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498B1 -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498B1
KR100764498B1 KR1020060089235A KR20060089235A KR100764498B1 KR 100764498 B1 KR100764498 B1 KR 100764498B1 KR 1020060089235 A KR1020060089235 A KR 1020060089235A KR 20060089235 A KR20060089235 A KR 20060089235A KR 100764498 B1 KR100764498 B1 KR 10076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int
pipe
preventing device
pul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길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zzl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 라인의 압력(맥동)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하여 맥동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별도로 공급압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부대설비가 불필요한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도료공급시스템, 맥동방지장치, 다이어프램

Description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PULSATION PREVENTING DEVICE FOR PAINT SUPPLYING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도료공급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맥동방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통하여 상황별 작동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료 라인의 압력(맥동)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하여 맥동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별도로 공급압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부대설비가 불필요한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생산공정에서 도장공정은 차체가 완성된 후, 차체의 부식을 방지하고, 방음과 함께 미관을 수려하게 하여 상품성을 높이는 것으로, 전처 리 공정의 건조로를 통과한 보디는 방청과 표면광택의 인자가 되는 하도(전착)공정과, 도료의 내 치핑성, 평활성, 내후성을 갖게하는 중도공정 및 미관상의 광택감을 주는 상도공정 등을 통하여 도장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도장공정에서 사용되는 도료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료 공급 시스템을 통하여 분사장치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은 액상의 도료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도료 공급용 탱크(110)와 도료의 공급압을 형성하는 공급펌프(120), 맥동방지장치(130) 및 필터(140)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종래의 맥동방지장치(130)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자동으로서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에어나 질소를 수시로 충전시켜야 압력을 유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맥동방지장치(130)는 도료 라인의 압력을 0 ㎏/㎠로 맞추기 위해서는 도료 순환을 정지시키고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맥동방지장치(130)는 매뉴얼 상의 지시에 따라 도료 설계식에 의거하여 도료압력의 70%정도의 압력 또는 도료 압력보다 1㎏/㎠ 낮게 질소나, 에어를 공급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외에도, 종래 맥동방지장치(130)는 라인 세정시나 도료압력 변화, 설비의 변화, 맥동현상 발생 시에 수시로 에어를 차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도료압력에 따라 높은 압력의 에어가 필요하므로 도 2에서와 같이 에어 부스터(증압) 펌프(131)나 도 3에서와 같이, 질소가스통(133) 등의 부대장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맥동방지장치(130)는 맥동 현상으로 인한 칠흐름 및 칠부족 등 도장품질의 저하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료 라인의 압력(맥동)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하여 맥동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별도로 공급압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부대설비가 불필요한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는 하부 일측으로 도료 유입관이 연결되며, 하부 타측으로는 도료 유출관이 연결되는 하부 바디; 상기 하부 바디와 둘레를 따라 볼트 체결되어 하부 바디와의 사이에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부 중앙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연장관을 형성하며, 연장관을 따라서는 에어리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의 일측에는 에어 배기구가 형성되는 상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 사이에서 상기 공간부를 도료 유입실과 에어 작동실로 구획하며, 중앙에는 에어 연결홀을 갖는 연결판이 구성되어 상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와 함께 볼트 체결되는 다이어프램; 상기 상부 바디의 연장관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연장관의 에어리턴유로와 에어 배기 구 및 상기 에어 작동실에 각각 대응하여 에어 연결홀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관; 상기 슬라이딩 관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앙에 구성되는 연결판에 연결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홈으로 형성되는 배기연결포트를 형성하는 중공의 연결관; 상기 연장관의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에는 에어 유입구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커버의 에어 유입구와 연결되어 장착되며, 하부 일측에는 에어 연결홀을 형성하는 중공의 에어 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는 하부 일측으로 도료 유입관(1)이 연결되며, 하부 타측으로는 도료 유출관(3)이 연결되는 하부 바디(5)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바디(5)는 상부 바디(7)와 그 둘레를 따라 볼트 체결되는데, 상기 상부 바디(7)와 하부 바디(5)와의 사이에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부 바디(7)의 상부 중앙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연장관(9)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바디(7)의 연장관(9)을 따라서는 에어리턴유로(1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9)의 일측에는 에어 배기구(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바디(5)와 상부 바디(7)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디(7)와 하부 바디(5) 사이에는 다이어프램(15)이 설치되는데, 상기 다이어프램(15)은 상기 공간부를 도료 유입실(17)과 에어 작동실(19)로 구획하며, 그 중앙에는 에어 연결홀(h)을 갖는 연결판(21)이 구성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15)은 상기 상부 바디(7)와 하부 바디(5)와 함께 그 둘레를 따라 볼트 체결되며, 상기 다이어프램(15)은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바디(7)의 연장관(9) 내부에는 슬라이딩 관(23)이 장착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관(23)은 상기 연장관(9)의 에어리턴유로(11)와 에어 배기구(13) 및 상기 에어 작동실(19)에 각각 대응하여 에어 연결홀(h)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관(9)에 형성되는 에어리턴유로(11)는 상기 에어 작동실(19)과 슬라이딩 관(23)의 내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관(23)의 내부를 따라서는 중공의 연결관(2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연결관(25)의 하부에는 내부에 중공부(27)를 형성하며, 그 하단에 상기 다이어프램(15)의 중앙에 구성되는 연결판(2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25)의 외주면 일측에는 홈으로 형성되는 배기연결포트(29)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관(9)의 상부에는 커버(31)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31)의 일측에는 에어 유입구(33)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31)에는 에어 유입관(35)이 장착되는데, 상기 에어 유입관(35)은 상기 연결관(25)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단은 상기 커버(31)의 에어 유입구(33)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에어 유입관(35)의 하부 일측에는 에어 연결홀(h)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25)의 내부로 에어를 유입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의 작동을 도 5 내지 도 7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왕복운동을 하는 공급펌프의 특성상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도료 유입관(1)을 통하여 도료 유입실(17)로 공급되는 도료의 공급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맥동현상으로 다이어프램(15)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는 에어 작동실(19)에 에어가 충전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된다.
즉, 다이어프램(15)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면, 다이어프램(15)과 연결된 연결관(25)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관(25)의 중공부(27)가 에어 유입관(35)의 하부에 구성되는 에어 연결홀(h)에 대응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에어 유입관(35)으로부터 연결관(25)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며, 상기 연결관(25)으로 공급된 에어는 다시 연결판(21)에 형성된 에어 연결홀(h)을 통하여 에어 작동실(19)로 유입되어 다이어프램(15)을 하부로 밀도록 에어 작동실(19) 내부에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 작동실(19)로 공급된 에어는 일부가 에어리턴유로(11)를 통하여 슬라이딩 관(23)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연결관(25)의 상단을 하부로 밀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료 유입관(1)을 통하여 도료 유입실(17)로 공급되는 도료의 공급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이때 다이어프램(15)은 하부로 내려가게 되는데, 이때는 에어 작동실(19)에 에어가 배출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된다.
즉, 다이어프램(15)이 하부로 내려가게 되면, 다이어프램(15)과 연결된 연결관(25)도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관(25)의 외주면에 형성된 배기연결포드(29)가 연장관(9) 상에 구성되는 에어 배기구(13)에 대응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에어 작동실(19) 내부의 에어는 슬라이딩 관(23)의 하부에 구성되는 에어 연결홀(h)과 상기 배기연결포드(29)를 통하여 에어 배기구(13)로 배출되어 에어 작동실(19)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15)은 다시 상부로 이동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에 의하면, 도료 라인의 압력(맥동)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하여 맥동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별도로 공급압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부대설비가 불필요한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도료 라인의 압력을 설정하기 위하여 도료 순환을 정지할 필요가 없으며, 라인 세정시나 도료압력 변화, 설비의 변화, 맥동현상 발생 시에 수시로 에어 를 차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에 있어서,
    하부 일측으로 도료 유입관이 연결되며, 하부 타측으로는 도료 유출관이 연결되는 하부 바디;
    상기 하부 바디와 둘레를 따라 볼트 체결되어 하부 바디와의 사이에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부 중앙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연장관을 형성하며, 연장관을 따라서는 에어리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의 일측에는 에어 배기구가 형성되는 상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 사이에서 상기 공간부를 도료 유입실과 에어 작동실로 구획하며, 중앙에는 에어 연결홀을 갖는 연결판이 구성되어 상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와 함께 볼트 체결되는 다이어프램;
    상기 상부 바디의 연장관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연장관의 에어리턴유로와 에어 배기구 및 상기 에어 작동실에 각각 대응하여 에어 연결홀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관;
    상기 슬라이딩 관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앙에 구성되는 연결판에 연결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홈으로 형성되는 배기연결포트를 형성하는 중공의 연결관;
    상기 연장관의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에는 에어 유입구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커버의 에 어 유입구와 연결되어 장착되며, 하부 일측에는 에어 연결홀을 형성하는 중공의 에어 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리턴유로는 상기 에어 작동실과 슬라이딩 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KR1020060089235A 2006-09-14 2006-09-14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KR10076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35A KR100764498B1 (ko) 2006-09-14 2006-09-14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35A KR100764498B1 (ko) 2006-09-14 2006-09-14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498B1 true KR100764498B1 (ko) 2007-10-09

Family

ID=3941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235A KR100764498B1 (ko) 2006-09-14 2006-09-14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16B1 (ko) * 2013-05-22 2014-06-09 (주)대우건설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맥동 제거 장치
KR101469766B1 (ko) * 2014-05-01 2014-12-15 주식회사 지에스이 압축공기 충전 및 토출압 조절을 이용한 충격식 주입 그라우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811B1 (ko) 1998-11-17 2001-06-01 윤승기 금형분사용 이형윤활제의 분사장치
KR20030089389A (ko) * 2002-05-16 2003-11-21 한윤제 도료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811B1 (ko) 1998-11-17 2001-06-01 윤승기 금형분사용 이형윤활제의 분사장치
KR20030089389A (ko) * 2002-05-16 2003-11-21 한윤제 도료 분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16B1 (ko) * 2013-05-22 2014-06-09 (주)대우건설 숏크리트 시공장비용 맥동 제거 장치
KR101469766B1 (ko) * 2014-05-01 2014-12-15 주식회사 지에스이 압축공기 충전 및 토출압 조절을 이용한 충격식 주입 그라우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62117A (zh) 一种汽缸内表面电镀装置
KR20040077459A (ko) 일체형 유체 노즐
KR100764498B1 (ko) 도료공급시스템용 맥동방지장치
CN103341460B (zh) 复合轮毂轴承自动清洗机
CN110421159B (zh) 一种粉末冶金不锈钢法兰盘制造方法
US7913508B2 (en) Cooling device for interior and exterior surfaces of a mud pump liner
KR101516406B1 (ko) 결빙방지 기능을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
CN105903601A (zh) 一种防火材料喷涂装置
CN212372413U (zh) 混凝土砂浆储存罐
CN206526740U (zh) 一种自清洗涂料搅拌装置
KR200386238Y1 (ko) 반자동 건설퍼티기계
KR101506261B1 (ko) 페인트 분사용 에어리스 펌프
CN107282343A (zh) 一种节能涂装追喷装置
CN212596523U (zh) 一种机械零件加工用表面喷涂设备
CN112495605A (zh) 一种旋转水帘阀
CN109332271A (zh) 一种用于发动机工件深孔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110860661A (zh) 一种生产效率高的铸造流涂装置
CN204988649U (zh) 新型干燥过滤筒气密检漏工装
CN219092407U (zh) 一种混气喷涂机
CN207597830U (zh) 高压无气喷涂机
KR101471659B1 (ko) 에어리스 펌프의 맥동방지장치
CN214917243U (zh) 一种喷涂机
CN211359351U (zh) 过滤器及喷涂机
CN219785210U (zh) 一种船舶配件喷漆用隔膜机
CN215612467U (zh) 一种无缝钢管生产用底漆喷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