050131134 A KR20050131134 A KR 20050131134A KR 20050131134 A KR20050131134 A KR 20050131134A KR 100766599 B1 KR100766599 B1 KR 100766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data
terminal
multimedia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3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251A (ko
Inventor
정윤필
한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5013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59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599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MMSC)로부터 메시지/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시지 목록이 가득 찬 경우/메시지 함의 용량을 초과한 때에, 가장 오래된 메시지/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시지의 수신함 관리를 하지 않아도 단말기가 자동으로 메시지를 관리함으로써, 계속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MMS, SMS, MMSC, SMSC, 수신거부, 수신허용, 통지, 인출, 삭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media mess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통합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실시예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실시예 신호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b는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메시지 수신 방법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한 일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단말기 120 : 기지국
130 : MMSC 140 : SMSC
150 : 서비스 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간단히 'SMS'라 함)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하, 간단히 'MMS'라 함)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에 사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MS란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 간에 문자 및 숫자로 구성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MMS가 도입되기 전에는 SMS만이 메시지 서비스로서 SMS의 관리만 이루어 지고 있었다.
그러나, 단말기의 진화 및 성능 개선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도입이 되었으며, 이에 따른 사용자의 욕구 증대로 인하여 단순 90바이트의 문자 메시지를 벗어나 자신이 촬영한 사진 및 벨소리 등의 멀티미디어 개체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MMS가 도입되었다. 즉, MMS란 텍스트, 음악, 이미지, 동영상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리치 미디어 메시지(rich media message)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일반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메시지를 이용하는 SMS에 반해, MMS는 대 용량 데이터로 인하여 데이터 호를 사용하여 송수신하게 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동일한 메시지로 인식은 되지만 실제 기술적으로는 SMS와 MMS는 그 송수신 방식이 상이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의 구현 방식도 초기에는 SMS와 MMS의 통합관리(메시지 수신함, 메시지 발신함 등)가 불가능하여, SMS용 관리함, MMS용 관리함이 별도로 존재하였으며, 현재도 이러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술적인 진화에 따라 SMS와 MMS를 통합 관리하게 되었으며, 그 송수신 기술은 다르다 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관리함에서 SMS와 MMS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의 SMS와 MMS의 통합 관리 방법 중 수신함 관리는 메시지 저장 가능 개수에 있어 제약을 두고 있다. 즉, 메시지 저장 가능 개수를 초과하여 메시지 수신이 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팝업 등을 통하여 '메시지 저장 공간 부족'을 알리고, 사용자가 메시지를 삭제하여 수신 가능해 지기 전까지 그 다음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신함 관리에서 일반적으로 메시지 서비스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자유롭게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메시지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자신이 메시지를 어떻게 지워야 하는지를 알지 못할 수도 있고, 또한 메시지를 지우지 않으면 더 이상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메시지 저장 개수가 초과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게 되고, 발신자 입장에서는 해당 메시지를 해당 수신자에게 발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수신함 관리를 하지 않아도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동으로 메시지를 삭제하여 계속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여 SMS와 MMS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a); 및 메시지 목록이 가득 찬 경우/메시지 함의 용량을 초과한 때에, 가장 오래된 메시지/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사용자에게 수신 목록/메시지함 용량이 가득 찬 것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알리는 단계(c)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a)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착신했다는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에 데이터 인출을 요구하여, 해당 데이터를 상기 MMSC로부 터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신허용/수신거부를 설정한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도착하였다는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a); 상기 착신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데이터의 인출 방식이 풀(pull) 방식인 경우에, 상기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메시지의 수신허용을 선택한 경우에 저장 가능한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목록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c); 무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데이터를 인출하여, 이를 저장하는 단계(d); 및 메시지 목록이 가득 찬 경우/메시지 함의 용량을 초과한 때에,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에, 메시지 목록이 가득 찬 경우/메시지 함의 용량을 초과한 때에, 가장 오래된 메시지를 삭제하고, 상기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g)가 더 포함된다.
이때, 사용자에게 수신 목록/메시지함 용량이 가득 찬 것을 UI로 알리는 단계(f)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신 알림 메시지는, MMSC의 주소와 수신할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식별코드로 구성된 URL, 응용서비스 식별자, 착신 단말의 주소 및 베어러 수신응답 옵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메시지 목록이 가득 찬 경우/메시지 함의 용량을 초과한 때에, 가장 오래된 메시지/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통합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삭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하, 간단히 'MMSC'라 함)(130), 음성 네트워크를 통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이하, 간단히 'SMSC'라 함)(140),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음성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MMSC(130)는 다수의 서비스 서버(150)와 연계되어, MMS를 위한 컨텐츠 및 응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또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단문 메시지의 통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법은, 전달할 메시지가 있음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알리는 통지단계와, 이러한 통지를 받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MMSC에 접속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찾아가는 인출단계, 및 통지 단계 또는 인출 단계 이후 단말기의 상태를 망으로 보고하기 위한 수신 후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인출단계에서의 사용자의 인지 여부에 따라 2가지 실시예로 구분되는데, 차례로 그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추후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2가지 실시예에서 동일한 절차에 대한 설명에 대해서는 반복하는 부분에서는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실시예 신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달 방법은, MMSC(130)가 자신의 인터넷 주소와 수신할 메시지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URL로 구성하고, 응용서비스 식별자(Application ID; AppID), 착신단말의 주소(이동국 식별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또는 국제 이동국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IMSI) 등) 및 베어러 수신응답 옵션(bearer reply option) 등을 서브 파라미터로 하여, SMSC(140)로 MMS 착신 알림 전송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S201), SMSC(140)는 다시 해당 단말(110)로 URL 및 AppId가 포함된 MMS 착신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S203).
이때, 여기서 응용서비스 식별자 AppId는 단말기에서 전송할 MMS 메시지가 적용되는 단말기의 세부 응용서비스를 식별하는 문자열(예를 들어, MMS)이며, 그 값은 해당 응용서비스를 기술하는 별도의 규격에서 명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값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MMS 착신 알림 메시지는 일반 SMS메시지와 동일하게 저장-전달(store-and-forward) 방식으로 전송되어, 단말기(110)가 즉시 수신을 실패한 경우에도 SMSC(140)에서 저장 후 재전송의 과정을 거쳐 전송된다.
또한, 베어러 수신응답 옵션은, 단말기가 수신된 SMS를 잘 받았다는 응답을 전송하기 위한 서브 파라미터이다. 이에 대한 응답은, 계층2 응답(layer 2 ack; L2 응답) 또는 계층3 응답(layer 3 ack; L3 응답)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통지단계를 통해 MMS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착신 알림 메시지 내의 '풀(pull) 지시자' 서브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pull 방식의 MMS 착신으로 인지 하고, pull 지시자 서브 파라미터가 없는 경우에는 푸쉬(push) 방식의 MMS 착신으로 인지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pull 지시자가 존재하지 않는 push 방식의 MMS 착신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push 방식의 착신 알림 메시 지의 예는 다음과 같다.
http://10.128.99.35:50000/2002041400005
http://10.128.99.35:50000/2002041320005
이때, pull 방식이란 사용자가 메시지를 인출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여 인출하는 방식으로서, pull 방식의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해당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함에 저장하고 수신시간과 사용자 데이터 서브 파라미터 내의 메시지 제목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인출단계의 돌입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 표시하여야 한다. 이 때 pull 방식의 착신 알림 메시지는 기존의 SMS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음성 호나 브라우저 등의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수신 가능하여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다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하자.
한편, push 방식이란 사용자의 인지 없이 단말기가 자동으로 인출 단계에 돌입하는 방식으로서, 도 2의 S203 단계에서 push방식의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10)는 해당 착신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보여주지 않고, 인출단계로 돌입한다.
즉,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10)는 무선 데이터를 기동하고(S205), 수신한 URL로 접속하여 MMSC(130)에 수신된 MMS 데이터를 요청한다(S207). 이러한 요구를 수신한 MMSC(130)는 서비스 서버(150)로부터 받은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데이터 응답을 수행한다(S209). 단말기(110)는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무선 데이터를 해제하고(S211), 수신된 MMS 메시지 를 표시할 수 있(S213).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말기(110)는 통지단계 및 인출단계를 거친 후에 자신의 상태를 MMSC(130) 또는 SMSC(140)에 보고할 수 있을 것이다(수신 후 처리 단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실시예 신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는, MMSC(130)가 자신의 인터넷 주소와 수신할 메시지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URL로 구성하고, 응용서비스 식별자(AppID), 착신단말의 주소(MIN 또는 IMSI 등), 베어러 수신응답 옵션 및 'pull 지시자' 등을 서브 파라미터로 하여, SMSC(140)로 MMS 착신 알림 전송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S301), SMSC(140)는 다시 해당 단말(110)로 URL, AppId 및 pull 지시자가 포함된 MMS 착신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S303).
MMS 착신 알림 메시지는 일반 SMS메시지와 동일하게 저장-전달(store-and-forward) 방식으로 전송되어, 단말기(110)가 즉시 수신을 실패한 경우에도 SMSC(140)에서 저장 후 재전송의 과정을 거쳐 전송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적용예에서는, 'pull 지시자' 서브 파라미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단말기(110)는 pull 방식의 MMS 착신으로 인지한다. pull 방식이란 사용자가 메시지를 인출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여 인출하는 방식으로서, pull 방식의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해당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함에 저장하고 수신 시 간과 사용자 데이터 서브 파라미터 내의 메시지 제목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인출단계의 돌입여부를 UI를 통해 표시하여야 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pull 방식의 착신 알림 메시지의 예는 다음과 같다.
http://10.128.99.35:50000/2002041400005 안녕 잘 지냈니?
http://10.128.99.35:50000/2002041320005 OTA 메시지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메시지의 수신을 선택한 경우에 저장 가능한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목록의 개수를 확인한다(S307). 이때 목록의 개수가 초과되거나 메모리가 초과되는 경우에 대한 처리는 단말기(110)의 설정에 따라 다르게 동작 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단말기(110)에서는 사용자가 메시지 처리 방법에 대하여 수신허용 및 수신거부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메시지 수신 방법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10)에서 MMS 메일의 수신 환경 메뉴(도 4a)의, 메시지 수신에 대한 설정(도 4b)에서, 수신함의 메시지 용량 초과하였거나 또는 메시지 목록 개수가 초과된 경우에는 새로운 메시지의 수신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폴트(default)는 수신 허용일 수 있을 것이다(도 4c). 다만, 도 4c에서는 용량 초과의 경우에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목록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설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c에서 수신허용이란, 사용자가 메시지(SMS, MMS 착신 알림 메시지 등)를 수신한 경우, 저장 가능한 메시지함의 목록 개수 또는 메시지함의 용량을 파악 한 후, 수신 가능한 목록 개수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또는 메시지함의 용량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 가장 오래된 메시지(보호 설정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보호되지 않은 메시지 중 가장 오래된 메시지)를 삭제하고 메시지를 수신 받는 방식으로 SMS에 대한 응답(ack)은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착신 알림 메시지 및 SMS/MMS 메시지에 대해서는 가장 오래된 메시지를 삭제하고, 수신 처리하는 것이다. 수신허용 설정에서의 수신 처리시에, 메시지 목록이 가득 차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UI 표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도 4c에서 수신거부란, 사용자가 메시지(SMS, MMS 착신 알림 메시지 등)를 수신한 경우, 저장 가능한 메시지 함의 목록 개수 또는 메시지함의 용량을 파악한 후, 수신 가능한 목록 개수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또는 메시지함의 용량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수신함 목록이 꽉 차서 더 이상 수신할 수 없다는 사용자 UI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수신함 목록을 삭제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이후, 단말기(110)는 무선 데이터를 기동하고(S309), 수신한 URL로 접속하여 MMSC(130)에 수신된 MMS 데이터를 요청한다(S311). 이러한 요구를 수신한 MMSC(130)는 서비스 서버(150)로부터 받은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데이터 응답을 수행한다(S313). 단말기(110)는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무선 데이터를 해제하게 된다(S315).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MMS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 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우선, SMSC(140)로부터 MMS가 도착하였다는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S501). 이 착신 알림 메시지에 응용서비스 식별자(AppID), 착신단말의 주소(MIN 또는 IMSI 등), 베어러 수신응답 옵션 및 'pull 지시자'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단말기(110)는 저장 가능한 메시지함의 목록 개수 또는 메시지함의 용량이 초과된 경우에는(S503), 단말기(110)의 설정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수신거부를 설정해 놓았는지 확인한다(S505). 그 설정이 수신거부인 경우에는, SMS 메시지의 서브 파라미터 중 베어러 수신응답 옵션이 셋(set)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S507), 셋 되어 있는 경우에 단말기(110)는 SMSC(140)에 해당 SMS를 잘 받았고, 해당 SMS가 어플리케이션에서 잘 처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인 Layer3 응답을 전송하고(S509), 셋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단말기(110)는 SMSC(140)에 해당 SMS를 받았다는 응답인 Layer2 응답을 전송한다(S511). 이후에, 단말기(110)는 사용자에게 "수신 가능한 메시지 개수를 초과하였습니다"라는 UI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513). 메시지 용량이 초과된 경우에는 "수신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초과하였습니다"라는 UI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S503 단계에서 수신 목록의 개수가 초과되지 않거나, 메시지 용량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에, 또는, S503 단계에서 메시지함의 목록 개수 또는 메시지함 의 용량이 초과되었지만 S505 단계에서 사용자가 단말기(110) 설정을 수신허용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S515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즉, 단말기(110)는 이 경우에 SMS 메시지의 서브 파라미터 중 베어러 수신응답 옵션이 셋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S515), 셋 되어 있는 경우에 단말기(110)는 SMSC(140)에 Layer3 응답을 전송하고(S517), 셋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단말기(110)는 SMSC(140)에 Layer2 응답을 전송한다(S519).
이후, 텔레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 TID)가 MMS인 경우(S521), 즉 수신한 해당 SMS 메시지가 MMS를 수신하기 위한 MMS 착신 알림 메시지임을 확인한 단말기(110)는, 서브 파라미터 중 pull 지시자가 있는지 확인한다(S523).
pull 지시자가 없는 경우, 즉 push 방식인 경우에는, 메시지함의 저장공간을 확인하여, 메시지함의 목록 개수 또는 메시지함의 용량이 초과된 경우에는(S523), SMSC(140)로 MMS 수신을 위한 착신 알림 SMS을 받았으나 MMS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부족함을 알리는 착신응답을 SMS 형태로 전송하고(S527), "저장 공간이 부족합니다"라는 내용을 전달하는 UI 처리를 수행하고(S529), 처리를 종료한다. 만약 저장 공간이 부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데이터를 기동하여 MMSC(130)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후 무선 데이터를 해제하는 메시지 인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31). 마지막으로, 단말기(110)는 수신 SMS 또는 Pull 방식의 MMS를 위한 착신 알림 SMS 메시지를 저장한다(S533).
만약, S515 단계에서 TID가 MMS가 아닌 경우이거나, TID가 MMS였지만 S517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서브 파라미터 중 pull 지시자가 있는 경우(pull 방식인 경우)에는, 수신 메시지를 저장하게 된다(S533).
이때, 단말기(110)는 S533 단계에서 메시지 목록이 가득 찼거나 메시지 용량이 초과한 상태에서 수신 메시지의 저장이 이루어진 경우, 가장 오래된 보호되지 않은 메시지를 삭제하고, 사용자 UI로 수신 목록 또는 메시지 용량이 가득 찼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후 단계는 도 5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3의 S307 내지 S315 단계와 같다. 즉, 사용자가 메시지의 수신을 선택한 경우에 저장 가능한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목록의 개수를 확인한다. 단말기(110)는 무선 데이터를 기동하고, 수신한 URL로 접속하여 MMSC(130)에 수신된 MMS 데이터를 요청한다(S311). 이러한 요구를 수신한 MMSC(130)는 서비스 서버(150)로부터 받은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데이터 응답을 수행한다(S313). 이때 역시 데이터를 수신할 메시지함의 용량이 초과하거나 수신 목록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가장 오래된 보호되지 않은 데이터를 삭제하고, 사용자 UI로 수신 목록 또는 메시지 용량이 가득 찼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단말기(110)는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무선 데이터를 해제하게 된다(S315).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메시지의 수신함 관리를 하지 않아도 단말기가 자동으로 메시지를 관리함으로써, 계속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MS 및 MMS에 대한 메시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의 주소와 수신할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식별코드로 구성된 URL, 응용서비스 식별자, 착신 단말의 주소 및 베어러 수신응답 옵션을 포함하는 착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a);
    상기 착신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데이터 인출 방식이 풀(pull)형임을 확인하는 단계(b);
    메시지 목록/메시지 함이 가득 찬 경우, 상기 메시지 목록/메시지 함이 가득 찼을 때 새로운 메시지에 대하여 수신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가장 오래된 메시지를 삭제하고 상기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c);
    상기 저장된 착신 알림 메시지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에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데이터에 대한 인출을 요청하는 단계(d); 및
    상기 메시지 목록/메시지 함에서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풀(pull)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목록/메시지 함이 가득 찬 경우, 상기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하여 수신을 허용할 것인지 거부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풀(pull)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상기 메시지 목록/메시지 함이 가득 찼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알리는 단계(f)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풀(pull)형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8. 삭제
  9. 삭제
KR20050131134A 2005-12-28 2005-12-28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766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1134A KR100766599B1 (ko) 2005-12-28 2005-12-28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1134A KR100766599B1 (ko) 2005-12-28 2005-12-28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251A KR20070069251A (ko) 2007-07-03
KR100766599B1 true KR100766599B1 (ko) 2007-10-11

Family

ID=3850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31134A KR100766599B1 (ko) 2005-12-28 2005-12-28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5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878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자동 관리방법
KR20020063334A (ko) * 2001-01-27 2002-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관리방법
KR20030041384A (ko) * 2001-11-20 2003-05-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중요도별 메시지 보존방법과 이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26912A (ko) * 2002-09-26 200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40070619A (ko) * 2003-02-04 200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50052173A (ko) * 2003-11-29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878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자동 관리방법
KR20020063334A (ko) * 2001-01-27 2002-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관리방법
KR20030041384A (ko) * 2001-11-20 2003-05-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중요도별 메시지 보존방법과 이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26912A (ko) * 2002-09-26 200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40070619A (ko) * 2003-02-04 200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50052173A (ko) * 2003-11-29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251A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5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삭제하는 장치 및방법
KR101428156B1 (ko) 향상된 sms/ems/mms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22295B1 (ko)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617237B1 (ko) 단문 서비스(sm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이벤트 발생 방법
EP1655915B1 (en) Method for managing duplicated arrival notification messages in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US9060253B2 (en) Identifying and blocking mobile messaging service spam
JP2009503674A (ja) Smsメッセージ受信確認サービスの方法と、これを行うための移動通信端末機、及び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90073205A (ko) 수신자에 의한 차후 검색을 위한 데이터 메시지들의 저장
JP3807857B2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および電子メールサーバ
US8111819B2 (en) Message server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a user about the delivery of an electronic message
JP2010531006A (ja) Smsメッセージ閲覧確認方法及びこれを遂行するための端末装置
US200900479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messages
EP1689138A1 (en) Method and interface for filtering SMS and MMS messages
KR200200856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CN102387484B (zh) 一种信息发送方法、信息接收方法及通信终端
KR1007665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2073506A (ja) ファイル交換方法
KR20050088011A (ko) 모바일 메시지 수신 시스템을 이용한 메시지 수신 및수신거부 방법
KR100619850B1 (ko) 멀티미디어 메세지 서비스의 광고 메세지 차단 방법
KR1012451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 수신여부 확인방법
KR101600864B1 (ko) 이메일의 선택적 수신방법
KR101048935B1 (ko)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자동 삭제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JP3676766B2 (ja) メールシステム
KR100838016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구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KR100631625B1 (ko) 수신 메세지의 이메일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