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543B1 -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543B1
KR100760543B1 KR1020070012318A KR20070012318A KR100760543B1 KR 100760543 B1 KR100760543 B1 KR 100760543B1 KR 1020070012318 A KR1020070012318 A KR 1020070012318A KR 20070012318 A KR20070012318 A KR 20070012318A KR 100760543 B1 KR100760543 B1 KR 100760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hinge
chai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Priority to KR102007001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543B1/ko
Priority to CN2008100081215A priority patent/CN101238934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6Means to protect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4Separate chairs, connectible together into a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6Chairs or seats detachably mounted on stadium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collapsi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가 시트에 대해 자동 닫히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먼지나 빗물, 눈으로부터 시트를 보호할 수 있는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는, 시트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봉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는 시트; 상기 시트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에 인접한 단부에 지지돌부를 구하는 등받이; 상기 시트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의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지지돌부가 접촉 및 이격하는 받침부재; 상기 시트 및 등받이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힌지부재 및 상기 등받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2힌지부재를 구비한 힌지유닛; 상기 힌지유닛의 제1 및 제2 힌지부재가 상대회동하는 일정구간에서 완충력을 부여하는 완충유닛; 및 상기 시트 및 등받이의 각 내부에 개별적으로 인서트되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CLEAN CHAIR HAVING AN AUTOMATIC CLOSING FUCTION OF A SEATBAC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가 시트에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의자에 적용되는 힌지유닛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힌지유닛을 도시한 부분 절개 평단면도.
도 8a는 도 7의 화살표 B방향을 따라 취한 측면도로서, 의자의 등받이가 시트에서 개방됨에 따라 제1힌지부재가 제2힌지부재에서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b는 도 8a에 대응하는 힌지유닛의 부분 절개 평단면도.
도 9a는 의자의 등받이가 시트에 폐쇄됨에 따라 제1힌지부재가 제2힌지부재측에 인접하여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b는 도 9a에 대응하는 힌지유닛의 부분 절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등받이가 개방(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의자에 사용자가 실제 착석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 20 : 시트
30 : 등받이 40 : 힌지유닛
50 : 완충유닛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가 시트에 대해 자동 닫히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먼지나 빗물, 눈으로부터 시트를 보호할 수 있는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시트와 등받이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는 시트에 대한 등받이의 결합 위치가 고정되거나, 등받이가 시트에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경기장, 공원 등에 설치되는 의자는 눈이나 비에 방치되는 실외의 특성상 습기에 강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는 시트의 상면이 항상 노출된 상태이므로 시트 상면에 먼지가 쌓이게 되고, 눈이나 비가 내릴 때에는 시트 상면이 젖거나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받이의 개폐가 용이한 구조의 의자에 관한 한국특허등록 제10-0654097호(발명의 명칭 : 덮개가 구비된 의자, 이하 '선등록'이라 함)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의 선등록 발명은 등받이가 시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시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시트에서 일어설 경우 상기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구현하는 시트탄성지지수단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은 시트 및 등받이가 합성수지 재질로만 이루어져 있어, 그 시트 및 등받이의 힌지결합된 부분의 내구강도가 저하되어 착석자의 하중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착석시 착석자에 의해 등받이에 가해지는 외력을 지지하도록 별도의 등받이 서포트를 등받이의 후면에 설치하여 하며, 이에 의해 의자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선등록 발명은 자동 닫힘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시트탄성지지수단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그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선등록 발명은 등받이가 시트에 폴딩된 상태에서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 서포트가 시트의 상방으로 돌출되므로, 전반적으로 외관이 수려하지 않아 사용자의 감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통행자의 불편을 초래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선등록 발명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 및 등 받이의 내구강도를 향상시키며 의자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감성을 증대시키며, 통행의 불편을 줄이고, 등받이의 닫힘과정에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봉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는 시트;
상기 시트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에 인접한 단부에 지지돌부를 구하는 등받이;
상기 시트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의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지지돌부가 접촉 및 이격하는 받침부재;
상기 시트 및 등받이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힌지부재 및 상기 등받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2힌지부재를 구비한 힌지유닛;
상기 힌지유닛의 제1 및 제2 힌지부재가 상대회동하는 일정구간에서 완충력을 부여하는 완충유닛; 및
상기 시트 및 등받이의 각 내부에 개별적으로 인서트되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유닛의 제1 및 제2 힌지부재는 상기 시트의 보강재 및 등받이의 보강재에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힌지유닛의 제1 및 제2 힌지부재는 스토퍼 및 걸림돌기에 의해 그 상대 회동각이 제한된다.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제1힌지부재의 어느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일측의 제2힌지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제1힌지부재의 내경면에 결합된 실린더;
상기 제2힌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구비된 체크밸브;
상기 제1힌지부재와 제2힌지부재의 상대 회동이 유압 또는 무유압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의 내외로 작동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된 제1제어부재, 및 상기 제1제어부재의 외주면에 미세한 틈새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한 제2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재는 그 외주면에 한 쌍의 제1면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제어부재는 그 내경면에 상기 제1면취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2면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제어부재는 제2힌지부재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면취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재가 상대회동할 수 있는 회전범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시트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회전제한봉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회전제한봉에 대응하는 시트의 하부에는 제한홈 및 이 제한홈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한구를 구비한다.
상기 제한홈 및 제한구의 외측단부에는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제한홈 및 제한구에 의해 형성된 제한영역의 외측단부를 폐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1)는 시트(20) 및 시트(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등받이(30)를 포함한다.
바닥에 다수의 레그(7)가 설치되어 있고, 이 레그(7)의 상부에 메인프레임(8)이 고정지지되고, 메인프레임(8)의 상부에는 복수의 시트프레임(10)이 설치된다.
시트프레임(10)의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1)을 매개로 시트(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트프레임(10)의 후방 상부에는 지지봉(11)가 고정 결합되고, 이 지지봉(11)에 회전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지지부재(13)가 구비되며, 이 회전지지부재(13)는 그 양단부가 체결구(13a)등을 통해 시트(20)측에 고정결합된다. 회전지지부재(13) 및 지지봉(11)에 의해 시트(20)는 지지봉(1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0)의 전방 상부에는 회전제한봉(23)이 고정 결합되고, 이 회전제한봉(23)에 대응하는 시트(20)의 하부에는 제한홈(24) 및 이 제한홈(24)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한구(21)를 구비하고, 이 제한홈(24) 및 제한구(21)에 의해 제한공간(22)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시트(20)가 지지봉(1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제한홈(24)의 내벽면 및 제한구(21)의 내벽면이 회전제한봉(23)에 걸림으로써 시트(20)는 그 회전각도가 제한공간(22)의 폭(W) 내로 제한된다.
시트프레임(10)의 후방에는 판상의 받침부재(17)가 장착되어 있고, 이 받침부재(17)는 그 하부에 조절나사부가 구비되어 시트프레임(10)에 대해 그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17)는 후술하는 등받이(30)에 마련된 지지돌부(33)측에 반력을 부여하여 등받이(30)가 시트(20)측으로 자동 회동되도록 하는 기능(즉, 등받이(30)의 자동 닫힘 기능)을 구현한다.
그리고, 제한홈(24) 및 제한구(21)의 외측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6)가 구비되고, 이 커버(26)에 의해 제한홈(24) 및 제한구(21)에 의해 형성되는 제한공간(22)은 그 일측단부가 폐쇄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상기 제한공간(22) 내로 유입됨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프레임(10)과 시트(20) 사이에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27)가 개재되고, 이 탄성부재(27)는 시트(20)의 전방하부면을 탄력 지지함으로써 시트프레임(10)의 상부면에서 시트(20)가 지지봉(11)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7)는 시트(20)측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예컨대,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 등) 시트(20) 및 등받이(30)를 후방측으로 회동시키고, 이러한 탄성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등받이(30)의 지지돌부(33)와 받침부재(17) 사이의 반력(K2, 도 11참조) 및 반모멘트(M, 도 11참조) 등을 유도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7)는 그 일측단부가 시트프레임(10)측에 형성된 장착돌기(16)에 설치되고, 그 타측단부는 시트(20)의 전방 저면에 형성된 수용홈(29)측에 설치된다.
등받이(30)의 하부에는 지지돌부(33)가 돌출되고, 이 지지돌부(33)는 등받이(30)의 회동상태에 따라 시트프레임(10)의 받침부재(17)에 접촉 내지 이격한다.
시트(20)와 등받이(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시트(20)와 등받이(30)의 내부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재(35)가 브로우 성형공정 등에 의해 인서트(insert)되어 있다. 이에, 시트(20)와 등받이(30)의 자체 내구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등받이(30)는 힌지유닛(40)에 의해 시트(20)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에 의해, 등받이(30)는 시트(20)의 상면을 개폐한다.
힌지유닛(4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0)측에 복수의 체결구(35a)를 통해 결합되는 제1힌지부재(41), 등받이(30)측에 복수의 체결구(35a)를 통해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힌지부재(42, 43)를 포함하고, 제2힌지부재(42, 43) 중에서 일측 제2힌지부재(42)는 제1힌지부재(41)에 후술하는 완충유닛(50)에 의해 연결되고, 타측 제2힌지부재(43)는 제1힌지부재(41)에 대해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힌지부재(41)는 원통부(41a) 및 이 원통부(41a)에서 돌출된 결합부(41b)를 구비하고, 이 결합부(41b)가 복수의 체결구(35a)를 통해 보강재(35)와 함께 등받이(30)에 결합되며, 제1힌지부재(41)의 후방측에 스토퍼(41c)가 축선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제2힌지부재(42, 43)는 원통부(42a, 43a) 및 이 원통부(42a, 43a)에서 돌출된 결합부(42b, 43b)를 구비하고, 이 결합부(42b, 43b)는 복수의 체결구(35a)를 통해 보강재(35)와 함께 시트(20)에 결합되며, 제2힌지부재(42, 43)의 각 후방측에는 걸림돌기(42c, 43c)가 외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러한 걸림돌기(42c, 43c)들은 제1힌지부재(41)의 스토퍼(41c)에 걸려 그 회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등받이(30)가 시트(20)에 대해 회동함에 연동하여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힌지유닛(40)의 제1 및 제2 힌지부재(41, 42, 43)들은 완충유닛(50)에 의해 그 상대회동하는 구간의 일부 영역에서 완충력을 제공받는다.
완충유닛(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부재(41)의 원통부(41a) 내경면에 결합된 실린더(51), 실린더(51) 내부에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52), 피스톤(52)의 직선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샤프트(53), 피스톤(52)의 일단에 구비된 체크밸브(54), 제1힌지부재(41)와 제2힌지부재(42)의 상대 회동이 유압 또는 무유압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5), 피스톤(52) 및 실린더(61)의 내외로 작동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경로(60)를 포함한다.
실린더(51)는 제1힌지부재(41)의 원통부(41a) 내경면에 다수의 실링에 의해 밀봉적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 실린더(51a, 51b)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실린더(51a, 51b)는 그 내부에 중공부(51c, 51d)를 각각 구비하며, 실린더(51)의 일측단부 즉 제2실린더(51b)의 내경면에는 회전지지구(56a), 하나 이상의 베어링(56b, 56c) 등을 통해 샤프트(53)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실린더(51)의 타측단부 즉 제1실린더(51a)의 타측단부는 타측 제2힌지부재(43)의 내경면에 베어링(57)을 통해 회전지지되고, 이에 의해 타측 제2힌지부재(43)는 실린더(51)측에 그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피스톤(52)은 실린더(51)의 중공부(51c, 51d)에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 오일 등과 같은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중공부(52b)를 구비하고, 이 중공부(52b)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샤프트(53)의 나선홈(53a)을 따라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52a)가 구비된다. 이 안내돌기(52a)의 단부는 샤프트(53)의 나선홈(53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샤프트(53)는 그 외주 일부면에 다수의 나선홈(53a)이 형성되고, 이 나선홈(53a)이 형성된 일부면은 피스톤(52)의 중공부(52b) 내에서 회전하며, 나선홈(53a)에는 피스톤(52)의 안내돌기(52a)가 안내된다. 그리고, 샤프트(53)의 일측단부는 회전지지구(56a), 하나 이상의 베어링(56b, 56c) 등을 통해 실린더(51) 내에서 회전지지된다.
체크밸브(54)는 피스톤(52)의 일단에 구비되고, 이 체크밸브(54)는 피스 톤(52)의 중공부(52b)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피스톤(52)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반대방향으로의 흐름을 차단한다.
제어부(55)는 제1힌지부재(41)와 우측 제2힌지부재(42)의 상대회동이 유압 또는 무유압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샤프트(53)의 일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제1제어부재(55a) 및 이 제1제어부재(55a)의 외주면에 대해 미세한 틈새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한 제2제어부재(55b)를 구비한다. 제1제어부재(55a)는 그 외주면에 한 쌍의 제1면취부(55c)를 구비하고, 제2제어부재(55b)는 우측 제2힌지부재(42)의 원통부(42a) 내경면에 고정결합되어 제2힌지부재(42)와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2제어부재(55b)의 내경면에는 제1제어부재(55a)의 제1면취부(55c)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2면취부(55d)를 구비하고, 이러한 제1 및 제2 면취부(55c)의 폭 또는 이격 틈새 등과 같은 치수 설계에 의해 제1 및 제2 면취부재(55a, 55b)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회전각(f)이 설정되고, 이 회전각(f)은 후술하는 등받이(30)의 무유압 회동구간(F)이 된다.
순환경로(60)는 실린더(51)의 제1실린더(51a)에 형성된 제1배출로(61), 상기 제1배출로(61)와 소통하는 제2배출로(63), 제1 및 제2 배출로(61, 63)의 소통 틈새를 조절하는 조절밸브(62), 실린더(51)의 외경면과 제1힌지부재(41)의 원통부(41a) 내경면 사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제2배출로(63)와 소통하는 제3배출로(64), 실린더(51)의 일측에 관통되어 제3배출로(64)와 실린더(51)의 중공부(51c, 51d)를 소통시키는 순환공(65)을 포함한다.
이러한 완충유닛(50)의 구성에 의해, 일측 제2힌지부재(42)의 회동에 연동하 여 샤프트(53)가 회동하면, 피스톤(52)이 도 8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왕복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힌지부재(41)와 제2힌지부재(42)가 상호 접혀져 회동하는 경우(즉, 등받이(30)가 시트(20)의 상면을 닫는(폐쇄)하는 경우)에 완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등받이(30)가 시트(20)를 폐쇄한 상태에서, 등받이(30)를 시트(20)로부터 도 10의 전개위치(D)까지 개방시키면, 등받이(30)의 지지돌부(33)는 받침부재(17)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시트(20)는 지지봉(1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이때 시트프레임(10)의 회전제한봉(23)이 제한구(21)에 걸려 시트(20)는 그 회동이 제한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0)에 화살표 E1방향으로 착석하면, 시트(20)는 도 10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시트(20)의 탄성부재(27)가 눌려지고, 시트(20)의 제한홈(24)이 회전제한봉(21)에 인접 내지는 접촉하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시트(20)의 후방 및 이에 연결된 등받이(30)가 일시 상승하여 등받이(30)의 지지돌부(33)는 받침부재(17)로부터 일시적으로 이격된 후에 등받이(30)는 그 자중에 의해 착석위치(S)까지 회동한다. 이 때 등받이(30)의 지지돌부(33)는 받침부재(17)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도 11의 화살표 E2는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30)측에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자에서 일어서게 되면 등받이(30)가 시트(20)의 상면에 자동으로 접혀지는 자동닫힘기능이 구현된다. 즉, 등받이(30)는 도 11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착석위치(S)에서 무유압 회동구간(F), 완충 회동구간(P) 등을 순서대로 거친 후에 폐쇄위치(G)까지 자동으로 접혀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1에서 사용자가 의자에서 일어서면, 시트(20)는 탄성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그 지지봉(11)을 중심으로 화살표 K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러한 시트(20)의 회동력은 힌지유닛(40)을 통해 등받이(30)측으로 전달되어 등받이(30)도 동일방향으로 회동하려는 관성력(화살표 K1)이 발생한다. 이러한 관성력(K1)에 의해 등받이(30)의 돌출지지부(33)가 받침부재(17)를 밀어내게 되고, 이에 의해 받침부재(17)는 등받이(30)측에 그 관성력과 반대방향으로 반력(K2)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반력(K2)에 의해 등받이(30)는 힌지유닛(40)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모멘트(M)를 발생하고, 이에 의해 등받이(30)는 그 착석위치(S)에서 화살표 U방향으로 스윙한다.
상기와 같이 반력(K2) 및 반모멘트(M)에 의해 등받이(30)가 시트(20)에 대해 회동하기 시작하면, 등받이(30) 및 제2힌지부재(42, 43)는 도 11의 무유압 회동구간(F 영역, 즉 작동유체의 압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회동하는 구간)만큼 완충력을 받지 않으면서 회동하고, 이에 의해 그 반력(K2) 및 스윙력(U)이 등받이(30)측으로 충분히 전달된다. 이렇게 무유압상태로 회동하는 제2힌지부재(42, 43)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제2힌지부재(42, 43)의 무유압 회동은 완충유닛(50)의 제어부(55)에 의해 구현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5)의 제1 및 제2 제어부재(55a, 55b)는 제1 및 제2 면취부(55c, 55d)의 상호 접촉 및 걸림 작동에 의해 회동범위(f)가 설정되고, 이 회동범위(f) 내에서 제1 및 제2 제어부재(55a, 55b)는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의 회동각(f) 만큼 상대회전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재(55a, 55b)에 의해 일측 제2힌지부재(42)는 제1힌지부재(41)에 대해 무유압상태로 회동한다. 한편, 타측 제2힌지부재(43)는 제1힌지부재(41)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상태이므로, 일측 제2힌지부재(42)에 연동한다.
이렇게 무유압 회동구간(F)에서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는 등받이(30) 및 제2힌지부재(42, 43)는 제1 및 제2 제어부재(55a, 55b)의 상대 회동이 종료되는 지점(W)에서 제1 및 제2 제어부재(55a, 55b)의 서로 접촉하는 모서리 부분이 상호 걸려져 제1 및 제2 제어부재(55a, 55b)는 일체로 회동한다. 이렇게 제1 및 제2 제어부재(55a, 55b)가 함께 회동하는 구간이 상기의 완충 회동구간(P)이다.
이러한 완충 회동구간(P)의 작동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힌지부재(42, 43)와 등받이(30)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 및 제2 제어부재(55a, 55b)가 동일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1제어부재(55a)가 고정된 스크류(53)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는 스크류(53)의 나선홈(53a)에 피스톤(52)의 안내돌기(52a)가 안내됨으로써 스크류(53)의 회전운동은 피스톤(5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고, 이 피스톤(52)은 도 8b에서 화살표 L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이렇게 피스톤(52)이 화살표 L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피스톤(52)은 실린더(51)의 중공부(51c)에 수용된 작동유체를 서서히 밀어내고, 이렇게 밀려 나오는 작동유체는 순환경로(60)의 제1 내지 제3 배출로(61, 63, 64)를 통해 배출된 후에 다시 순환공(65)을 통해 실린더(51)의 중공부(51c, 51d)내로 재순환된다.
이러한 작동유체의 압력 또는 작동유체의 점성마찰 등에 의해 피스톤(52)는 L방향으로의 이동에 완충력을 부여받고, 이에 의해 제2힌지부재(42, 43) 및 등받이(30)도 완충력을 받으면서 서서히 회동한다.
이렇게 완충 회동구간(P)을 거친 후에 등받이(30)는 폐쇄위치(G)까지 자동으로 회동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0)의 상면을 폐쇄한다.
그런 다음, 다시 등받이(30)를 개방시키기 위해, 시트(20)로부터 전개시키면, 도 9b에서 제2힌지부재(42, 43) 및 샤프트(53)는 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하고, 샤프트(53)의 나선홈(53a)과 피스톤(52)의 안내돌기(52a)는 상대 운동함에 따라 피스톤(52)은 화살표 R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이 때 피스톤(52)의 중공부(52b)에 수용된 작동유체는 체크밸브(54)를 통해 실린더(51)의 중공부(51c)로 급격히 배출되고, 이에 의해 등받이(30)의 전개 또는 개방시에는 유압이 전혀 걸리지 않아 부드럽게 등받이(30)의 개방 또는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30)가 시트(20)측으로 폐쇄되는 과정에서 완충력을 부여받아 그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기, 전자적인 메커니즘의 도움없이 순수한 기구적 구성에 의해 등받이(30)의 자동 닫힘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그 제조원가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등받이(30)가 시트(20)측에 폐쇄된 후에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물이 없어 사용자의 감성을 증대시키며, 통행의 불편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먼지나 빗물, 눈으로부터 시트(2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착석자는 별 도의 노력없이 깨끗한 상태에서 의자(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등받이(30)가 폐쇄위치(G)에 있을 때, 탄성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시트(20)의 전방이 시트프레임(10)으로부터 이격하더라도 제한홈(21) 및 제한구(23)에 제한봉(23)이 접촉 지지되므로 시트(20)의 회동이 제한되어, 시트(20)와 등받이(30)는 안정적으로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와 시트의 상면을 개폐하는 등받이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인서트함으로써, 시트 및 등받이의 내구강도를 향상시키며, 특히 종래와 같이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서포트가 불필요하게 되어 의자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감성을 증대시키며, 통행의 불편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와 등받이를 힌지유닛 및 완충유닛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등받이의 전개 또는 닫힘 과정에서 완충유닛의 완충작용에 의해 등받이가 시트에 서서히 닫히게 되어 그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및 등받이의 내구강도를 향 상시키며 의자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감성을 증대시키며, 통행의 불편을 줄이고, 등받이의 닫힘과정에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의자가 제공된다.

Claims (7)

  1. 삭제
  2. 시트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봉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는 시트;
    상기 시트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에 인접한 단부에 지지돌부를 구비하는 등받이;
    상기 시트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의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지지돌부가 접촉 및 이격하는 받침부재;
    상기 시트 및 등받이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시트에 결합된 제1힌지부재 및 상기 등받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2힌지부재를 구비한 힌지유닛;
    상기 힌지유닛의 제1 및 제2 힌지부재가 상대회동하는 일정구간에서 완충력을 부여하는 완충유닛; 및
    상기 시트 및 등받이의 각 내부에 개별적으로 인서트되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유닛의 제1 및 제2 힌지부재는 상기 시트의 보강재 및 등받이의 보강재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 중에서 어느 일측 외주면에 축선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와,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 중에서 어느 타측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의 상대 회동각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제1힌지부재의 어느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일측의 제2힌지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제1힌지부재의 내경면에 결합된 실린더;
    상기 제2힌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구비된 체크밸브;
    상기 제1힌지부재와 제2힌지부재의 상대 회동이 유압 또는 무유압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의 내외로 작동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된 제1제어부재, 및 상기 제1제어부재의 외주면에 미세한 틈새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한 제2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재는 그 외주면에 한 쌍의 제1면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제어부재는 그 내경면에 상기 제1면취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2면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제어부재는 제2힌지부재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면취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재가 상대회동할 수 있는 회전범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회전제한봉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회전제한봉에 대응하는 시트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한홈 및 이 제한홈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홈 및 제한구의 외측단부에는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제한홈 및 제 한구에 의해 형성된 제한영역의 외측단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KR1020070012318A 2007-02-06 2007-02-06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KR10076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318A KR100760543B1 (ko) 2007-02-06 2007-02-06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CN2008100081215A CN101238934B (zh) 2007-02-06 2008-02-05 具有自动关闭靠背的构件的椅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318A KR100760543B1 (ko) 2007-02-06 2007-02-06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543B1 true KR100760543B1 (ko) 2007-09-20

Family

ID=3873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318A KR100760543B1 (ko) 2007-02-06 2007-02-06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0543B1 (ko)
CN (1) CN1012389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378B1 (ko) 2009-04-30 2011-08-22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야외 설치용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13548T3 (es) * 2015-12-31 2021-03-24 Hsign S R L Mueble convertibl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1110U (ko) 1974-10-16 1976-04-19
JPS5625558A (en) 1979-08-06 1981-03-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hain trough
JPH07177942A (ja) * 1993-12-22 1995-07-18 Kotobuki:Kk 椅 子
JPH07301015A (ja) * 1994-05-06 1995-11-14 Kokuyo Co Ltd 収納式椅子
JPH09187346A (ja) * 1995-12-30 1997-07-22 Takiron Co Ltd 椅 子
KR20030019492A (ko) * 2003-01-23 2003-03-06 김만호 의자 등받이
KR100510114B1 (ko) 2001-03-29 2005-08-25 한상철 덮개가 구비된 등받이 겸용 의자
KR100654097B1 (ko) 2004-05-07 2006-12-20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덮개가 구비된 등받이 겸용 의자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00323Y (zh) * 1996-04-19 1998-12-16 魏定甫 椅子的非扶手靠背自动调节装置
CN2585586Y (zh) * 2002-06-19 2003-11-12 王科甲 折叠式多功能不锈钢椅
KR100510099B1 (ko) * 2003-05-23 2005-08-23 주식회사 맨플러스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의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1110U (ko) 1974-10-16 1976-04-19
JPS5625558A (en) 1979-08-06 1981-03-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hain trough
JPH07177942A (ja) * 1993-12-22 1995-07-18 Kotobuki:Kk 椅 子
JPH07301015A (ja) * 1994-05-06 1995-11-14 Kokuyo Co Ltd 収納式椅子
JPH09187346A (ja) * 1995-12-30 1997-07-22 Takiron Co Ltd 椅 子
KR100510114B1 (ko) 2001-03-29 2005-08-25 한상철 덮개가 구비된 등받이 겸용 의자
KR20030019492A (ko) * 2003-01-23 2003-03-06 김만호 의자 등받이
KR100654097B1 (ko) 2004-05-07 2006-12-20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덮개가 구비된 등받이 겸용 의자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378B1 (ko) 2009-04-30 2011-08-22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야외 설치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8934A (zh) 2008-08-13
CN101238934B (zh)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2071B (zh) 门窗开闭系统和门窗开闭系统用承座
JP5607718B2 (ja) 家具ヒンジ
RU2566505C2 (ru) Поворот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и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поворотным амортизатором
US6687921B1 (en) Toilet seat damper
US8439172B2 (en) Oil damper using a cam
US20130239363A1 (en) Slow-Down Mechanism Placed in Furniture Hinge
WO2002055821A1 (fr) Charniere de porte pour fermeture automatique, mecanisme de porte pour fermeture automatique et charniere du mecanisme de porte pour fermeture automatique
KR101944281B1 (ko) 스툴 장착형 테이블
WO2009069237A1 (ja) 自動閉扉蝶番及び両開扉構造
KR100760543B1 (ko) 등받이의 자동닫힘기능을 갖춘 클린의자
JP2010526228A (ja) 器具を備えた家具丁番
EP2872716B1 (en) Hinge for rotatably moving a door, in particular a reinforced door
CA2541098A1 (en) Fitting
CA2475193C (en) Damped armrest
KR101007201B1 (ko) 회전 제어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EP2872717B1 (en) Hinge for rotatably moving a door, in particular a reinforced door
KR101113082B1 (ko) 도어클로져용 댐퍼
KR20130042482A (ko) 감속 장치를 갖는 가구 힌지
KR200416924Y1 (ko) 댐핑 구조를 구비한 도어힌지 완충장치
KR102072935B1 (ko) 일체형 등좌판의 이동고정기능을 구비한 의자좌판
CN109415921A (zh) 铰接机构和铰接组件
KR102117779B1 (ko) 도어의 클로저 속도 조절 허용 구조
CA2711348C (en) Washing machine lid assembly
KR100424583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401280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작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