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476B1 -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476B1
KR100765476B1 KR1020050108258A KR20050108258A KR100765476B1 KR 100765476 B1 KR100765476 B1 KR 100765476B1 KR 1020050108258 A KR1020050108258 A KR 1020050108258A KR 20050108258 A KR20050108258 A KR 20050108258A KR 100765476 B1 KR100765476 B1 KR 10076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eb disk
web
dis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0710A (ko
Inventor
김호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4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연동방법은 휴대단말기의 저장영역에 웹디스크와의 연동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의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의 저장 위치 및 저장 시간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저장 위치가 웹디스크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로 잔여 용량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디스크의 잔여 공간이 확보된 경우 입력된 저장 시간을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저장 시간에 저장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웹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웹디스크에게 해당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디스크가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휴대단말기에게 할당된 웹디스크의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휴대단말기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휴대단말기, 웹디스크, 웹하드, 연동

Description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phone and method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web dis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휴대단말기의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에서 웹 디스크 연동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디스크와 휴대단말기의 연동방법에 있어서 웹 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처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웹 디스크의 메모리 영역 할당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예시된 처리 절차에 의해 컨텐츠 정보를 예약 전송하기 위한 전송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예시된 처리 절차에 의해 전달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f는 도 3에 예시된 처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전달되는 메시지들에 대한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디스크와 휴대단말기의 연동방법에 있어서 웹 디스크에 저장된 정보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예시된 처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전달되는 메시지들에 대한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은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하면서 통신 서비스(예컨대,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교환 등)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개발 초기에는 통화나 문자 등을 교환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이하, '휴대단말기 메모리'라 칭함)에는 상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들(예컨대, 시스템 구동 제어를 위한 구동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들, 전화번호부, 주소록, 단문 메시지 등)만이 저장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 통신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데이터 통신 속도가 크게 향상되었고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망이 구축되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MP3 파일 및 게임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단말기(일명, 카메라폰)가 상용화되었다. 이로 인해 휴대단말기 메모리의 사용량이 급증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 메모리에는 동영상, MP3 파일, 게임 및 사진 등 많은 데이터들이 저장되고 있다.
반면 휴대단말기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휴대단말기는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로 인해 휴대단말기 메모리의 용량 증가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사용자들은 대용량의 정보들을 휴대단말기에 자유롭게 저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메모리 공간의 부족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휴대단말기 사용자들은 개인적으로 간직하고 싶은 소중한 문자메시지나 사진 또는 유료로 다운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을 삭제하여야 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 사용자들이 대용량의 정보들을 자유롭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 사용자들이 기 저장된 정보들을 삭제하지 않고 대용량의 새로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대단말기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웹디스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 상기 웹디스크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웹디스크에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정보 전달 및 저장된 데이터 실행을 위한 요청 메시지 전달과 상기 웹디스크가 전달하는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제공하는 웹디스크 인터페이스부; 및 데이터의 저장 요청 시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웹디스크에 저장하는 임의의 데이터 실행 요청 시 상기 웹디스크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웹디스크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는 상기 웹디스크의 고유번호 및 상기 웹디스크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웹디스크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의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의 저장 위치 및 데이터의 저장 시간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의 저장 위치 및 데이터의 저장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웹디스크와 연동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의 저장 위치가 웹디스크인 경우 상기 웹디스크로 잔여 공간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웹디스크의 잔여 공간이 상기 데이터 보다 클 경우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의 저장 시간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저장 시간에 해당 데이터를 상기 웹디스크에 저장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의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가 웹디스크에 저장된 것으로 판단할 시, 상기 웹디스크 정보에 의거하는 해당 웹디스크로 데이터 실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수신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실행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의 고유번호 및 실행 요청된 데이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실행 요청 메시지를 상기 웹디스크에게 전달하고, 상기 웹디스크로부터 해당 데이터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전달받아 실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웹 디스크와 휴대단말기 연동 방법은 휴대단말기의 저장영역에 웹디스크와의 연동정보를 저장하는 연동 정보 저장 단계; 데이터의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의 저장 위치 및 저장 시간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저장 위치가 웹디스크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로 잔여 용량 확인을 요청하는 잔여 용량 확인 단계; 상기 웹디스크의 잔여 공간이 확보된 경우 상기 입력된 저장 시간을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저장 시간에 저장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웹디스크의 잔여 용량 확인 결과 웹디스크의 잔여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의 저장 공간이 부족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안내 메시지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 출력 과정은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여 용량 확인 단계는 상기 저장된 연동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웹디스크의 저장영역 중 상기 휴대단말기에게 할당된 저장영역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저장영역 중 잔여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잔여 영역이 상기 저장 요청된 데이터의 크기보다 큰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영역이 상기 저장 요청된 데이터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웹 디스크의 잔여 공간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은 휴대단말기가 데이터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웹디스크와의 연동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웹디스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하는 웹디스크에게 해당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디스크가 상기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게 할당된 상기 웹디스크의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데이터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동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웹디스크의 고유번호 및 상기 웹디스크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연동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요청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의 고유번호 및 실행 요청된 데이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실행 요청 메시지를 상기 웹디스크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키 입력부(121), 제어부(122), 메모리부(123),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124), 무선 통신부(125), 웹디스크 I/F(126), 디스플레이부(127), 스피커부(128) 및 마이크부(129)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121)는 휴대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예컨대, 키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22)로 전달한다.
메모리부(123)는 휴대단말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들(예컨대, 시스템 구동 제어를 위한 구동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들, 전화번호부, 주소록, 단문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124)는 휴대단말기(100)와 연동하는 웹디스크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124)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특정 정 보(예컨대, 컨텐츠 정보 등)를 웹디스크로부터 실시간으로 읽어오기 위해 필요한 웹디스크 연동정보를 저장한다.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124)에서 웹디스크 연동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특히, 도 2는 웹디스크에 컨텐츠 정보가 저장된 경우 이러한 컨텐츠 정보를 휴대단말기(100)가 실시간으로 읽어오기 위해 필요한 웹디스크 연동 정보의 저장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124)는 휴대단말기(100)와 연동하는 웹디스크의 고유번호(ID) 필드(111)와, 그 웹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들의 목록 필드(113)를 포함한다. 이 때 컨텐츠 목록 필드(113)는 웹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들의 고유번호(ID)들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웹디스크 인터페이스(I/F)(126)는 휴대단말기(100)와 연동하는 웹디스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웹디스크 인터페이스(I/F)(126)는 제어부(122)의 제어에 의해 웹디스크에게 컨텐츠 정보의 저장 및 실행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웹디스크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무선통신부(125)는 무선망을 통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선망을 통해 다른 휴대단말기 또는 각종 정보 제공 서버들과 휴대단말기(100)를 연결한다.
디스플레이부(127), 스피커부(128) 및 마이크부(129)는 각각 제어부(122)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며, 디스플레이부(127)는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스피커부(128)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부(129)는 주변의 음향신호(예컨대, 사용자의 목소리 등)를 수집하여 제어부(122)로 전달한다.
제어부(122)는 키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조작 신호 또는 메모리(123)에 기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휴대단말기(10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키 입력부(121)를 통해 정보(예컨대, 특정 컨텐츠 등)의 저장 또는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22)는 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를 저장 또는 실행하도록 무선 통신부(125) 및 웹디스크 인터페이스(126)를 제어함으로써 휴대단말기(100)와 웹디스크가 연동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2)는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124)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디스크와 휴대단말기의 연동방법에 있어서 웹 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3은 휴대단말기(이하, '단말'이라 칭함)(100)가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다운받고자 하는 컨텐츠를 웹디스크(400)와 연동하여 저장하기 위한 처리 절차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단말(100)은 웹디스크(400)의 메모리 영역을 관리하는 웹디스크 관리자(300)를 통해 웹디스크(400)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웹디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예컨대, 서버 등)를 말한다(이하 동일).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0)이 웹디스크(400)와 연동하여 특정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100)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특정 컨텐츠를 요청하면(S101)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인증 과정(S103)을 거쳐 상기 컨텐츠의 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단말(100)에게 전달한다(S105).
그러면 단말(100)은 상기 인증 결과에 의거하여 컨텐츠 요청(S101)에 대한 승인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07) 상기 확인(S107) 결과 컨텐츠 요청(S101)에 대한 승인이 성공하였으면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의 전송 시간 및 전송 위치 설정을 요청한다(S109).
상기 요청(S109)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전송 시간 및 전송 위치를 지정하여 입력하면(S111) 단말(100)은 사용자가 지정한 전송 위치가 웹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3). 예를 들어 단말(100)은 사용자가 지정한 전송 위치가 웹디스크인지 내부 메모리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S113) 결과 사용자가 지정한 전송 위치가 웹디스크이면 단말(100)은 단말(100)과 연동되는 웹디스크(400)의 잔여 용량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단말(10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웹디스크 연동 정보로부터 단말(100)과 연동되는 웹디스크 ID를 검출하고 해당 웹디스크의 관리자를 통해 해당 웹디스크의 잔여 용량을 확인한다. 도 3의 예에서 단말(100)은 웹디스크 관리자(300)에게 웹디스크(400)의 잔여 용량 확인을 요청한다(S115).
그러면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웹디스크(400)에서 단말(100)에게 할당된 영역 중 잔여 용량(또는 사용 가능 영역)을 확인한 후(S117) 그 결과를 단말(100)에게 전달한다(S119). 이를 위해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자신이 관리하는 웹디스크(400)의 단말별 메모리 영역 할당정보를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즉, 웹디스크의 저장 영역 중 단말들 각각에게 할당한 전체 영역, 점유 영역 및 가용 영역을 단말별로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웹디스크 관리자(300)가 웹디스크(400)의 단말별 메모리 영역 할당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과정(S119)을 통해 연동되는 웹디스크(400)의 잔여 용량 확인 결과를 전달받은 단말(100)은 그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저장을 위한 용량이 확보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21). 예를 들어 단말(100)은 상기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웹디스크(400)의 잔여 용량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부터 다운받고자 하는 컨텐츠의 크기보다 큰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S121) 결과 웹디스크(400)의 잔여 용량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부터 다운받고자 하는 컨텐츠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S123). 예를 들어 단말(100)은 선택된 컨텐츠의 저장 공간이 부족함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 혹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확인(S121) 결과 웹디스크(400)의 잔여 용량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다운 받고자 하는 컨텐츠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100)은 사용자가 지정한 전송 시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게 전달한다(S125). 그러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상기 전송 시간 정보, 해당 단말(100)이 선택한 컨텐츠 정보 및 단말(100)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예약 정보를 저장한다(S127). 이를 위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의 로긴 정보 및 컨텐츠 요청 정보를 사전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상기 전송 예약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가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전송 예약 정보를 저장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현재 시간이 상기 전송 예약 정보에 저장된 전송 시간과 같아지면(S129) 해당 컨텐츠를 웹디스크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해당 컨텐츠를 웹디스크 관리자(300)에게 전송함이 바람직하다(S131). 이 때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 단말의 고유번호(ID)와 대응된 컨텐츠 고유번호(ID) 및 컨텐츠 내용(즉, 컨텐츠 데이터)을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를 웹디스크 관리자(300)에게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달받은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그 컨텐츠 정보를 웹디스크(400)에 저장한다(S133). 이 때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기 저장된 웹디스크(400)의 단말별 메모리 영역 할당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를 웹디스크(400)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전달한 컨텐츠 정보로부터 해당 정보가 저장될 웹디스크 및 그 컨텐츠를 요청한 단말의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해당 단말에게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대응된 컨텐츠를 저장한다.
그리고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상기 저장 결과를 단말(100)에게 전달한다(S135). 이 때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상기 저장 결과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전송 시간을 지정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그 전송 시간에 대응된 컨텐츠를 웹디스크에게 저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 명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별도의 전송 시간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예컨대, 실시간 전송을 요청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요청과 동시에 웹디스크 관리자(300)에게 전달하여 웹디스크(400)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100)을 웹디스크(400)와 연동하여 사용함으로써 단말(100)의 내부 메모리 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처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웹 디스크의 메모리 영역 할당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4는 웹디스크 관리자(300)가 웹디스크(400)의 메모리 영역 할당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웹디스크(400)의 메모리 영역 할당 정보 관리 DB(310)는 단말_ID(311)/시작번지(313)/전체영역(315)/점유영역(317)/가용영역(319) 필드를 포함한다.
단말_ID 필드(311)는 웹디스크(400)의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고 웹디스크(400)와 연동하는 단말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시작번지 필드(313)는 웹디스크(400)의 메모리 영역 중 대응된 단말에게 할당된 메모리의 시작 번지를 저장하고, 전체 영역 필드(315)는 대응된 단말에게 할당된 전체 메모리 영역 정보를 저장하고, 점유 영역 필드(317)는 대응된 단말에게 할당된 전체 메모리 영역 중 해당 단말이 사용 중인 영역 정보를 저장하고, 가용 영역 필드(319)는 대응된 단말에게 할당된 전체 메모리 영역 중 사용 가능한 영역 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전체 영역 필드(315), 점유 영역 필드(317) 및 가용 영역 필드(319)는 메모리 크기(즉, 용량)를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byte 등)를 저장함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가용 영역 필드(319)의 값은 전체 영역 필드(315)의 값에서 가용 영역 필드(319)의 값을 뺀 값이다.
도 5는 도 3에 예시된 처리 절차에 의해 컨텐츠 정보를 예약 전송하기 위한 전송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5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전송 예약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저장된 전송 예약 정보 관리 DB(210)는 컨텐츠_ID(211)/단말_ID(213)/전송시간(215) 필드를 포함한다.
컨텐츠_ID 필드(211)는 전송 예약된 컨텐츠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단말_ID 필드(213)는 해당 컨텐츠를 전송 요청한 단말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전송시간 필드(215)는 해당 컨텐츠의 전송 요청 시간을 저장한다.
도 6은 도 3에 예시된 처리 절차에 의해 전달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웹디스크(400)가 웹디스크 관리자(300)를 통해 전달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웹디스크(400)의 컨텐츠 정보 관리 DB(410)는 컨텐츠_ID(411)/내용(413) 필드를 포함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도 3에 예시된 처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전달되는 메시지들에 대한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는 도 3의 컨텐츠 요청 과정(S101)에서 단말(100)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게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다운을 요청할 때 전송하는 컨텐츠 다운 요청 메시지(510)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컨텐츠 다운 요청 메시지(510)는 단말 고유번호(ID)(511)/서버 고유번호(ID)(513)/컨텐츠 고유번호(ID)(515)를 포함한다. 이 때, 단말 ID(511)는 컨텐츠의 다운을 요청하는 단말(도 3의 예에서 단말(100), 이하 동일)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서버 ID(513)는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도 3의 예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 이하 동일)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컨텐츠 ID(515)는 다운 요청된 컨텐츠의 고유번호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도 7b는 도 3의 인증 결과 전송 과정(S105)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단말(100)에게 컨텐츠 전송에 대한 인증 결과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증 결과 전송 메시지(520)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인증 결과 전송 메시지(520)는 서버 고유번호(ID)(521)/단말 고유번호(ID)(523)/인증 결과(525)/컨텐츠 용량 정보(527)를 포함한다. 이 때, 서버 ID(521)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단말 ID(523)는 단말(1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인증결과(525)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전송에 대한 단말(100)의 인증결과를 저장하고, 컨텐츠 용량 정보(527)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용량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도 7c는 도 3의 잔여 용량 확인 요청 과정(S115)에서 단말(100)이 웹디스크 관리자(300)에게 전송하는 잔여용량 확인 요청 메시지(530)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잔여용량 확인 요청 메시지(530)는 단말 고유번호 (ID)(531)/웹디스크 고유번호(ID)(533)/신규로 저장할 컨텐츠 용량 정보(535)를 포함한다. 이 때, 단말 ID(531)는 단말(1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웹디스크 ID(533)는 단말(100)과 연동하는 웹디스크(도 3의 예에서 웹디스크(400), 이하 동일)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신규로 저장할 컨텐츠 용량 정보(535)는 단말(100) 사용자가 다운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용량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도 7d는 도 3의 잔여 용량 확인 결과 정보 전송 과정(S119)에서 웹디스크 관리자(300)가 단말(100)에게 전송하는 잔여 용량 확인 결과 메시지(540)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잔여용량 확인 결과 메시지(540)는 웹디스크 고유번호(ID)(541)/단말 고유번호(ID)(543)/잔여용량 확인 결과(545)를 포함한다. 이 때 웹디스크 ID(541)는 웹디스크(4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단말 ID(543)는 단말(1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잔여용량 확인 결과(545)는 단말(100)에게 할당된 웹디스크(400)의 메모리 영역 중 단말(100)이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도 7e는 도 3의 컨텐츠 전송 과정(S131)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웹디스크 관리자(300)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메시지(550)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컨텐츠 전송 메시지(550)는 서버 고유번호(ID)(551)/웹디스크 고유번호(ID)(553)/단말 고유번호(ID)(555)/컨텐츠 고유번호(ID)(557)/컨텐츠 내용(559)을 포함한다. 이 때 서버 ID(551)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웹디스크 ID(553)는 웹디스크(4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단말 ID(555)는 단말(1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컨텐츠 ID(557)는 전송될 컨텐츠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컨텐츠 내용(559)은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도 7f는 도 3의 컨텐츠 저장 결과 전송 과정(S135)에서 웹디스크 관리자(300)가 단말(100)에게 전송하는 저장 결과 메시지(560)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f를 참조하면 저장 결과 메시지(560)는 웹디스크 고유번호(ID)(561)/단말 고유번호(ID)(563)/컨텐츠 고유번호(ID)(565)/컨텐츠 저장 알림 메시지(567)를 포함한다. 이 때 웹디스크 ID(561)는 웹디스크(4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단말 ID(563)는 단말(1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컨텐츠 ID(565)는 웹디스크(400)에 저장된 컨텐츠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컨텐츠 저장 알림 메시지(567)는 상기 컨텐츠의 저장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음성 또는 문자 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디스크와 휴대단말기의 연동방법에 있어서 웹 디스크에 저장된 정보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8은 휴대단말기(이하, '단말'이라 칭함)(100)가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실행을 요청한 경우 웹디스크(400)와 연동하여 해당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절차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단말(100)은 웹디스크(400)의 메모리 영역을 관리하는 웹디스크 관리자(300)를 통해 웹디스크(400)와 연동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웹디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예컨대, 서버 등)를 말한다(이하 동일).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00) 사용자가 컨텐츠의 실행을 위해 단말(100)에게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면(S201) 단말(100)은 기 저장된 컨텐츠 저장 정보를 로딩한 후 디스플레이 한다(S203). 이를 위해 단말(10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컨텐츠 저장 정보(110)를 로딩한 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로딩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딩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한 단말(100)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후 그 컨텐츠에 대한 실행을 요청하면(S205) 단말(100)은 웹디스크 관리자(3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다(S207). 이를 위해 단말(100)은 해당 컨텐츠의 저장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해당 컨텐츠가 웹 디스크(400)에 저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과정(S207)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단말(100)이 웹디스크 관리자(300)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실행 요청 메시지는 컨텐츠의 실행을 요청한 단말의 고유번호, 그 단말과 연동되는 웹디스크의 고유번호 및 실행 요청된 컨텐츠 고유번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며, 그 구조의 예가 도 9a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컨텐츠 실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대응된 컨텐츠를 검색한 후(S209) 그 검색 결과를 단말(100)에게 제공한다(S211). 이를 위해 웹디스크 관리자(300)는 상기 컨텐츠 실행 요청 메시지에 의거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단말별 메모리 영역 할당 정보 관리 DB(310)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 해당 단말(100)에게 할당된 메모리 영역을 확인한 후 웹 디스크(400)의 해당 영역 에서 대응된 컨텐츠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단말(100)에게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검색 결과를 전달하기 위한 검색 결과 전달 메시지 구조의 예가 도 9b에 예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검색 결과를 전달받은 단말(100)은 그 컨텐츠를 실행한다(S213).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단말(100)은 웹디스크(40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실시간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웹디스크(40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단말(10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것과 같이 활용함으로써 단말(100) 내의 메모리 공간이 한정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예시된 처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전달되는 메시지들에 대한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9a는 도 8의 컨텐츠 실행 요청 과정(S207)에서 단말(100)이 웹디스크 관리자(300)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실행 요청 메시지(610)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도 9b는 도 8의 검색결과 전달 과정(S211)에서 웹디스크 관리자(300)가 단말(100)에게 전송하는 검색 결과 전달 메시지(620)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컨텐츠 실행 요청 메시지(610)는 단말 고유번호(ID)(611)/웹디스크 고유번호(ID)(613)/컨텐츠 고유번호(ID)(615)를 포함한다. 단말 ID(611)는 컨텐츠 실행을 요청하는 단말(100)의 고유번호가 저장되고, 웹디스크 ID(613)는 단말(100)과 연동되는 웹디스크(400)의 고유번호가 저장되고, 컨텐츠 ID(615)는 단말(100)이 실행 요청한 컨텐츠의 고유번호가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도 9b를 참조하면 검색 결과 전달 메시지(620)는 웹디스크 고유번호(ID)(621)/단말 고유번호(ID)(623)/컨텐츠 내용(625)을 포함한다. 웹디스크 ID(621)는 컨텐츠를 전송할 웹디스크의 고유번호가 저장되고, 단말 ID(623)는 상기 웹디스크와 연동하고 컨텐츠의 실행을 요청한 단말의 고유번호가 저장되고, 컨텐츠 내용(625)은 상기 단말이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및 그의 웹디스크 연동 방법은 휴대단말기가 웹디스크와 연동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웹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실시간으로 실행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가 웹디스크의 메모리 공간을 내부 메모리와 같이 활용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공간이 한정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사용자들은 대용량의 정보들을 자유롭게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대용량의 새로운 정보의 저장을 위해 기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5)

  1.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웹디스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
    상기 웹디스크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웹디스크에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정보 전달 및 저장된 데이터 실행을 위한 요청 메시지 전달과 상기 웹디스크가 전달하는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제공하는 웹디스크 인터페이스부; 및
    데이터의 저장 요청 시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웹디스크에 저장하는 임의의 데이터 실행 요청 시 상기 웹디스크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웹디스크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디스크 정보 저장부는
    상기 웹디스크의 고유번호 및 상기 웹디스크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웹디스크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의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의 저장 위치 및 데이터의 저장 시간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의 저장 위치 및 데이터의 저장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웹디스크와 연동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의 저장 위치가 웹디스크인 경우
    상기 웹디스크로 잔여 공간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웹디스크의 잔여 공간이 상기 데이터 보다 클 경우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의 저장 시간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저장 시간에 해당 데이터를 상기 웹디스크에 저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의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가 웹디스크에 저장된 것으로 판단할 시, 상기 웹디스크 정보에 의거하는 해당 웹디스크로 데이터 실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수신 시 상기 데이터를 실행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의 고유번호 및 실행 요청된 데이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실행 요청 메시지를 상기 웹디스크에게 전달하고, 상기 웹디스크로부터 해당 데이터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전달받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8. 휴대단말기와 웹디스크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저장영역에 웹디스크와의 연동정보를 저장하는 연동 정보 저장 단계;
    데이터의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의 저장 위치 및 저장 시간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저장 위치가 웹디스크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로 잔여 용량 확인을 요청하는 잔여 용량 확인 단계;
    상기 웹디스크의 잔여 공간이 확보된 경우 상기 입력된 저장 시간을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저장 시간에 저장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와 웹디스크의 연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웹디스크의 잔여 용량 확인 결과 웹디스크의 잔여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의 저장 공간이 부족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안내 메시지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와 웹디스크의 연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 출력 과정은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와 웹디스크의 연동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웹디스크의 고유번호 및 상기 웹디스크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연동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와 웹디스크의 연동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용량 확인 단계는
    상기 저장된 연동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웹디스크의 저장영역 중 상기 휴대단말기에게 할당된 저장영역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저장영역 중 잔여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잔여 영역이 상기 저장 요청된 데이터의 크기보다 큰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영역이 상기 저장 요청된 데이터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웹디스크의 잔여 공간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와 웹디스크의 연동방법.
  13. 휴대단말기와 웹디스크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가 데이터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웹디스크와의 연동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웹디스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하는 웹디스크에게 해당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디스크가 상기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게 할당된 상기 웹디스크의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데이터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와 웹디스크의 연동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웹디스크의 고유번호 및 상기 웹디스크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연동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와 웹디스크의 연동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청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는 웹디스크의 고유번호 및 실행 요청된 데이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실행 요청 메시지를 상기 웹디스크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와 웹디스크의 연동방법.
KR1020050108258A 2005-11-11 2005-11-11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6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258A KR100765476B1 (ko) 2005-11-11 2005-11-11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258A KR100765476B1 (ko) 2005-11-11 2005-11-11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710A KR20070050710A (ko) 2007-05-16
KR100765476B1 true KR100765476B1 (ko) 2007-10-10

Family

ID=3827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258A KR100765476B1 (ko) 2005-11-11 2005-11-11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4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945A (ko) * 2004-06-08 2005-01-26 (주)킴스디지탈정보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한 가상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945A (ko) * 2004-06-08 2005-01-26 (주)킴스디지탈정보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한 가상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710A (ko)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28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ppling history information of terminal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and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and end device therefor
KR100747452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통보장치 및 방법
EP2317807A1 (en) Mobile device activation
TW200948100A (en) User directed background transfer and data storage
KR101268838B1 (ko) Cpns 환경에서 원거리의 종단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JP5529875B2 (ja) 近距離無線通信網を介してデータ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と、このためのcpnsサーバと移動通信端末
US88868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o end-point terminal in CPNS environment, and CPNS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nd-point terminal for the same
US8732254B2 (en) System, a method, a service server, a mobile terminal and a storage means for contents delivery
US20130042325A1 (en)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and performing of a post issuance process on a secure element
TW200531469A (en) Automated over the air plug-in device recognition and software driver download
CN107122135A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WO2005083575A1 (ja) データ通信方法、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WO2017097128A1 (zh) 设备间任务接管的方法及装置
KR101373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 방법
CN113038434B (zh) 设备注册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06412001A (zh) 传输文件的方法及装置
CN102893295B (zh) 存储卡
RU246197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упорядочения и добавления контента
KR100796958B1 (ko) 휴대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ip 어댑터 및 이를이용한 컨텐츠 전송 방법
KR100368598B1 (ko) 이동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KR100765476B1 (ko) 웹 디스크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6165886A (ja) 情報取得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ユーザー端末および通信装置
CN115914189A (zh) 资源处理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US9307440B1 (en) Prioritized delivery for a collection of content
JP2003152583A (ja) 情報機器及び情報配信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に適用される通信モード切換方法、情報記憶方法、及び情報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