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013B1 - 전화 유니트의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전화 유니트의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013B1
KR100766013B1 KR1020060056124A KR20060056124A KR100766013B1 KR 100766013 B1 KR100766013 B1 KR 100766013B1 KR 1020060056124 A KR1020060056124 A KR 1020060056124A KR 20060056124 A KR20060056124 A KR 20060056124A KR 100766013 B1 KR100766013 B1 KR 100766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lephone
light emitting
mobile phon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웅
Original Assignee
정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웅 filed Critical 정태웅
Priority to KR102006005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유니트에 이동 전화기를 장착하여 각종 소음발생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화 유니트에는 전화가 걸려 온 것을 표시하기 위한 전화착신 표시수단으로 이동 전화기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전화벨이 울릴 때 즉, 호신호(Call signaling)가 있을 때 동시에 동작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생하는 빛(광)을 감지하기 위해 감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발광수단과 인접한 부위에 설치하여 발광램프에서 발하는 빛(광)을 감지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이 동작하기 위한 빛(광)의 수광량은 제어부에서 소정의 범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화 유니트에는 소정 부위에 이동 전화기가 장착되어지는 홀더를 구비하되, 상기 홀더는 소정 깊이로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 유니트는 각종 소음발생기기 사용 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일시정지시켜 줌으로써 전화통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전화를 받는 동안 소음발생기기가 일시정지되어 있으므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화, 제어, 발광램프, 광센서, 홀더

Description

전화 유니트의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Phone holder}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화기와 소음발생기기인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유니트를 이용하여 소음발생기기인 진공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유니트의 홀더에 이동 전화기가 장착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외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이동 전화기의 홀더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유니트의 홀더에 이동전화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유니트를 이용하여 소음발생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발광부와 감지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제1 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발광부와 감지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제2 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발생기기인 진공청소기의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를 정지 및 구동시키기 위한 도 6의 스위칭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화기 101 : 전화 유니트
201 : 소음발생기기 14 : 신호변환부
15 : 본체 16, 51 : 전원공급부
17 : 속도조절부 18 : 전원부
19, 190 : 감지부 19a, 190a : 광센서
20 : 제어부 22 : 흡입호스
23 : 손잡이 24 : 흡입봉
25 : 흡입구 27 : 리셋트부
28 : 구동전원유지부 29 : 홀더
29a : 장착홈 31 : 스위칭부
31a : 계전기코일 32 : 스위칭소자
32a, 32b : 접점 33 : 표시램프
92 : 착신벨 발생부 93 : 무선부
44, 440 : 발광부 44a, 440a : 발광소자
44b : 스피커 16a, 50 : 파워코드
52 : 이동 전화기 53 : 송수화기
60: 전원출력부 70: 키패드부
71: 표시부 72: 메모리부
SW1, SW3 : 스위치
본 발명은 전화 유니트에 이동 전화기를 장착하여 각종 소음발생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소음발생기기 예를 들면, 진공 청소기나 쥬스믹서, 전기드릴 등(이하 "소음발생기기"라 한다.)과 같은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기기를 사용하고 있을 때 전화가 걸려 오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소음발생기기를 일시정지제어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화기와 소음발생기기인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소음발생기기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진공 청소기가 있다. 상기 소음발생기기(201)인 진공 청소기(이하 "청소기"라 한다.)(201)는 본체(15)에 내장된 모터(도시생략)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강한 흡인력을 이용하여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을 빨아 들임으로써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상기 소음발생기기(201)인 청소기는 손잡이(23) 부위에 있는 속도 조절부(17)에 구비된 속도조절 스위치(도시생략)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강약 제어함으로써, 이때 먼지가 흡입구(25)를 통해 흡입되고, 봉의 길이가 조절되어 지도록 소정 굵기의 통공으로 된 딱딱한 금속 또는 합성 수지물로 이루어진 흡입봉(24)과, 상기 흡입봉(24)과 연결되어 지며, 소정 굵기와 길이의 부드러운 합성 수지물로 이루어진 흡입호스(22)를 통과하여 본체(15)에 내장된 집진용기(도시생략)에 먼지가 수거되는 원리로 그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청소기(201)는 모터의 회전소음을 비롯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소음이 동시에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음으로 인해 청소 중에는 전화기(100)의 벨이 울려도 그 소리를 잘 들을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중요한 전화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흔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전화 유니트에 이동 전화기를 장착하여 청소기, 쥬스믹서, 전기드릴 등과 같은 소음발생기기의 동작 시 모터의 심한 소음으로 인해 걸려 온 전화를 곧바로 받을 수 없었던 불편한 사례를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만약, 상기와 같은 소음발생기기 사용 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 중인 소음발생기기를 일시 정지시켜 조용하게 함으로써, 전화 통화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음발생기기 사용 중에 전화가 걸려 오면 이를 감지하여 소음발생기기를 일시정지제어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현에 사용되어 지는 전화 유니트에는 이동 전화기가 장착되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화 유니트에는 소정 부위에 이동 전화기가 장착되어 지는 홀더를 구비하되, 상기 홀더는 소정 깊이로 장방형의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화 유니트에는 소음발생기기의 정지제어수단이 함께 내장 구비된 것이 그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정보의 전달에 사용되는 전화기에는 통신 단말기로서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하는 유선 전화기와, 무선 데이터망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이는 "휴대폰"이라고도 하며, 이하 "이동 전화기"에 포함한다.)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유선 전화기는 통신사 등의 전화선로에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인입 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어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소정의 장소에 고정비치되는 고정 전화기와, 상기 고정 전화기로부터 소정의 제한된 거리 범위 내의 이동장소에서 1조로 사용되는 이동 전화기로 이루어지 진다.
또한, 상기 휴대폰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운용을 수행하는 무선운용장치와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은 발신 휴대폰과 착신 휴대폰으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발신 휴대폰으로부터 수신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착신 휴 대폰으로 그 정보를 송신하여 줌으로써 통화 또는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한 전화 유니트에는 소음발생기기의 정지 및 구동제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화 유니트에 장착되는 이동 전화기에는 전화가 걸려 온 것을 표시하기 위해 착신벨 발생부에 별도의 발광수단을 구성하여 전화 착신벨이 울릴 때 즉, 호신호(Call signaling)가 있을 때 동시에 상기 발광수단이 동작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수단은 일반적인 발광램프(전구)를 비롯한 발광다이오드(LED), 포토 다이오드(이하 "발광소자"라 한다.)가 포함되며, 평상시 즉, 전화가 걸려오지 않는 상태에서는 오프(Off)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생하는 빛 또는 광신호(이하 "광신호"라 한다.)를 감지하기 위해 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광센서인 CdS(황화 카드뮴 셀)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발광수단과 인접한 부위에 설치하여 발광소자에서 발하는 빛을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한 것은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생하고 있는 빛의 조사량(照射量)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어두운 상태에서는 높은 저항용량(값)을 가지고 있다가 빛이 밝아질수록 자체의 내부 저항용량(값)이 낮아지는 성질을 이용한 라이트(Light)-온(On)형을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수단의 다른 실시사례로서는 포토 다이오드와 쌍으로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를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이 동작하기 위해 조사되는 빛(광)의 수광량은 제어부에서 소정의 범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효과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명백하여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설명되는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어 지는 각 도면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유니트를 이용한 각종 소음발생기기의 제어 및 이동 전화기의 홀더 장치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유니트를 이용하여 소음발생기기인 진공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주로 실내에서 소음발생기기(201)를 사용 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전화 유니트(101)에 구비된 감지부(19)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소음발생기기(201)의 동작을 일시정지시켜 주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일반적으로 정보의 전달에 사용되는 전화기의 회로에는 음성 전송에 관계되는 통화 회로와 발착신 기능에 관계되는 신호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통화 회로는 송화기와 수화기, 방측음(防側音)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신호 회로는 다이얼 회로와 호출 회로, 훅 스위치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화기는 송수화기(53)가 소정의 위치에 놓여 있을 경우 즉, 비응답 상태(on-hook)로 되어 있으면, 교환기와 전화기 사이에는 직류 회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착신 신호에 따라 톤 링거(tone ringer)가 울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송수화기(53)가 소정의 위치에 놓여 있지 않을 경우 즉, 응답 상태(off-hook)로 되어 있으면, 교환기와 전화기 사이에는 직류 회로가 형성되어 있어서 발신 또는 통화가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참조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전화기의 일반적인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본원발명의 핵심적인 사상이 아닌 부분이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제 구현을 위해서 사용되어 지는 전화 유니트(10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유니트의 홀더에 이동 전화기가 장착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외관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이동 전화기의 홀더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유니트의 홀더에 이동 전화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 도면이다.
상기 전화 유니트(101)에는 소음발생기기(201)의 정지 및 구동제어를 위한 수단이 함께 내장 구비되며, 고정 전화기에는 통신사(예를 들면; KT 등)의 전화선로(국선)에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인입 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어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소정의 장소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현에 사용되어 지는 전화 유니트(101)에는 이동 전화기(52)가 장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전화 유니트(101)에는 소정 부위에 이동 전화기(52)가 장착되어지는 홀더(29)를 구비하되, 상기 홀더(29)는 소정 깊이로 장방형의 장착홈(29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장착홈(29a)에는 전화착신 벨소리가 울릴 때 즉, 호신호(Call signaling)가 있을 때 그 상태를 빛(광)신호로 표시하여 주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이동 전화기(52)가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29)에는 이동 전화기(52)에 구비된 발광수단과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빛(광)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유니트를 이용하여 소음발생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소음발생기기(201)는 전화 유니트(101)에 구비된 전원출력부(60)에 전원공급부(51)를 접속하여 구동 및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전원출력부(60)는 소음발생기기(201)의 전원 공급부(51)가 접속하기에 용이한 아웃렛(Outlet) 즉, 콘센트(Concent)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출력부(60)는 전화 유니트(101)의 외측 소정 부위에 구비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스위치(SW1)의 온(On)동작으로 전원 공급부(16)를 통해 전화 유니트(101)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전화 유니트(101)의 구동과 소음발생기기(201)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 및 출력하기 위한 전원부(18)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 스위치(SW1)는 사용상 그 편리성을 감안하여 전화 유니트(101)의 외측 소정 부위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원 스위치(SW1)는 생략하여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16)는 일반적으로 교류 상용전원(AC 220볼트)이 공급된다.
상기 전화 유니트(101)는 이와 소정의 제한된 거리범위 내에서 1조(Set)로 하여 사용되어 지는 고정 전화기(도시생략)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무선 데이터 신호로 처리하는 무선부(43)가 구성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전화 유니트(101)의 홀더(29)에 휴대폰을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무선부(43)는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동 전화기(52)에는 전화국의 교환기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화착신 신호를 수신하여 벨소리를 발생하는 착신벨 발생부(92)가 구성된다.
상기 착신벨 발생부(92)를 통해 벨소리가 울릴 때 즉, 호신호(Call signaling)가 있음과 동시에 발광수단을 통해 그 상태를 광신호로 표시하여 주기 위한 발광부(44)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착신벨은 통상적으로 전화 유니트(101)의 홀더(29)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장방형의 장착홈(29a)에 장착된 이동 전화기(52)에서 울리게 되는 것이며, 이때 사용자는 이동 전화기(52)를 홀더(29)에서 꺼내어 전화 통화를 하게 된다.
상기 발광부(44)에 구비된 발광수단 즉, 발광소자는 일반적인 발광램프(전구)를 비롯한 발광 다이오드(LED)(44a), 포토 다이오드(440a)가 포함되며, 평상시 즉, 전화가 걸려오지 않는 상태에서는 오프(Off)되어 빛(광)을 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화 유니트(101)에는 후술되어지는 소음발생기기(201)의 제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0)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는 마이컴(Micom)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데이터의 입력과 각종 기능의 설정을 위해 다수개의 숫자버튼 및 기능 키를 구비한 키패드부(70)가 이동 전화기(52)에 구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액정표시장치(LCD)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에서 제어되는 전화 유니트(101)의 제반적인 상태를 표시하여주는 표시부(7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에서 제어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부(72)가 구비된다.
상기 메모리부(72)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화 유니트(101)에 접속되어 제어를 받는 소음발생기기(201)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소음발생기기(201)인 청소기의 본체(15)에 내장 구비된 모터(도시생략)의 회전속도를 적어도 1단계 이상 조절하고자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버튼식 스위치(이하 "속도조절 스위치"라 한다)가 구비된 속도 조절부(17)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 조절에 의해 손잡이(23)에 연결된 흡입봉(24)의 일단부에 구비된 흡입구(25)로부터의 흡입되는 공기의 흡인력의 강약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속도조절 스위치는 사용상 그 편리성을 감안하여 통상적으로 청소기(201))의 손잡이(23)의 소정 부위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발광부와 감지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제1 실시사례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발광부와 감지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제2 실시사례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소음발생기기(201) 사용 중에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올 경우, 이동 전화기(52)의 착신벨 발생부(92)에 구비된 스피커(44b)를 통해서 전화 착신벨이 울릴 때 즉, 호신호(Call signaling)가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발광부(44)(440)에 구비된 발광소자 즉, 발광 다이오드(44a) 또는 포토 다이오드(440a)가 온(On)되어 광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수단인 발광소자(44a)(440a)에서 발생한 광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20)에 입력하여 소음발생기기(20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Off)시켜 본체(15)에 구비된 모터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해 감지수단이 구비된 감지부(19)(190)가 구성된다.
상기, 감지수단으로는 발광소자인 발광 다이오드(44a)와 쌍으로 사용되는 광센서(19a)로는 CdS(황화 카드뮴 셀)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감지수단의 다른 실시사례로서는 상기 포토 다이오드(440a)와 쌍으로 사용되는 광센서(190a)로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칭하여 포토 커플러(Photocoupler)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광센서(19a)(190a)는 발광소자(44a)(440a)와 인접한 부위에 설치하여 이로부터 발생하는 광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수광하여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사례로서 발광소자인 발광 다이오드(44a)와 함께 쌍으로 사용되는 광센서인 CdS(19a)로 구성된 발광부와 감지부의 동작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착신벨 발생부(92)가 동작하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발광부(44)에 구비된 발광소자인 발광 다이오드(44a)에 전류가 흘러서 발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19)에 구비된 광센서(19a) 즉, CdS는 조사되는 빛의 량에 따라 저항의 용량(값)이 변화되어 그 감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수단인 광센서(19a)는 상기 발광수단인 발광소자(44a)에서 발생하는 빛(광)의 조사량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어두운 상태에서는 높은 저항용량(값)을 가지고 있다가 조사되는 빛이 밝아질수록 자체의 내부 저항용량(값)이 낮아지는 성질을 이용한 라이트(Light)-온(On)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감지부(19)에서 감지된 광신호를 소정의 감지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신호 변환부(14)는 발광소자인 발광 다이오드(44a)가 온(On)되어 광센서(19a)인 CdS에 빛(광)이 조사되면 그 저항 용량(값)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상기 CdS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결국 라이트(Light)-온(On)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광신호가 전류신호로 변환된 소정의 감지신호가 제어부(20)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에서는 그 유무를 판별하여 스위칭부(31)에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센서(19a)가 동작하기 위한 빛(광)의 수광량은 제어부(20)에서 소정의 범의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사례로서 발광소자인 포토 다이오드(440a)와 함께 쌍으로 사용되는 광센서인 포토 트랜지스터(19a)로 구성된 발광부와 감지부의 동작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착신벨 발생부(92)가 동작하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발광부(440)에 구비된 발광소자인 포토 다이오드(440a)에 전류가 흘러서 발광을 하게 된다.
이때, 감지부(190)에 구비된 광센서(190a) 즉, 포토 트랜지스터는 이를 수광하여 그 감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수단인 발광소자(440a)에서 발생하는 광(빛)이 광센서인 포토 트랜지스터(190a)의 베이스에 닿는 빛(광)에 의해 그 감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신호 변환부(14)에 의해 상기 감지부(190)에서 감지된 광신호를 전류신호로 변환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가 제어부(20)에 입력되면, 역시 상기 제어부(20)에서는 이를 판별하여 스위칭부(31)에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발생기기인 청소기의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를 정지 및 구동시키기 위한 도 6의 스위칭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참조로, 상기 소음발생기기(201)가 정상적으로 작동 중일 경우 즉, 청소를 하고 있을 시에는 스위칭부(31)의 스위칭소자(32)가 접점(32a)에 연결(접촉)되어 있다.
이때, 소음발생기기(201)인 청소기에는 전화 유니트(101)의 전원부(18)를 거쳐 전원출력부(6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고, 쌍방향 제어소자인 트라이악(TRIAC)의 위상각을 제어하여 모터의 속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31)에는 제어부(20)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청소기(201)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 스위칭하기 위한 계전기 코일(31a)이 구비된다.
상기 계전기 코일(31a)에 구동전압이 인가되어 짐과 동시에 스위칭소자(32)가 접점(32a) 측에서 접점(32b) 측으로 스위칭되어 연결(접촉)된다.
따라서, 소음발생기기(201)에는 접점(32a) 측으로 공급되던 전원이 오프(Off)되어 상기 모터가 정지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32b)에 연결된 표시램프(33)가 온(On)되어 모터가 정지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31)의 계전기 코일(31a)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유지시켜 온(On)되어 있는 접점(32b)을 리셋트부(27)에 구비된 스위치(SW3)를 누르기 전까지 유지시켜 주기 위한 구동전원유지부(28)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동전원유지부(28)는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부(31)의 계전기 코일(31a)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유지시켜 리셋트 스위치(SW3)를 누르기 전까지 청소기(201)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점(32a)(32b)은 계전기 코일(31a)에 전원이 공급되거나(On) 끊어지면(Off) 곧바로 스위칭소자(32)가 동작하는 순시접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전원 유지부(28)는 광센서(19a)(190a)에서 광신호가 감지되면 계전기 코일(31a)에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31)와 연결되며, 전화 통화가 끝나면 다시 청소기를 온(On) 재동작시키기 위해 리셋트 스위치(SW3)가 구비된 리셋트부(27)가 구성된다.
상기 리셋트부(27)는 전화 유니트(101)의 외측 소정 부분에 설치하여 작동에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발생기기(201)를 재작동시키기 위하여 리셋트부(27)에 구비된 스위치(SW3)를 눌러주면 계전기 코일(31a)에 인가되고 있던 구동전원이 오프(Off)되고, 이로 인해 스위칭소자(32)가 접점(32b) 측에서 접점(32a) 측으로 다시 스위칭되어 접촉되어진다.
따라서, 소음발생기기(201)인 청소기의 모터에는 전원부(18)를 통해 전원이 재공급(On)되어 상기 모터가 다시 회전동작을 하게 되며, 이때 속도 조절부(17)에 구비된 속도조절 스위치를 사용하여 모터의 회전속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위칭부(31)는 제어 대상인 소음발생기기(201)에 적합하도록 계전기(Relay) 방식 또는 논리회로를 이용한 무접점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 유니트에 구비된 홀더에 이동 전화기를 장착하여 소음발생기기 사용 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일시정지시켜 줌으로써 전화 통화에 지장을 주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화를 받는 동안 소음발생기기가 일시정지되어 있으므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원 출력부를 통해 연결되는 소음발생기기를 제어하는 전화 유니트;
    상기 전화 유니트에 장방형의 소정 깊이로 형성된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전화착신 벨소리가 울릴 때 또는 호신호(Call signaling)가 있을 때 그 상태를 빛(광)신호로 표시하여 주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이동 전화기가 장착되는 홀더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유니트의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이동 전화기에 구비된 발광수단과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빛(광)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유니트의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
  3. 삭제
KR1020060056124A 2006-06-21 2006-06-21 전화 유니트의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 KR10076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24A KR100766013B1 (ko) 2006-06-21 2006-06-21 전화 유니트의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24A KR100766013B1 (ko) 2006-06-21 2006-06-21 전화 유니트의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013B1 true KR100766013B1 (ko) 2007-10-11

Family

ID=3941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124A KR100766013B1 (ko) 2006-06-21 2006-06-21 전화 유니트의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0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326A (ja) * 1990-05-23 1992-01-30 Tok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制御装置
KR930006518A (ko) * 1991-09-20 1993-04-21 이헌조 전화통화시 오디오 출력 제어회로
KR960038905U (ko) * 1995-05-10 199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탁상용과 벽걸이 겸용 전화기의 송수화기 고정장치
JP2001203788A (ja) 1999-11-12 2001-07-27 Sony Corp 電話機、通信アダプタ装置、家電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20088922A (ko) * 2001-05-22 200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에서 음향기기 볼륨조절을 위한 적외선 신호발생장치
KR20060071468A (ko) * 2004-12-22 2006-06-2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자동정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326A (ja) * 1990-05-23 1992-01-30 Tok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制御装置
KR930006518A (ko) * 1991-09-20 1993-04-21 이헌조 전화통화시 오디오 출력 제어회로
KR960038905U (ko) * 1995-05-10 199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탁상용과 벽걸이 겸용 전화기의 송수화기 고정장치
JP2001203788A (ja) 1999-11-12 2001-07-27 Sony Corp 電話機、通信アダプタ装置、家電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20088922A (ko) * 2001-05-22 200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에서 음향기기 볼륨조절을 위한 적외선 신호발생장치
KR20060071468A (ko) * 2004-12-22 2006-06-2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자동정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08536B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having a handset with non-telephone functionality
KR100777985B1 (ko)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
KR100766013B1 (ko) 전화 유니트의 이동 전화기 홀더장치
KR100747773B1 (ko) 이동전화 유니트 및 청소기의 정지제어방법
KR100767124B1 (ko) 휴대 전화기를 이용한 청소기의 정지제어장치
KR100747775B1 (ko) 전화 유니트를 이용한 청소기의 정지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67125B1 (ko) 전화기를 이용한 청소기의 정지제어장치
KR100722576B1 (ko) 전화기를 이용한 청소기의 정지제어방법
KR100747770B1 (ko) 휴대 전화기를 이용한 청소기의 정지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35468B1 (ko) 아웃렛에 청소기 제어전용 전원의 공급장치
KR101089671B1 (ko) 청소기의 제어를 위한 전용전원의 공급방법
JP2554647B2 (ja) コ−ドレス電話機
KR20090030719A (ko) 청소기 제어전용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KR200177438Y1 (ko) 화장실용 전화기
KR100281033B1 (ko) 전화기 마우스
JP2637085B2 (ja) 電話システム
KR100731231B1 (ko) 전화기의 온후크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9980039519A (ko) 전화기의 자동 메시지 송신 방법
JP2575426B2 (ja) 電話システム
JP2000184080A (ja) テレ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00008410A (ko) 소음발생기기 제어용 전원의 공급시스템
KR100200342B1 (ko) 전화기 훅 자동전환 장치
KR20060071468A (ko) 진공청소기 자동정지장치
KR200347105Y1 (ko) 휴대폰의 이어폰 잭에 의한 자동 통화 회로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