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502B1 -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502B1
KR100758502B1 KR1020070052856A KR20070052856A KR100758502B1 KR 100758502 B1 KR100758502 B1 KR 100758502B1 KR 1020070052856 A KR1020070052856 A KR 1020070052856A KR 20070052856 A KR20070052856 A KR 20070052856A KR 100758502 B1 KR100758502 B1 KR 10075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oscillation
lowermost
ground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모
김순식
조형찬
유지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씨앤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씨앤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7005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00Sinking shafts
    • E21D1/03Sinking shafts mechanically, e.g. by loading shovels or loading buckets, scraping devices, conveying 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00Sinking shafts
    • E21D1/10Preparation of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로를 개복하지 않고 세미 쉴드 공법에 의해 상하수관을 시공할 때 상하수관의 추진공간 확보를 위한 케이싱의 크기를 최소로 하여도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는, 하단부에 비트가 구비되며 내부에 추진장치와 상하수관이 수용되는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상부에 연쇄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연결 케이싱(120), 상기 중간 연결 케이싱의 최상단부에 연결되어 지상으로 돌출되는 최상단 케이싱(130),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수관의 추진을 유도하는 발진입구블록(143)으로 이루어진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의 최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200)을 포함하고, 상기 발진입구블록은, 내부에 상기 상하수관이 추진되는 발진공이 구비되어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로 발진되는 발진부(141), 상기 발진부의 일측 단부에 확장 형성되어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내벽에 지지되는 지지턱(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하수도, 세미쉴드, 입갱, 케이싱

Description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ENTRANCE MACHINE FOR DRIVING WATERWORK PI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에 적용된 단위 케이싱의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에 적용된 단위 케이싱의 다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에 뚜껑이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과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에 적용된 뚜껑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케이싱, 110 : 최하단 굴착 케이싱
120 : 중간 연결 케이싱, 130 : 최상단 케이싱
200 : 뚜껑,
본 발명은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를 개복하지 않고 세미쉴드 공법에 의해 상하수관을 시공할 때 상하수관의 추진공간 확보를 위한 케이싱의 크기를 최소로 하여도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단위 케이싱들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 가스관, 통신관, 송유관 등 각종 관체를 지하에 매설할 때에는 그 관체의 매설깊이에 따라 지반을 굴착하는 방법으로 관체를 매설하고 있는데, 관체를 차량이나 기차가 통행하는 도로, 철도 등의 지하에 매설하기 위해 지반을 개구시킨 상태로 굴착하게 될 경우에는 교통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되며, 또한 굴착된 흙을 일단 공사현장에 쌓아 놓아야 하기 때문에 그 쌓아놓은 흙이 도로를 점거하게 되어 차량 통행을 방해하게 될 뿐 아니라 굴착된 흙이 공사현장 주변에 사방으로 흩어지게 되고, 또 굴토된 흙에 물기가 있을 경우에는 진흙탕물이 도로로 흘러서 공사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철도의 경우에 있어서는 공사기간동안에는 기차가 통행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지반을 굴착하여 관체를 매설한 다음 굴착된 지반을 굴토된 흙으로 되메우기를 한 후 다져주는 작업을 시행하더라도 그 되메워진 흙이 굴착하기 전 지반상태로 단단하게 다져줄 수 없기 때문에 지반굴착공법으로 관체를 매설한 지점의 지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져지면서 침하되는 현상이 나타나 통행하는 차량에 불편을 주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반굴착식 공법은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게 될 뿐 아니라 공사비가 많이 들게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은 지반굴착식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로의 양측에 웅덩이를 파낸 다음 그 웅덩이 안에서 관을 수평식으로 타입시키는 방법과, 유압으로 밀어넣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전자의 관 타입식은 강관을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압입시키는 방법으로서 점결력이 약한 점토질 등의 연약지반에 비교적 소직경의 강관을 타입시키는데 적용된 바 있으나, 해머의 타격방향에 따라 강관의 타입방향이 바뀌게 될뿐 아니라 타입되는 관은 지반의 저항(반력)이 약한 쪽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관이 매설하고자 하는 방향을 향해 똑바르게 타입되지 않고 삐뚤어진 방향으로 타입되는 등 오차가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제 관을 매설하는 공사현장에서는 관 타격식 공법을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직경이 크면 클수록 해머의 크기 및 중량도 그에 따라 커야 하기 때문에 초대형의 해머타격장비를 구비해야 한다는 것도 회피하는 이유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후자의 관 압입식 공법은 관을 유압실린더로 전진작동으로 밀어서 압입시키 는 방법으로서 이 또한 점결력이 약한 지반에 비교적 큰 직경(대략 600mm 이상)에 적용된 바 있으나, 이 역시 강관을 목표지점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정확하게 압입시키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강관의 압입작업이 매우 더디고 또 강관 내측으로 유입되는 흙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엎드린 상태로 강관 속으로 들어가 배토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배토작업이 매우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 배토된 흙을 처리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공사비는 비싸지고 공기는 더욱 길어 지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 세미쉴드(semi shelled) 공법이 있는데, 이는 관의 선단에 비트를 회전시키면서 물을 분사시키는 작동으로 흙을 굴토해 내면서 관을 밀어넣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하수도관을 매설할 구간의 시작과 종료 지점에 각각 추진공간을 확보한 후, 상기 추진공간 내부에 추진장치를 설치하여 이 추진장치를 통해 상하수도관을 추진함으로써 매설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세미쉴드 공법에서는 추진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추진공간을 반드시 확보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세미쉴드 공법에서 추진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므로 이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추진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입갱구축 방법으로는 지반을 굴토하여 추진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추진공간의 둘레부에 토류벽을 설치하는 방법, 추진공간을 갖는 케이싱을 지중에 박아 상기 케이싱 내부에 추진공간을 확보하는 방법 등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입갱구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최하단 원통형 케이싱의 둘레부에는 상하수관의 추진을 위한 발진입구가 형성된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원통형 케이싱(1)의 내부에는 발진공(2a)을 갖는 발진입구블록(2)이 갖추어진다. 예컨대, 원통형 케이싱(1)을 지중에 매설하고 그 내부의 토사를 배출한 후, 원통형 케이싱(1) 내부에 발진입구블록(2)과 추진장치(3)를 각각 설치한다. 이때, 발진입구블록(2)과 추진장치(3)와의 사이에는 매설될 상하수관(4)을 배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한다. 그러나, 발진입구블록(2)이 원통형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원통형 케이싱(1)의 크기(직경)이 커질 수밖에 없다. 즉, 원통형 케이싱(1)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원통형 케이싱(1)의 매설을 위한 전력이 커지며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하수관(4)의 매설깊이는 지반 여건, 주변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다수개(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가 연결되어 사용된다. 즉, 최하단 굴착 케이싱(1-1)을 회전 및 하강하여 지중에 매설하고, 최하단 굴착 케이싱(1-1)이 일정 깊이로가 매설되면 최하단 굴착 케이싱(1-1)에 용접 결합하여 제2단 케이싱(1-2)을 연결한 후 매설을 진행하며, 제2단 케이싱(1-2)이 일정 깊이로 매설되면 제3단 케이싱(1-3)을 용접 결합하여 상하수관(4)의 매설 깊이에 맞도록 케이싱(1)을 시공한다. 즉, 케이싱(1)을 구성하는 단위 케이싱(1-1,1-2,1-3)들이 용접 결합됨에 따라 상하수관(4)의 추진이 완료된 후 케이싱(1)을 지중에서 인출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따라서, 케이싱(1)을 그대로 지중에 매설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싱의 크기를 최소화하여도 케이싱 내부에 추진장치를 배치하여 상하수관을 무리없이 추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단위 케이싱을 연결하여 상하수관의 매설 깊이를 맞추며 케이싱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는, 하단부에 비트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최하단 굴착 케이싱,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상부에 연쇄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연결 케이싱, 상기 중간 연결 케이싱의 상부에 연결되는 최상단 케이싱,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내부에서 지중으로 발진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수관의 발진을 유도하는 발진입구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들은 체결구를 통해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들은 다수의 세그먼트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시공방법은, 최하단 굴착 케이싱 을 회전 및 가압하여 지중에 매설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최하단 굴착 케이싱 상부에 하나 이상의 중간 연결 케이싱을 연결하는 제2단계, 상기 중간 연결 케이싱 중 최상단 중간 연결 케이싱에 최상단 케이싱을 연결하는 제3단계, 발진입구블록을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내부에서부터 지중으로 발진하여 상기 발진입구블록을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함으로써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 내부 공간을 최대로 확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는, 다수의 단위 케이싱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최하단 단위 케이싱의 저부에 비트가 형성된 케이싱(100)과 케이싱(100)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다. 즉, 케이싱(10)은 최하단 단위 케이싱(110), 1개 이상(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의 중간 연결 케이싱(120) 및 최상단 단위 케이싱(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케이싱(100)을 구성하는 단위 케이싱(110,120,130)들은 각각 내부에 공간을 갖는 구조이며 동일한 외형을 갖는다.
최하단 단위 케이싱(110)은 케이싱(100)을 지중에 설치함과 아울러 추진장 치(3)를 통해 상하수관(4)을 가 장착되는 중요 부분으로서, 굴착을 위하여 최하단부에 둘레를 따라 비트(111)가 형성되고, 발진입구블록(140)이 갖추어진다.
발진입구블록(140)은 내부에 횡방향의 발진공(141a)이 구비되어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통공(112)을 관통하는 발진부(141) 및 발진부(141)의 일측 단부에 확장 형성되어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내벽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턱(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턱(142)은 발진입구블록(140)이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환형, 사각형 등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외부로 돌출된 발진입구블록(140)의 발진부(141)가 구조적으로 취약할 것이며,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발진부(141)의 둘레부에는 보호블록(143)이 갖추어진다. 보호블록(143)은 발진입구블록(140)의 발진부(141)를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통공(112)에 끼워 돌출되도록 한 후 지상에서 모르타르투입관(144)을 통해 발진부(141) 둘레부에 주입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발진입구블록(140)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면, 발진입구블록(140)이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외부로 돌출되면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을 지중에 매설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므로 통공(112)을 캡(113)으로 막아 폐쇄한 상태에서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을 지중에 설치한다.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통공(112)을 막고 있는 캡(113)을 제거한 후 발진입구블록(140)를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 내부에 삽입하여 발진부(141)를 통공(112)에 맞춘 후 발진하는 등의 방법으로 발진입구블록(140)을 설치한다. 이후, 모르타르투입관(144)을 지중의 발진 부(141) 근처에 삽입한 후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상기 모르타르가 발진부(141) 둘레부에서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보호블록(143)을 형성한다. 이로써, 발진입구블록(140)의 시공이 완료된다.
중간 연결 케이싱(120)은 상하수관(4)이 매설되는 깊이의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으로부터 지상의 최상단 케이싱(130)까지의 깊이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그 크기는 다양할 수 있으며, 사용 수량을 상하수관(4)의 매설 깊이에 따라 달라진다.
중간 연결 케이싱(120)은 그 상단이 지면보다 낮게(뚜껑(200)이 안착되는 높이) 배치될 때까지만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최상단 케이싱(130)이 연결된다.
최상단 케이싱(130)은 지상으로 돌출되도록 중간 연결 케이싱(12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케이싱(100)은 각 단위 케이싱(110,120,130)들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간 연결 케이싱(120)의 하단부에는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상단 일부분이 외접하는 이음부(121)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상단과 이음부(121)에는 서로 끼워져 중첩된 후 체결구(123)로 체결되는 결합편(114)과 결합홈(122)이 형성된다. 즉,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결합편(114)을 중간 연결 케이싱(120)의 결합홈(122)에 맞춰 끼우면 결합편(114)이 결합홈(122)에 끼워지면서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상단부가 중간 연결 케이싱(120)의 이음부(121)에 삽입되며, 결합편(114)과 결합홈(122)에 체결구(123)를 체결하면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과 중간 연결 케이 싱(120)이 조립된다.
지금까지는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과 중간 연결 케이싱(120)의 조립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중간 연결 케이싱(120)들 및 중간 연결 케이싱(120)과 최상단 케이싱(130)의 조립 구조 역시 동일하다.
케이싱(100)은 이상의 설명과 같이 하나의 통체로 구성될 수 있지만,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은 다수(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의 세그먼트(110A,110B)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조립을 위하여 각 세그먼트(110A,110B)의 마주하는 단부에는 서로 중첩되어 체결구(116)로 체결되는 연결부(115A,115B)가 구비된다.
도 7에서와 같이, 뚜껑(200)은 케이싱(100)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주물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저부에 안착턱이 형성되어 케이싱(100)의 상단 개구부에 안착된다. 뚜껑(200)은 케이싱(100)이 지중에 매설되어 맨홀로 사용되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뚜껑(200)이 사용될 경우 최상단 케이싱(130)을 제거하고 중간 연결 케이싱(120)의 상단 개구부에 뚜껑(200)을 안착한다.
뚜껑(200)은 도 8에서와 같이, 저부에 안착턱(211)이 형성되어 케이싱의 상단 개구부에 안착되며 도중에 작업구(212)가 형성된 본체(210), 본체(210)의 작업구(212)를 개폐하는 보조 뚜껑(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9에서처럼, 본체(210)는 2개의 세그먼트(210A,210B)로 분할될 수도 있다.
케이싱(10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관 형태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판재가 절곡되어 이루어진 시트 파일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 최하단 굴착 케이싱 시공. 상술한 구조의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을 미도시된 공지의 매설기(항타기)에 의해 회전 및 가압(기존 매설기(항타기) 이용)하여 지중에 매설한다.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상단부에 중간 연결 케이싱(120)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연결작업을 감안하여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일부분이 지상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 내부의 토사를 외부로 제거하여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시공을 완료한다.
(S20) 중간 연결 케이싱 시공. 상기 단계에 의해 시공된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 상부에 중간 연결 케이싱(120)을 연결하며, 그 작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중간 연결 케이싱(120)은 상하수관의 매설 깊이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며, 최상단 굴착 케이싱(110)과 중간 연결 케이싱(120)의 연결방법 및 중간 연결 케이싱(120)들의 연결방법은 서로 동일한다. 중간 연결 케이싱(120)의 연결이 완료되면 케이싱 조립체(110,120)를 회전 및 가압하여 매설한다.
(S30) 최상단 케이싱 시공. 중간 연결 케이싱(120)의 상단부에 최상단 케이싱(130)을 연결한 후, 토사를 제거한다. 이로써 케이싱(100)의 시공이 완료되며 그 내부에는 추진공간이 확보된다.
(S40) 발진입구블록 시공. 발진입구블록(140)을 케이싱(100) 내부에 삽입하여 발진부(141)를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통공(112)(캡(113)이 제거된 상태)에 맞춰 외측으로 발진하면 발진부(141)가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 외부로 발진되며, 발진입구블록(140)의 지지턱(142)이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에 내접할 때까지 발진입구블록(140)을 발진한다. 이렇게 되면 발진입구블록(140)의 지지턱(142)의 두께만큼만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 내부 공간을 점유함에 따라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발진입구블록(140)의 발진부(141)는 최하단 굴착 케이싱(110)의 외부에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큰 토압이 전가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호블록(143)을 시공한다. 발진입구블록(143)은 지중에 매설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호블록(143)의 시공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즉, 발진부(141)의 근처에 모르타르 투입관(144)을 삽입한 후, 모르타르를 주입하면 상기 모르타르가 점도를 갖기 때문에 지중으로 퍼지지 않고 발진부(141) 둘레부에서 경화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의 시공이 완료되며, 케이싱(100) 내부에 추진장치(3)를 설치한 후 상하수관을 지중에 추진하여 관로를 시공한다.
상하수관(4)의 시공이 완료되면 케이싱(100)을 매설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매설하는 경우 최상단 케이싱(130)과 중간 연결 케이싱(120)을 연결하는 체결구를 풀어 최상단 케이싱(130)을 분리하고, 중간 연결 케이싱(120)의 상단 개구부 에 뚜껑(200)을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관로의 보수가 필요할 경우 뚜껑 본체(210)는 그대로 두고 보조뚜껑(220)만 제거하여 작업구(212)를 개방함으로써 케이싱(100) 내부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에 의하면, 상하수관을 케이싱에서부터 지중에 추진할 때 유도하기 위한 발진입구블록이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외부에 설치되어 최하단 굴착 케이싱 내부 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므로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케이싱을 지중에 시공하기 위한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의 마주하는 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케이싱을 상하수관의 매설 깊이만큼 시공할 때 케이싱을 끼움식으로 결합함과 아울러 체결구를 체결함으로써 케이싱을 조립할 수 있고, 반대로 케이싱의 해체시 체결구만 분리한 후 케이싱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상하수관의 추진이 완료된 후 케이싱을 그대로 지중에 매설하고, 뚜껑을 통해 개구부를 개폐함으로써 상하수관을 유지보수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고, 중량이 가벼운 보조 뚜껑을 통해 작업구의 개폐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하단부에 비트가 구비되며 내부에 추진장치와 상하수관이 수용되는 최하단 굴착 케이싱,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상부에 연쇄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연결 케이싱, 상기 중간 연결 케이싱의 최상단부에 연결되어 지상으로 돌출되는 최상단 케이싱,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수관의 추진을 유도하는 발진입구블록으로 이루어진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최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발진입구블록은, 내부에 상기 상하수관이 추진되는 발진공이 구비되어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둘레부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는 발진부, 상기 발진부의 일측 단부에 확장 형성되어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내벽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턱, 상기 발진부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보호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 중간 연결 케이싱 및 최상단 케이싱의 마주하는 단부 중 어느 일측에는 단차진 이음부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케이싱과 끼워 결합되면서 체결구를 통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케이싱의 최상단 개구부 에 안착되며 작업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작업구를 개폐하는 보조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4.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캡에 의해 폐쇄된 통공이 형성된 통구조이며 하단부에 비트가 구비된 최하단 굴착 케이싱을 회전 및 가압하여 일부분이 지상으로 돌출될 때까지 지중에 매설하면서 상기 공간 내부의 토사를 제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해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일부분이 지상으로 돌출되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중간 연결 케이싱의 하단부를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 상단부에 끼워 결합함과 아울러 체결구를 체결하여 연결한 후 이 케이싱을 회전 및 가압하여 매설하고 토사를 제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해 지상으로 돌출된 상기 중간 연결 케이싱의 상단부에 최상단 케이싱을 연결한 후 회전 및 가압하여 매설하고 토사를 제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캡을 제거한 후 관형의 발진부와 지지턱으로 이루어진 발진입구블록을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턱이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에 내접하도록 상기 발진부를 상기 최하단 굴착 케이싱의 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발진하여 발진입구블록을 시공한 후 상기 발진부의 둘레부에 보호블록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는 지중으로 발진된 상기 발진부의 둘레 부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상기 보호블록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시공방법.
KR1020070052856A 2007-05-30 2007-05-30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758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856A KR100758502B1 (ko) 2007-05-30 2007-05-30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856A KR100758502B1 (ko) 2007-05-30 2007-05-30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502B1 true KR100758502B1 (ko) 2007-09-14

Family

ID=3873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856A KR100758502B1 (ko) 2007-05-30 2007-05-30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5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789B1 (ko) 2015-07-24 2016-05-12 (유)로뎀건설 연약지반의 소구경 하수관 매설 공법
KR101660319B1 (ko) * 2016-02-05 2016-09-27 권득윤 항공등화용 철재홀
KR101953192B1 (ko) * 2018-10-22 2019-02-28 주식회사 진평 케이싱 재활용이 가능한 직진유지성 세미쉴드 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762A (ko) * 2000-01-10 2001-07-23 위성길 지중 매설용 관로의 추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762A (ko) * 2000-01-10 2001-07-23 위성길 지중 매설용 관로의 추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789B1 (ko) 2015-07-24 2016-05-12 (유)로뎀건설 연약지반의 소구경 하수관 매설 공법
KR101660319B1 (ko) * 2016-02-05 2016-09-27 권득윤 항공등화용 철재홀
KR101953192B1 (ko) * 2018-10-22 2019-02-28 주식회사 진평 케이싱 재활용이 가능한 직진유지성 세미쉴드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502B1 (ko) 상하수관 추진용 입갱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618597B1 (ko) 인너튜브와 콘크리트 오름방지장치를 사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AU2015349623A1 (en) Construction screw pile
KR20170059150A (ko) 논리턴밸브조립체 삽입유도관 일체형의 오버랩 원통부재와 이를 이용한 주열식 차수벽 시공방법
JP3776987B2 (ja) マンホール壁兼用筒状体を用いた立坑構築方法
KR102013529B1 (ko) 지하수 유입밸브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내관이 사용된 연약지반의 소구경 하수관 매설 공법
KR20130002797A (ko) 희생강관 회수용 강관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말뚝시공 방법
KR101025574B1 (ko) 수직구 굴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시설의 시공방법
KR101368999B1 (ko) 관거매설공의 보강이 가능한 관거 추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 시공 공법
KR101047257B1 (ko) 복합시트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조성공법
KR100632971B1 (ko) 자주식 선단부 추진형 장거리 흄관 추진공법 및 그 장치
AU2016100944B4 (en) Construction Screw Pile
JP4323075B2 (ja) 立坑の開口部構造
JP4086400B2 (ja) 推進用立坑、その構築方法及び推進工法
JP6009294B2 (ja) 鋼製円形ケーシングを用いたマンホール構築方法
KR200375610Y1 (ko) 인너튜브와 콘크리트 오름방지장치를 사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CN114703848B (zh) 一种旧桩拔除方法
US118673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capsulating in-ground asbestos concrete pipe
JP5161948B2 (ja) 推進工法
CN217651789U (zh) 一种滑销式旧桩拔除装置
JP2006063526A (ja) 摩擦杭を用いた拡大根固め方法
JP2010126998A (ja) 地盤変状防止方法及び地盤変状防止構造
JP4024400B2 (ja) 限定領域に於ける立坑構築方法
JP2007218061A (ja) 余裕幅無プレキャストボックスカルバート土留開削工法
KR101711393B1 (ko) 개폐형 싱글 케이싱을 이용하여 대단면 형강이 적용되게 한 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