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019B1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dmb signal through a common broadcasting signal output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dmb signal through a common broadcasting signal output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019B1
KR100756019B1 KR1020050105519A KR20050105519A KR100756019B1 KR 100756019 B1 KR100756019 B1 KR 100756019B1 KR 1020050105519 A KR1020050105519 A KR 1020050105519A KR 20050105519 A KR20050105519 A KR 20050105519A KR 100756019 B1 KR100756019 B1 KR 100756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data
broadcast signal
signal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8430A (en
Inventor
정성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019B1/en
Publication of KR20070048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0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 및 통상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와 탈착 가능한 DMB 수신 장치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 및 상기 통상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DMB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상기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가 재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변환에 소요되는 지연 시간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버퍼링(buffering)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서로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정보 데이터 및 EPG 데이터와 같은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o a general broadcasting signal output apparatus.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nd a conventional DMB receiver detachable from the conventional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an receiv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nd output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signal to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nd the conventional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do. The DMB receiving apparatus convert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to a form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nd buffer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ccording to a delay time required for converting the broadcasting sign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ut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is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such as information data and EPG data included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may be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or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DMB, DMB 수신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DMB, DMB receiver, mobile terminal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DMB SIGNAL THROUGH A COMMON BROADCASTING SIGNAL OUTPUTTING APPARATU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DMB SIGNAL THROUGH A COMMON BROADCASTING SIGNAL OUTPUT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와 이동 단말기가 방송신호 출력장치와 연결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DMB receiv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are connected to a broadcasting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와 정합되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that is matched with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DMB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DMB signal through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using a DMB receiv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가 DMB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단계를 보다 상세히 보이는 상세 흐름도,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tep of outputting a DMB signal by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가 방송신호 출력장치와 연결된 예시도, 6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DMB receiv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 7 is a block diagram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라 함은,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제조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으며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 단말기들 중 일부는 TV(Television)과 같은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직접 연결하여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TV 출력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such a mobile terminal is developing day by day, and also has a function of storing an image or a video using an embedded camera. Some of these mobile terminals also have a TV output function that directly connects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such as a TV and outputs the image or video through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또한 근래에 들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TV와 같은 장치들도 등장하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라는 것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여 고화질과 고음질, 그리고 보다 높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하는 것이다. In recent years, with increasing interest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evices such as a mobile terminal or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V capable of watch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have also emerged. Her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fers to a broadcasting service that provides a user with high quality, high sound quality, and higher service in place of a conventional analog broadcasting.

그런데 현재 이러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와,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기 위한 장치들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TV로서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없다. However, in order to receive and reproduce such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nd a device for decoding the receiv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re required. As a result, the general multimedia TV cannot watch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따라서 만약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DMB 전용 단말기에 TV 출력 기능이 있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상기 DMB 전용 단말기를 TV에 연결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TV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의 구비 여부에 상관없이 DMB 전용 단말기를 별도로 다시 구입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만약 TV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TV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데이터를 재생이 불가능했다. Accordingly, if the DMB dedicated terminal has a TV output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connect the DMB dedicated terminal to a TV to output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However, in this case, the user has to re-purchase the DMB dedicated terminal separately,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has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n order to watch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n the TV. Also, in this case, if there is no function for reproducing the data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n the TV, the data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annot be reproduced on the TV.

더욱이 현재 상기 DMB 전용 단말기는, 영상 신호를 S-VHS(Super-VHS) 신호로 출력하는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상기 영상 신호를 일반적인 Composite 단자를 통해서만이 TV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런데 상기 Composite 단자를 이용하는 경우 영상 신호의 컬러 신호와 휘도 신호가 서로 혼합되어 버리기 때문에 화질이 크게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more, since the DMB dedicated terminal does not have a function of outputting a video signal as an S-VHS (Super-VHS) signal, it is possible to input the video signal to a TV only through a general composite terminal. However, when the composite terminal is used, since the color signal and the luminance signal of the video signal are mixed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quality is greatly reduced.

또한 만약 상기한 바와 같이 DMB 전용 단말기를 통해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면, 일반적으로 상기 DMB 전용 단말기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기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은 구비하고 있으나, DMB 전용 단말기와 같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정보 데이터 및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와 같은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정보 데이터 및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to the general broadcasting sig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DMB dedicated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not normally output to the DMB dedicated terminal. However, the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has a function of outputt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but is broadcast per channel such as information data and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included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signal, such as a DMB dedicated terminal.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a function of outputting program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not receive the information data and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상기 별도의 DMB 전용 단말기 없이도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outpu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hrough a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without the separate DMB dedicated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고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watch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to check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through a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using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DMB 수신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키 입력에 따른 채널에 대응하는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DMB 신호를 복사하여 적어도 두개의 DMB 신호로 생성하는 DMB 신호 복사부와, 상기 생성된 각각의 DMB 신호들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그리고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DMB 신호 해석부와, 상기 DMB 신호 복사부에서 생성된 DMB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DMB신호로부터 추출된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DMB 신호 변환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연결부 및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DMB 신호들 중 다른 하나의 DMB 신호로부터 추출된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DMB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MB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DMB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according to the key input, if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nel selec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ceived DMB signal copying unit for copying the DMB signal to generate at least two DMB signals, and DMB signal analysis unit for extracting multimedia data, information data, control data and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from the generated DMB signals And a DMB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first multimedia data extracted from one of the DMB signals generated by the DMB signal copying unit into a data format reproducible by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mobile terminal. A first connect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a second connector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ompared with the interface unit, and converts the first multimedia data into a dat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outputs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extracted from the other one of the DMB signal DMB sig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second multimedia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DMB 수신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연결부와,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선택 또는 정보 데이터의 출력 및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받기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DMB 수신 장치로부터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된 키 신호를 상기 DMB 수신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을 상기 DMB 수신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DMB 수신 장치로 입력하고, 상기 DMB 수신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재생하여 출력하며, 상기 DMB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 및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from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input for selecting the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or outputting the information data and the channel selection from the user; When information data or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is received from the DMB receiver, image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data or broadcast program for each channel is generated, and the signal that the DMB receiver can recognize the input key signal.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interface software for converting the data into a signal recognizable by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nd converting the key input of the user into a signal recognizable by the DMB receiving apparatus. Reproduces and outputs the same, and the DMB receiving apparatus When the information from the data channel or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is received to generate the image information for the information data and broadcasting program channel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it to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DMB 수신 장치가 DMB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신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된 키 신호에 대응되는 채널의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DMB 신호를 복사하여 적어도 두개의 DMB 신호로 생성하는 DMB 신호 생성 단계와, 상기 생성된 DMB 신호들 각각으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추출 단계와, 상기 생성된 DMB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DMB 신호로부터 추출된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와, 상기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DMB 신호들 중 다른 하나의 DMB 신호로부터 추출된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DMB 신호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outputting the DMB signal by the DMB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step of receiving a key signal for channel selec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 DMB signal receiving a DMB signal of a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signal. A reception step, a DMB signal generation step of copying the received DMB signal into at least two DMB signals, a multimedia data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multimedia data from each of the generated DMB signals, and the generated DMB signal A data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first multimedia data extracted from any one of the DMB signals into a multimedia data format reproducible by the mobile terminal, outputting the first multimedia data converted from the data format to the mobile terminal, A second multi extracted from the other one of the generated DMB signals; And outputting the DMB signal to the media signal output device.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DMB 수신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키를 입력 받기 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에 대응되는 채널 정보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표시하기 위한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가 저장된 OSD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DMB 수신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입력 받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키 입력에 따른 채널에 대응하는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DMB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DMB 신호로부터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그리고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DMB 신호 해석부와,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DMB 신호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채널의 DMB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DMB 신호 해석부가 상기 수신된 DMB 신호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OSD 데이터를 상기 OSD 저장부로부터 로드(load)한 후 상기 로드한 OSD 데이터와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합성하고, 상기 OSD 데이터가 합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부를 통해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nother DMB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for channel selection from a user, and for displaying the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If there is a memory unit including an on-screen display (OSD)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OSD (On Screen Display) data, a power unit for receiving power for operation o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nd a key input for selecting the channel, A DMB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DMB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and analyzing the received DMB signal to extract multimedia data including video / audio data, information data and control data, and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from the DMB signal; DMB signal analysis unit and an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And the DMB signal receiving unit to receive the DMB signal of the channel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the DMB signal analyzing unit to extract the multimedia data from the received DMB signal, and the OSD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A controller configured to load data from the OSD storage unit, synthesize the loaded OSD data and the extracted multimedia data, and transmit the synthesized multimedia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It includes.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DMB 수신 장치가 DMB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키를 입력 받는 키 입력 단계와, 상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로드(load)하는 OSD 로드 단계와, 상기 키 입력에 따른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채널의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신호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DMB 신호로부터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추출 단계와, 상기 로드된 OSD 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합성하는 OSD 합성 단계와, 상기 OSD 데이터가 합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nother method for outputting the DMB signal by the other DMB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key input step of receiving a key for channel selection from the user, and the selected key if there is a key input for the channel selection OSD loading step of loading OSD (On screen Display)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tting the channel according to the key input, receiving the DMB signal for receiving the DMB signal of the set channel, the received Extracting multimedia data including video / audio data from a DMB signal; synthesizing the loaded OSD data with the extracted multimedia data; and synthesizing the multimedia data synthesized with the OSD data. And an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는 제1연결부와,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방송신호 출력장치와,연결될 수 있는 제2연결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연결된 이동 단말기 및 연결된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unit that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for playing multimedia data, a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for reproducing an input broadcast signal, and a second that may be connected.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nd output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o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ed broadcasting signal outpu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출력 방법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이 가능 한 이동 단말기에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출력 단계와,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 신호를 재생 가능한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방송신호 출력 단계를 구비한다.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output method of the apparatus for receiv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producing the multimedia data from the received broadcasting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broadcast signal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the broadcast sig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는,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 및 통상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와 탈착 가능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를 복사하여 두개의 방송 신호로 생성한다. 그리고 그 중 하나를 상기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할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또 다른 하나를 S-VHS 단자를 통해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출력한다. First of all,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ached from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nd a conventional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and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 the signal. The copy is generated as two broadcast signals. One of them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output to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nd the other is out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through the S-VHS terminal.

그리고 상기 DMB 수신 장치는, 상기 방송 신호의 변환에 소요되는 지연 시간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버퍼링(buffering)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서로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정보 데이터 및 EPG 데이터와 같은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MB receiving apparatus buffer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ccording to a delay time required for converting the broadcasting signal and synchronize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ut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roadcasting signal output device with each other. To be done. In additi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such as information data and EPG data included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may be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or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와 이동 단말기가 방송신호 출력장치와 연결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MB receiv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are connected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도 1의 (a)는, 커넥터(104)를 통해,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102)와 연결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가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와 연결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의 (b)는 상기 커넥터(104)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를 좀더 자세히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Referring to FIG. 1, first, FIG. 1A illustrates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102 through a connector 104. The figure shows an example connected with 106. 1 (b)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nector 104 and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통상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는 S-VHS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104)는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의 S-VHS 단자와 정합되는 비디오 연결 포트(110), 오디오 연결 포트(10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2)는 측면에 구비된 10극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와 정합된다. 여기서 상기 S-VHS 단자라는 것은 휘도 신호와 컬러 신호를 분리시켜 입력하는 S(Separate)단자를 구비하여 이를 이용해서 휘도 신호와 컬러 신호 사이에 불필요한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단자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휘도 신호와 컬러 신호가 혼합된 신호가 입력되는 Composite 단자 방식에 비해 훨씬 더 우수한 화질의 영상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4)는 상기 S-VHS 단자와 오디오 단자에 정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신호 수신 장치(100)와 정합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is, the conventional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is provided with an S-VHS terminal, and the connector 104 is a video connection port that is matched with the S-VHS terminal of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110, an audio connection port 108. And the mobile terminal 102 is matched with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10-pole interface provided on the side. Here, the S-VHS terminal is a terminal having an S (Separate) terminal for separating and inputting a luminance signal and a color signal,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inter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color sign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produce a video signal having a much higher image quality than the composite terminal method in which a signal mixed with a luminance signal and a color signal is input. The connector 104 includes at least one port that matches the S-VHS terminal and an audio terminal, and an interface that matches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복사하여 두개 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로 만든다. 그리고 그 중 어느 하나를 파싱(Parsing)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이동 단말기(102)에 출력한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파싱하고,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커넥터(104)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는 S-VHS 단자를 통해,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단자를 통해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단말기(102) 및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에는 동일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2) 및 방송신호 출력장치(108)에서는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다. The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nd copies the receiv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to tw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One of them is parsed to extract video data and audio data and output them to the mobile terminal 102. Parsing video data and audio data included in another one, extracting video data and audio data, and broadcasting the video data through the S-VHS terminal and the audio data through the audio terminal through the connector 104. Output to the signal output device 106. Then, video data and audio data of the sam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re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102 and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Accordingly, when using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video data and audio data may be reproduced in the mobile terminal 102 and the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108.

그런데 여기서 상기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102)의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사용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일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비디오 데이터는 위성파 DMB의 규격에 따른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H.264/MPEG-4 part 10) 데이터 형식(이하 H.264 데이터 형식이라 칭한다)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H.264 형식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재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DMB 수신 장치(100)는 상기 H.264 데이터 형식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변환할 수 있는 비디오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변환할 수 있는 비디오 데이터 형식의 예로 MPEG-4 형식의 비디오 데이터를 예로 들기로 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102 may not be able to reproduce video data and audio data used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or example, the video data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MPEG-4 AVC (Advanced Video Coding, H.264 / MPEG-4 part 10) data format (hereinafter referred to as H.264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atellite DMB standard. Have When the mobile terminal 102 cannot reproduce the H.264 video data,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may convert the video data according to the H.264 data format. Convert to any video data format. As an example of video data format that the mobile terminal 102 can convert, video data of MPEG-4 format will be taken as an example.

그러면 상기 이동 단말기(102)는 상기 입력받은 MPEG-4 형식의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오디오 데이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일반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오디오 데이터 형식으로 사용되는 MPEG-2 AAC+(Advanced Audio Codec) SBR(Spectral Band Replication) 데이터 형식(이하 AAC+ 데이터 형식이라 칭한다)을 재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DMB 수신 장치(100)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역시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재생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한다. Then, the mobile terminal 102 can play the received video data of the MPEG-4 format. The same is true for the audio data. If the mobile terminal 102 cannot play MPEG-2 AAC + (Spectral Band Replication) data forma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AC + data format), which is generally used as an audio data format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converts the audio data of the receiv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nto an audio data format that the mobile terminal 102 can reproduce.

그런데 이러한 경우 H.264 형식의 데이터에서 Mpeg 4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되는 데이터 변환 과정을 거치게 되면, 이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변환에 따른 지연 시간이 발생하는 경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와 이동 단말기(102)에서 재생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서로 동기가 어긋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는 이를 막기 위해, 상기 지연 시간동안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출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2)와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출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서로 동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만약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상기 변환이 필요없다면, 즉 변환없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재생이 가능하다면, 상기 변환 및 상기 버퍼링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n this case, if the data conversion process is converted from the data of the H.264 format to Mpeg 4 format, it takes time. In this case, when the delay time due to the conversion occur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produced by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and the mobile terminal 102 may be out of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ffer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outputted to the broadcasting signal output apparatus 106 during the delay time and the mobile terminal 102.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outputted to the broadcasting signal output device 106 may b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However, if the mobile terminal 102 does not need the conversion, that is, i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can be reproduced without conversion, the conversion and the buffering process may be omitted.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보이 고 있는 도면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는, 메모리부(202), DMB 신호 해석부(206), DMB 신호 변환부(212), 인터페이스부(216), 제어 데이터 파싱부(208), 채널 설정부(214), Data carousel(222) 및 DMB 신호 복사부(210)가 제어부(200)에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mory unit 202, a DMB signal analyzer 206, a DMB signal converter 212, an interface unit 216, The control data parsing unit 208, the channel setting unit 214, the data carousel 222, and the DMB signal copying unit 21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여기서 상기 DMB 신호 수신부(204)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RF부 그리고 베이스밴드 처리부를 내장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 설정부(214)에서 설정된 채널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DMB 신호 복사부(210)로 출력한다. The DMB signal receiver 204 includes an antenna, an RF unit, and a baseband processor for receiv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 addition, the channel setting unit 214 receive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ccording to the channel set.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output to the DMB signal copying unit 210.

그리고 상기 DMB 신호 복사부(21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복사하여 두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로 만든다. 그리고 상기 두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DMB 신호 해석부(206)로 입력한다. The DMB signal copying unit 210 copies the receiv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to tw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The tw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are input to the DMB signal analyzer 206.

그리고 상기 DMB 신호 해석부(206)는 상기 DMB 신호 수신부(204)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해석하여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 그리고 제어 데이터와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각각의 데이터들을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The DMB signal analyzer 206 analyze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from the DMB signal receiver 204 to extract video data, audio data and information data, control data, and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Each extracted data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20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변환이 필요한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를 바로 재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두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DMB 신호 변환부(212)에 인가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216)로 출력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2)와 연결된 연결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200 o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2 needs to convert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When the mobile terminal 102 cannot directly reproduce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the mobile terminal 102 applies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included in any one of the tw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to the DMB signal converter 212. To convert the data to a dat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mobile terminal 102. The converted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are output to the interface unit 216 to be outpu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2.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두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변환에 소요된 지연 시간만큼 상기 인터페이스부(216)의 버퍼링부(230)를 통해 버퍼링한 후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출력한다. The controller 200 buffers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included in the other of the tw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through the buffering unit 230 of the interface unit 216 by the delay time required for the conversion.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is then output.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정보 데이터의 출력을 원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DMB 신호 해석부(206)로부터 추출된 정보 데이터를 Data Carousel(222)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Data Carousel(222)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이동 단말기(102)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2)를 통해 상기 정보 데이터가 화상 정보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2)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상기 정보 데이터를 화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If the user wants to output the information data, the controller 200 applies the information data extracted from the DMB signal analyzer 206 to the data carousel 222. In addition, the user selects the information data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data carousel 222 to the mobile terminal 102 through the interface unit 216. The information data can be output as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2.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2 may reproduce the video and audio data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output the information data as image information.

그러나 만약 상기 DMB 신호 해석부(206)로부터 제어 데이터가 추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어 데이터를 제어 데이터 파싱부(208)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데이터 파싱부(208)를 제어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파싱한다. 그리고 상기 파싱된 제어 데이터(208)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 구성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채널 설정부(214)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구성 정보라는 것은, 위성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CDM(Code Division Multiplex) 채널 정보와 같이 어떤 방송 채널에 어떤 CDM 채널이 할당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말하는 것이다. However, if control data is extracted from the DMB signal analyzer 206, the controller 200 outputs the control data to the control data parser 208. The control data parsing unit 208 is controlled to parse the control data. The parsed control data 208 is used to generate channel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apply it to the channel setting unit 214. Here, the channel configurat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on which CDM channel is allocated to which broadcast channel, such as CDM (Code Division Multiplex) channel information of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그러나 만약 상기 DMB 신호 해석부(206)로부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된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이동 단말기(102)로 출력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기(102)는, 사용자가 EPG 출력을 위한 키를 입력하였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EPG 출력을 위한 키를 입력한 경우라면 상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파싱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2)는 상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파싱을 위해 특정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2)는 상기 파싱된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화상 정보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2)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상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channel-specific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s input from the DMB signal analyzer 206, the controller 200 outputs the input channel-specific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2. The mobile terminal 102 then checks whether the user has input a key for EPG output. If the user inputs a key for EPG output,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is parsed. The mobile terminal 102 may use specific software for parsing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The mobile terminal 102 outputs the parsed channel program information as imag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2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a broadcast program for each channel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s imag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어 데이터 파싱부(208)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등과 같은 PSI(Program Specif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파싱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파싱된 제어 데이터들을 채널 구성 정보로서 채널 설정부(214)에 인가한다. The control data parsing unit 208 includes control data including PSI (Program Spec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Service Description Table (SDT), a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a Program Map Table (PMT), and the like, from the control unit 200. Parse it if it is entered. Then, the controller 200 applies the parsed control data to the channel setting unit 214 as channel configuration information.

그러면 상기 채널 설정부(214)는, 상기 제어 데이터 파싱부(208)로부터 인가 된 채널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들의 구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따른 채널을 상기 DMB 신호 수신부(204)에 설정한다. Then, the channel setting unit 214 checks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s using the channel configuration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 data parsing unit 208. When there is a key input for selecting a channel from the user, the channel according to the key input by the user is set in the DMB signal receiving unit 20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DMB 수신 장치의 메모리부(202)는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OSD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OSD 데이터라는 것은 사용자가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에 표시하기 위해 현재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합성되는 데이터를 말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OSD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기 OSD 데이터가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에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는 상기 OSD 데이터가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memory unit 202 o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includes an OSD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OSD (On Screen Display) data. Here, the OSD data refers to data synthesized with video data currently output to display channe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hannel on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Accordingly,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hannel,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ads the OSD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nel and outputs the video data including the OSD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106). Then,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may receive the video data including the OSD data and display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urrently selected by the user to the user.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2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The memory unit 2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 flash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the like. The ROM stores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200 and various reference data. The RAM provide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ler 200, and the flash memory provides an area for storing various updatable data for storage.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DMB 신호 변환부(212)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재생 및 출력이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상기 DMB 신호 변환부(212)는 비디오 데이터 변환부(218), 오디오 데이터 변환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The DMB signal converter 212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may transmit one or both of video data and audio data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to the mobile terminal 102. Convert it to a data format that can be played and output. To this end, the DMB signal converter 212 includes at least one of a video data converter 218 and an audio data converter 220.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216)는 상기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2) 및 방송신호 출력장치(106) 사이의 인터페이싱(interfacing)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두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2)와 연결된 제1 연결부(226)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226)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재생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된 것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216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serves a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 unit 200, the mobile terminal 102, and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The controller 200 outputs video data and audio data extracted from one of the tw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226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2. In this case,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output through the first connector 226 may be converted into a format that the mobile terminal 102 can reproduce.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216)는, 상기 다른 하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S-VHS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출력하기 위한 S-VHS 신호 변환부(232)를 구비하고, 상기 S-VHS 신호를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연결부(22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변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변환에 소요되는 지연시간만큼 상기 제2 연결부(228)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는 버퍼링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216 includes an S-VHS signal converter 232 for converting the othe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into an S-VHS signal and outputting the S-VHS signal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A second connector 228 for outputting the S-VHS signal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is provid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2 needs to convert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buffering may buffer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out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8 by a delay time required for the conversion. A portion 230 may be further provided.

그런데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 출력장치(106)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바로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경우라면, 상기 S-VHS 신호 변환부(232)는 필요없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사용되는 H.264 형식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가 재생할 수 있고 또한 이를 바로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에 출력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16)는 상기 S-VHS 신호 변환부(232)가 필요없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f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directly reproduc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signal, the S-VHS signal converter 232 may not be necessary. to be. That is, when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an reproduce the H.264 format video data used in the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ur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and can directly output i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Of course, the interface unit 216 may not require the S-VHS signal converter 232.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와 정합되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that is matched with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와 정합되는 이동 단말기(102)는 단말기 메모리부(302), 키 입력부(304), 표시부(306), 베이스밴드 처리부(310), 코덱(CODEC: Coder-Decoder)(312), 그리고 단말기 연결부(316)가 단말기 제어부(300)에 연결된다. 여기서 단말기 제어부(3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304)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306)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terminal 102 that is matched with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memory unit 302, a key input unit 304, a display unit 306, and a baseband processor. A code 310 (Codec-Decoder) 312, and a terminal connector 316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troller 300.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300 processes voice signals and data according to protocols for a telephone call, data communication, and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controls each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n, the user's key input is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 304 to control the display unit 306 accordingly to generate and provid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가 상기 단말기 연결부(316)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DMB 수신 장치(100)의 요청에 의해 재생 가능한 비디오 데이터 형식 및 오디오 데이터 형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DMB 수신 장치(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DMB 수신 장치(100)로부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증폭부(314) 및 표시부(306)를 통해 재생한다. And whe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hrough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316, the video data format and audio dat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request o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When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are received from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are reproduced through the amplifier 314 and the display 306.

그리고 만약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된 키 신호를 상기 DMB 수신 장치(100)에 입력한다. 그리고 키 신호가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출력인 경우 상기 DMB 수신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파싱하여 이를 출력하고, 정보 데이터인 경우, 상기 DMB 수신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정보 데이터를 파싱하여 이를 출력한다. If there is a key input from the user, the input key signal is input to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When the key signal is output of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input from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is parsed and outputted. If the key signal is information data, the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Parse the information data and output it.

그리고 상기한 단말기 제어부(300)와 연결되는 단말기 메모리부(302)는,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상기 DMB 수신 장치(100)와 호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2)와 상기 DMB 수신 장치(100)가 서로 인터페이싱(interfacing)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라 칭하기로 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는 상기 단말기 메모리부(302)의 상기 영역을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저장부(318)라고 칭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terminal memory unit 302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300, the mobile terminal 102 is compatible with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the mobile terminal 102 and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May have an area for storing software for interfacing with each other. Hereinafter, such software will be referred to as interface software, and the area of the terminal memory unit 302 in which the interface software is stored will be referred to as interface software storage unit 318.

이러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 신호를 상기 DMB 수신 장치(100)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DMB 수신 장치(100)로부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 또는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파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는 상기 DMB 수신 장치 소프트웨어를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또는 PC(Personal computer)등과 같은 장비로부터 다운 로드(download)할 수 있다. The interface software converts the user's key input signal into a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nd receives the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or the information data for each channel from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Parse it. The interface software may download the DMB receiving device software from a wireless network or from equipment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그리고 이러한 단말기 메모리부(3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단말기 제어부(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단말기 제어부(3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The terminal memory unit 302 is composed of a read only memory (ROM), a flash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the like. The ROM stores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terminal controller 300 and various reference data. The RAM provides a working memory of the terminal controller 300, and the flash memory provides an area for storing various updatable data for storage.

그리고 키 입력부(3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단말기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06)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인가되는 데이터를 화상 정보로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DMB 수신 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304 includes various keys including numeric keys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the terminal controller 300 with a key input input from a user. The display unit 306 outputs data applied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300 as image information, and outputs video data input from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300. Output

그리고 RF부(308)는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단말기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310)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310)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310)는 단말기 제어부(300)와 RF부(308)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단말기 제어부(3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308)에 인가하며, RF부(308)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 제어 부(300)에 인가한다. 그리고 단말기 제어부(300)와 연결된 코덱(312)은 증폭부(314)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단말기 제어부(300)에 출력한다. 그리고 단말기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314)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31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단말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The RF unit 308 transmits and receives an RF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received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and output to the baseband processor 310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troller 300, and the IF signal input from the baseband processor 310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Send it. The baseband processor 310 is a baseband analog ASIC (BBA)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controller 300 and the RF unit 308. The baseband processor 310 receives an analog IF signal from a baseband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300.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signal and applied to the RF unit 308, and the analog IF signal applied from the RF unit 308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nd applied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300. In addition, the codec 312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troller 30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through the amplifier 314, and encode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PCM (Pulse Code Modulation) encoding for the audio data. Output to 300. The audio data input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300 is PCM decoded and output to the speaker through the amplifier 314. The amplifier 314 amplifie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or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and adjusts the volume of the speaker and the gai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300.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DMB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DMB signal through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using a DMB receiv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가 상기 이동 단말기(102)에 연결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2)의 단말기 제어부(300)는 40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400단계에서 상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 경우라면, 단말기 제어부(300)는 4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키 신호를 DMB 수신 장치(1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DMB 수신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4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채널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4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2, the terminal control unit 300 of the mobile terminal 102 proceeds to step 400. Checks if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nel selection. If there is a key input for the channel selection in step 400, the terminal controller 300 proceeds to step 402 and transmits the input key signal to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In step 404, the control unit 200 o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selects a channel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user. In operation 406, the controller 200 receive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4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복사하여 두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복사된 각각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로부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4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재생 가능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형식을 체크한다. 그리고 414단계로 진행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변환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In operation 408, the controller 200 copies the receiv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o generate tw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In operation 410, the controller 200 extracts video data and audio data from each of the copi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412 and checks the format of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mobile terminal 102. In step 41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version of video data and audio data extracted from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s necessary.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변환이 필요한 경우 4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두 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재생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4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환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102)와 연결된 제1 연결부(226)로 출력하고, 상기 두 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중 다른 하나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S-VHS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와 연결된 제2 연결부(228)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변환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들은 420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2)로 전송되고, S-VHS 신호로 변환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들은 422단계에서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전송된다. When the conversion of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is necessary,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416 and the mobile terminal 102 plays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extracted from one of the tw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Convert to any data format possible. In operation 418, the controller 200 outputs the converted video / audio data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26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2, and is extracted from another one of the tw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The video data is converted into an S-VHS signal and output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8 connected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together with the extracted audio data. Then, the converted video /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2 in step 420, and the video / audio data converted to the S-VH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in step 422.

여기서 상기 418단계에서는,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와 이동 단말기 (102)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서로 동기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422단계에서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전송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418단계의 상세한 과정을 하기 도 5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Here, in step 418, video / audio transmitted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in step 422 to synchronize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out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and the mobile terminal 102 with each other. Audio data may also be buffered. In this case, a detailed process of step 418 of buffering the video / audio dat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한편, 만약 상기 414단계의 판단 결과 데이터 형식의 변환이 필요없는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상기 두 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102)와 연결된 제1 연결부(226)로 출력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출력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와 연결된 제2 연결부(228)로 출력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이 없었기 때문에 지연시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버퍼링 동작을 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version of the data format is not necessary in step 414, the controller 200 connects the video / audio data extracted from one of the tw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signals to the mobile terminal 102. It outputs to the first connector 226, and outputs the video / audio data output from the other to the second connector 228 connected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In such a case, since there is no delay in the data format conversion, no delay occurs, and thus no buffering operation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420단계 및 422단계에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은 이동 단말기(102)와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는 이를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확인을 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2)는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정보 데이터 또는 상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DMB 수신 장치(100)에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요청에 따른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102)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단말기(102)는 기 저장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정보 데이터 및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파싱하고 이를 화상 정보로 표시부(306)에 출력한다. The mobile terminal 102 and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that receive the video / audio data in steps 420 and 422 respectively output the same. Although not shown, when the user wants to confirm the information data or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the mobile terminal 102 transmits the information data or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user. The reception apparatus 100 makes a request. Then, the control unit 200 transmits the information data or channel-specific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to the mobile terminal 102. The mobile terminal 102 then parses the information data and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through pre-stored interface software and outputs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306 as image information.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를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와 이동 단말기(102)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2)와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2)의 키 입력부(304)를 이용하여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102)의 표시부(306)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포함된 정보 데이터 및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connects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and the mobile terminal 102, the user may digitally connect the mobile terminal 102 and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You can watch multimedia broadcasting. In addition, a desired channel is selected by using the key input unit 304 of the mobile terminal 102, and information data and channel-specific broadcasting program included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using the display unit 306 of the mobile terminal 102. You can check the information.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가 DMB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단계를 보다 상세히 보이는 상세하게 보이는 흐름도이다. 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tep of outputting a DMB signal by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416단계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102)가 재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이 이루어지면, 제어부(200)는 50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에 따른 소요 시간, 즉 지연 시간을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5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지연 시간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와 연결된 제2 연결부(228)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5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버퍼링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2)로 전송될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출력한다. 그러면 버퍼링되지 않은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들은 420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2)로 전송되고, 상기 버퍼링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들은 422단계에서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에서는 상기 지연시간으로 인해 상기 이동 단말기(102)에서 재생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부터 재생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 터의 동기 불일치를 막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mobile terminal 102 converts the data into a playable data format in step 416,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500 and thus the time required for the data format conversion, that is, delay. Check the time. In step 502, the controller 200 buffers the video / audio data out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8 connected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according to the delay time. In operation 504, the controller 200 outputs the buffered video / audio data and the video / audio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2, respectively. The unbuffered video /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2 in step 420, and the buffered video /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in step 422. Therefore, i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 audio data played back in the mobile terminal 102 and the video / audio data played back from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due to the delay time. This can prevent the synchronization mismatch.

그런데 만약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가 배터리와 같은 자체 전원을 구비하고, 또한 소정의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부를 구비한다면, 상기 이동 단말기(102)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재생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DMB 수신 장치가 상기 소정의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부 및 자체 전원을 구비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칭하기로 한다. However, i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ts own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and also has a key input uni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nnel, the broadcast signal is not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2.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may be reproduced through the output device 106. Hereinafter, the DMB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 key input unit and its own power source for selecting the predetermined chan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가 방송신호 출력장치와 연결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MB receiv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6의 (a)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MB 방송 수신 장치가 이동 단말기(102) 없이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에 연결되어 있는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며, 도 6의 (b)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DMB 방송 수신 장치에 구비된 상기 소정의 키 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rst, FIG. 6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DMB broadcast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without the mobile terminal 102. 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edetermined key input unit provided in the DMB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6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600)는 자체적으로 상기 도 6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키 입력부(650)와 자체 전원을 가지고 있기에 이동 단말기(102) 없이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 및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 도 6의 (b)에서 좌 화살표 키(652)는 사용자가 채널 선택시 채널 번호를 감소시키기 위한 키이며, 우 화살표 키(654)는 사용자가 채널 선택시 채널 번호를 증가시키기 위한 키이다. 그리고 정지키(656)는 사용자가 상기 화살표키(652, 654) 중 어느 하나를 계속 입력하는 경우 계속 증가 되는 채널 번호를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DMB 수신 장치(600)이 제공하는 각종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6 (a), the DMB receiv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f-power the key input unit 650 and the self power as shown in FIG. 6 (b).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transmi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signals without the mobile terminal 102. In FIG. 6B, the left arrow key 652 is a key for decreasing the channel number when the user selects a channel, and the right arrow key 654 is a key for increasing the channel number when the user selects a channel. In addition, the stop key 656 may be used to stop the channel number which is continuously increased when the user keeps inputting any one of the arrow keys 652 and 654, and also provided by the DMB receiving apparatus 600. It can be used to display the menu screen.

그리고 사용자가 이러한 좌 화살표 키(652) 또는 우 화살표 키(654)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600)는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따른 OSD 데이터를 OSD 데이터 저장부(224)로부터 로드하여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합성하고 이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설정된 방송 채널의 정보, 즉 채널 번호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선택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s the left arrow key 652 or the right arrow key 654, the DMB receiv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OSD data according to the key input signal. Loaded from the unit 224, synthesized with the video data out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and outputs it. Then,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receives the video data and displays information of a currently set broadcast channel, that is, information such as a channel number.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channel currently selected by the user.

도 7은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7 is a block diagram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600)는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달리, 키 입력부(702)와 전원부(704), 그리고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의 S-VHS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104)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706)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DMB receiv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key input unit 702, the power supply unit 704, and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An interface unit 706 for connecting with the connector 104 having a terminal connected to the S-VHS terminal of the.

여기서 상기 전원부(704)는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704)는 배터리(Battery)일 수도 있다. Here, the power supply unit 704 supplies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704 may be a battery.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키 입력부(702)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채널 설정부(214)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 입력 신호에 따른 OSD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합성하여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출력한다.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channel setting unit 214 according to the key input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702 to set th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The OSD data according to the key input signal input by the user is synthesized with the video data in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and out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DMB 신호 해석부(206)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그리고 제어 데이터 및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들로 해석한다. 그리고 해석된 데이터들을 상기 제어부(700)에 입력한다. Whe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ccording to th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is received, the DMB signal analyzer 206 converts the receiv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to video data, audio data, control data, and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Interpret The interpreted data is input to the controller 700.

그러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제어 데이터는 제어 데이터 파싱부(208)로 인가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인터페이스부(706)와 연결된 커넥터(104)를 통해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입력한다. 여기서 만약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바로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로 출력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600)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에서 재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600)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에서 재생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708)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의 형식 변환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PC(Personal Computer)등으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메모리부(702)에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Video/Audio 신호 변환부(708)의 역할은 상기 본 발명의실시 예에 따른 DMB 신호 변환부(212)가 대신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n, the control unit 700 applies the channel-specific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nd control data to the control data parsing unit 208, and the video data and audio data are broadcast through the connector 104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706. Input to the signal output device 106. If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has a function of reproducing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the controller 700 directly transfers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Output However, if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cannot reproduce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video data and audio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The device 106 may convert the file into a form that can be reproduced and output the same. In this cas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ignal converter 708 for converting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into a format reproducible by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format conversion of the data may be downloaded from a personal computer (PC) of the user, or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unit 702. In addition, the role of the video / audio signal converter 70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DMB signal converter 2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그러면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700)의 인터페이스부(706)에 구비된 S-VHS 신호 변환부(232)에 의해 S-VHS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706)와 연결된 커넥터(104)를 통해 방송신호 출력장치의 S-VHS 단자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인터페이스부(706)를 통해 방송신호 출력장치(106)에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는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100)에 소정의 키 입력부(702) 및 전원부(704)만 더 구비된다면, 이러한 DMB 수신 장치(600)는 이동 단말기(102)가 없이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방송신호 출력장치(106)를 통해 얼마든지 재생할 수 있다. Then, the video data is converted into an S-VHS signal by the S-VHS signal converter 232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706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put to the S-VHS terminal of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104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706. The audio data is out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through the interface unit 706.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then reproduces the input video data and audio data. Accordingly, if only the predetermined key input unit 702 and the power supply unit 704 are further provided i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600 may be digital multimedia without the mobile terminal 102. The broadcast signal can be played back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106.

그리고 비록 상기 도 7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600) 역시 이동 단말기102)에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라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6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2)와의 연결을 감지하고 감지 여부에 따라 전원부(704)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지 아니면 이동 단말기(102)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600)는 이동 단말기(102)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2)의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입력받음으로써 전원부(704)의 전원을 절약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mentioned in FIG. 7,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2. If this is the case,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2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unit 704 according to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2 detects the connection or the mobile terminal ( 102 may select whether to receive power. That i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704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2 as the operating power when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2. You can sav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DMB 수신 장치(100)가 이동 단말기(102)의 10극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것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DMB 수신 장치(100)가 이동 단말기(102)의 24극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2)의 예로 휴대 전화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MB receiv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10-pole inte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2 as an example, but the DMB receiving device 100 is a 24-pole of the mobile terminal 102. Of course, it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In addition, although the mobile phone is taken as an example of the mobile terminal 10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별도의 DMB 전용 단말기 없이도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상기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비디오/오디오/정보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outpu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through a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without the separate DMB dedicated terminal, and a user through the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using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The user can watch the video / audio / information data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check the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of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laims (3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이동 단말기와,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 가능한 방송신호 출력장치와 연결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 장치에 있어서,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producing multimedia data and a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reproduc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the DMB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DMB),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키 입력에 따른 채널에 대응하는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신호 수신부와, A DMB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a DMB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according to the key input when there is a key input for channel selec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수신된 DMB 신호를 복사하여 적어도 두개의 DMB 신호로 생성하는 DMB 신호 복사부와, A DMB signal copying unit for copying the received DMB signal to generate at least two DMB signals; 상기 생성된 각각의 DMB 신호들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그리고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DMB 신호 해석부와, A DMB signal analyzer for extracting multimedia data, information data, control data, and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from the generated DMB signals; 상기 DMB 신호 복사부에서 생성된 DMB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DMB신호로부터 추출된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DMB 신호 변환부와, A DMB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first multimedia data extracted from one of the DMB signals generated by the DMB signal copying unit into a data format reproducible by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연결부 및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부와, An interface unit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DMB 신호들 중 다른 하나의 DMB 신호로부터 추출된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Converting the first multimedia data into a data format reproducible by the mobile terminal, outputting the first multimedia data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outputting the second multimedia data extracted from the other one of the DMB signals;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through a second conn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입력에 대응되는 채널 정보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표시하기 위한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And a memory unit storing OSD (On Screen Display) data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채널 선택을 위한 키가 입력되면, 상기 키 입력에 대응되는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OSD 데이터를 로드(Load)하고, 이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합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When the key for selecting the channel is input, the OSD data including the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is loaded, and the synthesized output is synthesized on the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DMB recei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 또는 정보 데이터의 출 력을 위한 키가 입력되면, 상기 DMB 신호에 포함된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 또는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연결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When a key for outputting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or information data for each channel is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or information data for each channel included in the DMB signal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data is output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DMB receiv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unit, 상기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소정 시간 만큼 버퍼링(Buffering)하는 버퍼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And a buffering unit configured to buffer the second multimedia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데 소요되는 지연 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제2 연결부로 출력되는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지연시간만큼 버퍼링(Buffering)되도록 상기 버퍼링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The delay time required to convert the first multimedia data into a playable data format is checked, and the buffer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second multimedia data output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is buffered by the delay time. DMB receiv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는, According to claim 1,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S-VHS(Super VHS) 단자 및 오디오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TV(Television)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DMB receiv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V (Television) having a S-VHS (Super VHS) terminal and an audio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the second multimedia data from the outside.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상기 S-VHS 단자 및 오디오 단자와 정합되는 포트들과, 상기 제2 연결부와 정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통해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상기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And transmitting the second multimedia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through a connector having ports matching with the S-VHS terminal and the audio terminal and an interface unit matching with the second connection unit. Recei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는, According to claim 1,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상기 DMB 수신 장치로부터 S-VHS 단자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And a function for reproducing video data input from the DMB receiving apparatus to the S-VHS terminal.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가능한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연결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수신 장치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er connected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reproduc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상기 DMB 수신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연결부와, A terminal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from the DMB receiving apparatus;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선택 또는 정보 데이터의 출력 및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받기위한 키 입력부와,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input for selecting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or outputting information data and selecting a channel from a user; 상기 DMB 수신 장치로부터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된 키 신호를 상기 DMB 수신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When information data or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is received from the DMB receiver, image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data or broadcast program for each channel is generated, and the signal that the DMB receiver can recognize the input key sig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interface software for converting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을 상기 DMB 수신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DMB 수신 장치로 입력하고, 상기 DMB 수신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재생하여 출력하며, 상기 DMB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 및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Converts the user's key input into a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DMB receiving apparatus, inputs the same to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nd reproduces and outputs the multimedia data whe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is inpu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data and the broadcast program for each channel and output the image information to a display unit when the information data or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is received.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terface software, 사용자 선택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또는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mobile terminal which is downloaded from a wireless network or a personal computer (PC) by user selection.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이동 단말기와,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 가능한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장치에서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The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producing multimedia data and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reproduc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receive the DMB signal, and receive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roadcast signal. In the output method to the output device,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신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 단계와, A key input step of receiving a key signal for channel selec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입력된 키 신호에 대응되는 채널의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 단계와, Receiving a DMB signal of a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signal; 상기 수신된 DMB 신호를 복사하여 적어도 두개의 DMB 신호로 생성하는 DMB 신호 생성 단계와, Generating a DMB signal by copying the received DMB signal into at least two DMB signals; 상기 생성된 DMB 신호들 각각으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추출 단계와, Extracting multimedia data from each of the generated DMB signals; 상기 생성된 DMB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DMB 신호로부터 추출된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와, A data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first multimedia data extracted from one of the generated DMB signals into a multimedia data format playable by the mobile terminal; 상기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DMB 신호들 중 다른 하나의 DMB 신호로부터 추출된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DMB 신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DMB 신호 출력 방법. Outputting the first multimedia data converted from the data format to the mobil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second multimedia data extracted from the other DMB signal among the generated DMB signals to the broadcasting signal output device; DMB signal output method for outputting a DMB signal to a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ata conversion step,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하는 데이터 형식 체크 단계와, A data format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can play the first multimedia data;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DMB 신호 출력 방법. And a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first multimedia data into a data format reproducible by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형식 체크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hecking of the data format comprises: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형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형식 정보 수신 단계와, A data format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from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n a multimedia data format playable by the mobile terminal; 상기 데이터 형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형식들 중,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가능한지 판단하는 재생 여부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DMB 신호 출력 방법. And a playback check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can play the first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whether a data format of the first multimedia data is included among the data formats included in the data format information. DMB signal output method for outputting a DMB signal to a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MB 신호 출력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MB signal output step, 상기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데 소요되는 지연 시간을 체크하는 지연 시간 체크 단계와, A delay time checking step of checking a delay time required to convert the first multimedia data into a playable data format; 상기 지연 시간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되는 상기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하는 버퍼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DMB 신호 출력 방법. And a buffering step of buffering the second multimedia data outputted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delay time.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 출력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체크 단계와, A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outputting information data or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수신된 DMB 신호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the information data or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from any one of the received DMB signals; 상기 정보 데이터 또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DMB 신호 출력 방법.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data or the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to the mobile terminal. The DMB signal output method for outputting a DMB signal to a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MB 신호 출력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MB signal output step,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S-VHS(Super-VHS)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DMB 신호 출력 방법. DMB signal output method for outputting a DMB signal to a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the second multimedia data out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to S-VHS (Super-VHS) signal.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가능한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연결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 장치에 있어서, A DMB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reproduc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 receiv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ignal,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 가능한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연결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수신 장치에 있어서, I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which is connected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reproduc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 receiv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ignal,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키를 입력 받기 위한 키 입력부와,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for selecting a channel from a user; 상기 키 입력에 대응되는 채널 정보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표시하기 위한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가 저장된 OSD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메모리부와, A memory unit including an OSD dat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OSD (On Screen Display) data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상기 DMB 수신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입력 받기 위한 전원부와,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power input for the operation o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상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키 입력에 따른 채널에 대응하는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신호 수신부와, A DMB signal receiver which receives a DMB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according to the key input when there is a key input for selecting a channel; 상기 수신된 DMB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DMB 신호로부터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그리고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DMB 신호 해석부와, A DMB signal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received DMB signal and extracting multimedia data including video / audio data, information data and control data, and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from the DMB signal;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An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상기 DMB 신호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채널의 DMB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DMB 신호 해석부가 상기 수신된 DMB 신호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OSD 데이터를 상기 OSD 저장부로부터 로드(load)한 후 상기 로드한 OSD 데이터와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합성하고, 상기 OSD 데이터가 합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부를 통해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The DMB signal receiving unit to receive the DMB signal of the channel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the DMB signal analysis unit to extract the multimedia data from the received DMB signal, OSD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Loads the OSD data from the OSD storage unit, synthesizes the loaded OSD data with the extracted multimedia data, and transmits the synthesized multimedia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DMB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는,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omprises: 상기 DMB 신호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S-VHS(Super-VHS) 단자를 통해 입력받고, 상기 DMB 신호로부터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 설정된 오디오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받는 TV(Television)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A DMB, wherein the video data extracted from the DMB signal is input through an S-VHS terminal and the audio data extracted from the DMB signal is input through a preset audio input terminal. Receiving device.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interface unit, 상기 S-VHS 단자와 정합되는 포트와, 상기 오디오 입력 단자와 정합되는 포트와 정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통해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상기 수신된 DMB 신호로부터 추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extracted from the received DMB signal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through a connector having a port that matches the S-VHS terminal and an interface that can match the port that matches the audio input terminal; DMB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가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수신된 DMB 신호로부터 추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And a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multimedia data extracted from the received DMB signal into a dat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 가능한 방송신호 출력장치와 연결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장치에서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receiving a DMB signal from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er connected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reproduc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 outputting the DMB signal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을 위한 키를 입력 받는 키 입력 단계와, A key input step of receiving a key for selecting a channel from a user, 상기 채널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로드(load)하는 OSD 로드 단계와, An OSD loading step of loading on-screen display (OSD)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nel when there is a key input for selecting the channel; 상기 키 입력에 따른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채널의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신호 수신 단계와, Setting a channel according to the key input and receiving a DMB signal of the set channel; 상기 수신된 DMB 신호로부터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추출 단계와, Extracting multimedia data including video / audio data from the received DMB signal; 상기 로드된 OSD 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합성하는 OSD 합성 단계와, An OSD synthesizing step of synthesizing the loaded OSD data with the extracted multimedia data; 상기 OSD 데이터가 합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DMB 신호 출력 방법. And outputting the multimedia data synthesized with the OSD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는,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is 상기 OSD 데이터가 합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S-VHS(Super-VHS) 단자와 오디오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TV(Television)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DMB 신호 출력 방법. The DMB signal is a TV (Television) having an S-VHS (Super-VHS) terminal and an audio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video data from the multimedia data synthesized with the OSD data. DMB signal output method for outpu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와 상기 DMB 수신 장치는,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and the DMB receiving device are 상기 S-VHS 단자 및 오디오 입력 단자와 정합되는 포트들과, 상기 DMB 수신 장치와 정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OSD 데이터가 합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커넥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DMB 신호 출력 방법. The multimedia data synthesized with the OSD data through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or having ports matching the S-VHS terminal and the audio input terminal, and an interface unit capable of matching with the DMB receiving device. DMB signal output method for outputting a DMB signal to a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추출 단계 수행 후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가 재생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하는 재생 가능 여부 체크 단계와, A playability check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an play the extracted multimedia data after performing the multimedia data extraction step; 상기 재생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가 재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상기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변환 출력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신호를 일반적인 방송신호 출력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DMB 신호 출력 방법. And converting the extracted multimedia data into a data format reproducible by the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layability, and then outputting the converted multimedia data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DMB signal output method for outputting a DMB signal to a general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수신 장치에 있어서,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ing apparatus,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는 제1연결부와,A first connection uni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for playing multimedia data;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방송신호 출력장치와,연결될 수 있는 제2연결부와,A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for reproducing an input broadcast signal, a second connection unit connectable thereto,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연결된 이동 단말기 및 연결된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and output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o a connected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ed broadcasting signal output devic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의 S-VHS(Super-VHS) 단자에 연결되며, S-VHS 신호로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And a S-VHS (Super-VHS) terminal of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and outputs the broadcast signal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as an S-VHS signal. 제2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A data converter converting the broadcast signal into a digital multimedia dat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mobile terminal;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가 재생할 수 있는 방송신호 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And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signal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수신 장치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outputt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ing device,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출력 단계와,A mobile terminal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laying multimedia data;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 신호를 재생 가능한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방송신호 출력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출력 방법.And a broadcast signal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broadcast signal to a broadcast signal output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the broadcast signal.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출력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mobile terminal output step,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생 가능한 형식으로 데이터 변환하는 제1 변환 단계와,A first conversion step of data conversion of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into a format reproducible by the mobile terminal; 상기 변환된 방송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출력하는 제1출력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출력 방법.And a first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converted broadca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출력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broadcasting signal output step,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가 재생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2변환 단계와,A second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into a format reproducible by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상기 변환된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신호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제2출력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출력 방법.And a second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converted broadcast signal to the broadcast signal output devic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출력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broadcasting signal output step, 상기 방송 신호를 S-VHS(Super VHS) 신호로 변환하는 S-VHS 신호 변환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출력 방법.And an S-VHS signal converting step of converting the broadcast signal into an S-VHS signal.
KR1020050105519A 2005-11-04 2005-11-04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dmb signal through a common broadcasting signal outputting apparatus KR1007560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19A KR100756019B1 (en) 2005-11-04 2005-11-04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dmb signal through a common broadcasting signal output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19A KR100756019B1 (en) 2005-11-04 2005-11-04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dmb signal through a common broadcasting signal output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430A KR20070048430A (en) 2007-05-09
KR100756019B1 true KR100756019B1 (en) 2007-09-07

Family

ID=3827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519A KR100756019B1 (en) 2005-11-04 2005-11-04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dmb signal through a common broadcasting signal output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0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759B1 (en) * 2007-12-17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storage of broadcasting contents information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936A (en) * 2003-08-27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igital Multimedia Data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KR20050067875A (en)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outputing video signals received by its integrated tv module
KR200416538Y1 (en) 2006-02-22 2006-05-16 대우전자부품(주) The portable DMB reception device that USB port is composed.
KR20060064277A (en) * 2004-12-08 2006-06-13 주식회사 텔레칩스 Dmb receiver in portable dab player
KR20060101580A (en) * 2005-03-21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mb broadcasting using external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936A (en) * 2003-08-27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igital Multimedia Data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KR20050067875A (en)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outputing video signals received by its integrated tv module
KR20060064277A (en) * 2004-12-08 2006-06-13 주식회사 텔레칩스 Dmb receiver in portable dab player
KR20060101580A (en) * 2005-03-21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mb broadcasting using external device
KR200416538Y1 (en) 2006-02-22 2006-05-16 대우전자부품(주) The portable DMB reception device that USB port is compo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430A (en)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9838C2 (en) Auxiliary mobile terminal device for receiving and playing back dmb data and method thereof
US70317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audio signal for a voice call in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US8451388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audio processing method for processing according to detected mode
US7603079B2 (en) Mobile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nd method for stor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KR100730722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ackage and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US20050266878A1 (en) Multi-fun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GB2410160A (en)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udio visual signal to a mobile device in a home network
KR100756019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dmb signal through a common broadcasting signal outputting apparatus
KR201000832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obile broadcasting service
EP2175643A1 (en) Personal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30058118A (en) Radio interfacing apparatus for digital television set-top box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30010233A (en) A television have multiple function
KR20090090753A (en) Mobile terminal sharing decoded multimedia video and audio signal
JP2005151443A (en) Information equipment equipped with video telephone function, communication system equipped information equipment, communication method by information equipment equipped with video telephone func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n
KR20070078621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muli-data in terminal having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7352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ta
KR20070010598A (en) Method capturing image on playing of broadcasting data in digital multimedia terminal
KR10063209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television and radio
KR200205544Y1 (en) Multi―functional broadcasting receiving and recording device
KR100877724B1 (en) Potable broadcasting equipment
KR1008100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nversion of analog A/V signal
KR20100107194A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its video data play method
KR200291673Y1 (en) Potable broadcasting equipment
KR20080042576A (en) Audio output device and the method of digital television having personal computer
KR20080040231A (en) A recording display device for multi channel and th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