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513B1 - 산소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산소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513B1
KR100755513B1 KR1020070038969A KR20070038969A KR100755513B1 KR 100755513 B1 KR100755513 B1 KR 100755513B1 KR 1020070038969 A KR1020070038969 A KR 1020070038969A KR 20070038969 A KR20070038969 A KR 20070038969A KR 100755513 B1 KR100755513 B1 KR 10075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water
tank
pump
oxyge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옥시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옥시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옥시티아이
Priority to KR102007003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장물에 제공되는 물의 용존 산소량을 효과적으로 높일 뿐만 아니라 산소투입량을 농작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산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펌프; 상기 원수와 산소수가 함께 저장되는 수조통; 상기 수조통으로부터 원수 및 산소수를 흡입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보조펌프를 갖는 관수제어수단; 상기 관수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발생기; 상기 관수제어부로부터 배출되는 산소, 산소수 및 원수가 섞여 고농도 산소수가 제조되는 산소수 혼입탱크;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로부터 고농도 산소수를 수조통으로 공급하는 산소수이동관; 상기 수조통의 산소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 및 컨트롤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농작물에 제공되는 공급수의 용존산소량을 크게 높이고 포화도를 높여 오랫동안 산소수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농작물별 산소소비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산소, 산소수, 제조장치, 보조펌프, 순환펌프

Description

산소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oxygen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구성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수펌프와 수조통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를 제외한 각 구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순환펌프와 보조펌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수 제조장치의 산소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수 제조장치의 산소수발생기의 작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 설명>
100... 케비넷 300... 수조통
400... 관수제어수단 500... 산소발생기
600... 산소수 혼입탱크 800... 컨트롤제어부
P2... 순환펌프 P3... 보조펌프
1000... 산소수 제조장치
본 발명은 산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장물에 제공되는 물의 용존 산소량을 효과적으로 높일 뿐만 아니라 산소투입량을 농작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산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재배에 따른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기본요소로 물, 산소 그리고 기타 요소들을 필요로 한다. 특히 산소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체이다. 즉, 밭갈이를 하는 이유도 흙 속에 공기(산소)를 불어넣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스프링클러, 분사호스, 점적호스를 사용하여 관수함으로써 물이 땅속으로 흘러들어감에 따라 공기가 흙 속 기공을 통하여 근권부에 공급하고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는 식물이 필요로 하는 산소 요구량과 토양의 삼상(기상, 고상, 액상) 즉, 토양의 물리성을 좋게 하는 데는 많은 한계들을 가지고 있다. 비온 뒤 땅이 굳어지듯 물을 주면 줄수록 흙이 경과되어 통기성이 떨어지게 된다. 식물의 근권부의 생육상태가 악화되어 지는 것이다.
더욱이, 식물은 뿌리로부터 양수분만을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산소도 흡수하여 호흡을 한다. 뿌리의 호흡은 주로 뿌리의 생장과 양분 흡수에 사용되는데, 뿌리는 공기중의 산소와 배양액에 녹아 있는 용존 산소를 흡수할 수 있다. 식물은 고온 일수록 생육이 왕성하여 산소 요구도가 많은데 반해 용존 산소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기 때문에 여름철 재배에서는 더욱 용존산소량이 생육의 큰 제한 요인이 된다.
용존산소의 요구량은 온도 이외의 요인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는다.식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량이 다른데, 오이는 토마토의 2배나 소비한다. 광도가 강할수록 잎으로부터의 증산량과 뿌리 호흡량이 증가하므로 근권 산소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채소작물별 뿌리의 수중 산소소비량이 서로 다르므로 채소의 근권부에 습함이 너무 오래 유지되면 먹이 전환에 필요한 미생물의 활동이 중지된다. 또한, 너무 오래 건조하면 토양에 산소가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 활성화를 돕는 수분의 부족으로 영양분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물별 근권부를 습함과 건조함을 번갈아 해주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재배 방법은, 지하수에 녹아 있는 용존산소 또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물탱크에 산소를 넣어 용존산소량을 높여 그 물을 식물에 살포해서 작물의 생육을 도우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포화도가 낮아 산소가 금방 대기중으로 날아가 고농도의 산소수를 얻지 못하였고, 산소투입량을 조절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장물에 제공되는 공급수의 용존산소량을 크게 높이고 포화도를 높여 오랫동안 유지할 뿐만 아니라 농장물별 산소소비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산소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작물에 필요한 공급수를 원수부터 산소수까지 예약 설정에 의해 공급 가능한 산소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및 실외의 농작물에 따른 산소수 공급을 위해 이동이 용이한 산소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산소수 제조장치는,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펌프; 상기 원수와 산소수가 함께 저장되는 수조통; 상기 수조통으로부터 원수 및 산소수를 흡입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보조펌프를 갖는 관수제어수단; 상기 관수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발생기; 상기 관수제어부로부터 배출되는 산소, 산소수 및 원수가 섞여 고농도 산소수가 제조되는 산소수 혼입탱크;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로부터 고농도 산소수를 수조통으로 공급하는 산소수이동관; 상기 수조통의 산소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 및 컨트롤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보조펌프는 양정의 압상력이 순환펌프의 양정 압상력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통에는 원수 및 산소수의 용존산소량을 감지하기 위한 용존산소 감지기가 설치되되, 그 용존산소량을 조절하기 위한 용존산소량 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에는 산소량, 원수량 또는 산소수량의 비율을 조 절하기 위한 에어벤트 또는 전자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와 보조펌프 사이에는 제1보조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제1보조배관에는 수량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산소발생기는 보조펌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에어벤트 또는 전자밸브는 수위감지기의 표시부에 의해 자동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펌프는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는 산소공급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제어부에는 농작물에 필요한 공급수를 예약 설정에 의해 공급 가능하게 하는 타임제어부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소수 제조장치(1000)는, 케비넷(100)과, 상기 케비넷(100)에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펌프(P1)와, 상기 원수와 산소수가 함께 저장되는 수조통(300)과, 상기 수조통(300)으로부터 원수 및 산소수를 흡입하고 순환시키는 관수제어수단(400)과, 상기 관수제어수단(400)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발생기(500)와, 상기 관수제어부(400)로부터 배출되는 산소, 산소수 및 원수가 섞여 고농도 산소수가 제조되는 산소수 혼입탱크(600)와,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의 고농도 산소수를 수조통으로 이동시키는 산소수이동 관(700)과, 상기 수조통(300)의 산소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P4)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제어부(800)로 구성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비넷(100)은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금속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비넷(100)의 바닥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캐스터(1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수펌프(P1)는 공지된 기술로서, 다수개의 날개가 형성되어 원심력에 의해 압력을 발생시키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인입된 원수를 필요장소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로 이루어진다. 이 외 다른 상세한 구성과 도면은 생략한다.
이러한 상기 원수펌프(P1)의 기본 구성은 후술할 순환펌프(P2), 보조펌프(P3) 및 배수펌프(P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펌프(P1)의 흡입구(210)에는 원수관(211)가 결합되며, 배출구(220)에는 원수를 배출하기 위한 원수배출관(221)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수조통(300)은 원수 및 산소수를 저장 또는 순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수조통(300)은 원통형으로 상부는 콘형상으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통형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조통(300)의 상부에는 상기 원수배출관(22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공(301)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301)의 타측에는 통기공(30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공(302)은 후술할 용존산소량 감지기(320)의 입출통로의 역할로도 수행된다.
또한, 상기 수조통(300)의 내부에는 저장된 원수 또는 산소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한 쌍의 볼레벨(310)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볼레벨(310) 각각은 수위 상한표시(H)와 하한표시(L)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수조통(300) 내부에는 원수 또는 산소수에 포함된 용존산소량(DO)을 감지하기 위한 용존산소량 감지기(3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용존산소량 감지기(320)는 상기 통기공(302)을 통해 삽입되되, 그 일단은 원수 또는 산소수로부터 감지된 용존산소량을 접점신호로 보내기 위한 감지선(321)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감지선(321)은 용존산소량 조절기(330)를 통해 컨트롤제어부(800)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조통(300) 아래쪽에는 원수 또는 산소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수조통배출구(340)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관수제어수단(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관수제어수단(400)은 농작물 재배에 따른 채소 또는 식물이 필요로 하는 용존산소량에 따라 상기 수조통(300)의 원수 또는 산소수를 흡입하여 순환 시키 는 것으로, 상기 수조통(300)의 수조통배출구(340)로부터 원수 또는 산소수를 흡입하는 순환펌프(P2)와 상기 순환펌프(P2)의 배출구(412)측과 연통되어 원수 또는 산소수를 흡입함과 동시에 후술할 산소발생기(500)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함께 배출시키는 보조펌프(P3)로 구성된다.
상기 순환펌프(P2)는 흡입구(411)와 배출구(412)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구(411)에는 전술한 수조통배출구(340)와 연결되는 제1순환배관(40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P2)의 배출구(412)에는 후술할 산소수 혼입탱크(600)와 연결되는 제2순환배관(40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412)에는 원수 또는 산소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S1)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보조펌프(P3)는 순환펌프로(P2)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으며, 전술한 순환펌프(P2)와 동일한 흡입구(451)와 배출구(452)를 형성하되, 후술할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는 산소공급구(4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펌프(P3)의 흡입구(451)에는 상기 순환펌프(P2) 배출구(412)의 제1순환배관(402) 측면과 연통되는 제1보조배관(461)이 설치되며, 상기 산소공급구(453)에는 후술할 산소발생기(500)와 연결되는 산소공급관(462)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452)에는 제2보조배관(463)이 결합되어 후술할 산소수 혼입탱크(600)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펌프(P2)와 보조펌프(P3) 사이에 설치되는 제1보조배관에는, 수량조절밸브(T)가 설치된다.
상기 수량조절밸브(T)는 흡입되는 원수 또는 산소수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컨트롤제어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소정의 산소수를 필요로할 경우에는 완전개방이 이루어지되, 고농도 산소수를 필요로할 경우에는 컨트롤제어부(800)를 통해 수량조절밸브(T)가 조작되어 원수 또는 산소수가 보조펌프로 유입되는 양을 단계적으로 줄일 수 있는 닫힘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펌프(P3)의 흡입구(451) 및 배출구(452)에는 제2체크밸브(S2) 및 제3체크밸브(S3)가 설치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펌프(P3)는 양정의 압상력(F)이 순환펌프(P3) 양정 압상력(Fs)보다 높은 것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2 < P3).
이는, 보조펌프(P3)의 압상력(F)이 순환펌프(P2)의 압상력(Fs)보다 커야만 순환펌프(P2)의 배출구로부터 강제 배출되는 원수 또는 산소수의 양을 조절하여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산소발생기(500)에서 발생되는 순도 90%의 산소는 그 토출압이 대기압 상태의 저압 산소로서, 대기압 상태보다 높은 후술할 산소수 혼입탱크(600)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산소발생기(500)는 공지된 기술인 PSA(공기중의 산소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것)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PSA 방식의 산소발생기(500)는 산소와 질소를 강제적으로 분리시키고, 질소는 배출시켜 순수산소만 압축하여 만들어진 순도 90%(±5%)의 산소를 전술한 보조펌프(P3)의 산소공급구(453)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는 순환펌프(P2)로부터 배출되는 원수 및 산소수와 상기 보조펌프(P3)로부터 배출되는 산소수 및 산소가 섞여 고농도 산소수를 제조할 수 있는 곳으로서, 밀폐된 구조의 사각, 원형 또는 원뿔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제2순환배관(402)과 연결되는 제3결합공(601)이 형성되며, 상기 제3결합공(601)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다른 일면에는 상기 제2보조배관(463) 연결되는 제4결합공(602)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배출구(60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의 상부에는 그 내부의 산소량, 원수량 또는 산소수량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벤트(6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어벤트(610)는 전자밸브(미도시)로 대체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벤트(610)는 산소가 산소수 혼입탱크(600)에 계속적으로 투입됨에 따라 산소수의 수위가 바닥 가까이 내려가게 되고, 이때 에어벤트(610)를 자동제어로 열어 외부로 산소압을 빼 냄으로서 물의 수위를 높여 산소수 혼입탱크(600) 내의 산소량과 산소수량을 조절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의 측면에는 산소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620)가 형성되며, 상기 수위감지기(620)의 상부표시부(H)와 하부표시부(L)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 에어벤트(610) 및 수위감지기(62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는 상기 순환펌프(P2)로부터 산소수 및 원수를 공급받고, 상기 보조펌프(P3)에서는 산소발생기(500)와 연결되어 산소 및 산소수를 동시에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수는 보조펌프(P3)로부터 공급받는 산소 및 산소수와 혼합됨에 따라 산소수로 변환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 내부에는 산소와 산소수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산소수가 수위감지기(620) 표시부(L)의 낮은 위치를 가르킬 경우, 이는 산소의 압력이 높아 원수 및 산소수가 공급되지 못하는 것으로, 수위감지기(620)는 후술할 컨트롤제어부(800)로 현재 수위 상태를 전기신호로 보내게 된다. 이후, 이 전기신호를 받은 컨트롤제어부(800)는 산소압이 배출될 수 있도록 에어벤트(610)로 개방신호를 보내어 산소수의 수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후술할 산소수이동관(700)으로부터 산소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의 배출구(603)에는 제4체크벨브(S4)가 설치되도록 한다.
반대로, 산소수가 높은(H) 위치를 가르킬 경우, 컨트롤제어부(800)는 에어벤트(610)로 산소 배출을 차단하는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보조펌프(P3)가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로 산소수를 빠르게 투입시킴으로서,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의 산소수의 수위를 점차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산소수이동관(700)은 산소수를 수송하기 위한 관으로서, 내부가 관통된 원형의 형성으로 제작되어 수조통(300)과 산소수 혼입탱크(600) 사이에 설치된 다.
또한, 컨트롤제어부(800)는 전술한 각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및 정지 등을 조작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용존산소량 조절기(330)로부터 용존산소량의 값을 인가받아 그 값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제어부(800)에는 농작물에 필요한 산소수를 시간 예약 설정에 따라 작동하는 타임제어부(850)가 부설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출펌프(900)는 상기 수조통(300)으로부터 산소수를 농작물별, 구역별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소수 제조장치(10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원수펌프(P1)와 배수펌프(P4) 각각에 원수관(211)와 배수관(910)을 결합시킨 이후, 외부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산소수를 제조하기 위해 컨트롤제어부(800)의 전원스위치를 온(ON)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원수펌프(P1)는 최초 원수를 흡입함과 동시에 수조통(300)으로 배출시켜 그 내부를 일정 수위로 채우게 된다. 이때, 수조통(300) 내부에는 용존산소량 조절기(330)에 의해 조작가능하게 연결된 용존산소량 감지기(320)가 항상 공급수(원수 또는 산소수)에 대한 용존산소량을 체크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수조통(300)에 채워진 원수의 용존산소량이 6.8ppm 이고, 농작물의 재배 작물이 토마토이며, 상기 토마토가 최적의 상태로 성장함에 있어 필요로 하는 용존산소량이 25ppm으로 가정한다.
이때, 관리자는 상기 수조통(300)내 원수의 용존산소량을 25ppm으로 맞추기 위해 용존산소량 조절기(330)를 25ppm으로 조작하게 되고, 조작된 신호는 다시 컨트롤제어부(80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후, 상기 컨트롤제어부(800)로부터 신호를 받은 순환펌프(P2), 보조펌프(P3) 및 산소발생기(500)가 자동으로 가동되어 25ppm의 산소수를 제조하게 된다.
즉, 상기 순환펌프(P2)는 수조통배출구(340)로부터 원수를 흡입하고 난 이후, 순환펌프(P2)의 배출구(412)를 통해 산소수 혼입탱크(600)로 보내게 된다.
이때, 보조펌프(P3)는 순환펌프(P2)의 압상력보다 높은 양정을 갖춤으로서, 순환펌프(P2)의 배출구(412)측으로부터 원수를 필요로 하는 만큼 흡입함과 동시에 산소발생기(50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와 함께 산소수 혼입탱크(600)로 보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로 유입된 원수는 산소와 함께 뒤섞여 산소수로 변환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600)에서 변환된 산소수는, 에어벤트(610)에 의해 산소량과 산소수량의 비율조절이 이루어지며, 산소수는 산소수이동관(700)을 통해 다시 수조통(300)으로 배출되어 그 내부에 채워진 원수와 섞이게 된다. 이 때도, 상기 용존산소량 감지기(320)는 수조통(300)의 내의 공급수에 대한 용존산소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므로 목표한 바의 용존산소량에 도달되지 못했을 경우, 순환펌프(P2)와 보조펌프(P3)는 반복적으로 가동하게 된다.
이후, 수조통(300)의 용존산소량이 25ppm 기준치에 도달하게 되면 순환펌 프(P2), 보조펌프(P3) 및 산소발생기(500)의 가동이 정지되며, 수조통(300) 내의 산소수는 배출펌프(P4)에 결합된 배수관(910)를 통해 재배작물인 토마토의 뿌리근권 및 토양에 고루 공급하게 된다.
또한, 농작물에 따라 용존산소량의 최적치보다 고농도의 산소수를 흡입하면 더욱좋은 성장과정을 나타내는 농작물에 대해서는 최대 60ppm까지 산소수 공급이 가능하며, 이와 반대의 경우에는 순환펌프(P2)만을 가동하여 공급함으로서 원수의 용존산소량의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발생기와 연결된 보조펌프와 용존산소량 감지기 및 조절기를 설치하여 농작물에 제공되는 공급수의 용존산소량을 크게 높이고 포화도를 높여 오랫동안 산소수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농작물별 산소소비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타임제어부를 설치하여 농작물에 필요한 공급수를 원수부터 산소수까지 예약 설정에 의해 구역별로 관수시간을 조정하여 공급하도록 되어 있음으로 인력 및 노동력의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비넷의 바닥면에는 캐스터를 설치하여 실내 및 실외의 농작물에 따른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산소수 혼입탱크에는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산소수 혼입탱크 내부의 산소압력을 이용하여 산소수의 수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펌프;
    상기 원수와 산소수가 함께 저장되는 수조통;
    상기 수조통으로부터 원수 및 산소수를 흡입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보조펌프를 갖는 관수제어수단;
    상기 관수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발생기;
    상기 관수제어부로부터 배출되는 산소, 산소수 및 원수가 섞여 고농도 산소수가 제조되는 산소수 혼입탱크;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로부터 고농도 산소수를 수조통으로 공급하는 산소수이동관;
    상기 수조통의 산소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 및 컨트롤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보조펌프는 양정의 압상력이 순환펌프의 양정 압상력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수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통에는 원수 및 산소수의 용존산소량을 감지하기 위한 용존산소 감지기가 설치되되, 그 용존산소량을 조절하기 위한 용존산소량 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수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수 혼입탱크에는 산소량, 원수량 또는 산소수량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벤트 또는 전자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수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와 보조펌프 사이에는 제1보조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제1보조배관에는 수량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수 제조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발생기는 보조펌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수 제조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 또는 전자밸브는 수위감지기의 표시부에 의해 자동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수 제조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펌프는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는 산소공급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수 제조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제어부에는 농작물에 필요한 공급수를 예약 설정에 의해 공급 가능하게 하는 타임제어부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수 제조장치.
KR1020070038969A 2007-04-20 2007-04-20 산소수 제조장치 KR10075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969A KR100755513B1 (ko) 2007-04-20 2007-04-20 산소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969A KR100755513B1 (ko) 2007-04-20 2007-04-20 산소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513B1 true KR100755513B1 (ko) 2007-09-05

Family

ID=3873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969A KR100755513B1 (ko) 2007-04-20 2007-04-20 산소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5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91Y1 (ko) 2010-03-17 2011-05-23 양승해 산소수 제조장치
KR20150124297A (ko) * 2014-04-28 2015-11-05 김용석 농업용 산소수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015A (ko) * 2002-02-06 2003-08-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기 및 혼합기를 구비한 정수기
KR20040064256A (ko) * 2004-04-30 2004-07-16 (주)원봉 산소발생정수시스템
JP2005066387A (ja) 2003-08-25 2005-03-17 Mdk:Kk 酸素水製造装置
KR20050091151A (ko) * 2004-03-10 2005-09-15 바이오닉스(주) 산소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015A (ko) * 2002-02-06 2003-08-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기 및 혼합기를 구비한 정수기
JP2005066387A (ja) 2003-08-25 2005-03-17 Mdk:Kk 酸素水製造装置
KR20050091151A (ko) * 2004-03-10 2005-09-15 바이오닉스(주) 산소수 제조장치
KR20040064256A (ko) * 2004-04-30 2004-07-16 (주)원봉 산소발생정수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91Y1 (ko) 2010-03-17 2011-05-23 양승해 산소수 제조장치
KR20150124297A (ko) * 2014-04-28 2015-11-05 김용석 농업용 산소수 공급장치
KR101690293B1 (ko) 2014-04-28 2016-12-27 김용석 농업용 산소수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6774B2 (en) Vertical hydroponic growing system and method
KR101476460B1 (ko) 운동장의 잔디 관리 시스템 및 골프 코스의 잔디 관리 방법
KR100757325B1 (ko) 수경재배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화분 및 그 제어방법
CN107182621A (zh) 农业大棚系统及大棚种植方法
CN107409807A (zh) 一种新型空气过滤自吸水式植物墙
JP2015043711A (ja) 栽培施設における炭酸ガス制御装置
KR101802788B1 (ko) 안개 농법을 이용한 인삼 재배 시스템
KR100755513B1 (ko) 산소수 제조장치
KR100758235B1 (ko) 친환경농법의 액비혼합장치
JP6392692B2 (ja) ホウレンソウとキノコ類の相互栽培設備
CN107926492A (zh) 一种浇水均匀的蘑菇培育装置
CN207201753U (zh) 可自由拼装的鱼菜共生种植系统
CN109832170A (zh) 一种灌溉系统的移动补充灌溉装置
CN108227794A (zh) 一种水培植物智能控制系统
JP2010154822A (ja) 水気耕栽培装置
CN108887027A (zh) 一种石斛苗种植装置
KR20190106189A (ko) 식물을 이용한 실내 공기정화장치
CN209768439U (zh) 一种种植平菇用的出菇大棚
CN114467636A (zh) 一种基于智慧网络的温湿度感应恒定浇灌菇、苗装置
CN206791189U (zh) 外镶式流量可调圆柱滴灌管及农业大棚系统
CN113196996A (zh) 一种蔬菜大棚节水滴灌调节装置
CN207706845U (zh) 油用牡丹种苗培育棚
CN207543722U (zh) 一种蕨类植物水肥氧微型集成板
KR20220081187A (ko) 모듈식 식물 재배기
CN207443835U (zh) 一种自动充氧的水培植物种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