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251B1 -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251B1
KR100759251B1 KR1020060033152A KR20060033152A KR100759251B1 KR 100759251 B1 KR100759251 B1 KR 100759251B1 KR 1020060033152 A KR1020060033152 A KR 1020060033152A KR 20060033152 A KR20060033152 A KR 20060033152A KR 100759251 B1 KR100759251 B1 KR 100759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ink
solid acid
conductive polymer
solu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진
이복임
문새한
천명균
Original Assignee
(주) 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루 filed Critical (주) 파루
Priority to KR102006003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i) 은 이온 수용액, (ii) 전도성 고분자, (iii) 환원제 및 (iv) 수퍼 고체산을 포함하는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를 통하여 별도의 고온의 소결처리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전자소자 제작에 있어서 배선, 전자 및 전극 인쇄용 전자잉크로 이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비저항 값을 보일 뿐만 아니라 기판에 화학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수분산 전자잉크에 관한 것이다.
전도성 고분자, 수퍼 고체산, 고온 소결처리, 수분산 전자잉크

Description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composition for preparing electronic ink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를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한 안테나 모양의 인쇄패턴이다.
도 2는 상온에서 인쇄된 전자잉크의 표면을 AFM으로 관찰한 형태이다.
도 3은 80 ℃ 열처리를 거친 후에 인쇄된 전자잉크 표면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i) 은 이온 수용액, (ii) 전도성 고분자, (iii) 환원제 및 (iv) 수퍼 고체산을 포함하는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를 통하여 별도의 고온의 소결처리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전자소자 제작에 있어서 배선, 전자 및 전극 인쇄용 전자잉크로 이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비저항 값을 보일 뿐만 아니라 기판에 화학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수분산 전자잉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잉크는 금속 산화물(AgNO3, AuCl4, PdCl2, Cu2O 등)과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이민('PEI'), 폴리에스테르아미드('PEA'), 폴리에스테르 등의 고분자 분산제를 용매에 녹인 후에 NaBH4, 포름알데히드, 아민 등의 환원제를 첨가하여 금속 산화물들이 나노 크기의 금속 입자로 성장하여 안정화된 콜로이드 분산물이 되도록 하는 기술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나노 입자는 그 크기가 50~100 nm로서 전자잉크로 사용하여 충분한 전도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나노 입자들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고온의 소결처리 과정을 별도로 거쳐야 함에 따른 기술적, 비용적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고온의 소결처리 과정에도 불구하고 사용된 고분자 분산제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 비저항 값이 10-2 Ωcm 수준에 불과하여 그 전기적 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기적 특성의 충분한 발현을 위해서는 고분자 분산제를 어렵게 제거하여야 하는 공정상의 심각한 불편함이 존재하였으며, 이로 인해 전자잉크의 가격이 고가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은 나노입자 제조 시 사용되는 기존에 사용되던 고분자 분산제를 대체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은 나노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첨가되었던 고분자 분산제를 제거하지 않고도 우수한 전도성을 나타내게 할 수 있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가 은 산화물을 환원하여 나노 은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분산제로 사용된 전도성 고분자가 디도핑(dedopping)되어 전기전도성을 상실하게 되는데, 수퍼 고체산이 전도성 고분자의 디도핑을 방지하는 특수한 작용효과를 발견하고 추가로 수퍼 고체산을 첨가함으로써 별도의 고온 소결처리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전자소자 제작에 있어서 배선, 전자 및 전극 인쇄용 전자잉크로 이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비저항 값을 보일 뿐만 아니라 기판에 화학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수분산 전자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은 이온 수용액, 전도성 고분자, 환원제 및 수퍼 고체산을 포함하는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잉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은 이온 수용액, 전도성 고분자, 환원제 및 수퍼 고체산을 포함하는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은 이온 수용액이란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은 이온 수용액을 포함한다. 따라서 질산 수용액에 은괴를 용해시켜 제조된 은 이온 수용액 또는 물에 AgNO3를 용해하여 얻은 은 이온 수용액을 모두 포 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도성 고분자는 종래에 전도성 고분자로 알려져 있는 모든 종류의 전도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나, 다만 폴리사이오펜(polythiophene)은 유기용제에 적합하므로 그라비아용 잉크 제조에 적합한 전도성 고분자이다.
수분산 잉크젯용 전자잉크를 제조하는 데는 특히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즉 PEDOT을 사용하는 것이 전도도 등 기타 물성의 향상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전도성 고분자로서 PEDOT 또는 폴리아닐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원하는 최종 전도도를 얻기 위해서 그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환원제 역시 종래에 사용되던 환원제는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NaBH4), 포름 알데하이드, 아민, 히드라진,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히드라진을 사용하는 경우 반응액이 산성으로 변하고 전도성 고분자에 의한 전도도 기여율이 증가하게 되므로 최종 전도도의 상승을 위해서는 히드라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퍼 고체산은 다음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특히 실리콘 표면에 SO3H가 코팅되어 있고 평균입자는 1~50 nm의 물성을 가지는 수퍼 고 체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퍼 고체산은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3-0082022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제조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6025316119-pat00001
전도성 고분자는 은 산화물이 은 나노입자로 환원되면서 디도핑되어 전기 전도성을 잃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수퍼 고체산은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의 환원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핑작용, 즉 도판트의 역할로서 풍부한 전자를 제공하여 전도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여 전도성 고분자가 분산제 및 은 입자 사이에서 전도성 접합제와 같은 역할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분산제(또는 안정제)를 별도로 제거하지 않고서도 우수한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수퍼 고체산은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전도성 고분자의 환원을 방지하고 동시에 도핑작용을 함께 할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은 이온 수용액, (ii) 0.01~0.5 mg/mL, 바람직하게는 0.05~0.2 mg/mL, 가장 바람직하게는 0.04~0.16 mg/mL의 전도성 고분자, (iii) 0.01~0.1 mg/mL, 바람직하게는 0.03~0.05 mg/mL의 환원제 및 (iv) 0.05 mg/mL 이상의 수퍼 고체산을 포함하는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도성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각각 은 입자의 분산이 충분하지 않아 은 입자의 응결현상으로 인하여 인쇄기의 노즐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은의 전기적 전도성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 전도도가 주로 나타나게 되어 전도성 고분자 수준의 전도도로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환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각각 전도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퍼 고체산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0.4 mg/mL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mg/mL 이상을 포함시키는 것이 전도도 향상 측면에서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하기 실시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도성 고분자의 비율과 은 산화물 비율 및 더불어 수퍼 고체산의 함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최종 조성물의 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도도 조절을 통해서, 높은 전도도가 요구되는 전자회로 분야 뿐만 아니라 낮은 전도도가 필요한 대전방지제 및 반도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은 이온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ii) 상기 은 이온 수용액에 0.01~0.5 mg/mL, 바람직하게는 0.04~0.16 mg/mL의 전도성 고분자 및 0.01~0.1 mg/mL, 바람직하게는 0.03 ~0.05 mg/mL의 환원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용액에 0.05 mg/mL 이상의 수퍼 고체산을 첨가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ii) 단계 다음에 용액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pH=3~5, 가장 바람직하게는 pH=4로 조절하는 것이 최종 수용액의 전도도 및 기타 물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자잉크 조성물로서, 특히 1.0~2.0 cp의 점도, 40~60 mN/m의 표면장력, 2.5~10 중량%의 은 함량을 가지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높은 해상도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상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150~250 Hz의 인쇄속도, 40~50 ℃의 온도, 35~55 V의 인쇄 전압, 0.05~0.1 m/s의 인쇄속도로 프린터를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 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증류수 10 mL에 AgNO3 0.3g을 녹여 은 이온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수용액에 PEDOT를 2 mL (약 0.2 mg에 해당)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호모제나이저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10% 하이드라진 0.5 mL를 천천히 첨가하고 추가적으로 6시간을 교반하여 검은 회색을 띄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검은 회색의 용액에 황산(H2SO4)로 pH=2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반응액에 페케스사 (PEKES, 핀란드)에서 구입한 나노 슈퍼 고체산(PEKES SI07) 10 mg을 첨가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수득된 은 콜로이드 용액의 전도도는 4.56×105 S/cm이었다.
실시예 2~7: 검은 회색 용액의 pH에 따른 전도도의 변화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검은 회색의 용액의 pH를 각각 4, 6, 8, 10, 12로 조절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득된 은 콜로이드 용액의 전도도는 각각 4.56×105, 3.56×105, 2.79×105, 5.69×104, 2.45×104 S/cm이었으며, pH=14로 조절한 경우에는 나노 슈퍼 고체산 10 mg을 첨가하여 3시간 교반한 후에도 침전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8~14: 수퍼 고체산의 함량에 따른 전도도의 변화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검은 회색의 용액의 pH를 4로 조절하고, 나노 수퍼 고체산의 양을 각각 0.1, 0.4, 0.8, 1.2, 1.6, 2.0, 2.4 mg 첨가함으로 써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득된 은 콜로이드 용액의 전도도는 각각 2.14×104, 9.67×104, 2.56×105, 2.19×105, 2.56×105, 2.74×105, 2.87×105 S/cm이었다.
실시예 15~19: 환원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전도도의 변화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노 수퍼 고체산의 양을 2.0 mg 첨가하고, 환원제의 종류와 양을 각각 37% 포름알데하이드 0.3 mL, 에틸렌글리콜 0.3 mL, 디에틸렌글리콜 0.3 mL, 트리에틸렌글리콜 0.3 mL,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 0.3 g으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득된 은 콜로이드 용액의 전도도는 각각 7.4×103, 1.8×104, 3.4×103, 2.8×103, 2.9×103 S/cm이었다.
실시예 21~23: 전도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전도도의 변화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PEDOT 대신에 각각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득된 은 콜로이드 용액의 전도도는 각각 3x103, 1.95×104, 1.53×10-3 S/cm이었다.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증류수 10 mL에 AgNO3 0.3 g을 녹여 은 이온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수용액에 폴리피롤 분산액 (3 wt%) 2 mL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호모제나이저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10% 하이드라진 0.5 mL를 천천히 첨가하고 추가적으로 6 시간을 교반하여 검은 회색을 띄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검은 회색의 용액에 황산(H2SO4)로 pH=4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슈퍼 고체산 2.0 mg를 첨가하고 3 시간 더 교반하였으며, 이 경우 전도도는 3.0 x103 S/cm이었다.
또한, 증류수 10 mL에 AgNO3 0. 3g을 녹여 은 이온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수용액에 폴리아닐린 분산액 (3 wt%) 2 mL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호모제나이저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10% 하이드라진 0.5 mL를 천천히 첨가하고 추가적으로 6 시간을 교반하여 검은 회색을 띄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검은 회색의 용액에 황산(H2SO4)로 pH=4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슈퍼 고체산 2.0 mg를 첨가하고 3 시간 더 교반하였으며, 이 경우 전도도는 1.53×104 S/cm이었다.
또한, 증류수 10 mL에 AgNO3 0.3 g을 녹여 이온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수용액에 폴리피롤리돈 1.2 g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호모제나이저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10% 하이드라진 0.5 mL를 천천히 첨가하고 추가적으로 6 시간을 교반하여 검은 회색을 띄는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이 경우 전도도는 1.53×10-3 S/cm이었다.
실시예 24~29: 전도성 고분자의 함량에 따른 전도도의 조절
PEDOT의 양에 따른 전도도의 변화를 주었을 때 전도성 고분자의 양이 많으면 많아질수록 잉크의 전도도는 고분자의 전도도 정도밖에 발현되지 않으며, 이는 은 나노 입자에 비해 고분자의 양이 많은 경우에 충분한 브리지 효과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음 표1은 전도성 고분자 량의 조절했을 경우에 나타난 결과이다. 반면, 전도성 고분자가 0.03 mg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은 입자 응결 현상이 발생하여 인쇄용 전자잉크로서는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4 25 26 27 1 28 29
전도성 고분자량 (mg/mL) 0.04 0.05 0.1 0.15 0.2 0.25 0.3
전도도 (S/cm) 1.5×105 2.14×105 3.25×105 3.59×105 4.56×105 2.13×102 2.13×102
비교예 1~7: 수퍼 고체산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증류수 10 mL에 AgNO3 0.3g을 녹여 은 이온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수용액에 PEDOT를 2 mL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호모제나이저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10% 하이드라진 0.5 mL를 천천히 첨가하고 추가적으로 6시간을 교반하여 검은 회색을 띄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검은 회색의 용액에 황산(H2SO4)로 pH가 각각 2, 4, 6, 8, 10, 12, 14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pH=6 및 pH=8일 때 각각 2.46×102 및 4.87×102 S/cm 정도의 낮은 전도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그 이외의 pH에서는 침전이 심하게 발생하여 전자잉크로 사용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8~14: 수퍼 고체산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비교예1~7과 같이 하되, PEDOT 대신에 PVP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pH=6 및 pH=8일 때 각각 2.74×102 및 4.52×102 S/cm 정도의 낮은 전도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그 이외의 pH에서는 침전이 심하게 발생하여 전자잉크로 사용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5~16: 수퍼 고체산을 사용하지 않고 고온의 소결처리를 한 경우
상기 비교예 10~11에서 얻어진 침전이 발생하지 않았던 은 콜로이드 용액을 200 ℃에서 5 분간 추가적으로 열처리를 수행하였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 전도도는 비교예 10~11의 전도도인 2.74×102 및 4.52×102 S/cm에서 거의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1
위 실시예1에서 제조한 은 콜로이드 용액의 점도 및 표면장력을 물과 계면활성제로 각각 조절하고, 추가적인 수식 없이 5 μm 기공의 필터를 통과하여 바로 사용가능한 잉크젯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잉크의 특성을 다음이 표2에 도시하였다.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라인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인쇄 패턴을 얻었으며, 이를 도1에 표시하였다.
점도 표면장력 은의 함량 액적 인쇄주파수 온도 인쇄 전압 인쇄 속도
1.3~1.4 cp 52 mN/m 2.5~10 wt% 36 pl 200Hz 50℃ 45 V 0.084 m/s
액적: Drop volume; 인쇄 주파수: Driving freqency; 인쇄 전압: Driving voltage 인쇄 속도: Printed velocity of the pixel
실험예2
얻어진 인쇄 패턴의 처음과 끝의 접촉저항을 측정결과를 80 ℃ 열처리 전후로 비교하여 표1에 도시 하였으며, 80℃ 열처리 전후의 표면 형태학을 AFM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2 및 도3에 도시하였다. 80 ℃ 열처리 전후의 인쇄된 패턴의 비저항 특성은 10-3~10-5 Ω·cm로서 열처리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인 1 라인 2 라인 3 라인 4 라인 5 라인 6 정육각형 정사각형
두께/길이 0.1/6 0.2/6 0.3/6 0.4/6 0.5/6 0.6/6 0.2/8.3×8
열처리 전 저항 44 24 18 11 9 8 310 212
열처리 후 저항 12 10 9 8 5 4 170 103
두께 및 길이의 단위: cm 저항의 단위: Ω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은 기판에 화학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수분산 잉크로서 잉크젯 전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10-5 Ωcm 미만의 비저항 범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고온소결 없이도 이러한 물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도도의 조절도 가능하다는 점에 본 발명의 우수성이 있다.

Claims (14)

  1. (i) 은 이온 수용액, (ii) 전도성 고분자, (iii) 환원제 및 (iv) 수퍼 고체산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중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수퍼 고체산은 다음의 구조식을 가지고 1~50 nm의 입자 크기를 지닌 물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화학식1]
    Figure 112007039232088-pat00007
  2. 제1항에 있어서, 0.05~0.2 mg/mL의 상기 전도성 고분자, 0.03~0.05 mg/mL의 상기 환원제 및 0.05~1 mg/mL의 상기 수퍼 고체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퍼 고체산은 0.4~1 mg/mL이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히드라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7. (i) 은 이온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ii) 상기 은 이온 수용액에 전도성 고분자 및 환원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용액에 수퍼 고체산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중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수퍼 고체산은 다음의 구조식을 가지고 1~50 nm의 입자 크기를 지닌 물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제조방법.
    [화학식1]
    Figure 112007039232088-pat00008
  8. (i) 은 이온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ii) 상기 은 이온 수용액에 전도성 고분자 및 환원제를 첨가하는 단계,
    (iii) 상기 용액의 pH를 3~5로 조절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용액에 수퍼 고체산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중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수퍼 고체산은 다음의 구조식을 가지고 1~50 nm의 입자 크기를 지닌 물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제조방법.
    [화학식1]
    Figure 112007039232088-pat00009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0.05~0.2 mg/mL의 상기 전도성 고분자, 0.03~0.05 mg/mL의 상기 환원제 및 0.05~1 mg/mL의 상기 수퍼 고체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퍼 고체산은 0.4~1 mg/mL이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히드라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제조방법.
  14. 제1항에 따른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점도가 1.0~2.0 cp, 표면장력이 40~60 mN/m, 은 함량이 2.5~10 중량%인 잉크젯 프린터용 전자잉크.
KR1020060033152A 2006-04-12 2006-04-12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9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152A KR100759251B1 (ko) 2006-04-12 2006-04-12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152A KR100759251B1 (ko) 2006-04-12 2006-04-12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251B1 true KR100759251B1 (ko) 2007-09-17

Family

ID=3873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152A KR100759251B1 (ko) 2006-04-12 2006-04-12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2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8896B2 (en) 2011-09-30 2015-11-17 Hewlett-Packard Indigo B.V. Electrostatic ink composition
WO2021028394A1 (en) * 2019-08-12 2021-02-18 Montanuniversität Leoben Ink composition, kit, method of manufacturing a deformable conductor utilizing the ink composition, deformable conductor,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deformable conductor,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or, conduct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condu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372A (ja) 2001-02-20 2002-08-27 Bando Chem Ind Ltd 金属コロイド液
JP2002294307A (ja) 2001-03-29 2002-10-09 Fujisawa Pharmaceut Co Ltd 金属コロイド液、その製造方法、導電性インク及び導電性被膜
WO2003038002A1 (en) 2001-11-01 2003-05-08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Ink-jet inks containing metal nanopartic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372A (ja) 2001-02-20 2002-08-27 Bando Chem Ind Ltd 金属コロイド液
JP2002294307A (ja) 2001-03-29 2002-10-09 Fujisawa Pharmaceut Co Ltd 金属コロイド液、その製造方法、導電性インク及び導電性被膜
WO2003038002A1 (en) 2001-11-01 2003-05-08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Ink-jet inks containing metal nanopartic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8896B2 (en) 2011-09-30 2015-11-17 Hewlett-Packard Indigo B.V. Electrostatic ink composition
WO2021028394A1 (en) * 2019-08-12 2021-02-18 Montanuniversität Leoben Ink composition, kit, method of manufacturing a deformable conductor utilizing the ink composition, deformable conductor,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deformable conductor,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or, conduct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conductor
GB2586450A (en) * 2019-08-12 2021-02-24 Montauniversitaet Leoben Ink Composition, kit, method of manufacturing a deformable conductor utilizing the ink composition, deformable conduct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821B1 (ko) 금속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패턴의 형성방법
KR101082146B1 (ko) 잉크젯 프린트용 잉크 및 상기 잉크에 사용되는 금속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0844861B1 (ko)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518146B (zh) 含有銀奈米顆粒之可印刷組成物,使用其製造導電塗層之方法及其製備之塗層
US7963646B2 (en) Ink-jet inks containing metal nanoparticles
KR100967371B1 (ko) 구리 미립자 분산액 및 그 제조 방법
US8506849B2 (en) Additives and modifiers for solvent- and water-based metallic conductive inks
US8481860B2 (en) Conductive paste containing silver-decorated carbon nanotubes
KR20100087112A (ko) 구리 미립자와 그 제조 방법 및 구리 미립자 분산액
Yin et al. Screen printing of silver nanoparticle suspension for metal interconnects
JP2005507452A5 (ko)
CN1840592A (zh) 用银钯合金纳米粒子制备印刷电路板的方法
JP2006321948A (ja) 金属微粒子分散液とそれを用いる金属被膜の形成方法
KR20120110554A (ko) 전도성 잉크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박막 제조 방법
KR100860446B1 (ko) 금속 나노 입자의 분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나노잉크
US9390830B2 (en) Conductive paste for screen printing
KR100759251B1 (ko) 전자잉크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11439B1 (ko) 나노 은 콜로이드를 이용한 잉크젯용 수계 전도성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전극 형성방법
KR101433639B1 (ko) 구리 나노 겔 조성물을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4123B1 (ko) 은 나노 젤을 이용한 전도성 잉크 제조
KR102237001B1 (ko) 투명전극용 금속 잉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0369A (ko) 금속 잉크 제조용 나노로드,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금속 잉크
KR20110079173A (ko) 롤투롤 직접 인쇄방식에 적용 가능한 저온 소성용 초저가 전도성 고분자 하이브리드 잉크
雍穎瓊 Copper Fine Particles for Electroconductive Materials
WO2022174244A1 (en) Conductive carbon nanotube-silver composite ink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