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871B1 -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조명등 - Google Patents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871B1
KR100755871B1 KR1020070036833A KR20070036833A KR100755871B1 KR 100755871 B1 KR100755871 B1 KR 100755871B1 KR 1020070036833 A KR1020070036833 A KR 1020070036833A KR 20070036833 A KR20070036833 A KR 20070036833A KR 100755871 B1 KR100755871 B1 KR 100755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bushing
supporting
plate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연
Original Assignee
안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연 filed Critical 안수연
Priority to KR102007003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에 있어서 다수로 분할 조립되는 투광개체의 상부 중앙을 마감 장식하기 위한 마감투광판의 지지구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양단에 나사부를 갖는 나사축을 구비하고, 보다 확장경을 갖는 지지관을 별도로 형성하여 그 지지관을 나사축에 삽입하되, 지지관의 선단에는 마감투광판의 받침 및 나사축과의 결합을 가능케 하는 확장부싱을 삽입 형성하고, 지지관의 하단에는 나사축과 지지관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도 하부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마감부싱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지지관과 나사축을 이용한 마감투광판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확장된 지지관에 의해 중량체인 마감투광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면서도, 확장부싱과 마감부싱은 설치부재 및 마감투광판과의 대응 접촉면을 증대시켜 체결부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을 분산시키므로 지지력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것이며, 축소경을 갖는 나사축의 외측에 확장경을 갖는 지지관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마감투광판을 지지하기 위한 전체 직경은 증가한 반면 지지수단의 전체 중량은 감소되므로 뛰어난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조명등의 전체 중량을 경감시키므로 매우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특징의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이다.
조명등, 마감투광판, 지지축, 지지관, 확장부싱, 마감부싱

Description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Fabrcated ceiling lighting having a firm structure for supporting floodlight plate}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을 도시한 측단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마감투광판을 결합하기 위한 지지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마감투광판을 결합하기 위한 지지수단의 결합 순서도로서,
도 4a는 하부의 설치부재에 나사축과 지지관을 결합하는 상태도
도 4b는 마감투광판을 조립하기 위한 체결부 분리 상태도
도 4c는 조명등의 마감투강판을 나사축과 지지관을 이용하여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설치부재 11 : 램프소켓
20 : 고정부재 30 : 투광개체
40 : 마감투광판
50 : 지지축 51,51' : 나사부
52 : 지지관 53 : 체결너트
60 : 확장부싱 61 : 삽입부
62 : 나사공
70 : 마감부싱 71 : 끼움부
72 : 끼움공
80 : 장식체결구
본 발명은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에 있어서 다수로 분할 조립되는 투광개체의 상부 중앙을 마감 장식하기 위한 마감투광판의 지지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고정되는 설치부재에 지지축 하단을 결합하고, 그 지지축에는 상,하단에 각각 확장부싱과 마감부싱이 결합된 보다 확장경의 지지관을 삽입하여, 그 지지축의 선단에 체결되는 마감투광판이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갖고 고정 설치되게 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조명등은 가정이나 사무실, 오피스텔, 관공서 및 예식장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어두운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대부분 천정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실내 전체를 비추는 것인데, 천정에 직접 고정하기 위한 설치부재에는 램프 소켓 및 안정기 등이 내장되어 있고, 램프가 삽입된 설치부재의 하측에는 그 램프의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기 위한 전등커버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천정용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평면상 사각 또는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보편적이고, 보다 다양하게는 샹들리에 또는 계단식 입체 조명등으로 제작되어 보다 다양한 사용처 및 사용위치에 대응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천정용 조명등은 그 외관 및 구성이 지극히 단순하여 단조로운 심미감에 의해 쉽게 식상함은 물론 독특한 인테리어와의 조화롭지 못한 배치감에 의해 실내 디자인을 해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샹들리에 또는 계단식 입체 조명등은 그 화려함과 다양함을 갖고 있는 반면, 지나치게 복잡한 생산 구조를 갖고 있어 매우 고가의 생산비를 부담하여야 함은 물론 대량 생산이 부적합하여 고가의 제품으로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이며, 유지 및 보수는 물론 소모품인 내부 램프의 교환이 용이하지 못하여 곤란함을 겪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출원인은 2007년 특허출원 제13719호 및 도 1의 도시와 같이, 실내 천정에 직접 고정되는 설치부재(110)와 그 설치부재(110)로부터 이격된 고정부재(12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120)에는 다수로 분할된 투광개 체(130)의 단부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투광개체(130)의 중심 및 고정부재(120)의 중앙에는 원반형의 마감투광판(140)을 결합 형성함으로써,
다수로 분할 조립되는 투광개체가 흡사 꽃잎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만개한 꽃과 같은 형상의 조명등을 구현하여 화려한 입체감이 매우 뛰어난 것이며, 투광개체 및 마감투광판의 표면에 다양한 입체 장식무늬를 형성하여 더욱 뛰어난 장식성은 물론 다양한 각도의 반사 및 투시광에 의해 양질의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이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누구라도 손쉽게 생산할 수 있어 대량 생산에 따른 원가 절감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램프 등의 소모품을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해당 부분만을 분해하여 손쉽게 교환할 수 있어 그 사용 편의성이 매우 뛰어난 특징의 장식 및 발광성이 뛰어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을 안출한 바 있다.
또한, 상기한 마감투광판(140)을 결합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지지축(111) 하단을 상기한 설치부재(110)에 결합하고, 그 지지축(111)의 선단에는 마감투광판(140)의 중앙부를 삽입하여, 마감투광판(14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축(111)의 단부에 별도의 장식체결구(112)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한 마감투광판(140)이 그 지지축(111)으로부터 체결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마감투광판은 비교적 두꺼운 유리재 등으로 제작되므로 이를 대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자체의 중량이 증가하므로, 이를 지지하 고 있는 상기한 지지축에는 상당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지지축과 설치부재 간의 조립부 및 지지축과 마감투광판 간의 조립부는 과도한 하중 및 회전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축은 봉 형태로 된 재료를 절삭 가공하여 제작하므로 고가의 제작비는 물론 대량 생산이 극히 제한적인 것이며, 그 크기에 비해 다소 무거운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지지축 자체의 중량에 마감투광판의 중량이 더해지므로 상기한 마감투광판은 그 조명등의 설치시 좌,우로 크게 흔들려 매우 불안한 것이 사실이며, 이와 같은 하중에 의한 부하 및 집중응력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취약한 체결부 등에 심각한 파손이 발생하므로 그 사용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것이며, 자칫 해당 부품의 체결력이 상실되어 바닥으로 낙하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양단에 나사부를 갖는 나사축을 구비하고, 보다 확장경을 갖는 지지관을 별도로 형성하여 그 지지관을 나사축에 삽입하되, 지지관의 선단에는 마감투광판의 받침 및 나사축과의 결합을 가능케 하는 확장부싱을 삽입 형성하고, 지지관의 하단에는 나사축과 지지관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도 하부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마감부싱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지지관과 나사축을 이용한 마감투광판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확장된 지지관에 의해 중량체인 마감투광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면서도, 확장부싱과 마감부싱은 설치부재 및 마감투광판과의 대응 접촉면을 증대시켜 체결부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을 분산시켜 그 지지력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것이며, 축소경을 갖는 나사축의 외측에 확장경을 갖는 지지관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마감투광판을 지지하기 위한 전체 직경은 증가한 반면 지지수단의 전체 중량은 감소되므로 뛰어난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조명등의 전체 중량을 경감시키므로 매우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특징의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마감투광판을 결합하기 위한 지지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방사상의 램프소켓(11)을 갖는 설치부재(10)의 상측에는 고정부재(20)를 이격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상측에는 분할 형성된 투광개체(30)의 단부를 방사상으로 외향 결합 형성하며, 상기 투광개체(30)가 결합된 고정부재(20)의 상측에는 상기 설치부재(10)로부터 수직 입설된 지지축(50)에 의해 별도의 마감투광판(40)을 결합 형성하여 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축(50)의 상,하단에는 동일외경을 갖는 나사부(51)(51')를 각각 형성하고, 그 지지축(50)에는 보다 확장경을 갖는 지지관(52)을 삽입하며, 상기 지 지관(52)의 상,하단에는 확장부싱(60)과 마감부싱(70)을 각각 삽입 형성하여,
설치부재(10)와 마감투광판(40)의 사이에 상기 지지관(52)이 위치되게 하고, 상측 확장부싱(60)의 상부면은 마감투광판(40)의 저면과 맞닿게 구성하며, 하부 마감부싱(70)의 저면은 설치부재(10)의 상부면과 맞닿으며, 상기 설치부재(10)와 마감투광판(40)의 저면과 상부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나사부(51)(51')에는 각각 체결너트(53)와 장식체결구(80)를 나사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때, 지지관(52)의 선단에 삽입되는 확장부싱(60)에는, 지지관(52)의 내면과 밀착 삽입되는 삽입부(61)를 하향 형성하고, 그 삽입부(61)에는 나사부(51)와 결합되는 나사공(62)을 관통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지지관(52)의 하단에 삽입되는 마감부싱(70)에는, 지지관(52)의 내면과 밀착 삽입되는 끼움부(71)를 상향 형성하고, 그 끼움부(71)에는 지지축(50)이 긴밀 삽입되게 한 끼움공(72)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은 천정 하부면에 직접 고정되는 설치부재(10)를 갖고 그 설치부재(10)의 상측에는 고정부재(20)가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설치부재(10)의 상부면에는 고정부재(20)와의 사이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램프소켓(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재(20)에는 투명재로 된 투광개체(30)가 분할 형태로 결 합되는 것이며, 상기한 분할 상의 투광개체(30)가 조립된 후 그 고정부재(20)의 상측에는 별도의 마감투광판(40)이 결합되는데, 상기한 마감투광판(40)은 설치부재(1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 입설된 지지축(50)의 선단에 결합되는 것이며, 지지축(50)의 선단이 마감투광판(40)을 관통하여 돌출되면 그 돌출부에 별도의 장식체결구(80)를 나사 결합하여 완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마감투광판(40)은 상기한 투광개체(30)의 조립부를 은폐시키면서도 상기 투광개체(30) 표면의 무늬 모양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장식성을 연출하는 목적을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마감투광판(40)은 비교적 고중량체이므로 이를 결합 지지하기 위한 구조는 비교적 우수한 버팀력을 갖고 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봉 형태로 된 지지축(50)과 관 형태로 된 지지관(52)을 이용하여 상기 마감투광판(40)을 효과적으로 체결 및 지지하게 된다.
즉, 상하단에 나사부(51)(51')를 갖는 지지축(50)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50)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보다 확장경의 지지관(52)을 별도 형성하며, 상기 지지관(52)의 상단과 하단에 각기 삽입되는 확장부싱(60)과 마감부싱(70)을 각기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을 통해 상기 마감투광판(40)의 견고한 지지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확장부싱(60)은 지지관(52)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는 지지관(52)의 내측으로 긴밀 삽입되는 삽입부(61)를 돌출 형성하며, 그 확장부싱(60)의 중앙에는 상기 나사부(51)와 결합되는 나사공(62)을 관통 형성한 것이며,
상기한 마감부싱(70)은 지지관(52)의 외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는 지지관(52)의 내측으로 긴밀 삽입되는 끼움부(71)를 돌출 형성하며, 그 마감부싱(70)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축(50)이 긴밀 삽입되는 끼움공(7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구성품에 의해 상기한 마감투광판(4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4a의 도시와 같이 지지축(50)의 상측 나사부(51)에 확장부싱(60)을 나사 결합하여 적당한 높이로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한 상태에서 그 지지축(50)의 하측으로부터 지지관(51)을 삽입하여 그 지지관(52)의 선단이 확장부싱(60)의 삽입부(61)에 긴밀하게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추가로 마감부싱(70)을 그 지지축(50)의 하단으로부터 삽입하여 마감부싱(70)의 끼움부(71)가 지지관(52)의 하단 내측으로 긴밀하게 삽입되게 하면, 상기 지지축(50)으로부터 지지관(52) 및 확장부싱(60), 마감부싱(70)이 결합된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 그 지지축(50)의 하측 나사부(51')가 설치부재(10)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하측으로 돌출되게 하면 마감부싱(70)의 저면과 설치부재(10)의 상부면이 맞닿으며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그 설치부재(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부(51')에 별도의 체결너트(53)를 조립하면 그 지지축(50) 및 지지관(52)은 설치부재(10)로부터 유동하지 않는 견고한 체결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지지축(50)의 상부에 마감투광판(40)을 올려놓고 이를 장식체결구(80)에 의해 조립하면 완성되는 것인데, 도 4b의 도시와 같이 지지축(50) 선단이 마감투광판(40)의 중앙을 관통되게 이들을 삽입하면 상기한 마감투광판(40)의 저면은 상기 확장부싱(60)의 상부면에 안치되면서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확장부싱(60)에 의해 안정적인 안치력을 갖게 되는 것이며, 상기 마감투광판(4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축(50)의 상부 나사부(51)에 별도의 장식체결구(80)를 나사 결합되게 되면 도 4c의 도시와 같이 그 마감투광판(40)의 견고한 조립 상태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립 상태의 조명등은, 설치부재(10)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램프소켓(11) 내의 램프에 의해 전체적으로 밝게 빛나는 것으로서, 그 램프의 빛은 고정부재(20)에 방사상으로 분할 체결된 투광개체(30)를 통해 입체적인 확산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중앙의 마감투광판(40)은 설치부재(10)의 중앙부에 수직 형성된 램프소켓(11) 및 그에 결합된 램프의 빛을 실내로 확산 및 반사시키므로 뛰어난 장식성과 발광성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은, 보다 확장된 지지관에 의해 중량체인 마감투광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면서도, 확장부싱과 마감부싱은 설치부재 및 마감투광판과의 대응 접촉면을 증대시켜 체결부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을 분산시키므로 지지력을 가일층 향상 시키는 것이며, 축소경을 갖는 나사축의 외측에 확장경을 갖는 지지관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마감투광판을 지지하기 위한 전체 직경은 증가한 반면 지지수단의 전체 중량은 감소되므로 뛰어난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조명등의 전체 중량을 경감시키므로 매우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방사상의 램프소켓(11)을 갖는 설치부재(10)의 상측에는 고정부재(20)를 이격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상측에는 분할 형성된 투광개체(30)의 단부를 방사상으로 외향 결합 형성하며, 상기 투광개체(30)가 결합된 고정부재(20)의 상측에는 상기 설치부재(10)로부터 수직 입설된 지지축(50)에 의해 별도의 마감투광판(40)을 결합 형성하여 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축(50)의 상,하단에는 나사부(51)(51')를 각각 형성하고, 그 지지축(50)에는 보다 확장경을 갖는 지지관(52)을 삽입하며, 상기 지지관(52)의 상,하단에는 확장부싱(60)과 마감부싱(70)을 각각 삽입 형성하여,
    설치부재(10)와 마감투광판(40)의 사이에 상기 지지관(52)이 위치되게 하고, 상측 확장부싱(60)의 상부면은 마감투광판(40)의 저면과 맞닿게 구성하며, 하부 마감부싱(70)의 저면은 설치부재(10)의 상부면과 맞닿으며, 상기 설치부재(10)와 마감투광판(40)의 저면과 상부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나사부(51)(51')에는 각각 체결너트(53)와 장식체결구(80)를 나사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관(52)의 선단에 삽입되는 확장부싱(60)에는, 지지관(52)의 내면과 밀착 삽입되는 삽입부(61)를 하향 형성하고, 그 삽입부(61)에는 나사부(51)와 결합되는 나사공(62)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3. 제 1항에 있어서,
    지지관(52)의 하단에 삽입되는 마감부싱(70)에는, 지지관(52)의 내면과 밀착 삽입되는 끼움부(71)를 상향 형성하고, 그 끼움부(71)에는 지지축(50)이 밀착 삽입되게 한 끼움공(72)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KR1020070036833A 2007-04-16 2007-04-16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조명등 KR100755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833A KR100755871B1 (ko) 2007-04-16 2007-04-16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833A KR100755871B1 (ko) 2007-04-16 2007-04-16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871B1 true KR100755871B1 (ko) 2007-09-05

Family

ID=3873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833A KR100755871B1 (ko) 2007-04-16 2007-04-16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8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70B1 (ko) 2019-05-02 2019-11-13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 장치
KR20210021247A (ko) 2019-08-14 2021-02-25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56Y1 (ko) 2000-01-28 2000-06-15 정진택 조명등용 지지프레임 구조
US6814471B1 (en) 2003-03-13 2004-11-09 Douglas Stoner Adapter for decorative lighting fixture
KR200401212Y1 (ko) 2005-09-02 2005-11-15 최규상 크리스탈 장식부의 개별 분할구조를 갖는 천장용 직착등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56Y1 (ko) 2000-01-28 2000-06-15 정진택 조명등용 지지프레임 구조
US6814471B1 (en) 2003-03-13 2004-11-09 Douglas Stoner Adapter for decorative lighting fixture
KR200401212Y1 (ko) 2005-09-02 2005-11-15 최규상 크리스탈 장식부의 개별 분할구조를 갖는 천장용 직착등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70B1 (ko) 2019-05-02 2019-11-13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 장치
KR20210021247A (ko) 2019-08-14 2021-02-25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91218A1 (en) Light fixtures and methods for directionally controlling light emissions
KR100755871B1 (ko) 마감투광판의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조명등
KR200413753Y1 (ko) 천정등
KR101794741B1 (ko)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KR200401212Y1 (ko) 크리스탈 장식부의 개별 분할구조를 갖는 천장용 직착등
KR100973917B1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KR200396890Y1 (ko) 스팽글 샹들리에
KR102168314B1 (ko) 설치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유성조명등을 갖는 천장 직착등
KR100798770B1 (ko) 장식 및 발광성이 뛰어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KR200468543Y1 (ko) 투톤 칼라로 조사되는 엘이디 조명등
KR101037401B1 (ko) 교체형 주두 장식체를 갖는 가로등
KR200413547Y1 (ko) 샹들리에용 램프어셈블리
KR101553523B1 (ko)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KR200387742Y1 (ko) 조명등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KR100715258B1 (ko) 천정등
KR101468326B1 (ko) 다기능 구조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CN216307587U (zh) 一种装拆便捷的吊灯
CN212841106U (zh) 一种led吸顶灯
KR100755870B1 (ko) 유동방지편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갖는 조립식 천정용조명등
KR200412110Y1 (ko) 자중을 이용한 끼워맞춤식 조립이 가능한 천정용 조명등
KR20130005916U (ko) 조립식 전등갓
KR200438220Y1 (ko) 용이한 램프커버 고정구조를 갖는 천정용 인테리어 조명등
KR200245313Y1 (ko) 조명등 갓 지지구조
KR101778000B1 (ko) 칵테일 잔 형태로 된 장식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