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448B1 - 차량용 티슈케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티슈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448B1
KR100765448B1 KR1020060091162A KR20060091162A KR100765448B1 KR 100765448 B1 KR100765448 B1 KR 100765448B1 KR 1020060091162 A KR1020060091162 A KR 1020060091162A KR 20060091162 A KR20060091162 A KR 20060091162A KR 100765448 B1 KR100765448 B1 KR 10076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ase
vehicle
tissue case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구
Original Assignee
엔씨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씨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씨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4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tissues or tissue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티슈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포켓에 고정될 수 있어 편리하게 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차량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티슈의 하강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휴지통이나 방향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차량용 티슈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티슈케이스는 내부에 삽입되는 티슈를 외부에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티슈케이스에 있어서, 상자형의 형상을 이루되 하면부가 소정곡률로 만곡형성되며, 상면부에 티슈인출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부와 정면부 또는 배면부가 경계되는 모서리부분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날개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티슈의 하강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티슈하강방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차량의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포켓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날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티슈케이스, 걸림날개, 티슈하강방지대, 휴지통, 주름선

Description

차량용 티슈케이스{TISSUE CASE TO USE IN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티슈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티슈케이스의 몸체에 대한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티슈케이스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티슈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1 : 정면부
112 : 상면부 113 : 배면부
114 : 하면부 115, 116 : 측면부
117, 118 : 주름선 120 : 티슈인출구
130 : 휴지투입구 140 : 개구부
200 : 걸림날개 300 : 티슈하강방지대
400 : 휴지통
본 발명은 차량용 티슈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포켓에 고정될 수 있어 편리하게 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차량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티슈의 하강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휴지통이나 방향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차량용 티슈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서 사용되는 티슈케이스로서 상부에 티슈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자형의 종이케이스로 된 것이나 비닐 케이스로 포장된 채로 공급되는 여행용 티슈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차량 내부에는 종래의 종이로 제조된 상자형의 티슈케이스만을 따로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운전자는 상기 티슈케이스를 차량의 리어 윈도우 앞쪽에 마련된 공간이나 차량 뒷자석 후면 선반(리어 패키지 트리어 트림)이나 또는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빈 자리등에 위치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자형의 티슈케이스는 운전자나 승객의 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포켓에 보관되지 못하기 때문에 운전자나 승객이 티슈를 사용함에 있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특정되지 않은 공간에 위치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고, 특히 차량 뒷자석 후면선반(리어 패키지 트리어 트림)에 티슈케이스를 위치시킬 경우에는 운전시 운전자의 후방시선을 일부차단하는 요인이 되어 안전운전에 방해가 되고 있다.
물론, 비닐 케이스로 된 여행용 티슈의 경우에는 차량의 도어 내측에 마련되 는 포켓이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암레스트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에 보관될 수는 있지만, 여행용 티슈는 케이스가 정형화되지 않기 때문에 그 내부에 남은 티슈의 양이 줄수록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티슈케이스가 고정된 상태로 보관되지 못하기 때문에 티슈의 사용시 운전자나 승객이 일일이 비닐 케이스를 포켓에서 꺼내어 티슈를 인출한 후 다시 포켓에 집어넣어야 하는 번거로운 면이 있다.
한편, 차량 내부에는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하기 위해 방향제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인데, 통상 차량의 내부의 전면에 장착되는 크래쉬 패드(crash pad)나 차량의 뒷자석 후면선반(리어 패키지 트리어 트림)위에 방향제를 접착시킨 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차량 내부의 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운전에 방해가 될 수도 있고, 1회용인 방향제를 교체하는 경우 접착부분이 상기 크래쉬 패드나 리어 패키지 트리어 트림상에 남아 있게 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한 실용신안등록 제0419943호인 차량용 티슈케이스가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따른 차량용 티슈케이스는 티슈가 'U'자 형태로 삽입되어 차량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티슈가 티슈케이스의 하부로 하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의 내부에는 사용된 티슈를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없어 운전자나 승객이 티슈를 사용한 후에 차량의 도어 내측의 포켓에 일시적으로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도어 내측의 포켓에 고정될 수 있어 편리하게 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차량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티슈의 하강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휴지통이나 방향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차량용 티슈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삽입되는 티슈를 외부에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티슈케이스에 있어서, 상자형의 형상을 이루되 하면부가 소정곡률로 만곡형성되며, 상면부에 티슈인출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부와 정면부 또는 배면부가 경계되는 모서리부분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날개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티슈의 하강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티슈하강방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차량의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포켓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날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티슈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는 휴지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상면부에 상기 티슈인출구와 소정거리를 두고 휴지투입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면부와 일측면부의 경 계되는 모서리부분에 소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방향제의 장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양측면부와 하면부의 경계되는 모서리부분은 트여진 채로 형성되고, 양측면부의 하부에는 소정길이의 주름선이 형성된다.
본 발명이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티슈하강방지대는 상기 몸체의 하면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티슈하강방지대는 골판지로 형성되며, 내부의 골부상에 방향성 물질이 삽입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티슈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티슈케이스는 몸체(100), 걸림날개(200), 티슈하강방지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휴지통(400)을 더 포함한다.
몸체(100)는 정면부(111), 배면부(113), 상면부(112), 하면부(114), 측면부(115, 116)로 구성되는 상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면부(114)는 소정곡률로 만곡형성된다.
몸체(100)의 상면부(112)에는 티슈가 인출될 수 있도록 티슈인출구(120)가 관통형성되며, 티슈인출구(120)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휴지가 투입될 수 있도록 휴지투입구(130)가 형성된다. 또한, 상면부(112)와 일측면부(115)의 경계되는 모서리부분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140)가 형성되어 몸체(100)내부의 일측면부(115)에 장착되는 방향제(150)의 개봉부분이 몸체(100)의 상면부(112) 외부로 돌출되게 되므로 외부에서 방향제(150)를 개봉시켜 방향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소모품인 방향제의 방향효과가 소진된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40)로 새로운 방향제를 투입시켜 장착시킨 후에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몸체(100)의 하면부(114)는 소정곡률로 만곡형성되어 측단면은 'U'자 형상이 된다. 몸체(100)가 차량 도어 내측의 포켓에 삽입될 때, 포켓의 폭보다 몸체(100)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삽입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게 되는데, 하면부(114)가 만곡형성되어 굽혀질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한 몸체(100)의 삽입이 가능해진다. 또한, 몸체(100)의 하면부(114)가 더 용이하게 굽혀질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주름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의 포켓에의 삽입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몸체(100)의 양측면부(115, 116)와 하면부(114)의 경계되는 모서리부분은 트여진 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몸체(100)의 원단 가공시 하면부(114)의 양끝단을 소정부분 절개 하여 형성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또한, 양측면부(115, 116)의 하부에 소정길이로 주름선(117, 118)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따라서 몸체(100)보다 폭이 좁은 포켓에 사용자가 몸체(100)를 강제로 삽입시키는 경우 몸체(100)의 하면부(114)가 굽혀짐과 동시에 주름선(117, 118)이 있는 양측면부(115, 116)도 굽혀지게 되므로, 몸체(100)의 삽입이 더욱 용이해지는 것이다.
걸림날개(200)는 몸체(100)의 상면부(112)와 정면부(111)의 경계되는 모서리부분에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상면부(112)와 배면부(113)의 경계되는 모서리부분에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며, 몸체(100)의 상면부(112)의 전후방 모서리부분 모두에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날개(200)는 차량 도어 내측의 포켓의 폭보다 삽입되는 몸체(100)의 폭이 좁은 경우에 발생되는 틈을 보상할 뿐만 아니라 몸체(100)에 탄성을 가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몸체(100)에 대한 전개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몸체(100)의 정면부(111)의 상방향으로 티슈인출구(120)와 휴지투입구(130) 및 개구부(140)를 갖는 상면부(112)가 그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되고, 정면부(111)의 양측으로 측면부(115a, 116a)가 그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되며, 정면부(111)의 하방향으로 하면부(114)가 경계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된다. 또한, 하면부(114)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주름선이 형성되며, 도면상 하방향으로 배면부(113)가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되며, 배면부(113)의 양측으로 측면부(115b, 116b)가 그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된다. 또한, 도면상 상면부(112)의 상방향으로 날개부분(200a)이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되며, 배면부(113)의 하방향으로 날개부분(200b)이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되는데, 상면부(112) 및 배면부(113) 각각의 날개부분(200a, 200b)이 서로 접합되어 걸림날개(200)가 형성된다. 한편, 정면부(111)와 일체형성되는 양측면부(115a, 116a) 및 배면부(113)와 일체형성되는 양측면부(115b, 116b)는 몸체(100)의 조립시 서로 접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재단된 원단을 조립 및 접합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주름선이 있는 하면부(114)를 소정곡률로 만곡시킨다.
티슈하강방지대(300)는 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100)의 하면부(114)에 부착된다. 티슈하강방지대(300)는 평판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몸체(100)의 하면부(114)에 대하여 수직하게 부착된다. 또한, 티슈하강방지대(300)는 골판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판지로 형성되면 소정 두께의 단면을 갖게되어 몸체(100)의 하면부(114)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골판지의 내부 골부상에 방향성 물질이 삽입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부에 부착되는 방향제와 함께 이중의 방향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티슈하강방지대(300)가 장착되는 몸체(100)에 삽입되는 티슈는 그 중심부가 티슈하강방지대(300)에 지지되고 양끝단이 아래로 쳐지는 형태, 즉 역'U'자 형태로 유지되므로, 차량 운행으로 인한 진동으로 티슈가 하강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휴지통(400)은 장방형의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며,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된다(도 4참조). 휴지통(400)은 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며, 몸체(100)의 정면부(111)와 배면부(113)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지통(400)의 상방에 있는 몸체(100)의 상면부(112)에는 휴지가 투입될 수 있도록 휴지투입구(130)가 형성된다. 휴지통(400)은 그 크기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몸체(100)의 내부에서 티슈하강방지대(300)와 인접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휴지투입구(130)는 몸체(100)의 상면부(112)에 관통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칼로 소정길이를 절개하여 형성되며, 휴지가 투입된 후에 표면탄력에 의해 자동으로 입구가 닫혀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티슈케이스의 분해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차량용 티슈케이스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100)의 티슈인출구(120)의 하방에 티슈하강방지대(3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티슈하강방지대(300)를 몸체(100)의 하면부(114)에 접착시키고, 휴지투입구(13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휴지통(400)을 배면부(113)의 내부면에 접착시킨 후, 배면부(113)의 일측면부(115b)에 방향제(150)를 접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티슈하강판에 걸쳐져 역'U'자 형태가 되도록 티슈를 놓은 후, 몸체(100)의 정면부(111)의 양측면과 이에 대응되는 배면부(113)의 양측면을 접착시키고 상면부(112)의 날개부분(200a)과 배면부(113)의 날개부분(200b)을 접착시켜 걸림날개(200)를 형성시키면 차량용 티슈케이스가 완성된다. 다만, 티슈는 상기와 같이 삽입시킬 수도 있으나, 몸체(100)의 조립과정에서 양측면부(115, 116)의 접착작업 직전에 측면에서 내부로 삽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차량용 티슈케이스의 사용과정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용 티슈케이스는 차량 도어의 내측의 포켓에 고정된 상태로 이용된다(도 5참조). 사용자가 차량용 티슈케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 도어 내측의 포켓에 몸체(100)의 하면부(114)를 먼저 밀어넣고 상면부(112)가 포켓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 때, 포켓의 폭이 몸체(100)의 폭보다 큰 경우에는 몸체(100)가 포켓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몸체(100)의 상면부(112)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날개(200)를 아래로 구부리면 된다. 이러한 걸림날개(200)로 인해 몸체(100)가 안정된 상태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포켓과 몸체(100) 사이의 틈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켓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만일, 포켓의 폭이 몸체(100)의 폭보다 좁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제로 몸체(100)를 포켓에 밀어넣으면 몸체(100)의 하면부(114)와 양측면부(115, 116)가 굽혀지면서 삽입되므로, 고정된 상태에서 티슈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티슈케이스에 의하면, 차량의 도어 내측의 포켓에 티슈케이스가 고정된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티슈 인출시 티슈케이스의 유동이 없어 편리하고 안전하게 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티슈케이스의 내부에 티슈하강방지대가 설치되고 티슈가 역'U'자 형태 로 삽입됨으로써, 차량운행으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티슈의 하강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티슈케이스의 내부에 휴지통이 장착됨으로써, 티슈의 사용 후 버릴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미관상 좋은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티슈케이스의 내부에 방향제가 장착됨으로써, 차량 내부에 별도의 방향제 설치가 불필요하다.

Claims (6)

  1. 내부에 삽입되는 티슈를 외부에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티슈케이스에 있어서,
    상자형의 형상을 이루되 하면부가 소정곡률로 만곡형성되며, 상면부에 티슈인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부와 정면부 또는 배면부가 경계되는 모서리부분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날개;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티슈의 하강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티슈하강방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차량의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포켓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날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티슈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는 휴지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상면부에 상기 티슈인출구와 소정거리를 두고 휴지투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티슈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부와 일측면부의 경계되는 모서리부분에 소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방향제의 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티슈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면부와 하면부의 경계되는 모서리부분은 트여진 채로 형성되고, 양측면부의 하부에는 소정길이의 주름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티슈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하강방지대는 상기 몸체의 하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티슈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하강방지대는 골판지로 형성되며, 내부의 골부상에 방향성 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티슈케이스.
KR1020060091162A 2006-09-20 2006-09-20 차량용 티슈케이스 KR10076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162A KR100765448B1 (ko) 2006-09-20 2006-09-20 차량용 티슈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162A KR100765448B1 (ko) 2006-09-20 2006-09-20 차량용 티슈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318U Division KR200435403Y1 (ko) 2006-09-20 2006-09-20 차량용 티슈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448B1 true KR100765448B1 (ko) 2007-10-12

Family

ID=3941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162A KR100765448B1 (ko) 2006-09-20 2006-09-20 차량용 티슈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912B1 (ko) * 2013-04-29 2014-07-1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도어트림 중앙부의 수납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388U (ko) * 1997-08-21 1999-03-15 홍종만 자동차용 화장지 케이스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388U (ko) * 1997-08-21 1999-03-15 홍종만 자동차용 화장지 케이스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912B1 (ko) * 2013-04-29 2014-07-1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도어트림 중앙부의 수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194B2 (en) Trash container liner dispenser box including a reinforcing insert
ES2218192T3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para maquinillas de afeitar, cartuchos u otros elementos para ser almacenados.
US8807378B2 (en) Trash can system with a folded bag dispensing supply
US5119968A (en) Trash bag dispenser
US5458259A (en) Trash receptacle base with liner dispenser
US10779692B2 (en) Wipes dispenser
CA2844723C (en) Razor cartridge dispenser
US20040031111A1 (en) Disposable dust receptacle
EP181480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s for holding food items
EP2557045B1 (en) Food and condiment container
WO2004110709A1 (en) Apparatus for cutting a sheet material
US20080006679A1 (en) Easily disposable modular container for pizza and the like
BR112013011295B1 (pt) Caixa compressível, e, molde para formar a mesma
JP2003327242A (ja) 包装ケース
US20150321787A1 (en) Containers, Convertible Packaging Devices, Packaged Product Assemblies, and Product Display Methods for Smokeless Tobacco Products
KR100765448B1 (ko) 차량용 티슈케이스
KR200435403Y1 (ko) 차량용 티슈케이스
US20050072826A1 (en) Gift wrap roll storage and cutting box
EP3326931A1 (en) Container with hinge lid
US5873461A (en) Reclosable dispenser
JPH11512688A (ja) 製品の包装・展示ユニット
US8210386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waste management
US5746318A (en) Reuseable facial tissue dispensing system
US20040154949A1 (en) Package for toilet seat covers
WO2021091731A1 (en) Sheet material dispense and cutt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