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396B1 - 유도등 - Google Patents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396B1
KR100765396B1 KR1020070057114A KR20070057114A KR100765396B1 KR 100765396 B1 KR100765396 B1 KR 100765396B1 KR 1020070057114 A KR1020070057114 A KR 1020070057114A KR 20070057114 A KR20070057114 A KR 20070057114A KR 100765396 B1 KR100765396 B1 KR 100765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induction lamp
insertion groove
diffusion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경
Original Assignee
유비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링크(주) filed Critical 유비링크(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396B1/ko
Priority to PCT/KR2007/00616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6635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 에지면을 따라 마련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대향되는 측면에 마련되는 걸이홈과, 상기 삽입홈과 걸이홈이 마련된 하부 전,후면을 개구하여 형성된 공간부와, 개구된 공간부 상하면 상에 서로 마주 보게 돌출되는 리브 및 결착돌기를 포함하는 유도등 몸체; 수평편 일측 끝단에 삽입홈과 슬라이드 결합하게 하는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수직편 일측면에 상기 걸이홈과 결착되는 걸이돌기가 형성되어 유도등 몸체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브라켓; 칩형 엘이디가 양면에 대해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결착돌기에 삽입되어 칩형 엘이디로 하여금 전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하는 램프판; 상기 공간부 양측에 적층되어 구비되는 한쌍의 시트층; 및 상기 유도등 몸체와 결합되는 한쌍의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도등에 따르면, 저절력, 긴 수명 및 친환경을 추구할 수 있는 칩형엘이디를 이용해 균일한 밝기를 제공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고, 가볍고 슬립할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에 구해 받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램프, 유도등, 엘이디, 브라켓

Description

유도등{Exit L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등 몸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확산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유도등 몸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7에 도시된 반사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 : 유도등 110,210,310 : 유도등 몸체
120,380 : 브라켓 130a,130b : 시트층
140,340 : 램프판 330 : 반사판
350 : 확산시트 360 : 표시시트
140,370 : 덮개
본 발명은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절력, 긴 수명 및 친환경을 추구할 수 있는 칩형엘이디를 이용해 균일한 밝기를 제공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고, 가볍고 슬립할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에 구해 받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 상업시설, 공공시설 지하철, 다중 이용시설 등과 같은 건물에는 화재나 정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시 사람들을 비상구로 신속하게 유도하기 위한 유도등이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도등은 대부분 화재나 정전에 의해 건물의 전원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 이상 점등되어 사람들로 하여금 비상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비상구 유도등은 비상상황이 발생시 사람들의 눈에 쉽게 띄도록 하는 시인성과, 유도등 몸체에 내설된 밧데리에 의해 장시간 동안 점등될 수 있는 저전력 소모성 등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유도등은 광원으로 일반 형광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 유도등 같은 경우,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에 의하여 점등되며,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유도등에 구비된 배터리(Battery)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시간 동 안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비상구 유도등의 광원인 일반 형광등이 소정 밝기로 점등될 경우 일반 형광등에서 발광되는 빛은 유도등의 표시면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므로, 방출되는 빛에 의해 표시면에 형성된 그림이나 문자를 사람들로 하여금 식별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이 그림이나 문자는 비상구의 위치를 안내하게 하고 있어 비상상황 발생시 표시면에 표시된 안내 방향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유도등은 광원으로 일반 형광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휘도의 백색광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에 형광등의 수명이 매우 짧은 단점이 있어서 형광등을 비교적 자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전력 소비량이 과다하고 높은 열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과 형광등 내부에 함유된 수은에 의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도등의 광원으로 형광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도등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높은 전압으로 변경시켜주는 인버터(Inverter)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 형광등의 크기와 인버터의 크기 등으로 인하여 유도등을 일정크기 이하로 경박단소화하는 것이 상당부분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형광등을 이용한 유도등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32175호에 개재되어 있다. 이 경우 유도등에 사용되는 광원을 렌즈형 LED를 사용함으로써 광원의 수명 단축에 의해 잦은 교체를 보완하고, 인버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해 슬립화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에도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이 많아 벽면에 대해서만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설치시에도 비상구 유도등을 분해한 상태에서 설치하고 다시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설치과정에 유도등이 손상되거나 작업자가 감전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렌즈형 LED는 광이 균일하게 굴절, 확산되지 못하여 광원에서 근접된 부분과 멀리 있는 부분의 밝기가 달라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절력, 긴 수명 및 친환경을 추구할 수 있는 칩형엘이디를 이용해 균일한 밝기를 제공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고, 가볍고 슬립할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에 구해 받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도등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유도등은, 상부 에지면을 따라 마련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대향되는 측면에 마련되는 걸이홈과, 상기 삽입홈과 걸이홈이 마련된 하부 전,후면을 개구하여 형성된 공간부와, 개구된 공간부 상하면 상에 서로 마주 보게 돌출되는 리브 및 결착돌기를 포함하는 유도등 몸체; 수평편 일측 끝단에 삽입홈과 슬라이드 결합하게 하는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수직편 일측면에 상기 걸이홈과 결착되는 걸이돌기가 형성되어 유도등 몸체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브라켓; 칩형 엘이 디가 양면에 대해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결착돌기에 삽입되어 칩형 엘이디로 하여금 전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하는 램프판; 상기 공간부 양측에 적층되어 구비되는 한쌍의 시트층; 및 상기 유도등 몸체와 결합되는 한쌍의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층은 상기 리브에 삽입되는 확산시트와,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된 표시시트와, 상기 표시시트와 밀착되게 마련되는 별도의 확산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확산시트는 확산시트 중 어느 하나가 가로 패턴일 경우 다른 확산시트는 세로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브는 확산시트의 양측단을 지그재그 지지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도등 몸체는 그 외주면이 직선면 또는 곡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브는 상기 유도등 몸체의 형태에 따라 직선 또는 곡선으로 배치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유도등은, 상부 에지면을 따라 마련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대향되는 측면에 마련되는 걸이홈과, 상기 삽입홈과 걸이홈이 마련된 하부 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유도등 몸체; 수평편 일측 끝단에 삽입홈과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게 하는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수직편과 나란하게 걸이편이 마련되며, 상기 걸이편 하단부에 상기 걸이홈과 결착되는 걸이돌기가 형성되어 유도등 몸체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브라켓; 한쌍의 판체가 서로 맞나는 끝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반사판; 칩형 엘이디가 양면에 대해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반사판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되는 램프판; 상기 공간부를 차폐하는 덮개; 상기 덮개에 내설되며, 일측 표면에는 가로 패턴이 형성되고, 타측 표면에는 세로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칩형 엘이디로부터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와 덮개 사이에서 서로 밀착되게 마련되는 표시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은 "V" 자 또는 곡선 형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반사판은 반사면이 평면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유도등(10)은 유도등 몸체(110), 브라켓(120), 시트층(130a,130b) 및 램프판(140)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등 몸체(110)는 상단 내부에 컨트롤러와 배터리가 설치되어 전원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으며, 하부 전,후면을 관통시켜 형성된 공간부(112)와 상단 에지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111)과, 상기 삽입홈(111)의 타측 측면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걸이홈(11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간부(112)에는 저면과 상면 각각에 대해 다수개의 리브(114a,114b)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114a,114b)는 2열로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2열 배치된 리브 사이에는 결착돌기(116a,116b)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브(114a,114b)는 지그재그 배열되어 그 사이 공간에 후술하는 확산시트를 삽입할 수 있게 하여 확산시트의 흔들림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등 몸체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의 형상이 직선 또는 곡선 형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곡선 형태의 외주면 일 경우 상기 유도등 몸체(20)는 내부에 형성된 리브(214a)와 상기 리브(214a)에 결합되는 확산시트(232a,232b)와, 유도등 몸체 외주면에 밀착되는 표시시트(236a,236b) 및 별도의 확산시트(234a,234b)가 곡선형태로 구비되는 것은 주지사실이다. 또한 상기 곡선 형태의 유도등 몸체에는 중앙 부분에 2개의 결착돌기(217a,216a)에 의해 2개의 램프판(240)을 구비시켜 공간부 전체에 대해 균일한 빛을 조사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확산시트(134a,134b,234a,234b) 및 표시시트(136a,136b,236a,236b)는 각각 덮개(140a,140b,240a,240b)에 내설된다.
상기 브라켓(120)은 수평편(121)과 수직편(122)이 서로 직교하며, 각각의 일측 끝단이 만나 형성된 "ㄱ"자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편(121) 일측 끝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힌지돌기(1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편(122)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이돌기(1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층(130a,130b)은 상기 유도등 몸체(110)를 관통시켜 형성된 공간부(112)에 마련되는데, 양측에 각각 확산시트(132a,132b,134a,134b)와 표시시트(136a,136b)를 적층시키고 있다. 여기서 상기 확산시트(132a,132b)는 상기 리브(114a,114b)에 설치되며, 별도의 확산시트(134a,134b)와 표시시트(136a,136b)는 유도등 몸체(110) 외주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시트는 표면에 비상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그림이나 문자를 인쇄한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와 결합되는 확산시트(132a,132b) 는 가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 내설되는 확산시트(134a,134b)는 세로 패턴이 형성되어 칩형 엘이디로부터 조사된 빛이 각각의 확산시트에 투과되며 가로와 세로로 빛을 확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반대로 상기 확산시트(132a,132b)가 세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확산시트(134a,134b)는 가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각각의 확산시트(132a,132b,134a,134b)는 확산시트가 세로 패턴일 경우 다른 확산시트는 가로 패턴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램프판(140)은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램프판(140) 양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칩형 엘이디(142)가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칩형 엘이디(142)는 전구형 엘이디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슬립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작고, 전구형 엘이디에 비하여 빛의 확산 각도를 넓게 하여 표시면과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게 할 수 있어 이로 인해 유도등 전체를 슬립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실시예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유도등 몸체(110) 상단 내부에는 컨트롤러와 배터리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평상시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나 비상시(외부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유도등 몸체에 내설된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게 되며, 상기 결착돌기(116a,116b)에 램프판(140)을 삽입결합하여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램프판(140)은 상기 공간부(112)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어 공간부 전체에 대해 균일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리 브(114a,114b) 사이에 확산시트(132a,132b)를 결합한 후 이어서 별도의 확산시트(134a,134b)와 표시시트(136a,136b)를 밀착시켜 공간부(112) 외측에 위치하게 한 후 덮개(140a,140b) 내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덮개와 유도등 몸체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유도등 몸체에 내설된 램프판(140)에는 일반적인 전구형 엘이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절력 소모가 적고, 빛 조사시 확산 각도가 넓어 확산성이 우수한 침형 엘이디를 사용함으로써 확산시트와의 사이 간격을 최소화하게 하여 유도등 몸체의 두께를 슬립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램프판의 위치를 공간부 중앙에 위치시켜 조사되는 공간부 전체에 대해 균일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하고, 2단계 구조를 갖는 확산시트를 둠으로써 조사된 빛의 확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표시시트에 투과된 빛이 표시시트에 인쇄된 그림이나 문자를 균일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유도등 몸체(110)를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후술하는 작동상태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1실예시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브라켓(120)의 수평편(121)을 천장에 밀착시킨 후 볼트(B) 또는 나사를 이용해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 몸체(110)의 삽입홈(111)을 힌지돌기(123) 측에 위치시켜 삽입홈(111)이 힌지돌기(123) 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하여 유도등 몸체(110)가 브라켓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하게 한다. 이때 상기 유도 등 몸체의 일부분만을 힌지돌기 측에 걸리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유도등 몸체(110)에 내설된 컨트롤러에서 외부로 인출된 연결잭(미도시)과 상기 브라켓(120)에서 인출된 별도의 연결잭(미도시)을 연결한 후 유도등 몸체를 힌지돌기 측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돌기(123)를 기준으로 상기 유도등 몸체(110)가 회전되게 하여 상기 브라켓(120)의 수직편(122) 측으로 이동시킨 후 걸이홈(113)을 걸이돌기(124)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상기 유도등 몸체(110)는 수직편(122)에 밀착된 상태로 천장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고정용 볼트 또는 나사 필요 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유지보수를 위해 유도등 몸체를 탈거할 경우 상기 결합관계의 역순 따라 분해하면, 상기 유도등 몸체의 탈거가 가능하게 되어 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램프판 및 시트층이 유도등 몸체에 대해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유도등 몸체를 분해하지 않아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유도등(30)은 유도등 몸체(310), 반사판(330), 램프판(340), 확산시트(350), 표시시트(360), 덮개(370) 및 브라켓(380)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등 몸체(310)는 내부 공간부에 컨트롤러(미도시)와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되어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있으며, 후면 은 차단되고, 전면은 개방되게 형성된 공간부(321)와 상단 에지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322)과, 상기 삽입홈(322)의 타측 배면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걸이홈(324)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반사판(330)은 한쌍의 판체(337a,337b)가 서로 만나는 면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그 형상은 "V"자 또는 곡선 형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게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330)은 반사면이 평면 또는 요철 형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반사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0a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 또는 지그재그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는 반사면이 평면일 경우에 비해 요철을 갖게 함으로써 칩형 엘이디에서 조사된 빛이 요철을 통해 난반사되어 빛이 확산되는 각도를 넓게 하여 칩형 엘이디에서 표시시트까지의 간격을 최소화하며 균일하게 투과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면상에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반사판(330)의 반사면에는 반사면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별도의 반사시트를 부착되게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은 주지사실이다.
상기 램프판(340)은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램프판(340) 양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칩형 엘이디(342,344)가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칩형 엘이디(342,344)는 전구형 엘이디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슬립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작고, 전구형 엘이디에 비하여 빛의 확산 각도를 넓게 하여 표시면과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게 할 수 있어 이로 인해 유도등 전체를 슬립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확산시트(350)는 평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표면에는 가로 패턴(351)이 형성되고, 타측 표면에는 세로 패턴(352)이 형성되어 확산시트 측으로 입사된 빛을 가로 패턴과 세로 패턴을 통해 확산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 팬턴 및 세로 패턴은 상기 확산시트 표면을 함몰시켜 형성된 홈이다.
상기 표시시트(360)는 표면상에 그림이나 글자를 인쇄하여 확산시트를 투과한 빛이 통과되며 그림이나 글자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덮개(370)는 그 표면이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시킨 투명소재를 이용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풀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를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380)은 수직편(381)과 수평편(382)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수평편(382)에는 상기 수직편(381)과 나란히 평행 하측 방향으로 걸이편(384)을 연장 돌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편(382) 일측 끝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힌지돌기(383)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걸이편(384) 하측 끝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이돌기(385)가 형성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2실시예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유도등 몸체(310) 내부 공간부에는 컨트롤러와 배터리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평상시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비상시(외부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유도등 몸체에 내설된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 부(321)에는 반사판(330)이 삽입되며, 상기 반사판(330)은 판체(337a,337b) 양단이 공간부(321) 내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것이다. 한편 상기 판체(337a,337b)가 서로 접점되는 끝단에 램프판(340) 폭 방향 끝단을 고정한다. 즉, 상기 램프판(340)에 마련된 칩형 엘이디(342,344)가 램프판을 기준으로 양측의 판체(337a,337b)로 양분되게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확산시트(350)와 표시시트(360)를 서로 밀착시킨 후 상기 확산시트와 표시시트를 덮개(370) 측에 삽입하여 상기 확산시트 및 표시시트가 덮개 내측 표면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덮개를 유도등 몸체(120)와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 브라켓(380)은 상기 유도등 몸체(310)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후술하는 작동상태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80)의 수직편(382)을 벽체 상에 볼트(B)나 나사를 이용해 고정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380)에는 이미 벽체부터 연결잭(미도시)이 인출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돌기(383) 측에 유도등 몸체(3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삽입홈(322)을 상기 힌지돌기(383)에 슬라이딩 삽입하여 유도등 몸체(310)가 브라켓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유도등 몸체(310)에는 내설된 컨트롤러에서 외부로 인출된 연결잭(미도시)이 마련된 상태이며, 상기 유도등 몸체는 상기 브라켓의 힌지돌기에 일부분만이 결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의 연결잭과 유도등 몸체에서 인출된 연결잭을 서로 연결시켜 통전되게 한 후 상기 유도등 몸체(310)를 힌지돌기(383) 측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브라켓(380) 내에 완전히 삽입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돌기(383)를 기준으로 유도등 몸체(310)를 회전시켜 상기 유도등 몸체(310)의 걸이홈(324)이 걸이편(384) 측의 걸이돌기(385)에 결착되게 하여 브라켓(380)과 유도등 몸체(310)가 밀착되게 한다.
즉, 상기 브라켓과 유도등 몸체를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시 별도의 볼트나 나사가 필요 없어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유도등 몸체(310)의 유지보수를 위해 탈거시에는 상기 결합순서의 역순에 따라 탈거하면 상기 유도등 몸체를 별도의 공구 없이 쉽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유도등에 따르면, 저절력, 긴 수명 및 친환경을 추구할 수 있는 칩형엘이디를 이용해 균일한 밝기를 제공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고, 가볍고 슬립할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에 구해 받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또한 브라켓과 유도등 몸체의 결합을 힌지 결합 방식을 이용해 결합함으로써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 설치, 탈거가 가능하고, 별도의 볼트나 나사 없이 결합이 가능하며, 더불어 유지보수가 간단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고 설치, 탈거시에 감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기대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상부 에지면을 따라 마련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대향되는 측면에 마련되는 걸이홈과, 상기 삽입홈과 걸이홈이 마련된 하부 전,후면을 개구하여 형성된 공간부와, 개구된 공간부 상하면 상에 서로 마주 보게 돌출되는 리브 및 결착돌기를 포함하는 유도등 몸체;
    수평편 일측 끝단에 삽입홈과 슬라이드 결합하게 하는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수직편 일측면에 상기 걸이홈과 결착되는 걸이돌기가 형성되어 유도등 몸체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브라켓;
    칩형 엘이디가 양면에 대해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결착돌기에 삽입되어 칩형 엘이디로 하여금 전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하는 램프판;
    상기 공간부 양측에 적층되어 구비되는 한쌍의 시트층; 및
    상기 유도등 몸체와 결합되는 한쌍의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층은 상기 리브에 삽입되는 확산시트와,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된 표시시트와, 상기 표시시트와 밀착되게 마련되는 별도의 확산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확산시트는 확산시트 중 어느 하나가 가로 패턴일 경우 다른 확산시트는 세로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확산시트의 양측단을 지그재그 지지하도록 다수개가 마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몸체는 그 외주면이 직선면 또는 곡선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브는 상기 유도등 몸체의 형태에 따라 직선 또는 곡선으로 배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6. 상부 에지면을 따라 마련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대향되는 측면에 마련되는 걸이홈과, 상기 삽입홈과 걸이홈이 마련된 하부 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유도등 몸체;
    수평편 일측 끝단에 삽입홈과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게 하는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수직편과 나란하게 걸이편이 마련되며, 상기 걸이편 하단부에 상기 걸이홈과 결착되는 걸이돌기가 형성되어 유도등 몸체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브라켓;
    한쌍의 판체가 서로 맞나는 끝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반사판;
    칩형 엘이디가 양면에 대해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반사판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되는 램프판;
    상기 공간부를 차폐하는 덮개;
    상기 덮개에 내설되며, 일측 표면에는 가로 패턴이 형성되고, 타측 표면에는 세로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칩형 엘이디로부터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와 덮개 사이에서 서로 밀착되게 마련되는 표시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V" 자 또는 곡선 형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반사면이 평면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KR1020070057114A 2006-12-01 2007-06-12 유도등 KR100765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6168 WO2008066355A1 (en) 2006-12-01 2007-11-30 Exit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858 2006-12-01
KR20060120858 2006-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396B1 true KR100765396B1 (ko) 2007-10-09

Family

ID=3941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114A KR100765396B1 (ko) 2006-12-01 2007-06-12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3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48B1 (ko) 2009-01-23 2009-06-15 박준영 입체 전시품 전시용 조명 액자
KR100950319B1 (ko) * 2009-08-05 2010-03-31 (주)리더스테크 피난유도 표시구
KR100994245B1 (ko) * 2008-11-26 2010-11-12 정환민 도광판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피난 유도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2800A (ja) * 1999-07-27 2001-02-16 Toyo Terumii Kk 壁面直付照明看板
JP2001166714A (ja) * 1999-12-03 2001-06-22 Toshibumi Yabushita 少電灯看板装置
JP2002067197A (ja) * 2000-08-25 2002-03-05 Shiga Shokusan Kk 編織物の2次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14472A (ja) * 2001-07-04 2003-01-15 Nissan Motor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6091466A (ja) * 2004-09-24 2006-04-06 Yoshihito Fujinaga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2800A (ja) * 1999-07-27 2001-02-16 Toyo Terumii Kk 壁面直付照明看板
JP2001166714A (ja) * 1999-12-03 2001-06-22 Toshibumi Yabushita 少電灯看板装置
JP2002067197A (ja) * 2000-08-25 2002-03-05 Shiga Shokusan Kk 編織物の2次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14472A (ja) * 2001-07-04 2003-01-15 Nissan Motor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6091466A (ja) * 2004-09-24 2006-04-06 Yoshihito Fujinaga 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7197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44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4280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667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91466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245B1 (ko) * 2008-11-26 2010-11-12 정환민 도광판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피난 유도등
KR100902648B1 (ko) 2009-01-23 2009-06-15 박준영 입체 전시품 전시용 조명 액자
KR100950319B1 (ko) * 2009-08-05 2010-03-31 (주)리더스테크 피난유도 표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5749B2 (ja) 照明装置
EP2280213A2 (en) Lighting device
JP6379098B2 (ja) Led照明装置
KR100754799B1 (ko) 유도등
US10539737B2 (en) Lighting fixture with end plate slots and elongated heat sinks for retaining an edge-lit optical device
US20120268922A1 (en) Illumination device
KR100765396B1 (ko) 유도등
JP2010118277A (ja) Led照明器具
US20160124140A1 (en) LED Panel Light
KR20150099625A (ko) 복합 엘이디 프레임 및 복합 엘이디 프레임에 조립되는 보조 프레임
KR101052882B1 (ko) 비상 유도등용 커버
KR101047441B1 (ko) 조명 장치
JP6631919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1652783B1 (ko) 조명 장치
KR101061534B1 (ko) 비상 유도등용 케이스
CN107489925B (zh) Led面板灯及其边框
KR101848801B1 (ko) 조명 장치
CN202580886U (zh) 一种led一体化灯具
KR101652813B1 (ko) 조명 장치
KR101214063B1 (ko)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엘이디 평판조명
WO2022222038A1 (zh) 景观灯具
CN218468875U (zh) 一种无缝拼接的线条灯
CN212231039U (zh) 外置式布线槽
KR101652807B1 (ko) 조명 장치
CN214064844U (zh) 一种led控制装置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