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485B1 -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 Google Patents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485B1
KR100762485B1 KR1020010067247A KR20010067247A KR100762485B1 KR 100762485 B1 KR100762485 B1 KR 100762485B1 KR 1020010067247 A KR1020010067247 A KR 1020010067247A KR 20010067247 A KR20010067247 A KR 20010067247A KR 100762485 B1 KR100762485 B1 KR 100762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gear
degreasing
housing
roll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264A (ko
Inventor
전재웅
한복렬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4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된 철판 표면이 청정설비에서 세정 완료된 후 그 표면의 청정상태를 측정하는 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텐션브라이들롤의 인접위치 바닥면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단 상측에 아이들하게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 양단에 걸쳐 그 길이방향으로 배설된 스크류샤프트와; 상기 스크류샤프트에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동판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단면에 고정된 작동실린더와;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고정된 반타원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부는 드럼을 갖고 회전가능하게 서로 치합된 주축기어, 보조기어 및 종동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텐션브라이들롤에 권취되는 스트립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된 접촉롤과; 상기 주축기어, 종동기어의 일부에 형성된 드럼과 접촉롤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회전가능하게 권취된 탈지페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 코일마다 전부 수작업으로 하던 탈지 체크 방식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정량화 된 탈지품질 향상과 빠르고 쉽게 그리고 작업자를 보호하여 안전 작업 수행, 탈지체크 시간 단축, 작업 능율 향상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DEVICE FOR CHECKING GREASE-REMOVED OF STRIP}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D"부 확대 사시도,
도 5,6은 도 2의 "E"부 확대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장치의 접촉롤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b : 가이드봉 12 : 안내브라켓
14 : 안내홈 20 : 이동판
22 : 작동환 24 : 안내환
30 : 하우징 36 : 종동축
38 : 텐션조절축 40 : 점검창
99 : 탈지페이퍼 100 : 작동모터
110 : 고정드럼 112 : 주축고정기어
120 : 레버 142 : 추축기어
200 : 종동기어 210 : 고정캡
320 : 텐션조절롤 330 : 텐션조절실린더
360 : 지지대 410 : 롤러주축기어
422 : 롤러종축기어 426 : 구동베벨기어
428 : 종동베벨기어 430 : 롤러회전모터
450,460,470 : 실리콘 500 : 접촉롤
본 발명은 압연된 철판 표면이 청정설비에서 세정 완료된 후 그 표면의 청정상태를 측정하는 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연부분에서 냉간압연된 철판이 청정설비에서 각종 세정장치를 통과하여 세정완료된 후 철판 표면에 잔류된 압연유, 철분, 먼지 및 탈지유 등의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된 철판에는 압연시 사용되는 압연유를 비롯하여 철분, 먼지 등이 잔류되어 오염상태에 있으므로 전해 청정설비를 통해 세정을 실시한 후 철판 표면의 세정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세정정도에 따라 알카리 세정액을 교환하거나 세척수량을 증감시키는 조치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환경오염 물질 및 비용의 증감이 결정되므로 철판 표면의 세정상태를 체크하는 것은 소둔 전처리 공정중 중요한 작업의 하나이다.
종래에는 세정설비의 끝부분에서 작업자가 측정용지를 손으로 잡고, 고속으로 이동되는 스트립에 적정한 압하력을 가하여 일정시간 동안 측정용지와 스트립간 의 접촉상태를 유지시킨 후 떼어내어 측정용지의 오염상태를 판정표와 비교하여 철판의 표면 청정상태를 판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청정상태 체크방식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의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고속으로 진행되는 스트립 표면에 작업자가 직접 촉수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둘째, 수작업 측정이므로 측정자마다 밀착정도, 밀착시간, 밀착방법이 달라 측정오차가 매우 크다.
세째, 수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 때문에 아예 청정상태를 측정하지 않고 육안으로 판단하려는 경향이 높아 정확한 청정상태 판정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세정완료된 철판의 표면 청정상태를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측청 및 판정토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 확보는 물론 측정오차의 감소, 작업시간의 단축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텐션브라이들롤의 인접위치 바닥면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단 상측에 아이들하게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 양단에 걸쳐 그 길이방향으로 배설된 스크류샤프트 와; 상기 스크류샤프트에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동판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단면에 고정된 작동실린더와;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고정된 반타원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부는 드럼을 갖고 회전가능하게 서로 치합된 주축기어, 보조기어 및 종동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텐션브라이들롤에 권취되는 스트립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된 접촉롤과; 상기 주축기어, 종동기어의 일부에 형성된 드럼과 접촉롤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회전가능하게 권취된 탈지페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탈지 체크장치(1)는 스트립(S)이 권취되는 텐션브라이들롤(T)의 인접위치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사각형상의 베이스(H)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H)의 일측단 상면에는 작동실린더(C)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H)는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부가 비어 있는 형상이며, 베이스(H)의 양단 사이에는 한쌍의 가이드봉(10a,10b)이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설된다.
가이드봉(10a,10b) 사이(폭)의 중앙부에는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크류샤 프트(W)가 배설되며, 상기 스크류샤프트(1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M)가 아이들하게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샤프트(W)의 구동모터(M) 인접측 및 타단은 구속됨없이 자유롭게 후술할 안내홈(14)에 끼워진다.
즉, 도 3에 도시된 도 1의 "나"부분 상세도에서와 같이, 작동실린더(C)는 베이스(H)의 일단 상면에서 연장된 안내브라켓(12) 상에 고정되고, 안내브라켓(12)의 측면에는 이를 관통하여 호형상의 안내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4)에는 가이드봉(10b)의 일단이 삽입된 후 작동실린더(C)의 실린더로드(16) 상단과 연결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내홈(14)을 갖는 안내브라켓(12)은 베이스(H)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일단에 구동모터(M)가 연결된 스크류샤프트(W)의 타단은 상기 안내브라켓(12)의 안내홈(14)을 관통하여 그 내부에 위치되고 스크류샤프트(2)의 길이방향 양측이 걸릴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10a)은 그 양단이 베이스(H)의 양단 상면에 베어링블럭과 같은 수단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샤프트(W) 및 가이드봉(10a,10b)의 상면에는 이동판(20)이 구비되는 바, 상기 이동판(20)의 하단면에는 상기 스크류샤프트(W) 및 가이드봉(10a,10b)에 각각 끼워지는 작동환(22) 및 안내환(24)이 용접 고정된다.
작동환(22)은 그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샤프트(W)와 치합되는 나사산이 가공되며, 스크류샤프트(W)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판(20)은 도시상 전면이 하향경사진 형태를 취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봉(10a)을 중심으로 다른 가이드봉(10b) 및 구동모터(M)가 연결된 스크류샤프트(W)와 함께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설된다.
이동판(20)의 상면에는 반타원형상의 내부간 빈 하우징(30)이 이동판(20)의 상면에 돌설된 지지브라켓(9)과 고정핀(8)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30)의 상면에는 점검창(40)이 구비되며, 그 내면에는 스트립(S)으로부터 먼거리로부터 관통공(32), 보조회전축(34), 종동축(36) 및 텐션조절축(38)이 상호 이격된 채 순차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30)은 그 재질을 투명하게 하여 내부 투시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외관상 미려함을 추구하기 위해 상기 점검창(4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불투명하게 함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점검창(40)은 탈지 체크된 탈지페이퍼(99)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 관통공(32)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고정드럼(110)이 삽입고정된다.
고정드럼(110)은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서 개방된 축상에는 주축고정기어(112)가 일체로 고정되고, 축 단면에는 핸들체결구(114)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체결구(114)에는 핸들(116)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드럼(110)의 개방된 내면에는 상기 주축고정기어(112)와 거리를 두고 각각 고정돌기(118a,118b)가 돌출되고, 그중 하나에는 라체트형태의 레버(120)가 주축고정기어(112)의 치차와 접촉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른 하나에는 스프링(124)의 일단이 고정되고 스프링(124)의 타단은 레버(12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레버(120)는 주축고정기어(112)를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되지 못하도록 라체트시키게 되는 바, 이의 작동을 위해 상기 스프링(124)은 레버(120)를 항상 당기를 형태를 취하게 된다.
고정드럼(110)의 폐쇄단면에는 고정드럼(110)과 동축을 가진 작동모터(100)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모터(100)에는 플랜지(140)가 고정되며, 상기 플랜지(140)의 전면에는 드럼을 갖고 상기 작동모터(100)의 축상에 고정되는 주축기어(142)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주축기어(142)의 드럼상에는 회전되는 탈지페이퍼(99)의 일부가 경유가능하게 권취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20)는 상기 주축고정기어(112)가 작동모터(100)의 구동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게 안내하지만 그 역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못하도록 강제 구속시키게 된다.
한편, 도 2의 보조회전축(34)에는 보조기어(160)가 삽입되어 상기 주축기어(142)와 치합된다.
보조기어(160)는 종동기어(200)와 치합되는 바, 상기 종동기어(200)는 종동축(36)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다.
종동축(36)은 도 2의 "E"부분을 확대 분리도시한 도 5 및 이를 단면처리한 도 6에서와 같이, 하우징(30)의 내면과 접촉되면서 종동축(36)을 갖는 종동드럼(220)이 고정되고, 상기 종동축(36)에는 탈지페이퍼(99)가 권취된 릴본체가 권해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탈지페이퍼(99)의 외측면에는 종동기어(200)가 구 비되고, 상기 종동기어(200)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캡(210)이 상기 종동축(36)에 나사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종동축(36)은 그 직경이 확대, 축소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종동축(36)은 도 6과 같이, 종동드럼(220) 측에서 돌출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 주연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조각들을 이루며, 상기 고정캡(210)은 그 돌출단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종동축(36)과 동일한 구조, 즉 그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여 상호 체결시 상기 종동축(36)이 벌어지면서 그 직경이 확장되므로 그 외주면에 삽입된 탈지페이퍼(99)의 릴본체나 종동기어(200)가 더욱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도 1의 "다"부분을 확대한 도 7을 참고하면, 하우징(30)의 선단부(=스트립(S)이 접촉되는 부분) 양쪽 외측면에는 절개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310)에는 텐션조절축(38)이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텐션조절축(38)에는 텐션조절롤(320)이 고정되고, 텐션조절롤(320)에는 탈지페이퍼(99)가 경유되면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일부 권취된다.
텐션조절축(38)은 베어링블럭(32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블럭(322)의 일단은 텐션조절실린더(330)와 연결되어 전후진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베어링블럭(322)은 하우징(30)에 고정된 가이더(332)에 의해 이를 따라 활주안내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절개홈(310)의 인접측에는 고정바(35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바(35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탄성스프링(352)이 끼워지며, 상기 탄성스프링(352)의 상단 은 지지대(360)의 일단이 가압하는 형태로 탄설된다.
지지대(360)의 타단에는 롤러샤프트(40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롤러샤프트(400)에는 롤러주축기어(410)가 키(412)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롤러주축기어(410)의 일면에는 내측커버(414)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내측커버(414)의 일측면 즉, 상기 롤러주축기어(410)가 고정되는 대향측면에는 접촉롤(500)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롤(500)은 대략 원주를 3분할하며, 서로 호형상의 이격공간을 갖는 부채꼴형태의 제1,2,3실리콘(450,460,470)이다.
상기 제1,2,3실리콘(450,460,470)은 스트립(S)의 강종에 따라 서로 다른 성질을 지닌 것으로, 예컨대 제1실리콘(450)은 BP(BLACK PLATE:캔용 석도원판의 원재료)재 처리에 적당하고, 제2실리콘(460)은 CR(COMMERCIAL:일반강재)재 처리시 적당하며, 제3실리콘(470)은 재처리(결함이 발생된 강판) 전용으로 활용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들 제1,2,3실리콘(450,460,470)은 그 특성상 재질이 부드럽고 질긴 규호를 많이 함유한 내열성을 가진 것이 적당하고, 이와 접촉되는 탈지페이퍼(99)의 하단면에는 탈지페이퍼(99)가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섬유질을 갖는 일정두께의 코팅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360)의 중단부에는 지지공(35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356)에는 부시가 개재된 샤프트(354)가 삽입되는 바, 상기 샤프트(354)에는 부시(BUSH)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대(360)가 이를 중심으로 사이소 운동 가능하게 되 며, 샤프트(354)는 그 고정성을 위해 하우징(30)의 일측면에 볼트고정된다.
상기 지지대(360)의 지지공(356)과 롤러샤프트(400)가 고정된 단부 사이에는 고정브라켓(420)이 돌설되고, 상기 고정브라켓(420)에는 롤러종동기어(422)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바, 상기 롤러종동기어(422)는 롤러주축기어(410)와 치합되며, 그 치면 일부에는 스토퍼(424)가 접촉되게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424)는 일단이 하우징(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종동기어(422)가 어느 일방, 이를테면 시계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구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롤러종동기어(422)의 일측면에는 종동베벨기어(428)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베벨기어(428)에는 구동베벨기어(426)가 치합된다.
상기 구동베벨기어(426)는 하우징(30)에 고정된 롤러회전모터(430)의 회전축상에 고정된다.
또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30)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접촉롤(500)과 간섭되지 않게 보호커버(480)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스트립(S)의 폭에 따라 체크하고자 하는 곳이 결정되면 구동모터(M)가 동작되어 스크류샤프트(W)를 따라 이동판(20)이 체크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이동판(20)이 체크위치로 이동완료 되면 작동실린더(C)가 상승되면서 가이드봉(10b)을 밀어 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판(20)은 스크류샤프트(W)를 그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우징(30)의 선단부에 구비된 접촉롤(500)이 고속으로 진행되는 스트립(S) 표면에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된 탈지페이퍼(99)가 스트립(S) 표면과 접촉되게 된다.
동시에, 텐션조절실린더(330)가 후진되면서 텐션조절축(320)과 그 외주면에 권취경유된 탈지페이퍼(99)를 당겨 적정장력을 갖고 상기 탈지페이퍼(99)가 배설되도록 하여 준다.
이어, 기 공지된 SCC(SUPERVISORY CONTROL COMPUTER)가 데이터를 연산하여 결정된 접촉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작동실린더(C)가 하강동작함으로써 체크작업이 완료된다.
체크된 후에는 탈지페이퍼(99)를 일부 되감아 점검창(40)을 통해 작업자가 스트립(S) 표면의 탈지상태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대(360)의 일단에는 고정바(350)와 탄성스프링(35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갑작스런 접촉롤(500)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되어 있는 바, 접촉롤(500)을 분할구성하는 제1,2,3실리콘(450,460,470)에서 1차 완충하고, 더욱더 압하를 받게 되면 상기 고정바(350) 및 탄성스프링(352)에 의해 2차적으로 완벽하게 그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제1,2,3실리콘(450,460,470)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것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텐션브라이들롤(T)에 이물이 묻었을 때 그것이 그대로 탈지페이퍼(99)에 전사되도록 하여 주기 때문에 요철성 결함까지도 찾아 낼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아울러, 체크대상 강종에 따라 대응되는 실리콘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롤러회전모터(426)를 작동시켜 구동베벨기어(426) 및 이와 치합된 종동베벨기어(428), 상기 종동베벨기어(428)가 형성된 롤러종동기어(422) 및 이와 치합된 롤러주축기어(410)를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접촉시간은 라인스피드와 연계하여 SCC에서 작동실린더(C)의 작동시간을 미리 산출하여 제어토록 함이 바람직하고, 1회 체크가 종료되면 작동모터(100)가 동작하여 약 1/3회전하도록 타이머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탈지페이퍼(99)의 측정된 부위가 점검창(40)으로 이동되고 측정가능한 새로운 부위가 측정위치에 대기되도록 하여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ㅆ 자동적으로 냉연 강판의 탈지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 코일마다 전부 수작업으로 하던 탈지 체크 방식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정량화 된 탈지품질 향상과 빠르고 쉽게 그리고 작업자를 보호하여 안전 작업 수행, 탈지체크 시간 단축, 작업 능율 향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텐션브라이들롤(T)의 인접위치 바닥면에 설치된 베이스(H)와;
    상기 베이스(H)의 일단 상측에 아이들하게 구비된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M)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H)의 상면 양단에 걸쳐 그 길이방향으로 배설된 스크류샤프트(W)와;
    상기 스크류샤프트(W)에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판(20)과;
    상기 이동판(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동판(20)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H)의 일측단면에 고정된 작동실린더(C)와;
    상기 이동판(20)의 상면에 고정된 반타원형상의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일부는 드럼을 갖고 회전가능하게 서로 치합된 주축기어(142), 보조기어(160) 및 종동기어(200)와;
    상기 하우징(30)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텐션브라이들롤(T)에 권취되는 스트립(S)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된 접촉롤(500)과;
    상기 주축기어(142), 종동기어(200)의 일부에 형성된 드럼과 접촉롤(500)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회전가능하게 권취된 탈지페이퍼(9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20)은 그 하단면에 스크류샤프트(10)와 치합되는 작동환(22)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작동환(22)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한쌍의 안내환(24)이 고정되며, 상기 안내환(24)중 어느 하나에는 베이스(H)의 양단에 그 길이방향으로 배설고정된 가이드봉(10a)이 삽입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베이스(H)의 양단에 고정된 안내브라켓(12)의 호형상을 갖는 안내홈(14)을 따라 활주가능하게 끼워진 가이드봉(10b)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봉(10b)의 일단에는 상기 안내브라켓(12)의 일측면에 고정된 작동실린더(C)가 가이드봉(10b)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상면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점검창(40)이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기어(142)는 하우징(30)의 관통공(30)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드럼(110)과 동축을 갖고 연결되고, 상기 고정드럼(110)과 주축기어(142) 사이에는 그 축이 동일한 작동모터(100)가 개재되며, 상기 주축기어(142)의 내측 외주면에는 탈지페이퍼(99)가 경유되게 일부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기어(142)의 고정드럼(110)측 축상에는 주축고정기어(11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주축고정기어(112)에는 이를 작동모터(100)의 회전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쇄정시키는 레버(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200)는 하우징(30)의 내면에서 돌출되고 그 외주면에는 탈지폐이퍼(99)의 릴본체가 삽입된 종동축(36)에 상기 종동축(36)의 직경을 확대/축소가능하게 하여주는 고정캡(210)에 의해 나사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36)은 돌출길이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다수ㅢ 절개홈이 형성되면서 그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이에 나사체결되는 상기 고정캡(210)도 그 돌출길이방향으로 직경이 작아 형상을 갖고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500)의 인접측 하우징(30) 단부에는 그 외주면에 권취배설된 탈지폐이퍼(99)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롤(320)이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롤(320)은 그 텐션조절축(38)이 하우징(30)의 선단 양측면에 형성된 절개홈(310)에 유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텐션조절축(38)의 양단에는 베어링블럭(322)이 끼워지며, 상기 베어링블럭(322)은 하우징(30)의 외측면에 고정된 가이더(332) 내에 이를 따라 활주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블럭(322)중 일측 단부에는 이를 전후진시키는 텐션조절실린더(33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500)은 일정간격을 두고 각기 다른 재질로 된 호형상을 갖는 제1,2,3실리콘(450,460,470)으로 3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500)은 롤러주축기어(41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주축기어(410)는 지지대(3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지지대(360)는 하우징(3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360)의 일부에는 상기 롤러주축기어(410)와 치합되는 롤러종축기어(422)가 축설되며, 상기 롤러종축기어(422)의 일면에는 종동베벨기어(428)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베벨기어(428)에는 구동베벨기어(426)가 치합되며, 상기 구동베벨기어(426)의 축상에는 롤러회전모터(43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지페이퍼(99)는 접촉롤(500)과 접촉되는 면에 섬유질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KR1020010067247A 2001-10-30 2001-10-30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KR100762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47A KR100762485B1 (ko) 2001-10-30 2001-10-30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47A KR100762485B1 (ko) 2001-10-30 2001-10-30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264A KR20030035264A (ko) 2003-05-09
KR100762485B1 true KR100762485B1 (ko) 2007-10-02

Family

ID=2956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247A KR100762485B1 (ko) 2001-10-30 2001-10-30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8765B (zh) * 2022-03-28 2023-11-28 北京首钢冷轧薄板有限公司 一种带钢反射率测量辅助装置
CN116213502B (zh) * 2022-12-28 2023-11-24 山东荣登堡家居有限公司 一种提高开卷板材表面清洁度的开卷校平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937U (ko) * 1996-08-23 1998-05-25 김종진 자동탈지제어장치
KR0123900Y1 (ko) * 1995-08-16 1998-11-02 김종진 냉연강판 표면의 탈지상태 검사장치
KR20000041653A (ko) * 1998-12-23 2000-07-15 이구택 이미다졸을 이용한 냉연강판의 전청 오염 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900Y1 (ko) * 1995-08-16 1998-11-02 김종진 냉연강판 표면의 탈지상태 검사장치
KR19980011937U (ko) * 1996-08-23 1998-05-25 김종진 자동탈지제어장치
KR20000041653A (ko) * 1998-12-23 2000-07-15 이구택 이미다졸을 이용한 냉연강판의 전청 오염 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264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7796C (en) Wheel rim cleaning apparatus
JP5036714B2 (ja) 研削盤のための独立測定装置
US4108004A (en) Self-propelled pipe inspecting apparatus
US2402293A (en) Dimension indicating and control device
KR100762485B1 (ko) 냉연강판의 탈지 체크장치
DE1815689B2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vermessung der reifenprofile von radsaetzen im unzerlegten eisenbahnfahrzeug
DE10044861B4 (de) Wickel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bedruckstoffverarbeitende Maschinen
JP3442515B2 (ja) タップ雌ねじ穴検査器具及びこれを用いた検査装置
KR100514791B1 (ko) 코일 권취장치
KR100514801B1 (ko) 롤표면 탐상장치
KR100775471B1 (ko) 롤이물자동탐상 및 제거장치
KR20040089365A (ko) 강판 측면 가이드 폭 측정장치
US20190375125A1 (en) Sample cutter
KR100804972B1 (ko) 코일외권부의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KR100721861B1 (ko) 환도 통과 스트립 유도장치
DE10340378B3 (d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s Wischtests an einem bewegten Band
KR20030077104A (ko) 강판표면 검사장치
KR200163530Y1 (ko) 패스라인롤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0249842Y1 (ko) 철판의 표면 청정상태 자동 측정장치
KR100554738B1 (ko) 스트립 표면의 결함 자동검사장치
DE1127071B (de) Maschine zur Vorbereitung eines abgefahrenen Luftreifens fuer die Runderneuerung
KR100897749B1 (ko) 스트립 표면의 연마상태 검사장치
KR101017620B1 (ko) 냉연강판 세척용 브러쉬롤의 편차 마모방지장치
KR20050019322A (ko) 코일 슬리브와 스크랩 분리장치
KR200301055Y1 (ko) 날판선단부 절단위치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