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194B1 -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194B1
KR100756194B1 KR1020060022315A KR20060022315A KR100756194B1 KR 100756194 B1 KR100756194 B1 KR 100756194B1 KR 1020060022315 A KR1020060022315 A KR 1020060022315A KR 20060022315 A KR20060022315 A KR 20060022315A KR 100756194 B1 KR100756194 B1 KR 10075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terminal
call
key
cal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착신 단말로부터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 설정을 위한 통화 설정신호를 제공받아 착신 단말이 다른 단말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긴급통화 연결할 수 있는 발신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긴급 통화키를 설정하고, 긴급 통화키를 이동통신망의 홈 위치등록기에 등록시키는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신 단말이 다른 통화단말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연결된 통화 호를 유지한 채, 착발신 단말 간의 긴급통화 연결을 실행하는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착신자가 긴급통화 설정한 발신자의 통화요청에 한해서는 다른 단말과 차별적으로 긴급히 통화연결을 수행한다.
긴급통화

Description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LINKING AN EMERGENCY CONVERSATION BY A TELEPHONE AND A METHO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발신 단말 200 : 착신 단말
300 : 통화 단말 400 : 이동통신망
410, 490 : 기지국 420, 480 : 제어국
430 : 발신 교환기 440 : 홈 위치등록기
450 : 상호연동 교환기 460 : 게이트 교환기
470 : 착신 교환기 500 :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
600 : 통화설정 제어서버 700 : 공중 유선망
710 : 유선 단말
본 발명은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 단말이 다른 통화 단말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연결된 통화 호를 유지한 채,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과 통화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발신 단말은 전원이 켜짐과 함께 해당 셀 구역의 기지국으로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인 단말 식별번호와 단말 고유번호로 설정되는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고, 기지국은 상기 설정신호를 제어국을 거쳐 발신 교환기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발신 교환기는 수신한 가입자 정보에 저장된 단말 식별번호를 망 내에 사용되는 모든 단말 식별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발신 단말이 홈 교환기에 위치한 것인지 방문 교환기에 위치한 것인지를 홈 위치등록기 또는 방문 위치등록기와 연동하여 판별한다. 이에 따라, 발신 교환기는 상기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가 홈 위치등록기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발신 단말이 홈 망에 방문한 단말인 것으로 판별하여 방문 위치등록기를 통해 STP(Signaling Transfer Point)에 저장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의 홈 위치등록기로 발신 단말의 단말 식별번호와 단말 고유번호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홈 위치등록기는 상기 가입자 정보를 제공받아 발신 단말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방문 망의 방문 위치등록기로 임시 지역 디렉토리 번호를 할당해 줄 것을 요청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발신 단말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위치등록 한 것을 토대로 소정의 착신 단말과의 통화연결을 시도한다. 이에 따라, 발 신 단말은 착신 단말에 대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셀 구역의 기지국에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은 수신한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관할 제어국을 거쳐 발신 교환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발신 교환기는 인가된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토대로 착신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이로 인하여 연결된 착신 교환기에 착신 단말과의 통화연결을 요청한다.
더 나아가, 착신 교환기는 해당 착신 단말로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그 통화연결 가능상태 응답신호를 제공받는다. 또한, 착신 교환기는 상기 응답신호를 기반으로 발신 교환기와 통화 호를 설정하게 된다.
이렇듯, 종래의 통화연결 서비스는 발신 단말의 통화시도로 인해 착신 단말이 생성하여 전달하는 응답신호에 따라 그 통화연결 유무가 결정된다. 즉, 착신 단말이 다른 통화단말과 통화중일 경우에는 착발신 단말 간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발신 단말은 착신 단말의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재차 통화 시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활용되는 것이 VMS(Voice Mailing System) 서비스이다. 상기 VMS 서비스는 가입자별로 사서함을 할당하여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청취 및 통보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과의 통화연결을 시도할 때에 착신 단말이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일 경우, 발신 단말의 송화자가 상기 V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송화자의 음성을 메일박스에 저장하면, 착신 단말의 수화자는 언제 어디서나 저장된 음성을 청취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직접적인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착신 단말이 통화중일 때에는 착발신 단말 간의 통화 연결이 되지 않으므로, 긴급한 상황에서 송수신자는 이에 따른 손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발신 단말 간의 통화연결에 있어서,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위하여 기 설정된 발신 단말 중, 소정의 발신 단말이 긴급통화 연결요청을 하면 대응하는 착신 단말이 다른 통화 단말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연결된 통화 호를 유지한 채로 착발신 단말 간의 통화연결을 실행하기 위한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은,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설정을 위한 통화 설정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착신 단말이 다른 단말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긴급통화 연결할 수 있는 발신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긴급 통화키를 설정하고, 상기 긴급 통화키를 이동통신망의 홈 위치등록기에 등록시키는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긴급 통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긴급통화 연결 유무를 판별하는 상기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긴급통화 허용신호를 전달받으면 통화중인 상기 착신 단말과 다른 단말 간의 통화 호를 유지한 채, 착발신 단말 간의 긴급통화 연결을 위한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통화설정 제어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긴급통화 연결 방법은, (가) 상기 착신 단말이 다른 단말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긴급통화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특정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응하는 긴급 통화키를 설정하는 단계, (나) 상기 긴급 통화키를 토대로 상기 착신 단말과 긴급통화 시도하는 상기 발신 단말의 서비스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다) 상기 발신 단말이 서비스 허용 단말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가능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라) 상기 착신 단말이 통화 중일 경우에 연결된 통화 호를 보류하고, 착발신 단말 간의 긴급통화 연결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은 이동통신망(400)의 착신 단말(200)이 통화중 긴급통화 연결을 허용하기 위한 발신 단말(100)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형성하고, 각 발신 단말(100)과 대응하는 긴급 통화키를 홈 위치등록기(440)에 등록함으로써, 착발신 단말(100)이 상기 긴급 통화키를 공유케 한다. 이로 인해, 긴급통화 허용된 소정의 발신 단말(100)이 긴급 통화키를 토대로 긴급통화 연결을 시도할 경우, 상기 시스템은 통화중인 착신 단말(200)의 기존 통화 호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착발신 단말(100) 간의 통화 호를 긴급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이동통신망(400)의 착신 단말(200)이 단말 링백톤에 의한 음성 신호 또는 왑 접속에 의한 데이터신호로 형성되는 서비스 설정신호를 이용하여 긴급통화가 가능한 발신 단말(100)의 리스트 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리스트 정보의 각 발신 단말(100)과 대응하는 긴급 통화키를 생성하며, 상기 긴급 통화키를 상기 이동통신망(400)의 홈 위치등록기(440)에 등록시키기 위한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긴급 통화키를 공유하는 발신 단말(100)의 통화 연결요청에 응답하는 홈 위치등록기(440)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100)과 상응하는 긴급통화 허용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긴급통화 허용신호를 기반으로 착신 단말(200)의 통화 가능상태를 점검하고, 상기 착신 단말(200)이 통화 중인 경우에도 실행중인 통화 호를 유지한 채, 착발신 단말(100) 간의 긴급통화 연결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통화설정 제어서버(6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통화설정 제어서버(600)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도 홈 위치등록기(440)에서 착발신 간의 긴급통화 연결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는 착신 단말(200)이 접속하여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와 관련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음성안내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착신 단말(200)은 서비스 이용을 위한 다이얼링으로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와 접속한 후,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가 제공하는 음성안내 메시지로 인해 서비스 설정절차를 수행한다. 아울러, 착신 단말(200)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설정절차를 수 행하면서 소정 메뉴에 대한 선택을 하고, 선택한 사항에 대한 설정을 하기 위하여, 단말의 키패드에 마련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링백톤을 이용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서비스 설정절차는 착신 단말(200)에 긴급하게 통화 연결이 가능한 발신 단말(100)의 리스트 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발신 단말(100)과 대응하는 긴급 통화키를 생성하여 홈 위치등록기(440)에 각 단말의 가입자 정보와 함께 등록하는 절차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긴급 통화키는 긴급통화 연결을 위해 착발신 단말(100) 간에 공유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는 착신 단말(200)과의 통신연동으로 인해 생성한 긴급 통화키를 홈 위치등록기(440)에 등록시킬 뿐만 아니라, 각 발신 단말(100)로 상기 긴급 통화키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긴급 통화키라는 것은 착신 단말(200)과 긴급통화 연결이 가능한 발신 단말(100)을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긴급 통화키를 구현하기 위한 방식 중 하나는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에서 생성한 소정 발신 단말(100)의 긴급 통화키를 홈 위치등록기(440)에 등록할 뿐만 아니라, 발신 단말(100)에도 상기 긴급 통화키를 제공하여 저장케 함으로써, 발신 단말(100)의 단말 에이전트가 긴급통화 연결을 위한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 에이전트는 긴급통화 단말(300)로 설정된 착신 단말(200)과의 통화 연결을 위해 단말 내 저장중인 긴급 통화키를 통화연결 요청을 하면서 형성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탑재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셀 구역의 기지국(41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홈 위치등록기(440)는 발신 교환기(430)를 거쳐 상호연동 교환기(450)로부터 발신 단말(100)의 통화연결 요청을 전달받고, 기 저장된 긴급 통화키와 수신한 긴급 통화키를 비교 판별하여 통화중인 착신 단말(200)과의 긴급통화 연결을 실행할 것인지, 일반 통화 호 처리절차 또는 긴급통화 불능상태 통보절차를 실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더 나아가, 상기 홈 위치등록기(440)는 긴급통화 연결로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판별하면, 상기 발신 단말(100)과 대응하는 긴급통화 착신 호 코드를 통화설정 제어서버(6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화설정 제어서버(600)에서 긴급통화 연결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긴급 통화키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식은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하는 착신 단말(200)만의 설정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는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위해 접속한 착신 단말(200)의 설정요청에 따라 긴급 통화연결이 가능한 발신 단말(100)의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리스트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발신 단말(100)의 긴급 통화키를 생성하며, 상기 긴급 통화키를 홈 위치등록기(440)에 해당 단말 가입자 정보와 함께 등록한다. 아울러, 상기 홈 위치등록기(440)는 발신 단말(100)의 통화연결 요청에 응답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신 단말(100)의 가입자 정보에 긴급 통화키가 포함될 경우에는 긴급통화 착신 호 코드를 생성하여 통화설정 제어서버(6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통화설정 제어서버(600)는 통화중인 착신 단말(200)과 통화 호 요청하는 발신 단말(100) 간의 긴급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상기 발신 단말(100)은 이동통신망(400)의 이동통신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나, 긴급 통화키 설정방식에 따라 공중유선망(700)(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유선 단말(710)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착신 단말(200)과 통화 중인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300) 또는 유선 단말(710)이다.
아울러, 상기 긴급 통화키가 착신 단말(200)이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에 접속하여 설정한 소정의 비밀번호인 경우, 발신 단말(100)이 상기 착신 단말(200)과의 통화 호 설정을 하면서 상기 비밀번호와 상응하는 단말 키를 입력하여 해당 셀 구역의 기지국(410)으로 전송함에 따라 긴급통화 연결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홈 위치등록기(440)는 통화 설정요청과 함께 전달된 긴급 통화키를 이용하여 기 저장중인 착신 단말(200)의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긴급 통화키를 비교 판별하고, 이후의 긴급통화 연결과정을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방법은 착신 단말(200)이 통화중인 경우에도 연결된 통화 호를 유지한 채로 발신 단말(100)과 긴급통화 연결하기 위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는 착신 단말(200)의 설정에 의한 것으로, 상기 착신 단말(200)은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위해 구비된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에 접속하여 다른 통화단말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긴급통화 연결을 허용할 발신 단말(100)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리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발신 단말(100)과 대응하는 긴급 통화키를 생성한다(S100).
더 나아가, 상기에서 일 실시예로 언급된 긴급 통화키 설정방식 중에서, 착신 단말(200)이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와 연동하여 설정한 긴급 통화키를 홈 위치등록기(440)에 등록할 뿐만 아니라, 발신 단말(100)에도 상기 긴급 통화키를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100)의 통화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홈 위치등록기(440)의 긴급 통화키와 상기 발신 단말(100)의 긴급 통화키를 비교 판별하는 방식위주로 이하 상술하고자 한다.
상기 S100 단계에서,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에 의해 형성된 리스트 정보와 대응하는 각 발신 단말(100)의 긴급 통화키를 홈 위치등록기(440)에 해당 가입자 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등록한다(S102). 이후로,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500)는 소정의 메시지 전송방식으로 상기 홈 위치등록기(440)에 저장된 긴급 통화키를 해당 발신 단말(100)로 제공함으로써, 착신 단말(200)이 설정한 긴급 통화키를 발신 단말(100)이 공유하게 된다(S104).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긴급 통화키를 착발신 단말(100)이 공유하는 상태에서, 착신 단말(200)과 다른 통화 단말(300) 간에 통화 호가 설정될 수 있다(S106).
상기 S106 단계에서, 긴급 통화키를 저장하고 있는 발신 단말(100)이 긴급통화 연결을 위한 단말 에이전트를 기동하여 상기 긴급 통화키와 함께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해당 셀 구역의 기지국(41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410)은 전달받은 긴급통화 연결신호를 제어국(420)을 거쳐 발신 교환기(430)로 전송하게 된다(S108). 또한, 상기 발신 교환기(430)는 전달받은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토대로 착신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호연동 교환기(450)를 거쳐 홈 위 치등록기(440)에 긴급 착신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110). 더 나아가, 상기 홈 위치등록기(440)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중인 각 단말의 긴급 통화키를 토대로 상기 발신 교환기(430)로부터 전달받은 통화연결 요청신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100)의 가입자 정보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100)이 긴급 통화키를 보유하고 있는 지를 확인한다(S112). 여기서, 상기 발신 단말(100)이 긴급 통화키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홈 위치등록기(440)는 통상적인 통화연결 호 처리절차를 수행하여 착발신 단말(100) 간의 통화연결을 실행한다(S114). 또한, 상기 S112 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100)이 긴급 통화키를 보유하고 있다면, 홈 위치등록기(440)가 저장중인 긴급 통화키와 상기 발신 교환기(430)로부터 전달받은 발신 단말(100)의 긴급 통화키를 비교 판별하여 그 동일 여부를 가린다(S116).
상기 S116 단계에서, 긴급 통화키 비교 판별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홈 위치등록기(440)는 상기 발신 단말(100)을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한 단말로 확인하여 발신 교환기(430)로 긴급통화 불능 메시지를 전달한다(S118). 이에 따라, 상기 발신 교환기(430)는 전달받은 긴급통화 불능 메시지를 제어국(420) 및 기지국(410)을 거쳐 발신 단말(100)로 전달한다(S120).
또한, 상기 S116 단계에서, 긴급 통화키 비교 판별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홈 위치등록기(440)는 해당 발신 단말(100)의 긴급통화 착신 호 코드를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위해 구비된 통화설정 제어서버(600)로 전달한다(S122). 이후로, 상기 통화설정 제어서버(600)는 착발신 단말(100) 간의 긴급통화 연결을 위한 착신 호 처리 프로세싱을 실행한다(S124). 더 나아가, 상기 통화설정 제어서버(600)가 프로세싱 결과로 생성된 긴급통화 착신 호 응답신호를 홈 위치등록기(440)에 출력하면(S126), 상기 홈 위치등록기(440)는 전달받은 응답신호를 토대로 게이트 교환기(460)를 거쳐 착신 교환기(470)와 연결되어 긴급 착신연결 요청을 하게 된다(S128). 이에 따라, 상기 착신 교환기(470)는 해당 제어국(480) 및 기지국(490)을 거쳐 착신 단말(200)로 긴급 착신연결 요청을 재차 시도한다(S130).
이후로, 착신 단말(200)은 전달받은 요청에 응답하여 다른 통화 단말(300)과 통화 중인지, 아니면 통화 대기 또는 통화 불능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연결 가능상태를 응답신호로 착신 교환기(470)에 전달한다(S132). 상기 S132 단계에서, 착신 단말(200)은 다른 통화단말과 통화 중일 경우, 다른 통화 단말(300)과의 통화 호를 유지한 채 한정된 시간 동안 통화 연결을 보류한다(S134). 한편, 착신 교환기(470)는 착신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응답신호를 토대로 착신 단말(200)의 통화연결 가능상태를 홈 위치등록기(440)에 통보한다(S136).
상기 홈 위치등록기(440)는 착신 단말(200)의 상태통보가 긴급통화 가능상태일 경우 착신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발신 교환기(430)로 전달하면(S138), 상기 발신 교환기(430)는 제어국(480) 및 기지국(410)을 거쳐 착신 단말(200)로 착신 단말(200)과의 통화연결 정보를 전송한다(S140). 상기 과정을 거쳐 착발신 단말 간의 긴급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S142).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착신 단말이 다른 통화단말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연결된 통화 호를 유지한 채, 착발신 단말 간의 긴급통화 연결을 실행하는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착신자가 최우선으로 통화 연결되기를 희망하는 발신자의 전화요청을 통화중인 경우에도 단말 추가조작 없이 곧바로 통화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1.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설정을 위한 통화 설정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착신 단말이 다른 단말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긴급통화 연결할 수 있는 발신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긴급 통화키를 설정하고, 상기 긴급 통화키를 이동통신망의 홈 위치등록기에 등록시키는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긴급 통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긴급통화 연결 유무를 판별하는 상기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긴급통화 허용신호를 전달받으면 통화중인 상기 착신 단말과 다른 단말 간의 통화 호를 유지한 채, 착발신 단말 간의 긴급통화 연결을 위한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통화설정 제어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등록기는
    상기 긴급 통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긴급통화 연결 유무를 판별하며, 긴급통화 허용으로 판별될 경우에 통화중인 상기 착신 단말과 다른 단말 간의 통화 호를 유지한 채, 착발신 단말 간의 긴급통화 연결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상기 착신 단말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 또는 공중 유선망과 연결된 유선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통화 설정신호는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안내멘트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하는 상기 착신 단말의 링백톤 또는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에 왑 접속한 착신 단말의 화면을 통해 설정한 데이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긴급 통화키를 소정의 메시지 전송방식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여 착발신 단말 간에 상기 긴급 통화키를 공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은
    통화 연결을 위한 단말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통화키를 저장관리하며,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설정을 위해 형성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상기 긴급 통화키를 탑재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셀 구역의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긴급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긴급 통화키가 소정의 비밀번호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설정을 하면서 상기 비밀번호와 상응하는 단말 키를 입력하여 해당 셀 구역의 기지국으로 전송함에 따라 긴급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등록기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긴급통화 연결 요청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된 긴급 통화키와 기 저장중인 해당 단말의 긴급 통화키를 비교 판별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긴급통화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등록기는
    기 저장중인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상기 긴급 통화키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등록기는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설정을 위한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제공받아 기 저장중인 해당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에 해당 긴급 통화키의 포함 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의 긴급통화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긴급 통화키를 단일의 통화키로 설정하거나, 각 발신 단말별로 다수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13.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긴급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착신 단말이 다른 단말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긴급통화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특정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응하는 긴급 통화키를 설정하는 단계;
    (나) 상기 긴급 통화키를 토대로 상기 착신 단말과 긴급통화 시도하는 상기 발신 단말의 서비스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다) 상기 발신 단말이 서비스 허용 단말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가능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라) 상기 착신 단말이 통화 중일 경우에 연결된 통화 호를 보류하고, 착발신 단말 간의 긴급통화 연결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는
    (가-1) 상기 착신 단말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가입자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가-2) 상기 착신 단말과 긴급통화 연결이 가능한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가-3) 상기 이동통신망의 플로팅 시스템상에서 상기 발신 단말이 긴급통화 설정단말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상기 긴급 통화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가-4) 상기 긴급 통화키를 해당 발신 단말이 속한 구역의 홈 위치등록기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는
    상기 긴급 통화키를 소정의 메시지 전송방식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로 전달하여 단말 내에 저장케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홈 위치등록기가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입자 정보와 기 저장중인 긴급 통화키를 비교 판별하여 상기 발신 단말이 서비스 허용 단말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등록기는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연결 요청이 일반적인 통화 호 설정신호인 경우, 상기 호 설정신호에 상응하는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입자 정보에 긴급 통화키가 설정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발신 단말은 서비스 허용 단말인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등록기는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연결 요청이 긴급 통화키를 포함하는 긴급통화 요청신호인 경우, 상기 긴급통화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입자 정보에 기 저장된 긴급 통화키와 상기 긴급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긴급 통화키를 비교 판별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서비스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 연결 방법.
KR1020060022315A 2006-03-09 2006-03-09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756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315A KR100756194B1 (ko) 2006-03-09 2006-03-09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315A KR100756194B1 (ko) 2006-03-09 2006-03-09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194B1 true KR100756194B1 (ko) 2007-09-05

Family

ID=3873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315A KR100756194B1 (ko) 2006-03-09 2006-03-09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19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4048A (ja) * 1988-04-14 1989-10-20 Canon Inc 回線接続方式
JPH07221755A (ja) * 1994-01-28 1995-08-18 Yokogawa Electric Corp 通信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KR20000004109A (ko) * 1998-06-30 2000-01-25 강병호 전전자 교환기의 호 절단 제어 방법
US20020146107A1 (en) 2001-04-10 2002-10-10 Baals Kimberly A. Selective call waiting
KR20040103690A (ko) * 2003-06-02 2004-1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KR20050017737A (ko) * 2003-08-08 2005-02-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통화중대기서비스 방법
KR20050046705A (ko) * 2005-04-28 2005-05-18 정효원 전화기와 자동응답기를 이용한 무인접수에 따른 접수내역처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4048A (ja) * 1988-04-14 1989-10-20 Canon Inc 回線接続方式
JPH07221755A (ja) * 1994-01-28 1995-08-18 Yokogawa Electric Corp 通信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KR20000004109A (ko) * 1998-06-30 2000-01-25 강병호 전전자 교환기의 호 절단 제어 방법
US20020146107A1 (en) 2001-04-10 2002-10-10 Baals Kimberly A. Selective call waiting
KR20040103690A (ko) * 2003-06-02 2004-1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KR20050017737A (ko) * 2003-08-08 2005-02-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통화중대기서비스 방법
KR20050046705A (ko) * 2005-04-28 2005-05-18 정효원 전화기와 자동응답기를 이용한 무인접수에 따른 접수내역처리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500679A (ja) 遠隔制御によって呼を経路選択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813347B2 (en) Selective call waiting
KR100603566B1 (ko) 사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46196A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착신전환에 의한 호 연결 방법
KR1013909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10004697A (ko) 무선 통신망에서 지능망을 이용한 단일 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및 장치
JP3716253B2 (ja) 通信規制システム、交換ノードおよび通信規制方法
KR100756194B1 (ko) 긴급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561276B1 (ko)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JP2004350302A (ja) サービス提供モードが指定されたデータサービスを実施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20077157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transceiver for advising and placing a calling party on hold/delay
KR100628935B1 (ko) 선택적 착신 제한 서비스 방법
KR100727752B1 (ko) 착신 제한 번호 입력 방법
JP2005012658A (ja) 発信者電話番号変換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93957B1 (ko) 링백톤 시스템을 통한 국제 로밍 서비스에서의 현지시각 안내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017138B1 (ko) 이동통신망에서 수신 전화의 선별통화 서비스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KR930004923B1 (ko) Nics/scp의 신용통화 서비스 제어방법
KR100813809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20060134392A (ko) 상황별 통화 대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7118470A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及び着信処理システム
KR10063632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화번호 자동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9980078326A (ko) 패스워드를 이용한 호 접속 방법
KR20070055720A (ko) 우선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JPH0669194B2 (ja) 特殊着信サ−ビス加入者に対する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