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904B1 -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904B1
KR100758904B1 KR1020050126132A KR20050126132A KR100758904B1 KR 100758904 B1 KR100758904 B1 KR 100758904B1 KR 1020050126132 A KR1020050126132 A KR 1020050126132A KR 20050126132 A KR20050126132 A KR 20050126132A KR 100758904 B1 KR100758904 B1 KR 10075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genre
genre
program
program name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555A (ko
Inventor
허지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904B1/ko
Priority to CNA2006101217020A priority patent/CN1893621A/zh
Publication of KR2007006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장르의 프로그램을 보다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장르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하는 장르 검색부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중에서, 상기 검색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구별하여 판단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채널별, 시간순서대로 디스플레이 시키면서,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장르의 프로그램들의 시간 중복 여부 및 겹치는 시간의 정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장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Description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The display device for having the function of emphasizing specific typ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리모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영상기기 202:입력부
203:장르 검색부 204:제어부
205: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있어 디지털 방송 시대로 접어 들면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상기 EPG라 함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신호와 함께 송신되고, 수신자는 별도의 셋탑박스(Set Top Box) 등을 통해 상기 EPG 정보를 수신 받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는 원할 경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 즉 EPG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보다 쉽게 설명하면, 일종의 텔레비젼 가이드(guide)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EPG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genre)에 관한 정보도 담겨져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EPG 정보 중에서, 어떤 프로그램이 어떤 장르에 속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영상기기에서 EPG 정보 중, 특히 장르별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디지털 텔레비젼의 경우, 장르 검색이란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기능을 실행시키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을 단순한 리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영상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 째, EPG 정보 중에서 장르별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기능을 실행시켜도, 채널별로 정리(sorting)된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 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장르의 프로그램들간 시작/종료 시간의 연관성이나, 겹치는 시간대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 째, 상기 기능이 빈번하게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르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리모컨 또는 로컬키(Local Key)의 버튼을 수 차례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르의 프로그램들간 시작/종료 시간의 연관성이나, 겹치는 시간대를 보다 수월하게 체크할 수 있어서, 특정 장르 검색 기능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시간대의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하여 해당 장르를 구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장르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하는 장르 검색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중에서, 일정시간 범위내에서 상기 검색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구별하여 판단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채널별 및 시간순서대로 디스플레이시키면서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른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글자색, 바탕색, 테두리색중 어느 하나를 다르게하여 서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 또는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명을 깜빡거리도록 설정한다.
상기 장르 검색부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되는 프로그램명들을 채널별, 시간순서대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 특정 장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하여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중에서, 일정시간 범위내에서 상기 검색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구별하여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채널별 및 시간순서대로 디스플레이시키면서 상기 판단에 따른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글자색, 바탕색, 테두리색중 어느 하나를 다르게하여 서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 또는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명을 깜빡거리도록 설정한다.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청/예약을 원하는 시간대에, 선호하는 장르의 프로그램이 채널별로 겹치는지, 또는 프로그램이 몇 시간 정도 겹치는지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요소간 제어신호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며, 영상기기에서 일반적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기본적 구성 요소 및 신호흐름은 생략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본적 구성요소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어도, 당업자라면 이러한 생략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를 도 2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영상기기(201)는 본 발명이 구현되는 장치로써, 후술할 입력부(202), 장르 검색부(203), 제어부(204),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5) 등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영상기기(201)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영상기기(201)는 PDP 텔레비젼, LCD 모니터, DMB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입력부(202)는 특정 장르를 선택하는 신호가 상기 영상기기(201)로 인가되도록 하는 UI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입력부(202)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리모컨, 또는 로컬키(Local Key)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컬키라 함은, 상기 영상기기(201)에 부착되어 있는 버튼으로 구성된 입력부를 의미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202)는 특정 장르를 선택하는 원-터치(one-touch) 버튼이 별도로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 포츠", "영화", "뉴스", "드라마" 등의 장르 버튼을 추가시켜서 리모컨을 구성한다면, 사용자로서는 수차례 버튼을 눌러서, 본인이 원하는 장르를 선택할 필요가 없어져서, 매우 편리한 효과가 기대된다.
상기 장르 검색부(203)는, 상기 입력부(202)를 통해 특정 장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방송 송신소로부터 전송되는 EPG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4)는, 일반적으로 한 화면에 출력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된 프로그램들 중에서, 상기 장르 검색부(203)에 의해 검색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구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화면에 출력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가 4시간 단위인 경우, 상기 4시간 범위 내에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그러하지 않은 프로그램명을 구별하는 것으로 족하다. 왜냐하면, 상기 4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는 출력할 수 없기 때문에, 굳이 상기 4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방송 프로그램이 특정 장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다. 다만, 상기 4시간이란 수치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5)는 채널별, 시간순서로 정렬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동시에 상기 제어부(204)에 의해 판단 된 특정 장르에 속하는 프로그램명을 특별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이 명확히 구별되고, 시간 중복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5, 그리고 6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정색 글씨로 표시하고, 반면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은 회색 글씨로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글자색은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두 종류의 프로그램명이 구별될 정도의 다른 색이라면 충분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이 표시되는 부분의 바탕색을,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이 표시되는 부분의 바탕색과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물론, 비단 색상으로 구별지을 것은 아니며, 음영 내지는 빗금 등으로 상기 두 종류의 프로그램명이 구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색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이 표시되는 부분의 테두리 영역을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굵은 선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그 반대로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이 표시되는 부분의 테두리 영역을 상기와 같이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의 글자, 바탕색 등이 깜빡거리도록 설정하여,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과 구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상기 전술한 도 2 내지 6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채널별/시간순으로 정렬된 프로그램명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701).
상기 디스플레이(S701) 과정에서, 특정 장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2).
상기 판단 결과(S702), 특정 장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독출할 수 있다(S703). 예를 들어, EPG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독출할 수도 있다.
상기 독출된 특정 장르의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 로그램명이 구별되도록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다(S704). 특히, 상기 출력된 화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S705)하여, 상기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수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르의 프로그램들간 시작/종료 시간의 연관성이나, 겹치는 시간대를 보다 수월하게 체크할 수 있어서, 특정 장르 검색 기능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정시간대의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하여 해당 장르를 구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검색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특정 장르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하는 장르 검색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중에서, 일정시간 범위내에서 상기 검색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구별하여 판단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채널별 및 시간순서대로 디스플레이시키면서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른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글자색, 바탕색, 테두리색중 어느 하나를 다르게하여 서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 또는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명을 깜빡거리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르 검색부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4. 방송되는 프로그램명들을 채널별, 시간순서대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
    특정 장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하여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중에서, 일정시간 범위내에서 상기 검색된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구별하여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채널별 및 시간순서대로 디스플레이시키면서 상기 판단에 따른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글자색, 바탕색, 테두리색중 어느 하나를 다르게하여 서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과,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 또는 상기 특정 장르에 해당되지 않는 프로그램명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명을 깜빡거리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7. 삭제
KR1020050126132A 2005-12-20 2005-12-20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5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132A KR100758904B1 (ko) 2005-12-20 2005-12-20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A2006101217020A CN1893621A (zh) 2005-12-20 2006-08-17 具有刻画特定类型功能的图像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132A KR100758904B1 (ko) 2005-12-20 2005-12-20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555A KR20070065555A (ko) 2007-06-25
KR100758904B1 true KR100758904B1 (ko) 2007-09-17

Family

ID=3759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132A KR100758904B1 (ko) 2005-12-20 2005-12-20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58904B1 (ko)
CN (1) CN18936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79B1 (ko) * 2007-07-09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정보 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CN101867751A (zh) * 2010-06-07 2010-10-2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电子节目筛选方法及电视播放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902B1 (ko) * 2002-04-15 2004-09-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티브이에서 장르별 프로그램 탐색 방법
KR20050005652A (ko) * 2003-07-07 200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902B1 (ko) * 2002-04-15 2004-09-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티브이에서 장르별 프로그램 탐색 방법
KR20050005652A (ko) * 2003-07-07 200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설정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479020000
102005000565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555A (ko) 2007-06-25
CN1893621A (zh)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2606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GB23483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channel searching in a TV wherein various channel attributes are displayed in pages of channel listings
US8339515B2 (en) Image signal generating apparatus, image signal generating method, and image signal generating program
EP1326434A2 (en) Digital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KR20100029537A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KR100758904B1 (ko)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50210503A1 (en) Remote control unit guide display
KR101361519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094683A1 (en) Method for changing/managing channels and broadcasting receiver
US20080115165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 channel list for each region
KR20100059639A (ko) 위젯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JP4240378B2 (ja) 放送受信装置
KR100269131B1 (ko) Epg정보를이용한채널선택장치및방법
US8122382B2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KR20060099182A (ko) 프로그램 권장 기능을 갖는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21566A (ko) 텔레비젼의 오디오 모드 제어 방법
KR10068988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KR101214165B1 (ko) Epg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70025590A (ko) 서브 채널 맵 생성을 이용한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0696106B1 (ko) Tv 및 그 제어방법
TWI416957B (zh) 接收系統與方法
KR101405939B1 (ko) 키워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20050122846A (ko) 텔레비전의 채널 설정 방법
JP2008085561A (ja) 表示装置
KR20000025971A (ko) 티브이의 선호채널 기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