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025B1 - Work conveyance device - Google Patents

Work conveyan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025B1
KR100757025B1 KR1020050059694A KR20050059694A KR100757025B1 KR 100757025 B1 KR100757025 B1 KR 100757025B1 KR 1020050059694 A KR1020050059694 A KR 1020050059694A KR 20050059694 A KR20050059694 A KR 20050059694A KR 100757025 B1 KR100757025 B1 KR 100757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workpiece
atmospheric
suction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49815A (en
Inventor
도모유키 고지마
세이지 요시자와
겐지 미즈노
아키히사 고다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ublication of KR2006004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8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work) 수납 홈으로의 워크 장전율이 변동해도 워크 수납구 내의 흡인 압력의 변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워크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which can stabilize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suction pressure in a workpiece storage opening, even if the workpiece loading rate to a workpiece storage groove | channel changes.

워크 반송 장치는 테이블 베이스(2)와, 테이블 베이스(2)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워크 수납 홈(4)이 설치된 반송 테이블(3)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 베이스(2)의, 반송 테이블(3) 측의 면에 고리 형상 부압 홈(9)이 설치되고, 반송 테이블(3)의, 테이블 베이스(2) 측의 면에 흡인 홈(5)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 베이스(2)에 흡인 홈(5)에 연통하는 고리 형상 대기 홈(11)과, 대기측에 연통하는 제 1 대기 도입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table base 2 and the conveyance table 3 arrange | positioned rotatably on the table base 2, and the some workpiece storage groove 4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edge.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provided in the surface of the table base 2 at the side of the conveyance table 3, and the suction groove 5 is provided in the surface of the table base 2 side of the conveyance table 3. It is. The table base 2 is provided with an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groove 5 and a first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tmospheric side.

워크, 워크 반송 장치, 대기 도입 구멍, T-조인트 Work piece, work conveying device, atmosphere introduction hole, T-joint

Description

워크 반송 장치{WORK CONVEYANCE DEVICE}WORK CONVEYANC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반송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워크 반송 장치의 부분 단면도.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반송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work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반송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의 워크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ork conveying device.

도 6은 워크 장전율에 대한 흡인 압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uction pressure with respect to work loading rat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워크 반송 장치 1: work conveying device

2: 테이블 베이스 2: table base

3: 반송 테이블 3: bounce table

4: 워크 수납 홈 4: work storage groove

5: 흡인 홈 5: suction groove

6: 워크 공급부 6: workpiece supply

7: 측정부 7: measuring unit

8: 배출부8: outlet

8a: 배출 구멍8a: exhaust hole

9: 고리 형상 부압 홈9: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10: 흡인 연통 구멍10: suction communication hole

11: 고리 형상 대기 홈11: annular atmospheric groove

12: 제 1 대기 도입 구멍12: first atmospheric inlet hole

13: 제 2 대기 도입 구멍13: second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

14: 진공 배관14: vacuum tubing

14a: 진공 발생원14a: vacuum generating source

15: T-조인트(joint)15: T-joint

16: 유량 조정 수단16: flow adjustment means

17: 대기 도입관 17: Atmosphere Introduction

w: 워크w: walk

본 발명은 반송 테이블에 설치된 복수의 워크 수납 홈에 워크를 흡인 유지하여 반송하는 워크 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워크 수납 홈으로의 워크의 장전율(裝塡率)이 변동해도 워크 수납 홈 내의 흡인 압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워크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conveying apparatus for sucking and holding a workpiece in a plurality of workpiece storage grooves provided in the conveying table, and in particular, suction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even when the loading factor of the workpiece into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varies. It is related with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which can stabilize a pressure.

종래부터 워크(전자 부품)를 흡인하면서 반송하는 워크 반송 장치로서, 일본 국 특개소54-126719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58-16971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8-136463호 공보 등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워크 반송 장치는 복수의 워크를 동시에 흡인하여 반송하는 것이다.Background Art As a work conveying device which conveys a workpiece (electronic component) while suctioning, it is known that it is shown in JP-A-54-126719, JP-A-58-16971, JP-A-8-136463, and the like. have. These workpiece | work conveying apparatus attracts and conveys several workpiece | work simultaneously.

이와 같이, 워크를 동시에 복수 흡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최근 워크의 고정밀도화에 따라, 예를 들면, 워크의 분류기라면 더욱 흡인 대상 개수가 증가한다. 또한, 워크의 반송 도중에 워크는 측정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소정 개소에서 많은 워크가 배출된다. 따라서, 워크 반송 장치의 흡인 압력의 변동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하, 그 흡인 압력의 변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suck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the number of objects to be sucked increases further, for example, with a work sorter,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precision of the workpieces. In addition, the workpiece | work is measured during the conveyance of a workpiece | work, and many workpiece | work is discharged | emitted in a predetermined location based on the result. Therefore,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suction pressure of a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may become large. Hereinafter, the variation of the suction pres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종래의 워크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워크 반송 장치의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장전했을 때의 워크 장전율에 대한 흡인 압력의 변동을 나타낸 것이다.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ork conveying device, and FIG. 6 shows a variation in suction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work loading rate when the work is loaded into the work receiving groove of the work conveying device of FIG. 5.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반송 장치는 테이블 베이스(2)와, 테이블 베이스(2)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워크 수납 홈(4)이 설치된 반송 테이블(3)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 베이스(2)에는 진공 배관(14)을 통하여 진공 발생원(14a)에 연통(連通)되는 고리 형상 부압(負壓) 홈(9)이 설치되고, 또한 반송 테이블(3)에는 워크 수납 홈(4)과 고리 형상 부압 홈(9)을 연통하는 흡인 홈(5)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table base 2 and the conveyance table 3 rotatably provided on the table base 2, and the several workpiece storage groove 4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edge. Doing. The table base 2 is provided with an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which communicates with the vacuum generating source 14a via the vacuum pipe 14, and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3 is provided on the conveyance table 3. A suction groove 5 communicating with 4) and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provided.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 부압 홈(9)은 테이블 베이스(2)에 깎아 설치되고, 이 고리 형상 부압 홈(9)은 복수의 흡인 연통 구멍(10)을 통하여 부압 흡인 수단인 진공 발생원(14a)에 연통하는 진공 배관(14)에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cut into the table base 2, and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a vacuum generating source that is a negative pressure suction means through a plurality of suction communication holes 10. It is connected to the vacuum piping 14 which communicates with 14a.

도 5에 나타내는 워크 반송 장치에서의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흡인 압력 p에 대해서,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도 6은 워크 수납 홈(4)에 워크(w)가 전혀 장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장전율 0%)로부터 모든 워크 수납 홈(4)에 워크(w)가 장전된 상태(장전율 100%)에 대응하는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흡인 압력 p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The suction pressure p in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n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shown in FIG. 5 is demonstrated by FIG.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workpiece w is loaded in all the work storage grooves 4 from the state in which the workpiece w is not loaded at all in the work storage groove 4 (loading rate of 0%) (loading ratio of 100%). An example of the suction pressure p in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corresponding to FIG.

워크 수납 홈(4) 내에 워크(w)가 전혀 장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흡인 압력을 워크(w)의 흡인이 가능한 최저한의 흡인 압력 P1으로 설정하면, 워크(w)의 장전에 의해 빈 워크 수납 홈(4)이 감소한 경우, 흡인 압력 P가 급격하게 상승한다.When the suction pressure is set to the lowest suction pressure P 1 at which suction of the workpiece w is possible while the workpiece w is not loaded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at all, the empty workpiece is stored by the loading of the workpiece w. When the groove 4 decreases, the suction pressure P rises rapidly.

다음에, 모든 워크 수납 홈(4)에 워크(w)가 장전되면 흡인 압력이 부압 공급 수단인 진공 발생원(14a)의 공급 능력 또는 부압 조정기에 의해 설정된 최고 부압력 P2에 달하고, 최저 부압력 P1과 최고 부압력 P2의 차이가, 예를 들면, 몇 배로 되는 압력 변동이 발생한다.Next, when the workpiece w is loaded in all the work storage grooves 4, the suction pressure reaches the maximum negative pressure P 2 set by the supply capacity of the vacuum generating source 14a serving as the negative pressure supply means or the negative pressure regulator, and the minimum negative pressure A pressure fluctuation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P 1 and the maximum negative pressure P 2 is multiplied, for example, occurs.

이와 같이, 워크 장전율이 증가하여 부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면 워크 수납 홈(4) 내에서 워크(w)의 흡인력이 증가하여, 배출부에서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work load ratio increases and the negative pressure increases rapidly, the suction force of the workpiece w increases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thereby ensuring that the workpiece w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is discharged. Can not be discharged.

한편, 배출부에서, 최고 부압력 P2에서도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가 충분히 배출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외력으로서 워크를 향하여 분사하는 배출 에어 압력을 설정하면, 최저 부압력 P1 근방에서는 워크 수납 홈(4) 내에서 워크(w)의 흡착력에 비해 배출 압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워크를 급격하게 비산시켜 워크(w)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흡인 압력의 변동에 의해 반송 테이블(3)과 테이블 베이스(2) 사이의 간극의 흡인력이 크게 변하고, 반송 테이블(3)과 테이블 베이스(2) 사이의 마찰이 발생 또는 증대하여 반송 테이블(3)의 회전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scharge portion, the top portion pressure P 2 in so that the work (w) in the workpiece accommodating groove 4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for example, setting the exhaust air pressure for ejecting toward the workpiece as the external force, the lowest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pressure P 1 , the discharge pressure may be too strong in the workpiece accommodating groove 4 as compared with the suction force of the workpiece w, and the workpiece may be suddenly scattered to damage the workpiece w. Moreover, the suction force of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conveyance table 3 and the table base 2 changes with the fluctuation of the suction pressure in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conveyance table 3 and the table base 2 is carried out. This may occur or increase, and rotation of the conveyance table 3 may become unstable.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워크의 장전 및 배출을 행한 경우라도 워크 수납 홈 내의 흡인 압력의 변동을 작게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안정된 흡인 압력으로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흡인하여 장전할 수 있으며, 이 워크를 워크 수납 홈 내에 유지하여 반송하고, 또한 워크 수납 홈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워크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and even when the work is loaded and discharged, the variation in suction pressure in the work storage groove can be reduced, thereby sucking the work in the work storage groove with a stable suction pressure to load the wor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ork conveying apparatus capable of holding and conveying the work in the work storage groove and stably discharging it from the work storage groove.

본 발명은 테이블 베이스와, 테이블 베이스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워크 수납 홈이 설치된 반송 테이블을 구비하고, 테이블 베이스의 반송 테이블에 근접하는 면에 진공 배관을 통하여 진공 발생원에 연통하는 고리 형상 부압 홈이 설치되고, 반송 테이블의 테이블 베이스에 근접하는 면에 각 워크 수납 홈과 고리 형상 부압 홈을 연통하는 흡인 홈이 설치되며, 흡인 홈에, 대기측에 연통하는 대기 급기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base and a conveying table rotatably disposed on the table bas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ork receiving grooves at the circumferential edge thereof, and communicating with a vacuum generating source through a vacuum pipe on a surface proximate to the conveying table of the table base.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to be provided is provided, and the suction groove which communicates each workpiece storage groove and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is provided in the surface which adjoins to the table base of a conveyance table, and the atmospheric air supply means connected to an atmospheric side is provided to the suction groove. It is a work convey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은, 대기 급기 수단은 테이블 베이스에 설치되어 흡인 홈과 연통하는 고리 형상 대기 홈과, 고리 형상 대기 홈과 대기측을 연통하는 제 1 대기 도입 구 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이다.The air supply means is a work conveying apparatus which is provided in the table base and has an annular atmospheric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groove, and a first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and the atmospheric side. .

본 발명은, 대기 급기 수단은 반송 테이블에 설치되어 흡인 홈과 대기측을 연통하는 제 2 대기 도입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이다.This invention is a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atmospheric air supply means provided in the conveyance table, and has a 2nd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 which communicates a suction groove and an atmospheric side.

본 발명은, 대기 급기 수단은 진공 배관에 접속되고, 대기측에 연통된 대기 도입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이다.This invention is a work convey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tmospheric air supply means having an atmospheric inlet pipe connected to the vacuum piping and connected to the atmospheric side.

본 발명은 대기 도입관에 유량 조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이다.This invention is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flow volume adjusting means in the atmospheric inlet pip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반송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and 2 are diagrams showing one embodiment of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반송 장치(1)는 테이블 베이스(2)와, 테이블 베이스(2) 위에 매우 약간의 간극을 갖고 근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워크 수납 홈(4)이 설치된 반송 테이블(3)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work conveying apparatus 1 is installed on the table base 2 and the table base 2 so as to be rotatable in close proximity with each other, and has a plurality of workpieces on the circumferential edge thereof. The conveyance table 3 provided with the storage groove 4 is provided.

또한, 테이블 베이스(2)의, 반송 테이블(3)에 근접하는 면에 고리 형상 부압 홈(9)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리 형상 부압 홈(9)은 테이블 베이스(2)에 설치된 복수의 흡인 연통 구멍(10)에 연통되고, 각 흡인 연통 구멍(10)은 진공 배관(14)을 통하여 진공 발생원(14a)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반송 테이블(3)의, 테이블 베이스(2)에 근접하는 면에 각 워크 수납 홈(4)과 고리 형상 부압 홈(9)을 연통하는 흡인 홈(5)이 설치되고, 이 흡인 홈(5)에 의해 워크 수납 홈(4) 내부가 부압으로 유 지되도록 되어 있다.Moreover,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provided in the surface which adjoins the conveyance table 3 of the table base 2.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suction communication holes 10 provided in the table base 2, and each suction communication hole 10 communicates with the vacuum generating source 14a through the vacuum pipe 14. It is. Moreover, the suction groove 5 which communicates each workpiece storage groove 4 and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provided in the surface which adjoins the table base 2 of the conveyance table 3, and this suction groove ( 5) the inside of the work receiving groove 4 is maintained at a negative pressure.

흡인 홈(5)은 반송 테이블(3)의 워크 수납 홈(4)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리 형상 부압 홈(9)에 연통된 후, 내측을 향하여 더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 홈(5)의 내측 끝은 테이블 베이스(2)에 설치된 고리 형상 대기 홈(11)에 연통되어 있다. 이 고리 형상 대기 홈(11)은 테이블 베이스(2)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을 통하여 대기측에 연통되어 있다.The suction groove 5 extends radially from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of the conveying table 3 toward the center to communicate with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and then further extends inward. The inner end of the suction groove 5 communicates with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provided in the table base 2.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communicates with the atmospheric side via a plurality of first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s 12 passing through the table base 2.

또한, 고리 형상 대기 홈(11)과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에 의해 대기 흡기 수단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tmospheric air intake means is constituted by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and the first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 12.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공급 수단(6a)에 의해 워크 공급부(6)로부터 워크 수납 홈(4)에 공급된 워크(w)는 워크 수납 홈(4) 내에 흡인 유지되고, 반송 테이블(3)에 의해 회전 반송되는 과정에서, 측정부(7)에서 전기적 특성이 측정된다. 그 후,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는 배출부(8)에서 전기적 특성에 따른 배출 구멍(8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 1, the workpiece | work w supplied to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from the workpiece supply part 6 by the workpiece supply means 6a is hold | maintained and suctioned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and the conveyance table 3 is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rotation conveyance by),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is measured in the measuring unit (7). Thereafter, the workpiece w in the work receiving groove 4 is discharged outward from the discharge hole 8a according to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 the discharge portion 8.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테이블(3)에 설치된 복수의 워크 수납 홈(4)은 각각 흡인 홈(5)을 통하여 부압 공급 수단인 고리 형상 부압 홈(9)에 연통되고, 또한 흡인 홈(5)은 대기 급기 수단인 고리 형상 대기 홈(11)에 연통되어 있다. 고리 형상 부압 홈(9) 및 고리 형상 대기 홈(1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 베이스(2)에 깎아 설치되고, 원형의 반송 테이블(3)과 동심(同心)을 이루는 동심원의 고리 형상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work receiving grooves 4 provided in the conveying table 3 communicate with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serving as the negative pressure supply means through the suction groove 5, respectively, and further, the suction groove 5. Is communicated with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which is air supply means. As shown in FIG. 2,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and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are formed in the table base 2, and are formed in a concentric circle which is concentric with the circular conveyance table 3. It consists of an annular groove.

이 중, 고리 형상 부압 홈(9)은 테이블 베이스(2)를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흡인 연통 구멍(10)에 나사 결합된 진공 배관(14)을 통하여 진공 발생원(14a)에 접속되고, 대기 흡기 수단인 고리 형상 대기 홈(11)은 테이블 베이스(2)를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에 의해 대기 개방되어 있다.Among these,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connected to the vacuum generating source 14a via a vacuum pipe 14 screwed into a plurality of suction communication holes 10 provided through the table base 2, and the atmospheric intake air.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which is a means, is opened to the atmosphere by a plurality of first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s 12 provided through the table base 2.

또한, 흡인 홈(5)은 반송 테이블(3)의 테이블 베이스(2)와 대향하는 하면(下面)에 워크 수납 홈(4)마다 깎아 설치된 미소 단면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워크 수납 홈(4)으로부터 고리 형상 부압 홈(9) 및 고리 형상 대기 홈(11)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Moreover, the suction groove 5 consists of the groove | channel of the micro cross section cut in every work storage groove 4 in the lower surface which opposes the table base 2 of the conveyance table 3, and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Extending radially from the ring toward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and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다음에,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 워크 공급 수단(6a)으로부터 워크 공급부(6)에 공급된 워크(w)는 반송 테이블(3)의 워크 수납 홈(4) 내에 순차적으로 장전되고, 워크 수납 홈(4) 내에서 고리 형상 부압 홈(9)에 연통된 흡인 홈(5)의 부압에 흡인되어 유지된다. 그 후,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는 반송 테이블(3)의 회전(화살표 방향)에 따라 반송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FIG. 1, the workpiece | work w supplied from the workpiece supply means 6a to the workpiece supply part 6 is sequentially loaded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of the conveyance table 3, and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The suction is maintained b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suction groove 5 in communication with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Then, the workpiece | work w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is convey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rrow direction) of the conveyance table 3.

그 후, 측정부(7)에서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에 대하여 전기적 측정이 행해지고, 이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워크 수납 홈(4) 내의 워크(w)는 배출부(8)의 배출 구멍(8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출된다.Thereafter, electrical measurement is performed on the workpiece w in the workpiece accommodating groove 4 in the measuring unit 7, and the workpiece w in the workpiece accommodating groove 4 is discharge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Is discharged outward from the discharge hole 8a.

다음에, 이 사이의 워크 수납 홈(4) 내의 압력 변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반송 테이블(3)의 워크 수납 홈(4)에 워크(w)가 장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흡인 홈(5)의 외측 단부는 워크 수납 홈(4) 내에서 대기 개방되어 있고, 내측 단부는 고리 형상 대기 홈(11)에 연통되어 대략 대기 개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 이, 고리 형상 부압 홈(9)은 흡인 홈(5)의 대기 개방되어 있는 외측 단부와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흡인 연통 구멍(10)에 나사 결합된 진공 배관(14)을 통하여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공기가 흡인되어 부압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복수의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을 통하여 대기 개방된 고리 형상 대기 홈(11) 내부의 기압은 워크 수납 홈(4)의 대기압에 비해 약간 낮아진다. 또한, 흡인 홈(5)에 의해 직선적으로 대기 개방되어 있는 워크 수납 홈(4)에 대하여, 고리 형상 대기 홈(11) 측의 흡기 방향은 흡인 홈(5)과 직각 방향으로 되는 것과 더불어,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은 흡인 홈(5)에 비해 수가 적고 또한 단면적이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워크 수납 홈(4) 측의 통기(通氣) 저항에 비해 고리 형상 대기 홈(11) 측의 통기 저항이 커진다. 이 때문에, 고리 형상 부압 홈(9)에는 주로 워크 수납 홈(4) 측으로부터 대기가 흡기되고, 워크(w)가 워크 수납 홈(4)에 흡인되기 쉽게 되어 있다.Next, the pressure fluctuations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therebetween will be described. In the state where the workpiece w is not loaded into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of the conveyance table 3, the outer end of the suction groove 5 is open to the atmosphere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and the inner end thereof has a loop. It communicates with the shape atmospheric groove 11, and is substantially open | released. As shown in FIG. 2,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open end and the inner end of the suction groove 5, and the vacuum pipe 14 is screwed into the suction communication hole 10. The air in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sucked through and to make the negative pressure. At this time, the air pressure inside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open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s 12 is slightly low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of the work receiving groove 4.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which is linearly opened to the air by the suction groove 5, the intake direction on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side become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ction groove 5, and 1 Since the air inlet 12 has a smaller number than the suction groove 5 and does not have a large cross-sectional area, the ventilation resistance at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side is larger than the ventilation resistance at the work storage groove 4 side. Will grow. For this reason, air | atmosphere is inhaled mainly in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from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side, and the workpiece | work w becomes easy to be attracted to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반송 테이블(3)의 워크 수납 홈(4) 내에 워크(w)가 흡인 유지되면 워크 수납 홈(4) 측의 흡인 홈(5)의 외측 단부가 폐쇄되어 대기 유입이 정지하지만, 고리 형상 대기 홈(11) 측으로부터의 흡기가 행해지기 때문에 진공도의 상승이 억제되고,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부압은 워크(w)가 흡인 유지되기 전의 상태에 비해 진공도가 약간 높은 정도의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복수의 워크 수납 홈(4)으로의 워크 장전율의 여하를 불문하고, 대기 도입 구멍(12)이 없는 상태에 비해 워크 수납 홈(4) 내로의 흡인 압력을 충분히 안정화시키는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workpiece w is sucked and held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of the conveying table 3, the outer end of the suction groove 5 on the side of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is closed to stop the inflow of air, but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Since intake from the (11) side is performed,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vacuum is suppressed, and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maintained at a state where the degree of vacuum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before the workpiece w is sucked and held. . Therefore, regardless of the work loading rate to the plurality of workpiece storage grooves 4, the suction pressure into the workpiece storage grooves 4 can be set within a range which sufficiently stabilizes the pressure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s 4 as compared with the state without the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s 12. have.

또한, 고리 형상 대기 홈(11)을 설치하고, 제 1 대기 도입 구멍(12)으로부터 대기를 도입함으로써, 고리 형상 부압 홈(9)에 직접 대기를 도입한 경우에 비해, 도입 대기에 의해 워크마다의 부압반(負壓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해판을 설치함으로써, 고리 형상 부압 홈(9)에 직접 대기 도입 구멍을 설치할 수도 있다.Furthermore, by providing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and introducing the atmosphere from the first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 12, the work is introduced by the atmosphere by the introduction atmosphe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atmosphere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The negative pressure plat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Moreover, by providing a baffle plate, the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 can also be provided in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directly.

다음에, 도 3에 의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테이블 베이스(2)에 고리 형상 대기 홈(11)과 흡인 홈(5)을 깎아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워크 수납 홈(4)과 고리 형상 부압 홈(9)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반송 테이블(3)의 상면(上面)으로부터 하면측을 향하여 흡인 홈(5)에 연통하는 미소 단면의 제 2 대기 도입 구멍(13)이 설치되어 있다.Next, the modification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In FIG. 1 and FIG. 2, although the annular atmospheric groove 11 and the suction groove 5 were cut off and installed in the table base 2, as shown in FIG. In the substantially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a second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 13 having a small cross section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groove 5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table 3 toward the lower surface side is provided. .

도 3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첨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3, the same code | symbol is added to the same part as the Example shown in FIG. 1 and FIG. 2,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3에서, 워크(w)가 워크 수납 홈(4) 내에 장전되면 흡인 유지에 수반하여 폐쇄된 흡인 홈(5)에 제 2 대기 도입 구멍(13)으로부터 대기가 흡기된다. 이것에 의해,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부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2 대기 도입 구멍(13)이 반송 테이블(3)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 2 대기 도입 구멍(13)을 상면측이 하면측에 대하여 반송 테이블(3)의 회전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In FIG. 3, when the workpiece w is loaded into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4, the atmosphere is taken in from the second atmospheric introduction hole 13 in the suction groove 5 closed with suction holding. Thereby,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can be stabilized. In FIG. 3, although the 2nd air | atmosphere introduction hole 13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onveyance table 3, the upper surface side has the 2nd air | atmosphere introduction hole 13 to the rotation center direction of the conveyance table 3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side. It may also be installed to be inclined to face.

다음에, 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워크 수납 홈(4)마다 대기를 흡기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대기 도입 구멍(12, 13)을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배관 (14)에 T-조인트(15)를 통하여 대기측에 연통된 대기 도입관(17)이 접속되어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the other modified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air inlet holes 12 and 13 are provided to intake air into each of the work accommodating grooves 4 is shown. However, as shown in FIG. The air inlet pipe 17 connected to the air side via the T-joint 15 is connected to 14).

도 4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첨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4, the same code | symbol is added to the same part as the Example shown in FIG. 1 and FIG. 2,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4에서, 테이블 베이스(2)를 관통한 흡인 연통 구멍(10)이 설치되고, 이 흡인 연통 구멍(10)에 진공 배관(14)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진공 배관(14)과 진공 발생원(14a) 사이에 직선 조인트 측을 부압 통로로 하는 T-조인트(15)가 삽입되고, T-조인트(15)의 분기 조인트 측에 대기 도입관(17)이 접속되어 있다. 대기 도입관(17)은 유량 조정 수단(16)을 통하여 대기 개방되어 있다.In FIG. 4, the suction communication hole 10 which penetrated the table base 2 is provided, and the vacuum piping 14 is screwed to this suction communication hole 10. As shown in FIG. A T-joint 15 having a straight joint side as a negative pressure passage is inserted between the vacuum pipe 14 and the vacuum generating source 14a, and an atmospheric inlet pipe 17 is connected to the branch joint side of the T-joint 15. It is. The atmospheric inlet pipe 17 is open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6.

도 4에서, 워크 수납 홈(4)에 워크(w)가 장전되면 대기 연통 구멍(10)으로부터 진공 배관(14) 내로의 흡기량이 감소하여 고리 형상 부압 홈(9)의 부압이 변동하려고 한다. 이 경우, 대기 연통 구멍(10) 측으로부터의 흡기가 감소한 분을 유량 조정 수단(16)을 통하여 대기 도입관(17)으로부터 진공 배관(14) 내에 급기할 수 있고,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부압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In FIG. 4, when the workpiece w is loaded into the work receiving groove 4, the intake air amount from the atmospheric communication hole 10 into the vacuum pipe 14 decreases, and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is about to fluctuate. In this case, the part whose air intake from the atmospheric communication hole 10 side was reduced can be supplied to the vacuum piping 14 from the atmospheric inlet pipe 17 through the flow adjusting means 16, and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Fluctuations in the internal negative pressure can be suppressed.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배관(14)에 대기 도입관(17)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가인 압력 제어 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고리 형상 부압 홈(9) 내의 흡인 압력을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저렴한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유량 조정 수단(16) 측으로부터의 급기량이 비교적 대량으로 되므로, 진공 발생원(14a)은 그 공급 용량에 여유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4, the suction pressure in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9 can be stabilized without using an expensive pressure control device or the like only by inserting the atmospheric inlet pipe 17 into the vacuum pipe 14. It is a simple and inexpensive device. In addition, in FIG. 4, since the air supply amount from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16 side becomes a comparatively large amount, it is preferable that the vacuum generating source 14a has sufficient supply capacity.

또한, T-조인트(15)는 분기 수단의 일례로서, 진공 배관(14) 측의 통기 저항을 작고, 대기 도입관(17) 측의 통기 저항을 크게 할 수 있으면, T-조인트(15) 이 외의 분기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joint 15 is an example of the branching means, and if the ventilation resistance at the vacuum pipe 14 side is small and the ventilation resistance at the atmospheric inlet pipe 17 side can be increased, the T-joint 15 is Other branching means may be u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의 장전 및 배출에 따르는 워크 수납 홈 내의 흡인 압력의 변동을 작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정된 흡인력에 의해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흡인하여 장전할 수 있고, 이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유지하여 반송하고, 또한 워크 수납 홈으로부터 워크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suction pressure in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accompanying loading and discharging of a workpiece can be stabilized small. For this reason, a workpiece | work can be sucked and loaded in a workpiece | work accommodation groove by stable suction force, it can hold | maintain and convey a workpiece | work in this workpiece storage groove | channel, and can discharge a workpiece | work stably from the workpiece storage groove | channel.

Claims (5)

테이블 베이스와, With table base, 상기 테이블 베이스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워크(work) 수납 홈이 설치된 반송 테이블을 구비하고, A conveying table rotatably disposed on the table bas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ork receiving grooves at a peripheral edge thereof, 상기 테이블 베이스의 반송 테이블에 근접하는 면에 진공 배관을 통하여 진공 발생원에 연통(連通)하는 고리 형상 부압(負壓) 홈이 설치되고, An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communicating with a vacuum generating source is provided on a surface proximate to the conveying table of the table base via a vacuum pipe, 상기 반송 테이블의 테이블 베이스에 근접하는 면에 상기 각 워크 수납 홈과 고리 형상 부압 홈을 연통하는 흡인 홈이 설치되며, A suc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workpiece storage grooves and the annular negative pressure groove is provided on a surface proximate to the table base of the conveying table, 상기 흡인 홈에, 대기(大氣)측에 연통하는 대기 급기(給氣) 수단을 설치하되,In the suction groove, an atmospheric air supply means communicating with the atmospheric side is provided, 상기 대기 급기 수단은 진공 배관에 접속되고, 대기측에 연통된 대기 도입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And the air supply means is connected to a vacuum pipe and has an air inlet pipe connected to the air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기 도입관에 유량 조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A work conveying apparatus, wherein a flow rat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in the air inlet pipe.
KR1020050059694A 2004-07-26 2005-07-04 Work conveyance device KR1007570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7064A JP4372634B2 (en) 2004-07-26 2004-07-26 Work transfer device
JPJP-P-2004-00217064 2004-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815A KR20060049815A (en) 2006-05-19
KR100757025B1 true KR100757025B1 (en) 2007-09-07

Family

ID=3590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694A KR100757025B1 (en) 2004-07-26 2005-07-04 Work conveyance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72634B2 (en)
KR (1) KR100757025B1 (en)
CN (1) CN100591595C (en)
TW (1) TWI28190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6138B2 (en) 2006-05-24 2008-0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Work transfer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 device
JP4079179B2 (en) 2006-06-02 2008-04-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Work transfer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 device
CN103771131B (en) * 2012-10-19 2016-12-21 深南电路有限公司 Material fetching device
CN103043437A (en) * 2012-12-27 2013-04-17 佛山市顺德区容桂睿诚机械模具厂 Sucking and releasing wheel
TWI752602B (en) * 2020-08-25 2022-01-11 萬潤科技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method and device
CN113579118B (en) * 2021-08-18 2023-04-18 湖北永瑞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Cutting device of penci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463A (en) * 1994-11-10 1996-05-31 Taiyo Yuden Co Ltd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KR200181029Y1 (en) 1997-06-28 2000-05-15 정영경 Opener and closer of water bott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463A (en) * 1994-11-10 1996-05-31 Taiyo Yuden Co Ltd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KR200181029Y1 (en) 1997-06-28 2000-05-15 정영경 Opener and closer of water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33576A (en) 2006-02-15
JP2006036422A (en) 2006-02-09
CN100591595C (en) 2010-02-24
KR20060049815A (en) 2006-05-19
TWI281903B (en) 2007-06-01
JP4372634B2 (en) 2009-11-25
TW200604078A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025B1 (en) Work conveyance device
CN100519105C (en) Vacuum suction unit
US20100025905A1 (en) Pneumatically actuated area vacuum gripper
US20140014746A1 (en) Ejector
WO2009090775A1 (en) Vacuum generation device
JP2008087910A (en) Non-contact conveying device
TWI558637B (en) Transfer holder and transfer holding device
US7931042B2 (en) Vacuum su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658480B1 (en) Work conveyance and discharge system
KR101081068B1 (en) Work transpor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transporting apparatus
JP2016101641A (en) Carrying device of fastening part
CN114348569A (en) Material transportation track, vibration dish structure and feed mechanism
KR20160066861A (en) Structure of exhaust pipe for fuel cell vehicle
KR101279458B1 (en) Fluid amplifier
US20220033208A1 (en) Transport device
EP1936371A1 (en) Exhaust gas measuring bag
US20210252720A1 (en) Non-contact transport device
JP2000110800A (en) Ejector
KR102066685B1 (en) Work feed rotation table
EP3725414A1 (en) Air/oil mist generator
KR930008524B1 (en) Pellet accommodating and alignting jig
JP4910284B2 (en) Direction sorting apparatus and direction sorting method
JP3223246U (en) Electronic device blowing and discharging device
CN211929463U (en) Air-float suction device
CN111745629A (en) Drive device and conve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