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264B1 -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264B1
KR100763264B1 KR1020060037902A KR20060037902A KR100763264B1 KR 100763264 B1 KR100763264 B1 KR 100763264B1 KR 1020060037902 A KR1020060037902 A KR 1020060037902A KR 20060037902 A KR20060037902 A KR 20060037902A KR 100763264 B1 KR100763264 B1 KR 10076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electromagnetic coupling
connection device
power connec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욱
임용배
정진수
이건호
김종민
김기현
배석명
Original Assignee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전기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06003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개구부를 갖으며 타면에 파지부가 형성된 중공형 원통 수 케이스와, 수 케이스 내부에 권취된 제 2 권선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수 케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암 케이스와, 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철심부와, 철심부에 축대칭으로 상기 암 케이스 내부에 권취된 제 1 권선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로 구성되며,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될 경우, 제 1 권선부 및 철심부 사이에 제 2 권선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접속장치를 구성하는 콘센트 및 플러그를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래킹 현상에 의한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콘센트 및 플러그의 전기적 노출부위를 구조적으로 개량하여 방수처리함으로써 다습 또는 침수에 따른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와 플러그 결합시 외력에 의한 콘센트와 플러그의 분리를 방지하며, 표시부를 통해 안정적인 전원공급 유무를 즉시 확인함으로써 전기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자기, 콘센트, 플러그, 철심부, 권선부

Description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The apparatus for connecting power using electromagnetic coupling}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 전원접속장치의 콘센트 및 플러그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도 2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종단면도 및 외관도.
도 2c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표시부의 정면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종단면도 및 외관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와 플러그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콘센트 110: 암 케이스
120: 철심부 130: 제 1 권선부
141: 제 1 단자 142: 제 2 단자
150: 스위치 160: 표시부
161: 콘센트 플레이트 200: 플러그
210: 수 케이스 220: 파지부
230: 제 2 권선부 240: 플러그 플레이트
본 발명은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용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측 콘센트 및 설비측 플러그를 전자기적 방식으로 결합시킴은 물론, 전기적 노출부위를 방수처리함으로써 전기 누설로 인한 인체 감전 및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콘센트와 플러그의 분리를 방지하고, 콘센트 측면에 마련된 표시부를 통해 안정적인 전원공급 유무를 즉시 확인함으로써 전기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원접속장치는 전기용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매체로서 플러그 및 콘센트가 이용되며, 도 1 과 같이 종래 전원접속장치는 콘센트 내부에 활선접점이 마련되어 인입되는 플러그의 날(접촉부)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한 종래 전원접속장치는 전기적 결합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콘센트의 두 극간에 탄화도전로가 형성되는 트래킹(Tracking) 현상에 따른 단락 또는 지락 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전기적 주요부위가 방수처리되지 않음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 노출에 따른 누전 및 감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외력에 의한 콘센트와 플러그 의 분리를 방지할 수단이 없으며, 안정적인 전원공급 유무를 즉시 확인할 수 없어 이에 따른 전기적 효율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전기적 방식에서 탈피하여 전원접속장치를 구성하는 콘센트 및 플러그를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래킹 현상에 의한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콘센트 및 플러그의 전기적 노출부위를 구조적으로 개량하여 방수처리함으로써 다습 또는 침수에 따른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데 그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있으며, 콘센트와 플러그의 분리를 방지하며, 안정적인 전원공급 유무를 즉시 확인함으로써 전기적 효율을 높이는 데 그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로서, 일면에 개구부를 갖으며 타면에 파지부가 형성된 중공형 원통 수 케이스와, 상기 수 케이스 내부에 권취된 제 2 권선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수 케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암 케이스와, 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철심부와, 철심부에 축대칭으로 암 케이스 내부에 권취된 제 1 권선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를 구성하며,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될 경우, 제 1 권선부 및 철심부 사이에 제 2 권선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센트는, 수용가의 인입선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단자를 더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단자로부터 인입된 수용가의 인입선을 제 1 권선부 사이에서 단속하며, 수 케이스의 끝단과 접촉하는 암 케이스의 최내측 말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콘센트는, 전원공급시 빛을 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는, 플러그 플레이트에 수 케이스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콘센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는 고정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치는, 누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는,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 플레이트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권선부와 제 2 권선부의 권선비는,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1:1 내지 1: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부와 철심부는, 셀룰로오스계 절 연지, 아라미드계 절연지, 고분자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절연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접속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는, 콘센트(100)와 플러그(200)로 대분되며, 이와 관련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콘센트(100)의 세부 구성을 도 2a 내지 도 2c 를 통해 살펴보면, 방수형 절연재로 제작된 암 케이스(110)와, MgO 등의 절연재로 코팅되어 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철심부(120) 및 철심부의 축대칭으로 암 케이스 내부에 권취된 제 1 권선부(130)로 소분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가의 인입선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단자(141,142)와, 제 1 및 제 2 단자(141,142)로부터 인입된 수용가의 인입선을 제 1 권선부(130) 사이에서 단속하며, 하기의 수 케이스 끝단과 접촉하는 암 케이스의 최내측 말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스위치(150)와, 콘센트 플레이트(161)의 측면부에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마련하여 전원 공급시 소정 밝기의 빛을 발하는 표시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150)는 조작부의 가압에 따라 접점상태가 변하는 통상의 누름 스위치로서, 조작력을 제거하면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즉, 삽입된 플러그의 압력에 따라 접점상태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플러그(200)의 세부 구성을 도 3a 및도 3b 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방수형 절연재로 제작되어 암 케이스에 삽입되는 수 케이스(210)와, 사용자가 플러그 삽입을 위해 파지하는 손잡이 형상의 파지부(220) 및 수 케이스 내부에서 축대칭으로 권취된 제 2 권선부(230)로 소분되며, 수 케이스와 나란한 방향으로 플러그 플레이트(240)에 위치하는 고정수단(미도시)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 홈(미도시)을 콘센트 플레이트(161)에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암 케이스 및 수 케이스의 구조, 철심부에 코팅된 절연재, 단자의 방수처리재료, 스위치의 종류, 파지부의 형상 및 고정수단의 형상 등을 구체적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권선부(130) 및 제 2 권선부(230)의 구조적 결합 및 그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그 본질적 기술사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원접속장치는, 콘센트 및 플러그의 전자기적 결합이라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다. 도 4 는 전자기 유도가 적용되는 철심부 및 권선부가 나타난 개념도로서, 인가된 전압에 의해 철심부 및 권선부에 자기장이 발생함으로써 도선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보여주는 일례이다.
도 5 는 콘센트와 플러그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권선부(130) 및 제 2 권선부(23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일면에 개구부를 갖으며 타면에 파지부(220)가 형성된 중공형 원통 수 케이스 내부에 제 2 권선부(230)가 적층 권취되며,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될 경우, 제 2 권선 부(230)는 암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된 철심부(120) 및 철심부에 축대칭으로 권취된 제 1 권선부(130)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수 케이스의 구조체가 암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스위치(150)가 가동되면, 제 1 권선부(130)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며 이에 따른 자기장 및 철심부(120)의 자기장에 의해 제 2 권선부(230)에도 소정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권선부와 제 2 권선부의 권선비는,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1:1 내지 1:1.2, 바람직하게 1:1.1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수단의 일실시예로서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플러그를 도 6 과 같이 소정 각도 회전하여 결합하고, 분리하고자 할 경우 푸시(Push)한 후 상기 각도 회전하여 분리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는, 종래의 전기적 방식에서 탈피하여 전원접속장치를 구성하는 콘센트 및 플러그를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래킹 현상에 의한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콘센트 및 플러그의 전기적 노출부위를 구조적으로 개량하여 방수처리함으로써 다습 또는 침수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달리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시 외력에 의한 콘센트와 플러그의 분리를 방지하며, 안정적인 전원공급 유무를 표시부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전기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적인 장점을 갖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전기적 방식에서 탈피하여 전원접속장치를 구성하는 콘센트 및 플러그를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래킹 현상에 의한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콘센트 및 플러그의 전기적 노출부위를 구조적으로 개량하여 방수처리함으로써 다습 또는 침수에 따른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와 플러그 결합시 외력에 의한 콘센트와 플러그의 분리를 방지하며, 표시부를 통해 안정적인 전원공급 유무를 즉시 확인함으로써 전기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9)

  1.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로서,
    일면에 개구부를 갖으며 타면에 파지부(220)가 형성된 중공형 원통 수 케이스(210)와, 상기 수 케이스(210) 내부에 권취된 제 2 권선부(230)를 포함하는 플러그(200); 및
    상기 수 케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암 케이스(110)와, 상기 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철심부(120)와, 상기 철심부에 축대칭으로 상기 암 케이스 내부에 권취된 제 1 권선부(130)를 포함하는 콘센트(100); 를 구성하며,
    상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될 경우, 상기 제 1 권선부(130) 및 철심부(120) 사이에 제 2 권선부(230)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00)는,
    수용가의 인입선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단자(141,1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00)는,
    제 1 및 제 2 단자(141,142)로부터 인입된 수용가의 인입선을 제 1 권선부(130) 사이에서 단속하며, 수 케이스(210)의 끝단과 접촉하는 암 케이스의 최내측 말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스위치(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00)는,
    전원공급시 빛을 발하는 표시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0)는, 플러그 플레이트(240)에 수 케이스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콘센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100)는 고정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50)는,
    누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60)는,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콘센트 플레이트(161)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권선부(130)와 제 2 권선부(230)의 권선비는,
    1:1 내지 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부와 철심부(120)는,
    셀룰로오스계 절연지, 아라미드계 절연지 및 고분자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절연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KR1020060037902A 2006-04-27 2006-04-27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KR10076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902A KR100763264B1 (ko) 2006-04-27 2006-04-27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902A KR100763264B1 (ko) 2006-04-27 2006-04-27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264B1 true KR100763264B1 (ko) 2007-10-04

Family

ID=3941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902A KR100763264B1 (ko) 2006-04-27 2006-04-27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2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147A (ko) * 2000-12-27 200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석식 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147A (ko) * 2000-12-27 200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석식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097B2 (en) Polarity correcting device
CA2587170C (en) Travel outlet device
US7924541B2 (en) Power plug with leakage current protection function
DE60130241D1 (de) Trennvorrichtung mit sicherung
RU2530738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батареи с множеством ориентаций
CN109546440A (zh) 一种可自动固定插头的插座
CN104885180B (zh) 点灭装置
ES2094707T1 (es) Terminal conector con lamina de fijacion aislante.
CN104969416B (zh) 具有防电击功能的电极结构
US6604954B2 (en) Power plug with safety feature
CN104078930A (zh) 供电控制装置
KR100763264B1 (ko) 전자기적 결합방식을 이용한 전원접속장치
JP2004158331A (ja) 直流電源用コンセント
NO20170364A1 (en) Adapter assembly for contactless transfer of electrical power
KR200419127Y1 (ko) 플러그 및 콘센트
CN109791860A (zh) 电气开关设备及其感测组件
CN208904331U (zh) 一种充电插头
KR101800814B1 (ko) Usb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JPS61174607A (ja) 電磁誘導結合式コネクタ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JP2011174807A (ja) 電力量計用の無停電取替工具
KR200487241Y1 (ko) 대기전력 차단용 검전 플러그
CN214478019U (zh) 插头、电源控制器及电源连接器
US20040166736A1 (en) Multi-fusable electrical receptacle
CN109686623B (zh) 一种小型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