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706B1 - 철구조물 상에서의 승하강용 작업대의 요동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철구조물 상에서의 승하강용 작업대의 요동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706B1
KR100765706B1 KR1020070005302A KR20070005302A KR100765706B1 KR 100765706 B1 KR100765706 B1 KR 100765706B1 KR 1020070005302 A KR1020070005302 A KR 1020070005302A KR 20070005302 A KR20070005302 A KR 20070005302A KR 100765706 B1 KR100765706 B1 KR 100765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gnetic body
steel structure
worktable
movab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준
김지온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강 작업대에 구비되는 요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작업 대상물의 형상구배 및 작업대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형태에 대응하여 편리한 위치에서의 작업대의 요동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요동방지수단을 갖는 승하강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금속류 작업 대상물의 외벽에 대한 작업을 위해 상측 고정부로부터 지지수단을 통해 연직방향 지지되는 고소 작업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로부터 작업 대상물을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수평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수단을 통해 위치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일 측 선단에 볼조인트 결합되어, 대향하는 작업 대상물과 자력의 선택적인 ON/OFF에 의해 탈 부착되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와 연결되어, 작업대에 올라선 작업자가 자력의 ON/OFF를 제어하는 조작레버; 로 구성된 요동방지수단을 갖는 승하강 작업대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고소 작업, 선박 외판, 자성체, 스위치 타입 영구자석, 볼 조인트

Description

철구조물 상에서의 승하강용 작업대의 요동방지기구{THE ANTI-SHAKING DEVICE FOR UP/DOWN WORKING PLATFORM ON A STEEL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작업대가 설치되는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작업대의 요동방지수단을 보이는 측면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요동방지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요부의 결합 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요동방지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요부의 결합 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요동방지수단을 이용한 승하강 작업대의 위치고정 상태를 보이는 일 실시예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요동방지수단을 이용한 승하강 작업대의 위치고정 상태를 보이는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업 대상물(외판)
(3) : 고정부
(4) : 지지수단
(9) : 안내브라켓
(10) : 이동바
(15) : 볼조인트
(20) : 자성체(스위치 타입 영구자석)
(25) : 조작레버
(30) : 고정수단
(31) : 가압볼트
(100) : 요동방지수단
본 발명은 철구조물을 작업 대상으로 하는 승하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대상물과 연계하여 설치되는 요동방지수단을 통해, 작업 대상물의 형상구배 및 수행되는 작업의 형태에 대응하여 조절 설치가 가능하며, 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용 작업대의 요동방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공업, 건축 등 대형의 구조물을 상대로 하는 작업 시에는 고소 작업이 상당부문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소 작업은 대개 지면으로부터 설치된 고소차량을 이용하는 경우이거나, 이러한 고소차량이 미치지 못하는 보다 높은 대상물에 대해서는 구조물의 상부로부터 작업지점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곤도라 등의 승하강식 작업기구를 이용하여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후자에서와 같이, 구조물의 상부로부터 와이어로프, 체인 등에 의해 지지된 승하강식 작업대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의 측벽에 대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작업대의 경우, 구조물의 상부 고정부로부터 연직방향 지지된 작업대에 올라탄 작업자의 작업 중의 일어나는 행동이나, 주위 바람 등의 이유로 작업대의 요동현상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승하강식 작업대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단으로는 특정한 요동방지수단으로의 규격화된 전용장비가 부설되는 경우라기보다는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형태나 작업자의 성향에 따라 임의로 요동방지수단들이 채택되어 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규격화 되지 못하고 현장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 대상물이나 실질적인 고소작업의 형태에 따른 작업자의 노하우에 의해 가 설치 사용되므로 인해 타 고소작업에 사용되는 작업대로의 병행이 곤란하였다.
아울러 승하강 작업대에 부가 설치된 요동방지수단의 다양화나 그 조작의 난해성으로 인해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실질적인 고소작업에 있어서는 숙련된 작업자라 할지라도 이러한 작업대의 보조기구인 요동방지수단의 작동미숙 및 작업대에 대한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실질적인 고소작업의 능률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가중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 대상물과 연계하여 설치되는 요동방지수단을 통해, 작업 대상물의 형상구배 및 작업대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형태에 대응하여 작업자의 임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 설치될 수 있는 요동방지수단을 갖는 승하강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특히 철구조물로 이루어진 작업 대상물에 대한 그 조작 및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대의 요동방지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작업대 상에서 이루어지는 특정작업에 대한 숙련자라 할지라도 기피되고 있는 고소작업의 조작편의에 따른 작업부담을 해소하고, 안전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승하강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류 작업 대상물의 외벽에 대한 임의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부 고정부로부터 줄 타입 지지수단을 통해 연직방향 지지되는 고소 작업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로부터 작업 대상물을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수평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수단을 통해 위치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일 측 선단에 볼조인트 결합되어, 대향하는 작업 대상물과 자력의 선택적인 ON/OFF에 의해 탈 부착되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와 연결되어, 작업대에 올라선 작업자가 자력의 ON/OFF를 제어하는 조작레버; 로 구성된 요동방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성체는, 스위치 타입의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작업대가 설치되는 실시예로서의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예시도는 선박의 외판(1)을 작업 대상물로 하는 승하강 작업대(5)의 작업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이러한 선박의 외판(1)에 대한 용접, 도장, 청소 등의 다양한 작업이 승하강 작업대(5) 상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선박의 외판(1)에 대한 작업은 작업대를 지지하는 고정부(3)를 선박의 갑판(2)에 위치시켜, 와이어로프, 체인 등의 줄 타입의 지지수단(4)을 통해 작업대(5)를 선박의 외판(1)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며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 이러한 선박에 대한 전후(좌우)방향의 작업은 상기 갑판(2)에 설치된 레일(2a)을 따라 고정부(3)를 선박의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선박의 외판(1)에 대한 전체적인 작업을 완료하도록 하게 된다.
도 2, 도 3a 및 도 3b는 상기와 같은 승하강 작업대에 부가 설치되는 요동방지수단의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도 1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먼저 선박의 외판(1)과 같이 철구조물을 이루는 작업 대상물에 대해 작업대(5)에 부가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동방지수단(100)은, 상기 승하강 작업대(5)에 고정되어 수평방향의 안내공(9a)을 형성하는 안내브라켓(9)과, 이 안내브라켓(9)의 안내공(9a)에 끼워져, 수평방향 슬라이딩하며 일 측 선단이 작업 대상물(1)을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수평방향 이동하는 이동바(10)와, 이 이동바(10)의 일 측 선단에 설치되어, 자력의 ON/OFF에 따라 대향하는 작업 대상물(1)과 선택적인 탈 부착이 가능한 자성체(20)와, 이 자성체(20)와 연결되어 작업대(5)에 올라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자성체(20)의 자력을 ON/OFF 시키는 조작레버(25)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20)는 이동바(10)의 선단에 볼조인트(15) 결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이동바(10)로부터 구면운동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브라켓(9)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가압볼트(31)의 선단을 통해, 안내공(9a)에 끼워진 이동바(10)의 외면을 가압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작업대(5)에 고정된 안내브라켓(9) 및 이 안내브라켓(9)에 형성된 안내공(9a)에 끼워지는 이동바(10)는 필요에 따라 작업대(5)의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에 나란히 다수개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에 구성되는 고정수단(30)을 통해 이동바(10)들은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시하진 않았으나, 안내브라켓(9)을 따라 수평방향 이동하는 이동바(10)의 길이방향으로는 래크기어를 형성시키고, 상기 안내브라켓(9)의 내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노브를 갖는 피니언기어를 부가 형성하여, 작업자가 노브의 회전을 통해 랙 피니언 결합된 이동바(10)의 안정적인 수평이동을 구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자성체(20)는 전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작업 대상물(1)에 대한 주된 작업(용접, 도장, 청소 등)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장비 및 작업자를 탑재하는 작업대의 하중을 고려하여, 고 중량물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행사할 수 있도록 스위치 타입의 영구자석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위치 타입의 영구자석은, 몸체의 내부에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이 영구자석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이 몸체의 어느 일 측으로 돌출 위치되어, 이 회전축과 결합되는 조작레버를 구간 회전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극 위치를 기구적으로 바꾸면서 자력이 ON/OFF 되도록 한 것이다. 도 3a 에 도시된 인출번호 '25'는 이러한 스위치 타입의 영구자석에 구비되는 '조작레버'로서 도시된 것이다. 이와 관련 공지 공용된 스위치 타입의 영구자석의 내부구성에 관한 상세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다만, 이러한 스위치 타입의 영구자석을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20)로 이용하는 경우, 자성체(20)의 몸체 일 측으로 연장된 조작레버(25)를 작업대(5)에 올라선 작업자가 충분히 핸들링 할 수 있도록 연장시켜 배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요동방지수단(100)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3ab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선박의 외판(1)을 따라 갑판(2)의 고정부(3)로부터 연직방향 지지된 채, 외판(1)의 국부지점에 대한 특정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앞서, 작업자는 먼저 자성체(20)의 조작레버(25)를 ON하여 자성체(20)에 자력을 발생시키고, 이후 안내브라켓(9)의 고정수단(30)인 가압볼트(31)를 풀어 이동바(10)를 외판(1)을 향해 전진 이동시킨다.
이렇게 이동된 하나 이상의 이동바(10)의 선단에 각각 볼조인트(15) 결합된 자성체(20)는, 수직평면에 대하여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으로 다양한 경사구배를 갖는 선박 외판(1)에 대응하여 볼조인트(15)결합의 구면운동을 일으키며 선박의 외판(1)에 견고히 부착된 상태를 취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고정수단(30)의 가압볼트(31)를 각각 가압 체결하여 이동바(10)를 안내브라켓(9)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작업대(5)의 요동을 방지시키고, 이후 선박 외판(10)에 대한 실질적인 고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실질적인 고소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는 조작레버(25)를 OFF시켜 외판(1)으로부터 자성체(20)의 고정력을 해제시키고, 고정수단(30)을 풀고 이동바(10)를 정위치로 복귀시켜 요동방지수단(100)의 작동을 완전히 해제시킨다.
이후, 작업대(5)를 지지하는 고정부(3)측 혹은 작업대(5) 상에 구비된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작업대(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외판(1)의 다른 작업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업영역으로 이동된 승하강 작업대(5)는 실질적인 고소작업 전 상기와 같은 요동방지수단(100)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5)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력을 행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a는 이러한 요동방지수단을 이용한 승하강 작업대의 고정상태를 보이는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외판(1)의 경사구배에 상관없이 작업대(5)를 항상 정위치 시킨 채 고소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안내브 라켓(9)으로부터 수평 이동하는 다수개의 이동바(10)들이 작업대(5)로부터 이격된 선박 외판(1)과의 거리만큼만 각각 달리 전진 이동하여 위치 고정됨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며, 반면 도 2b는 승하강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고정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외판(1)의 경사구배에 대응하여 작업대(5)를 선박의 외판(1)과 항상 나란하게 위치시킨 채 고소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안내브라켓(9)으로부터 수평 이동하는 모든 이동바(10)들이 작업대(5)로부터 동일 거리로 전진 이동하여 위치 고정됨으로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요동방지수단(100)을 통해 선박 외판(1)의 경사구배에 대응하여 작업대(5)가 위치하도록 하거나 혹은 경사구배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 위치로 고정하도록 구현하는 것은, 작업대(5)에서 이루어지는 실질적인 고소작업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선박 외판(1)의 도장을 위해 작업대(5)에 도장용 스프레인 건을 구비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후자의 경우(도 4b)에서와 같이, 외판(1)의 경사구배와 나란히 배치되도록 다수개의 이동바(10)를 적절히 전진 이동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류의 작업 대상물에 대한 자력에 의한 요동방지수단의 조작성을 향상시켜, 실질적인 작업 외, 고소작업이라는 이유로 인해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주변 작업량을 줄여 작업자의 작업능률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승하강 작업대가 향하는 작업 대상물의 형상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인해,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감을 위해 항상 수평상태의 견고한 위치 고정력을 행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위치 타입의 영구자석을 사용함으로서, 자력의 ON/OFF에 따른 조작 시 무리한 힘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와 동시 부착되는 대상 구조물의 외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대 상에서 수행되는 고소 작업에 형태에 따라 작업 대상물의 경사구배에 상관없이 작업대의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금속류 작업 대상물의 외벽에 대한 임의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부 고정부로부터 줄 타입 지지수단을 통해 연직방향 지지되는 고소 작업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로부터 작업 대상물을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수평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수단을 통해 위치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일 측 선단에 볼조인트 결합되어, 대향하는 작업 대상물과 자력의 선택적인 ON/OFF에 의해 탈 부착되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와 연결되어, 작업대에 올라선 작업자가 자력의 ON/OFF를 제어하는 조작레버;
    로 구성된 요동방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을 작업 대상으로 하는 승하강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스위치 타입의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을 작업 대상으로 하는 승하강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작업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바가 끼워지게 수평방향의 안내공을 형성하는 안내브라켓과, 이 안내브라켓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가압볼트의 선단을 통해 이동바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구조물을 작업 대상으로 하는 승하강 작업대.
KR1020070005302A 2007-01-17 2007-01-17 철구조물 상에서의 승하강용 작업대의 요동방지기구 KR10076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02A KR100765706B1 (ko) 2007-01-17 2007-01-17 철구조물 상에서의 승하강용 작업대의 요동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02A KR100765706B1 (ko) 2007-01-17 2007-01-17 철구조물 상에서의 승하강용 작업대의 요동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706B1 true KR100765706B1 (ko) 2007-10-12

Family

ID=3941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302A KR100765706B1 (ko) 2007-01-17 2007-01-17 철구조물 상에서의 승하강용 작업대의 요동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7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6562A (zh) * 2017-09-13 2017-12-15 许昌学院 一种建筑用新型吊篮
KR20220001340A (ko) * 2020-06-29 2022-01-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용 리프트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998-025368호(1998.07.0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6562A (zh) * 2017-09-13 2017-12-15 许昌学院 一种建筑用新型吊篮
KR20220001340A (ko) * 2020-06-29 2022-01-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용 리프트 시스템
KR102402153B1 (ko) 2020-06-29 2022-05-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용 리프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5417A (ko) 철구조물 자동용접 시스템
KR20090095041A (ko) 자동용접 시스템
KR100765706B1 (ko) 철구조물 상에서의 승하강용 작업대의 요동방지기구
JP2019154093A (ja) 移動ケーブル用架台
JP6504836B2 (ja) 杭打機
DE2915603A1 (de) Handhabungsgeraet fuer senkrecht zur abstuetzbasis und um eine dazu parallele schwenkachse erfolgende lasten-umsetzmanoever mit dazu quergerichteter justierbarkeit
JP2001242289A5 (ko)
CN2930934Y (zh) 柔性托料装置
JP2006336296A (ja) 作業台着脱式昇降板及び作業台
KR101813095B1 (ko) 로봇시스템을 이용한 레이들 반자동 개공장치
JP4596767B2 (ja) ワーク保持装置でのワーク衝突防止方法
JP6814471B2 (ja) 組立式クレーン
CN213706521U (zh) 一种焊条存放简易装置
JP3864177B1 (ja) コンクリート類の均し具
KR20080067776A (ko) 철구조물에 탈 부착이 용이한 자율주행 캐리지
JP2015218515A (ja) 作業架台
JP4389200B2 (ja) 落橋防止用鋼製ブラケットおよびブロックの取付け装置
KR200444449Y1 (ko) 핀 지그 자동 업 다운 장치
KR20090002165U (ko) 승하강용 작업대의 요동방지 롤러
JP4565970B2 (ja) スタンプ式マーキング装置
KR20110057286A (ko) 블록 내부 연속 용접을 위한 로봇 이동장치
KR100856138B1 (ko) 곤도라
HRP20050857A2 (en) Working equipment forwaterborne vessels dry dock
KR200433361Y1 (ko) 전동식 리프트
AU2003100592A4 (en) Post Driv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