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456B1 -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 - Google Patents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456B1
KR100761456B1 KR1020060065955A KR20060065955A KR100761456B1 KR 100761456 B1 KR100761456 B1 KR 100761456B1 KR 1020060065955 A KR1020060065955 A KR 1020060065955A KR 20060065955 A KR20060065955 A KR 20060065955A KR 100761456 B1 KR100761456 B1 KR 10076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ircular saw
cutting
cutting devic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규
조일
Original Assignee
대림콩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주)도트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콩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주)도트트레이딩 filed Critical 대림콩크리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복수개의 원형톱을 배치하고 판재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원형톱의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배열함으로써, 판재를 보다 얇고 정확한 두께로 절개할 수 있고 톱날의 마모가 적으며, 열 발생량이 감소되고 공정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판재 절개 장치, 절개 유닛, 원형톱, 이송 수단, 인조 대리석

Description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Cutting device for board and Cutting method for bo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평면도,
도 2b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판재가 투입된 판재 절개 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400 - 판재 절개 장치
110 - 선반 115 - 지지대
120a - 좌측축 120b - 우측축
130, 330 - 절개 유닛
130a, 230a, 330a - 좌측 원형톱
130b, 330b - 우측 원형톱 140 - 회전중심
150 - 이송수단 160 - 회전축
170, 270 - 최후 원형톱
본 발명은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복수개의 원형톱을 배치하고 판재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원형톱의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배열함으로써, 판재를 보다 얇고 정확한 두께로 절개할 수 있고 톱날의 마모가 적으며, 열 발생량이 감소되고 공정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석재로는 천연 대리석, 인조 대리석, 복합판, 화강석 등이 있다.
천연 대리석은 외관이 미려하여 싱크대 상판, 난간, 기둥 등의 건축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 대리석은 일반적으로 석회암 또는 돌로마이트(dolomite)가 접촉변성 또는 광역변성 작용을 받아 재결정화됨으로써 형성되며, 채석장에서 직접 채취되어 절삭기 등으로 가공된 후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천연 대리석은 수려한 외관으로 공간을 품위있게 장식할 수 있는 최상의 재료로 인정받고 있으나, 그 양이 한정되어 있고 가공 및 운반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천연 대리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요즈음에는 인조 대리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인조 대리석은 돌가루를 굳히고 적정량의 수지를 첨가하여 천연 대리석의 미감 을 나타내도록 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천연 광물질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혼합하여 굳힘으로써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판재들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절삭기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절삭기로는 일반적으로 띠톱이 사용된다. 이러한 띠톱은 한 쌍의 회전수단에 고리모양의 띠톱을 걸어 회전수단의 회전에 의해 띠톱이 회전하게 되고, 일방향의 직선 운동을 통해 판재의 절개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띠톱은 절개 속도가 매우 느리며, 절개시 공구의 마모율이 높아 경제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판재들을 수평방향으로 얇게 절개하는 경우 절개 속도는 더욱 느려지게 되며, 띠톱의 진동에 의해 정확한 두께로 절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띠톱은 판재와의 과도한 마찰에 의해 많은 열이 발생하므로, 인조 대리석에 첨가되는 수지 찌꺼기가 띠톱에 엉겨붙어 절삭력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띠톱은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하방향의 유격이 증가하므로 판재를 정확한 두께로 절삭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절삭시 소모되는 판재 부분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수평으로 복수개의 원형톱을 배치하고 판재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원형톱의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배열함으로써, 판재를 보다 얇고 정확한 두께로 절개할 수 있고 톱날의 마모가 적으며, 열 발생량이 감소되고 공정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는 판재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보다 얇은 판재로 가공하는 판재 절개 장치에 있어서, 좌측 원형톱의 회전중심과 우측 원형톱의 회전중심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원형톱으로 이루어지는 절개 유닛; 및 상기 절개 유닛 사이로 상기 판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 원형톱과 상기 우측 원형톱은 서로 직경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 유닛은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판재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원형톱들은 좌측축 상에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우측 원형톱들은 우측축 상에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축과 상기 우측축은 상기 판재의 너비에 따라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판재의 규격에 따라 직경, 두께 및 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기 위해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 유닛을 이루는 모든 원형톱들은 두께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 유닛을 이루는 모든 원형톱들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절개 유닛을 이루는 좌측 원형톱과 우측 원형톱은 최단 거리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절개 유닛을 이루는 좌측 원형 톱과 우측 원형톱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재의 진행방향으로 보아 최후의 원형톱은 하나로 형성되며, 반경이 상기 판재 너비의 반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롤러(rolle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원형톱들끼리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우측 원형톱들끼리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축 및 상기 우측축은 각각 상기 판재의 좌측단 및 우측단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원형톱 및 상기 우측 원형톱은 각각 직경이 동일한 2 이상의 원형톱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되, 그 회전중심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는 판재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보다 얇은 판재로 가공하는 판재 절개 장치에 있어서, 판재를 절개하는 복수개의 원형톱; 상기 원형톱의 회전중심이 고정되며, 상기 판재의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축과 우측축; 및 상기 좌측축과 상기 우측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판재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톱은 상기 좌측축과 상기 우측축에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며, 상기 판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절개 방법은 판재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보다 얇은 판재로 가공하는 판재 절개 방법에 있어서, 절개하고자 하는 판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판재를 한 쌍의 원형톱 사이로 이송하여 수평 방향으로 절개하는 제 2단계; 점점 직경이 커지는 한 쌍의 원형톱들 사이로 상기 제 2단계를 반복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판재 너비의 반보다 반경이 큰 원형톱 하나로 미절개된 부분을 절개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단계 이후에 절개된 2장의 판재의 두께가 서로 동일하도록 마무리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단계는 원형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도 1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2b는 도 1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판재가 투입된 판재 절개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면, 선반(110)과, 좌측축(120a)과, 우측축(120b)과, 절개 유닛(130) 및 이송수단(1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 유닛(130)은 상호 대응하는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중심(14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판재 절개 장치(100)는 최후 원형톱(17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절개 유닛(130)이 3개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절개하고자 하는 판재(P)의 규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하나의 절개 유닛(130) 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최후 원형톱(170)은 좌측축(120a)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우측축(120b) 상에 위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선반(110)은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축(120a), 우측축(120b), 절개 유닛(130) 및 이송수단(150)이 그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선반(110)은 지지대(115) 등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115)는 작업자의 편의에 의해 선반(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선반(110)의 하부에는 원형톱들(130a, 130b, 17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선반(110)은 작업자가 작업 도중 상해를 입지 않도록 원형톱들(130a, 130b, 170)의 면적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반(110)은 판재(P)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축(120a) 및 우측축(120b)은 상기 선반(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원형톱들(130a, 130b, 170)의 회전축(160)이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좌측축(120a) 상에는 좌측 원형톱(130a)들이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우측축(120b) 상에는 우측 원형톱(130b)들이 일렬로 배열된다. 상기 좌측축(120a) 및 우측축(120b)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략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좌측축(120a) 및 우측축(120b) 사이의 간격은 판재(P)의 너비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판재(P)의 원활한 이동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판재의 규격이 1350mm×3060mm인 경우, 좌측축(120a) 및 우측축(120b) 사이의 간격은 판재의 좌측단부와 우측 단부로부터 각각 대략 25mm의 공간을 확보하여 1350+25+25=1400(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축(120a) 및 우측축(120b)은 대략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와 너비 및 두께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축(120a) 및 우측축(120b)은 판재(P)의 너비 또는 절개하고자 하는 두께에 따라 그 간격을 전후좌우 또는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은 나사결합 방식, 슬라이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조절수단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조절수단을 통해 다양한 너비를 갖는 판재(P)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절개 유닛(130)은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을 포함한 한 쌍의 원형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 유닛(130)은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의 회전중심(140)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개 유 닛(130)은 회전축(160)을 통해 좌측축(120a)과 우측축(120b)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은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개 유닛(130)의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 사이로 판재(P)가 들어가면 판재(P)의 좌측과 우측이 동일한 깊이만큼 절단되게 된다. 상기 절개 유닛(130)은 서로 크기가 다른 복수개로 형성되며, 판재(P)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판재(P)가 이동할수록 좌측단과 우측단의 절개 깊이는 점점 깊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판재(P)의 규격이 커지더라도 단계별로 절개 깊이를 증가시켜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절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형톱들의 마모도 띠톱에 비해 훨씬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형톱들(130a, 130b)은 강도와 경도가 우수한 특수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톱날에는 다이아몬드 재질의 팁(tip)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원형톱들(130a, 130b)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절개 유닛(130)은 판재(P)의 규격에 따라 직경, 두께 및 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기 위해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절개하고자 하는 판재의 두께가 얇아서 보다 얇은 두께의 절개 유닛이 필요한 경우, 장착되어 있는 절개 유닛을 빼내고 새로운 절개 유닛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큰 너비의 판재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간격조절수단을 통해 좌측축과 우측축의 간격을 넓게 조절한 후, 보다 큰 직경의 새로운 절개 유닛을 장착하면 보다 원활하게 절개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절개 유닛(130)을 이루는 모든 원형톱들은 두께가 동일하도록 형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 유닛(130)을 이루는 원형톱들의 두께가 들쭉날쭉하게 형성되면 절개된 판재의 절개단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추가적으로 판재의 절개단면을 고르게 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판재의 규격에 따라 다른 두께의 절개 유닛을 새로 장착하는 경우 모든 원형톱들의 두께가 동일하도록 다른 절개 유닛들도 변경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 유닛(130)을 이루는 모든 원형톱들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 유닛(130)을 이루는 원형톱들의 높이가 다양하도록 형성되면, 마찬가지로 절개된 판재의 절개단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절개된 판재의 두께도 들쭉날쭉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판재(P)의 두께에 따라 어느 한 절개 유닛(130)의 높이를 회전축(160)에 의해 조절하게 되면 나머지 절개 유닛들의 높이도 일률적으로 조절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개 유닛(130)을 이루는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은 도 2a와 같이 최단거리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은 각각 좌측축(120a)과 우측축(120b)의 동일 위치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개 유닛(130)의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 사이로 판재(P)가 투입되면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가 동시에 서로 동일한 깊이로 절개될 수 있다.
또한, 판재(P)의 진행 방향으로 볼 때 마지막 절개 유닛 이후에는 최후 원형톱(170)이 형성된다. 절개 유닛(130)들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의 단부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스파크(spark)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원형톱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므로, 접촉이 되지 않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그 결과, 마지막 절개 유닛을 거치더라도 판재(P)의 너비 방향의 중앙부는 절개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미절개부분을 절개하기 위해 상기 최후 원형톱(170)이 형성된다. 상기 최후 원형톱(170)은 판재(P)의 중앙부를 절개하여야 하므로, 그 반경이 상기 판재(P) 너비의 반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최후 원형톱(170)은 절개 유닛(130)과 같이 한 쌍의 원형톱(130a, 130b)으로 조합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톱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단독의 원형톱으로 형성된다. 상기 최후 원형톱(170)은 도 2a와 같이 좌측축(120a)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우측축(120b) 상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절개 유닛(130)을 이루는 좌측 원형톱(130a)들은 서로간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우측 원형톱(130b)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판재(P)의 절개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좌측 원형톱(130a)(우측 원형톱의 경우도 마찬가지)들간의 간격은 가능한 한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절개 유닛의 직경이 600mm, 1000mm, 1400mm로 이루어지고, 판재의 규격이 1350mm×3060mm인 경우 좌측 원형톱 간의 간격 및 우측 원형톱 간의 간격은 대략 25mm가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150)은 상기 선반(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좌측축(120a)과 우측축(120b)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이송수단(150)의 상부에는 판재(P)가 올려지며, 상기 판재(P)가 절개 유닛(130)들 사이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판재(P)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150)으로는 도 2a와 같이 롤러(roller)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송수단으로는 판재(P)를 지지하는 이송수단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고, 전방에서 판재(P)를 끌어당기는 인발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수단(150)으로 롤러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이송수단(150)으로 롤러가 사용되는 경우 판재(P)와 롤러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롤러의 표면에 고무 재질의 튜브를 더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150)으로 롤러가 사용되는 경우 판재(P)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속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동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이송수단(150)은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 사이로 판재(P)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노력을 경감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150)은 판재(P)의 이송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절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의 실시예는 절개 유닛을 이루는 좌측 원형톱(230a)과 우측 원형톱(도시되지 않음)이 각각 하부날(232a)과 상부날(234a)이 조합된 이중날로 형성된다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수직 단면도의 특성상 좌측축(120a) 및 좌측 원형톱(230a)만 도시되어 있음을 밝혀 둔다. 따라서, 우측축과 우측 원형톱은 각각 좌측축(120a)과 좌측 원형톱(230a)에 준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200)는, 도 3을 참조하면, 선반(110)과, 지지대(115)와, 좌측축(120a), 좌측 원형톱(230a) 및 최후 원형톱(27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판재 절개 장치(200)는 회전축(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선반(110), 지지대(115) 및 좌측축(120a)은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측 원형톱(230a)은 하부날(232a)과 상부날(234a)을 가지는 이중날 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 원형톱(230a)은 각각 직경이 동일한 하부날(232a) 과 상부날(234a)이 서로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배열되되, 그 회전중심이 동일한 회전축(160)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최후 원형톱(27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상기 하부날(232a)과 상부날(234a) 사이의 간격은 절개하여 얻고자 하는 판재의 두께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축(160)이 하부날(232a)과 상부날(234a)의 공통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160)을 가이드로 하여 하부날(232a)과 상부날(234a)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두께의 판재(P)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좌측 원형톱(230a)과 우측 원형톱(도시되지 않음) 사이로 판재(P)가 투입되어 절개가 이루어지면,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판재는 3개가 된다. 이때, 3개 판재의 두께를 동일하도록 가공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하부날(232a)과 상부날(234a)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만약 최종적으로 4개의 판재를 얻고자 할 때에는 하부날, 중간날 및 상부날로 이루어지는 삼중날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 다만, 동일한 두께의 판재를 얻기 위해서는 하부날, 중간날 및 상부날의 간격을 정교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최후 원형톱(270)은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반경이 상기 판재(P) 너비의 반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판재 절개 장치(200)에 의하면 일회의 공정을 통해 3개 이상의 판재를 얻을 수 있으므로 공정이 감소됨은 물론, 보다 얇은 판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의 실시예는 원형톱들이 나란히 배열되는 대신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다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4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이중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도 4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도 3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300)는, 도 4를 참조하면, 선반(110), 좌측축(120a), 우측축(120b), 절개 유닛(330), 이송수단(150) 및 최후 원형톱(17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선반(110), 좌측축(120a), 우측축(120b), 이송수단(150) 및 최후 원형톱(170)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절개 유닛(330)은 좌측 원형톱(330a)과 우측 원형톱(330b)이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다. 즉, 상기 절개 유닛(330)의 좌측 원형톱(330a)과 우측 원형톱(330b)의 회전중심(140)을 연결하는 직선(이하, 공통중심선이라 한다)은 좌측축(120a) 및 우측축(120b)과 수직을 이루는 대신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절개 유닛들의 공통중심선끼리는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판재 절개 장치(300)는 판재(P)를 투입하면 좌측단부가 먼저 절개된 후, 이어서 우측단부가 동일한 절개깊이로 절개된다. 우측단부가 절개되는 동안 좌측단부는 보다 깊은 절개깊이로 절개되기 시작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후, 최후 원형톱(170)에 의해 판재(P)의 중앙부가 절개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판재 절개 장치(300)에 의하면 판재(P)의 좌측과 우측이 번갈아 절개되므로 원하는 규격의 판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다. 도 5의 실시예는 한 쌍의 원형톱이 절개 유닛을 이루는 대신, 지그재그 방향으로 원형톱의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배열된다는 점 이외에는 도 4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400)는, 도 5를 참조하면, 선반(110), 좌측축(120a), 우측축(120b), 복수개의 원형톱(430), 이송수단(150) 및 최후 원형톱(17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선반(110), 좌측축(120a), 우측축(120b), 이송수단(150) 및 최후 원형톱(170)은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복수개의 원형톱(430)은 좌측축(120a)과 우측축(120b)에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원형톱(430)은 지그재그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다.
즉, 판재(P)의 진행방향에 따라 직경이 점점 커지는 것은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도 4의 실시예는 동일한 직경을 가진 한 쌍의 원형톱으로 이루어진 절개 유닛(330)이 점점 커지도록 배열됨에 반해, 도 5의 실시예는 원형톱들의 직경이 모두 다르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5에서는 4개의 원형톱(430)과 1개의 최후 원형톱(170)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형톱(430)의 개수는 판재(P)의 규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절개 방법은 제 1단계 내지 제 4단계를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판재 절개 방법은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단계는 절개하고자 하는 판재(P)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판재(P)는 천연 대리석, 인조 대리석, 화강석, 복합판을 비롯한 각종 평판재료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얻고자 하는 판재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알맞은 크기로 판재를 절단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판재의 넓은 면에 수직으로 원형톱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판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판재(P)를 한 쌍의 원형톱(130a, 130b) 사이로 이송하여 수평 방향으로 절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판재(P)의 이송은 이송수단(150)이 담당하게 된다.
상기 제 3단계는 점점 직경이 커지는 한 쌍의 원형톱들 사이로 상기 제 2단계를 반복하는 과정이다. 즉,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진 원형톱으로부터 점점 직경이 큰 원형톱들 사이로 판재(P)가 이동되어 절개깊이가 점점 깊어지게 된다.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판재(P) 너비의 반보다 반경이 큰 원형톱(170)(이하, 최후 원형톱이라 한다) 하나로 미절개된 부분을 절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제 4단계 이후에 절개된 2장의 판재의 두께가 서로 동일하도록 마무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4단계까지의 과정에 의해 이미 2장의 판재는 두께가 거의 동일하도록 절개되어 있으나, 정밀한 수치제어를 위해 별도로 판재의 두께가 일치하도록 마무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5단계는 원형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연마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판재 절개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판재로부터 보다 얇으면서 동일한 두께를 가진 복수개의 판재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에 의하면 단계적이고 연속적으로 절개가 이루어지므로 절개 속도가 매우 빠르며, 절개시 공구의 소모율이 낮아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원형톱에 의해 단계적으로 절개가 이루어지므로 열 발생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인조 대리석의 수지 찌꺼기가 톱날에 엉겨붙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형톱은 상하 방향의 유격이 거의 없으므로 판재를 정확한 두께로 절삭할 수 있으며, 절삭시 소비되어 버리는 판재 부분을 현격히 감 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회의 공정을 통해 3개 이상의 판재를 얻을 수 있으므로 공정이 감소됨은 물론, 보다 얇은 판재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판재(P)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보다 얇은 판재로 가공하는 판재 절개 장치에 있어서,
    좌측 원형톱(130a, 230a, 330a)의 회전중심과 우측 원형톱(130b, 330b)의 회전중심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원형톱으로 이루어지되,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판재(P)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배열되는 절개 유닛(130, 330); 및
    상기 절개 유닛(130, 330) 사이로 상기 판재(P)를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1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원형톱(130a, 230a, 330a)과 상기 우측 원형톱(130b, 330b)은 서로 직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원형톱(130a, 230a, 330a)들은 좌측축(120a) 상에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우측 원형톱(130b, 330b)들은 우측축(120b) 상에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축(120a)과 상기 우측축(120b)은 상기 판재(P)의 너비에 따라 그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유닛(130, 330)은 상기 판재(P)의 규격에 따라 직경, 두께 및 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기 위해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유닛(130, 330)을 이루는 모든 원형톱들은 두께가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유닛(130, 330)을 이루는 모든 원형톱들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절개 유닛(130)을 이루는 좌측 원형톱(130a)과 우측 원형톱(130b)은 최단 거리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절개 유닛(330)을 이루는 좌측 원형톱(330a)과 우측 원형톱(330b)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P)의 진행방향으로 보아 최후의 원형톱(170)은 하나로 형성되며, 반경이 상기 판재(P) 너비의 반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50)은 롤러(ro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원형톱(130a, 230a, 330a)들끼리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우측 원형톱(130b, 330b)들끼리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축(120a) 및 상기 우측축(120b)은 각각 상기 판재(P)의 좌측단 및 우측단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원형톱(230a) 및 상기 우측 원형톱은 각각 직경이 동일한 2 이상의 원형톱(232a, 234a)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되, 그 회전중심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16. 판재(P)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보다 얇은 판재로 가공하는 판재 절개 장치에 있어서,
    판재를 절개하는 복수개의 원형톱(430);
    상기 원형톱(430)의 회전중심(140)이 고정되며, 상기 판재(P)의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축(120a)과 우측축(120b); 및
    상기 좌측축(120a)과 상기 우측축(120b)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판재(P)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150)
    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톱(430)은 상기 좌측축(120a)과 상기 우측축(120b)에 서로 어긋나 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며, 상기 판재(P)의 이동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장치.
  17. 판재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보다 얇은 판재로 가공하는 판재 절개 방법에 있어서,
    절개하고자 하는 판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판재를 한 쌍의 원형톱 사이로 이송하여 수평 방향으로 절개하는 제 2단계;
    점점 직경이 커지는 한 쌍의 원형톱들 사이로 상기 제 2단계를 반복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판재 너비의 반보다 반경이 큰 원형톱 하나로 미절개된 부분을 절개하는 제 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후에 절개된 2장의 판재의 두께가 서로 동일하도록 마무리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원형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개 방법.
KR1020060065955A 2006-07-13 2006-07-13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 KR100761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955A KR100761456B1 (ko) 2006-07-13 2006-07-13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955A KR100761456B1 (ko) 2006-07-13 2006-07-13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456B1 true KR100761456B1 (ko) 2007-09-27

Family

ID=3873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955A KR100761456B1 (ko) 2006-07-13 2006-07-13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4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5381A (zh) * 2013-09-17 2013-12-25 李政 超薄石材免翻板式流水线锯石机及超薄石材切割方法
CN107775818A (zh) * 2016-08-28 2018-03-09 陈建亮 一种新型的石材对破分切机
CN109435082A (zh) * 2018-11-06 2019-03-08 能诚集团有限公司 流水线切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488A (en) 1975-10-07 1977-04-07 Sumitomo Heavy Ind Ltd Milling cutter for coil margin
JPS5796760A (en) 1980-12-01 1982-06-16 Sumitomo Metal Ind Ltd Steel hoop edge trimming method
JPS5919617A (ja) 1982-07-22 1984-02-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トリツプのガイド方法
KR20010107855A (ko) * 2001-11-02 2001-12-07 유병섭 박판용 면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488A (en) 1975-10-07 1977-04-07 Sumitomo Heavy Ind Ltd Milling cutter for coil margin
JPS5796760A (en) 1980-12-01 1982-06-16 Sumitomo Metal Ind Ltd Steel hoop edge trimming method
JPS5919617A (ja) 1982-07-22 1984-02-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トリツプのガイド方法
KR20010107855A (ko) * 2001-11-02 2001-12-07 유병섭 박판용 면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5381A (zh) * 2013-09-17 2013-12-25 李政 超薄石材免翻板式流水线锯石机及超薄石材切割方法
CN107775818A (zh) * 2016-08-28 2018-03-09 陈建亮 一种新型的石材对破分切机
CN109435082A (zh) * 2018-11-06 2019-03-08 能诚集团有限公司 流水线切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279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eds for polycrystalline silicon manufacture
JP5173885B2 (ja) スクライブ装置及びスクライブ方法
US20080110311A1 (en) Multiple-tool machine for combined cutting of slabs of hard material
KR100761456B1 (ko) 판재 절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절개 방법
EP2911848A1 (en) Multi-tool machine for processing products made of stone materials
EP1520659A1 (en) Template device for the control of the movements of diamond milling cutters or the like, to be mounted on stone or marble slab border polishing machines
CN202318605U (zh) 卧式石材旋切机
WO2007072464A3 (en) Machine for optimized cutting of slabs in stone or lithoid material
US20150290838A1 (en) Automatic sawing machine for cutting stones and materials of irregular shape and different sizes
KR101859164B1 (ko) 절단각도 가변형 석재 절단기
KR20030024418A (ko) 석재가공장치
ITBO20110153A1 (it) Macchina di taglio e lavorazione particolarmente per materiale, ceramico lapideo e simili
KR101312221B1 (ko) 워터젯 분사노즐, 워터젯 시스템 및 워터젯 시스템의 제어방법
EP2239117B1 (en) Method for creating grout lines on boards and for cutting tiles from boards
EP330549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ided continuous patterned stone panel
EP1937452B1 (en) Machine tool for surface processing of products of stone material or the like
EP0209918B1 (en) Device for sawing plate material
CN105881752A (zh) 一种外墙装饰石材v形槽开槽装置
EP1743988A2 (en) Modular set of cladding elements
EP0440125B1 (en) Laminating machine particularly for through-sawing slabs made of granite and the like
CN218659860U (zh) 一种石板材高效定厚机
CN211389584U (zh) 一种石材仿形机
CN217144434U (zh) 一种非金属矿物制品生产用切割装置
RU43812U1 (ru) Станок для резки камня
JP2007320317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