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731B1 -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731B1
KR100765731B1 KR1020060080113A KR20060080113A KR100765731B1 KR 100765731 B1 KR100765731 B1 KR 100765731B1 KR 1020060080113 A KR1020060080113 A KR 1020060080113A KR 20060080113 A KR20060080113 A KR 20060080113A KR 100765731 B1 KR100765731 B1 KR 100765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fan
light
smoke detecto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웅
Original Assignee
정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웅 filed Critical 정태웅
Priority to KR102006008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연기 배출에 관한 것으로, 연기 감지기가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광량에 의해 감지신호가 설정치 이하로 판별되면 타이머에서 온(On) 동작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 동안 팬이 동작(회전)한 후 오프(Off)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계에 이어 연기 감지기에서 광신호가 재감지되면 상기 팬이 다시 온(On)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일정량 이상으로 차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연기, 감지기, 광량, 팬

Description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방법{Fan controll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팬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팬 자동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감지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팬 자동제어장치가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팬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1 : 전원 공급부 2, 12 : 스위치
3, 13 : 팬(Fan) 14 : 전원부
15 : 타이머 16 : 연기 감지부
16a : 연기 집진기 16b : 연기 감지기
16c : 발광램프 17 : 신호 변환부
18 : 제어부 19 : 스위칭부
20 : 연기
본 발명은 실내의 연기배출을 위한 팬 자동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숯불 갈비집과 같은 식당의 실내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와 많은 손님들이 피우는 담배 연기 등을 팬으로 배출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팬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에는 주로 식당에서 발생하는 연기의 양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부(1)를 통해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고, 벽면에 설치한 팬(Fan)(3)의 스위치(2)를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연기를 배출하였다.
이로 인해, 팬(3)이 계속 회전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요인이 되고, 또한 사람(종업원)이 일일이 스위치를 온(On)/오프(Off) 작동하여 제어해야 하는 등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연기 집진기에 구비된 연기 감지기를 통해 연기가 감지되면, 팬을 소정시간 자동적으로 작동시켜 실내에 가득 차 있는 연기를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내의 연기를 감지하여 팬을 자동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연기가 배출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일반적으로 교류 상용전원(AC 220볼트)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전원부에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팬 또는 기기의 부품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의 동작을 연기 감지부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연기 감지부는 천정의 소정의 장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어 지며,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연기를 집진하기 위한 연기 집진기와, 상기 연기 집진기의 내부의 꼭지점에는 연기 감지기가 구비되고, 그 하부위에는 발광램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기 감지기는 광센서인 CdS(황화 카드뮴 셀, 이하 'CdS'라 한다.)를 사용하게 되며, 연기 집진에 용이하도록 적어도 30도~120도 범위의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CdS는 조사되는 빛의 량(광량)에 따라 자체 저항의 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기 감지기는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고 있는 빛(광량)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다크(Dark)-온(On)형을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램프는 일반적인 전구를 비롯한 전등이나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며, 평상시 온(On)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기 감지기가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이를 감지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에서 설정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판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효과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되고 이에 따라 설명되는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어 지는 각 도면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방법에 대한 구성과 동작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팬 자동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감지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연기 감지부(16)에 의해 실내의 연기(20)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팬(13)을 작동시켜 실내의 연기(20)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12)의 온(On)동작으로 전원 공급부(11)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소정의 전원을 출력하기 전원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1)는 일반적으로 교류 상용전원(AC 220볼트)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전원부(14)에서 소정의 전압(교류 또는 직류)으로 변환하여 팬(13) 또는 기기의 부품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팬(13)에는 상용 교류전원이 사용되며, 계전기(Relay)로 이루어진 스위칭부(19)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연기 감지부(16)는 실내에서 연기(20)가 가장 빨리, 그리고 가장 많이 차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감지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연기 감지부(16)의 구성요소로는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연기(20)를 집진하기 위한 연기 집진기(16a)와, 상기 연기 집진기(16a)의 내부의 꼭지점에는 연기 감지기(16b)가 구비되고, 그 하부위에는 발광램프(16c)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 램프(16c)는 일반적인 전구를 비롯한 전등이나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며, 평상시 온(on)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램프(16c)는 발하는 빛의 량(광량)이 일정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기 집진기(16a)는 천정에 모이는 연기(20)를 집진하기에 용이하도록 30도~120도 범위의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연기 감지기(16b)는 광센서인 CdS를 사용하고, 상기 CdS는 조사되는 빛의 량(광량)에 따라 저항의 자체 용량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전류가 변화되어 동작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팬 자동제어장치가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연기 감지부(16)는 실내의 구조 또는 면적을 고려해서 적절한 수량을 설치하여 연기 집진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기 집진기(16a) 입구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올라오는 연기(20)는 깔때기 내에서 집진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기 감지기(16b)는 집진 된 연기(20)에 가려져서 발광램프(16c)로부터 발생되고 있는 줄어든 광량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다크(Dark)-온(On)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다크(Dark)-온(On)형 연기 감지기(16b)는 연기 집진기(16a)에 가득 찬 연기(20)로 인해 가려져서 발광램프(16c)의 빛이 어두워지면 이를 감지하여 온(On) 동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광램프(16c)는 발광하는 빛의 량(광량)이 일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기 감지부(16)에서 감지된 빛의 량(광량)을 소정의 감지신호 즉, 상기 CdS에 조사되는 발광램프(16c)에서 발하는 빛의 감소량에 따라 그 저항 용량이 커지면 반대로 전류가 줄어들어 결국 다크(Dark)-온(On)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광량을 감지신호인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17)가 구비된다.
상기 신호 변환부(17)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8)에 입력하여 설정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감지신호의 판별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신호가 설정치 이하로 판별되면 팬(13)이 동작(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8)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팬(13)에 전원을 공급하여 온(On)/오프(Off) 작동하기 위한 스위칭부(19)가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부(19)는 온(On)/오프(Off) 접점을 가진 계전기로 구성되며, 교류 상용전원을 팬(13)에 공급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팬(13)을 소정의 설정시간 즉 3분, 5분, 10분 등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타이머(Timer)(15)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머(15)는 온(On) 동작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만 온(On) 동작한 후, 오프(Off)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타이머(15)에서 설정된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5분 동안 팬(13)이 동작하다가 오프(Off)되고 난 후에도 실내의 연기(20)가 완전히 배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연기 감지기(16b)가 빛의 조사량 즉, 광량을 다시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기(16b)가 제어부(18)에서 설정된 소정 량 이하의 광량을 감지하게 된다면 팬(13)은 상술한 과정과 같은 동작을 다시 수행하여 실내에 찬 연기(20)를 계속해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연기 감지부(16)에서 연기(20)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팬(13)을 동작시켜 주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팬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발광램프(16c)로부터 발생되고 있는 빛의 조사량(광량)을 연기 감지 기(16b)가 감지한다.(S501)
이때,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다크(Dark)-온(On)형 연기 감지기(16b)는 연기 집진기(16a)에 가득 찬 연기(20)로 인해 가려져서 발광램프(16c)의 빛이 어두워지면 이를 감지하여 온(On)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감지기(16b)에서 감지된 광량을 신호 변환부(17)에서 감지신호인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8)에 입력하여 감지신호의 판별이 이루어진다.(S502)
이때, 상기 제어부(18)에서는 감지신호가 판별되면 스위칭부(19)를 통해 전원이 팬(13)에 공급되어 소정의 시간 동안 온(On) 동작(회전)을 수행하게 된다.(S503)
만약, 상기 단계에서 감지신호가 제어부(18)에서 설정해 둔 설정치 이하로 판별되지 않으면 팬(13)은 동작하지 않게 된다.(S504)
이어서, 상기 팬(13)은 타이머(15)가 온(On) 동작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만 작동한 후 오프(Off) 동작을 수행한다.(S505)
이후, 상기 타이머(15)에서 설정된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5분 동안 팬(13)이 동작하다가 오프(Off)되고 난 후에도 실내의 연기(20)가 완전히 배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연기 감지기(16b)가 빛의 조사량을 재감지한다.(S506)
이에 따라, 상기 팬(13)은 상술한 과정과 같은 동작을 다시 수행하여 실내에 찬 연기(20)를 계속해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S503)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 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일정량 이상으로 차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여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연기가 밖으로 배출되고 나면 환풍기가 정지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깔때기 형상으로 30도~120도 범위의 각도를 가진 연기 집진기가 구비되고, 상기 연기 집진기의 내부에 설치하되, 상기 연기 집진기의 꼭지점에는 연기 감지기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연기 감지기의 하부위에는 발광램프가 구비되며, 상기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상기 연기 감지기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광량에 의해 감지신호가 설정치 이하로 판별되면 타이머에서 온(On) 동작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 동안 팬이 동작(회전)한 후 오프(Off)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팬의 오프(Off) 동작 수행단계에 이어 감지신호가 설정치 이하로 재감지되면 상기 팬이 다시 온(On)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60080113A 2006-08-23 2006-08-23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방법 KR10076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113A KR100765731B1 (ko) 2006-08-23 2006-08-23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113A KR100765731B1 (ko) 2006-08-23 2006-08-23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731B1 true KR100765731B1 (ko) 2007-10-10

Family

ID=3941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113A KR100765731B1 (ko) 2006-08-23 2006-08-23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7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3140A (ja) 1982-06-03 1983-12-12 Toshiba Corp 換気装置
JPH047500A (ja) * 1990-04-25 1992-01-10 Toa Harbor Works Co Ltd トンネル工事における坑内換気方法
JPH0493529A (ja) * 1990-08-08 1992-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などの排煙装置
KR950027265A (ko) * 1994-03-23 1995-10-16 이명관 가스레인지의 배기후드 자동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91679A (ko) * 2000-03-17 2001-10-23 유지현 실내의 매연 농도에 따라 다단식으로 자동 작동되는환풍방법
KR100618208B1 (ko) 2005-10-01 2006-09-06 정태웅 자동환풍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3140A (ja) 1982-06-03 1983-12-12 Toshiba Corp 換気装置
JPH047500A (ja) * 1990-04-25 1992-01-10 Toa Harbor Works Co Ltd トンネル工事における坑内換気方法
JPH0493529A (ja) * 1990-08-08 1992-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などの排煙装置
KR950027265A (ko) * 1994-03-23 1995-10-16 이명관 가스레인지의 배기후드 자동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91679A (ko) * 2000-03-17 2001-10-23 유지현 실내의 매연 농도에 따라 다단식으로 자동 작동되는환풍방법
KR100618208B1 (ko) 2005-10-01 2006-09-06 정태웅 자동환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976B1 (en) Light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US7690583B2 (en) Humidity sensor and fan control device
US6888323B1 (en) Light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JP6495642B2 (ja) イオン発生機
JP2013517454A (ja) 換気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6138705A (ja) 空質検知手段を備えた換気システム
JP4366776B2 (ja) 空気清浄器
CN106123073A (zh) 一种新型智能油烟机
KR100618208B1 (ko) 자동환풍장치
FR2901346A1 (fr) Lit comportant un systeme d'eclairage
KR100765731B1 (ko)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방법
KR100765732B1 (ko) 연기배출을 위한 팬 제어장치
JP2008089248A (ja) 換気装置
KR100618207B1 (ko) 연기배출장치
KR102084197B1 (ko) 에너지 절감형 흡연부스 장치
JP4956844B2 (ja) 機器制御装置及び機器制御方法
KR100778931B1 (ko) 유아, 장애인용 자동조명스위치
KR20160077263A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7180851A (ja) レンジフード
CN207867674U (zh) 煤气自动排风装置
KR930009611B1 (ko) 자동환기 장치
KR100720734B1 (ko)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7645087U (zh) 混凝土粉料储料斗
KR200233503Y1 (ko) 램프 제어장치
KR200279633Y1 (ko) 전등스위치와 습도검출기가 결합된 제습 환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