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862B1 -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862B1
KR100765862B1 KR1020060025160A KR20060025160A KR100765862B1 KR 100765862 B1 KR100765862 B1 KR 100765862B1 KR 1020060025160 A KR1020060025160 A KR 1020060025160A KR 20060025160 A KR20060025160 A KR 20060025160A KR 100765862 B1 KR100765862 B1 KR 10076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ata
broadcasting
standard
data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021A (ko
Inventor
유준선
류석현
유경훈
백원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리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리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리머
Priority to KR1020060025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8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2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receiving stations, e.g. malfunction or breakdown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방송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방송 플랫폼 시스템으로부터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시스템과, 상기 데이터 수신 시스템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데이터 방송 표준에 맞게 압축 부호화한 데이터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과, 방송 수신기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표준에 맞게 생성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와, 상기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 방송 스트림과,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받아 방송 표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재구성하여 다중화 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의해 다중화된 방송 스트림을 방송 표준에 맞게 변조하는 변조부와,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모니터링 수신기를 포함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데이터 방송, 모니터링, 컨텐츠, 다중화부, 압축시스템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OF DATA BROADCASTING}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비하는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3은 도2에 도시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을 원격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 30 : A/V 송출 시스템
40 : 방송 플랫폼 시스템 50 :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51 : 데이터 방송 분석 시스템 52 : 데이터 전송 시스템
54 : 데이터 수신 시스템 55 :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
56 : A/V 압축 시스템 57 :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
58 : 다중화부 59 : 변조부
70 : 모니터링 수신기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방송은 각종 방송 플랫폼(지상파, 케이블, 위성,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 Internet Protocol TV),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채널을 이용하여 문자, 숫자, 도형, 도표, 이미지 및 그 밖의 정보체계를 위주로 하여 이에 따르는 A/V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또는 별도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말한다. 데이터 방송은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에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각종 방송 플랫폼으로 송출하고, 방송 플랫폼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수신기로 송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종래의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방송 사업자가 방송 플랫폼에 컨텐츠를 송출할 경우 정상적으로 송출되었는지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이 없었다. 즉, 데이터 방송 사업자는 방송 플랫폼에서 최종적으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 수신기에서 오동작을 일으킨 경우 데이터 방송 컨텐츠가 방송 플랫폼으로 송출이 잘못되어 발생한 것인지, 방송 플랫폼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이 잘못되어 발생한 것인지 또는 방송망의 이상으로 발생한 것인지 즉시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 방 송 사업자가 방송 플랫폼에 송출하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 플랫폼 시스템과, 상기 방송 플랫폼 시스템에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을 구비하는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방송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송 플랫폼 시스템으로부터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시스템과,
상기 데이터 수신 시스템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데이터 방송 표준에 맞게 압축 부호화한 데이터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과,
방송 수신기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표준에 맞게 생성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와,
상기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 방송 스트림과,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받아 방송 표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재구성하여 다중화 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의해 다중화된 방송 스트림을 방송 표준에 맞게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모니터링 수신기를 포함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A/V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방송 표준에 맞게 압축 부호화하여 A/V 스트림을 생성하는 A/V 압축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중화부는 A/V 압축 시스템에서 생성된 A/V 스트림을 추가로 입력받아 재구성하여 다중화 할 수 있다.
상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 플랫폼 시스템과, 상기 방송 플랫폼 시스템에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을 구비하는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방송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송 플랫폼 시스템으로부터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수신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와,
방송 표준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방송 표준에 맞게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압축 부호화 하는 단계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A/V 채널 연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A/V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압축 부호화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와 A/V 신호를 방송 표준에 따라 합쳐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재구성하는 다중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전체 데이터 방송 시스템(10)은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20)과, A/V 송출 시스템(30)과, 방송 플랫폼 시스템(40)과,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50)을 구비한다.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20)은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방송 플랫폼 시스템(40)의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42)으로 송출한다. 데이터 방송 컨텐츠는 응용프로그램과 이와 연계된 데이터로 구성된다. A/V 송출 시스템(30)은 A/V 신호를 방송 플랫폼 시스템(40)의 A/V 압축 시스템(44)으로 송출한다.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20) 및 A/V 송출 시스템(30)의 구성은 종래의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송 플랫폼 시스템(40)은 방송 수신기(60)로 방송신호를 송출하여 시청자가 데이터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방송 플랫폼 시스템(40)은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42)과, A/V 압축 시스템(44)과, 다중화기(46)와, 변조기(48)와, 데이터 방송 분석 시스템(51)과, 데이터 전송 시스템(52)을 구비한다.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42)과, A/V 압축 시스템(44)과, 다중화기(46)와, 변조기(48)의 구성 및 작용은 종래의 방송 플랫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데이터 방송 분석 시스템(51)과 데이터 전송 시스템(52)은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50)의 구성의 일부로서 후술한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50)은 데이터 방송 분석 시스템(51)과, 데이터 전송 시스템(52)과, 데이터 수신 시스템(54)과,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55)과, A/V 압축 시스템(56)과,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57)와, 다중화부(58)와, 변조부(59)를 구비한다. 데이터 방송 분석 시스템(51)은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20)으로부터 방송 플랫폼 시스템(40)으로 송출되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이를 데이터 전송 시스템(52)으로 전달한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52)은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인터넷(53)을 통해 데이터 수신 시스템(54)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수신 시스템(54)은 수신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된 순서에 따라 저장한다.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55)은 데이터 수신 시스템(54)에 저장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데이터 방송 표준에 맞게 부호화 한다. 이는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MHP(Multimedia Home Platform), OCAP(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 등 방송 표준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55)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 방송 신호는 방송 표준에 맞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서 후술하는 다중화부(58)로 출력된다. A/V 압축 시스템(56)은 A/V 채널과 연동되는 데이터 방송의 경우 A/V 스트림 생성을 위한 장치로서, A/V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방송 표준에 맞게 압축 부호화 한다. A/V 신호의 압축 부호화는 방송 플랫폼의 표준에 맞게 진행된다. 오디오의 경우 AC-3(Audio Coding-3), MPEG-2 Audio,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AAC(Advanced Audio Coding), 비디오의 경우 MPEG-2 Video, H.264/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등 방송 표준에서 정하는 바를 따른다. 압축 부호화된 A/V 신호는 방송 표준에 맞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서 다중화부(58)로 출력되며, 스트림 정보(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등 스트림 표준 정보)를 포함한다.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57)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재구성하기 위해 디지털 방송 수신에 필요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디지털 방송 표준에 따라 생성한다. 이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SI(Service Information) 등 방송 표준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다중화부(58)는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55)에서 생성된 데이터 방송 스트림과, A/V 압축 시스템(56)에서 생성된 A/V 스트림과,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57)에서 생성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받아 MPEG-2 시스템 등 방송 표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A/V와 데이터 방송이 합쳐진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재구성한 후 변조부(59)로 출력한다. 변조부(59)는 다중화부(58)에 의해 생성된 방송 스트림을 입력받아 방송 플랫폼 표준에 맞게 변조한다. 이는 8VSB(8Vestigial Baseband),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등 방송 표준에서 정하는 바를 따른다. 변조부(59)에 의해 변조된 방송 스트림은 방송 채널을 통해 모니터링 수신기(70)에서 수신되어 원격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데이터 방송 사업자는 일반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방송 수신기(60)의 방송상태와 모니터링 수신기(70)의 방송상태를 비교함으로써, 방송 수신기(60)에서의 방송 오작동이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20)에서 방송 플랫폼 시스템(40)으로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 송출 오류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을 원격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먼저,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저장한다(S1). 이는 도2에 도시한 데이터 수신 시스템(54)에 의해 수행된다. 다음 방송 표준을 선택한다(S2). 방송 표준을 선택하면, 저장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방송 표준에 맞게 데이터 부호화, 압축 부호화 한다(S3). 이는 도2에 도시한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55)에 의해 수행된다. 그리고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도2의 57)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한다(S4). 또한, A/V 채널의 연동여부를 확인한다(S5). A/V 채널이 연동되는 경우 아날로그 A/V 신호를 방송 표준에 맞게 데이터 부호화, 압축 부호화 한다(S6). 이는 도2에 도시한 A/V 압축 시스템(56)에 의해 수행된다. 다음, 다중화부(도2의 58)를 통해 A/V와 데이터 방송이 합쳐진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재구성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다중화 한다(S7). 다음, 변조부(도2의 59)를 통해 방송 스트림을 방송 플랫폼 표준에 맞게 변조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방송 사업자가 방송 플랫폼 사업자에게 송출하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원격으로 수신 및 재구성하여 방송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는 스트림으로 만들어 데이터방송의 송출이 제대로 수행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혹시 모를 예외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 플랫폼 시스템과, 상기 방송 플랫폼 시스템에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을 구비하는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방송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송 플랫폼 시스템으로부터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시스템과,
    상기 데이터 수신 시스템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데이터 방송 표준에 맞게 압축 부호화한 데이터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과,
    방송 수신기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표준에 맞게 생성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와,
    상기 데이터 방송 압축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 방송 스트림과,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받아 방송 표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재구성하여 다중화 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의해 다중화된 방송 스트림을 방송 표준에 맞게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모니터링 수신기를 포함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A/V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방송 표준에 맞게 압축 부호화하여 A/V 스트림을 생성하는 A/V 압축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중화부는 A/V 압축 시스템에서 생성된 A/V 스트림을 추가로 입력받아 재구성하여 다중화 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4.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 플랫폼 시스템과, 상기 방송 플랫폼 시스템에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을 구비하는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방송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송 플랫폼 시스템으로부터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수신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와,
    방송 표준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방송 표준에 맞게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압축 부호화 하는 단계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5. 제4항의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A/V 채널 연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A/V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6. 제5항의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압축 부호화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와 A/V 신호를 방송 표준에 따라 합쳐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재구성하는 다중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20060025160A 2006-03-20 2006-03-20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76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160A KR100765862B1 (ko) 2006-03-20 2006-03-20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160A KR100765862B1 (ko) 2006-03-20 2006-03-20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021A KR20070095021A (ko) 2007-09-28
KR100765862B1 true KR100765862B1 (ko) 2007-10-11

Family

ID=3868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160A KR100765862B1 (ko) 2006-03-20 2006-03-20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240B1 (ko) 2019-12-03 2020-12-16 주식회사 코탁스 5g 디지털 통신을 이용한 원격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66B1 (ko) * 2010-07-07 2011-01-06 (주)에스엠씨앤에스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송신소 송출상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수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832A (ko) * 1998-12-02 2000-07-05 서평원 티브이 송신기의 원격제어 및 성능분석 시스템
JP2001024612A (ja) 1999-07-12 2001-01-26 Sony Corp 放送監視装置
KR20010063823A (ko) * 1999-12-24 2001-07-09 서평원 디지털 티브이 중계 시스템
KR20060013999A (ko) * 2004-08-09 2006-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832A (ko) * 1998-12-02 2000-07-05 서평원 티브이 송신기의 원격제어 및 성능분석 시스템
JP2001024612A (ja) 1999-07-12 2001-01-26 Sony Corp 放送監視装置
KR20010063823A (ko) * 1999-12-24 2001-07-09 서평원 디지털 티브이 중계 시스템
KR20060013999A (ko) * 2004-08-09 2006-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240B1 (ko) 2019-12-03 2020-12-16 주식회사 코탁스 5g 디지털 통신을 이용한 원격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021A (ko) 200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89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S8819714B2 (en) Ratings and quality measurements for digital broadcast viewers
KR100215101B1 (ko) 멀티미디어 정보처리 시스템
JP6474835B2 (ja) ハイブリッド放送サービスを処理する装置、及びハイブリッド放送サービスを処理する方法
EP2175651A1 (en)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device and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US20020053049A1 (en) Error correction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method and receiver
US200601978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dual layer hdtv signals through broadcasting and streaming
CN113438517B (zh) 处理广播数据的方法、接收系统和发送系统
KR101923459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20160269786A1 (en) A receiver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including a broadcast content and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content
KR100765862B1 (ko) 데이터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742971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transmission waves
KR102281856B1 (ko) 방송 신호 변환 장치 및 방법
US88040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descriptive data in a television broadcast system
KR100673482B1 (ko) 디지털 포맷 방송에서 화질 및 음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20188B1 (ko) 재난방송 제공 방법, 방송 중계 장치, 다중화기 및 다중화 방법
US10484116B2 (en) Apparatus for conver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30117794A1 (en) Multimedia content broadcast procedure
JP5799272B2 (ja)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Reimers Digital broadcasting: the future of television
JP6418564B2 (ja)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337288B1 (ko)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16184934A (ja)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Takada et al. An overview of the ISDB-T one-seg broadcasting ISDB-TSB and ISDB-Tmm
JP5377675B2 (ja)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