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833B1 -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833B1
KR100754833B1 KR1020050110975A KR20050110975A KR100754833B1 KR 100754833 B1 KR100754833 B1 KR 100754833B1 KR 1020050110975 A KR1020050110975 A KR 1020050110975A KR 20050110975 A KR20050110975 A KR 20050110975A KR 100754833 B1 KR100754833 B1 KR 100754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ient terminal
transaction
forex
foreig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3034A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to KR102005011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8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3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업의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업의 각 부서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환율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금융 데이터를 제공하는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업의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 각각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수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각 부서가 신청하는 자금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소요자금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중 통화의 종류가 외환인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외환 거래 대상으로 별도로 관리하며, 상기 외환 거래 대상에 대한 외환 거래 수행 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외환 거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외환거래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외환 거래로 발생한 손익을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차입금에 관한 정보(이하 "차입금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차입금의 이자 또는 원금 지급일과 상기 이자 또는 원금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이자 또는 원금의 금액을 계산하여 상기 차입금 데이터에 매칭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지급일을 조회 조건으로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자금의 조회를 요청하는 자금 조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및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상기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차입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포지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산 관리 수단; 및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환율 데이터 및 상기 포지션 관리 모듈이 수행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포지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부서에서 필요로 하는 소요자금과 은행 등의 금융 기관으로부터 차입한 차입금, 외환 거래 대상, 기업으로 유입되는 자금 및 계좌별 잔고, 기업이 운용하는 금융상품 등의 총괄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자금 담당 부서와 자금 신청 부서 간 연계가 가능하여 업무의 효율성, 신속성, 정확성 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산, 외환, 차입, 금융상품, 유입자금, 관리

Description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Asset And Liability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관리 모듈의 기능별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환거래 수행 모듈의 기능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관리 모듈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금수지 관리 모듈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용자금 관리 모듈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클라이언트 단말기 110: 자산 관리 서버
120: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 200: 통신 수단
210: 인증/제어 수단 220: 자금 관리 수단
222: 포지션 관리 모듈 224: 자금수지 관리 모듈
226: 운용자금 관리 모듈 230: 저장 수단
232: 포지션 데이터베이스 234: 자금수지 데이터베이스
236: 운용자금 데이터베이스 300: 소요자금 등록/관리 모듈
310: 차입금 등록/관리 모듈 320: 자금신청 현황 관리 모듈
330: 외환거래 수행 모듈 400: 외환거래 대상 관리 모듈
410: 환차손익 계산 모듈 420: 외환거래 손익 계산 모듈
430: 선물거래 손익 계산 모듈 440: 외환거래 시뮬레이션 모듈
본 발명은 기업의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의 각 부서로부터의 소요자금 데이터 및 차입 기관으로부터 차입한 차입금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통괄적으로 관리하고, 지급일이 도래한 소요자금이나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담당자에게 알려주며, 입력받은 소요자금 데이터 중 외환 거래 대상을 추출하여 별도로 관리하고, 외환 거래 후 외환 거래에 따른 손익을 산출하여 알려줄 뿐만 아니라, 유입자금이나 계좌별 입출금액 관리 및 금융상품 운용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통괄적인 자금 운용 및 관리 가 가능하도록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기업이 앞으로 소요하게 될 자금의 관리, 기업으로 현재 유입되는 자금의 관리, 차입금의 관리, 여유 자금이 발생한 경우 금융 상품 등에의 투자 및 투자된 금융 상품의 관리 등이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기업의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더욱 그러하다.
과거 이러한 자산 관리는 자금 담당 부서의 담당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고 한 사람에 의한 관리가 어려운 경우 여러 사람이 업무를 분담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관리는 담당자의 업무 부담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업무의 신속성 및 정확성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여러 사람이 업무를 분담하는 경우에도, 기업의 규모가 커지면 여전히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업무 분담에 따라 업무가 분산되어 이루어지므로 자산의 통합적인 관리가 불가능했다.
최근에는 컴퓨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자산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이 개발되기 시작하여, 각 기업들은 자산 관리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회사에 구축함으로써 모든 자산 관리를 전산화하고 있다.
이러한 자산 관리 프로그램이나 자산 관리 시스템은 업무의 신속성, 정확성, 효율성 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되어 있는 자산 관리 프로그램이나 자산 관리 시스템은 주로 자금부서 위주로 이루어져 있고, 사내 각 부서 간에 전체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으며, 외화 및 원화의 소요자금 등록 및 신청이 자금부서를 중심으로 한 중앙 집중적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각 부서 간의 업무 연계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자산 관리 프로그램이나 자산 관리 시스템은 지급기간이 도래한 차입금이나 각 부서가 신청한 소요자금에 대한 지급 누락이나 지급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효율적인 메커니즘(Mechanism) 등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업의 각 부서가 신청한 소요자금, 차입금, 외환, 유입자금, 금융상품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산 관리 수단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업의 각 부서로부터의 소요자금 데이터 및 차입 기관으로부터 차입한 차입금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통괄적으로 관리하고, 지급일이 도래한 소요자금이나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담당자에게 알려주며, 입력받은 소요자금 데이터 중 외환 거래 대상을 추출하여 별도로 관리하고, 외환 거래 후 외환 거래에 따른 손익을 산출하여 알려줄 뿐만 아니라, 유입자금이나 계좌별 입출금액 관리 및 금융상품 운용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통괄적인 자금 운용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업의 각 부서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환율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금융 데이터를 제공하는 금융 데이터 제 공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업의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 각각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수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각 부서가 신청하는 자금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소요자금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중 통화의 종류가 외환인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외환 거래 대상으로 별도로 관리하며, 상기 외환 거래 대상에 대한 외환 거래 수행 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외환 거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외환거래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외환 거래로 발생한 손익을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차입금에 관한 정보(이하 "차입금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차입금의 이자 또는 원금 지급일과 상기 이자 또는 원금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이자 또는 원금의 금액을 계산하여 상기 차입금 데이터에 매칭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지급일을 조회 조건으로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자금의 조회를 요청하는 자금 조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및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상기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차입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포지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산 관리 수단; 및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환율 데이터 및 상기 포지션 관리 모듈이 수행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포지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업의 각 부서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환율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금융 데이터를 제공하는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업의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 각각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수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각 부서가 신청하는 자금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소요자금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중 통화의 종류가 외환인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외환 거래 대상으로 별도로 관리하며, 상기 외환 거래 대상에 대한 외환 거래 수행 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외환 거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외환거래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외환 거래로 발생한 손익을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차입금에 관한 정보(이하 "차입금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차입금의 이자 또는 원금 지급일과 상기 이자 또는 원금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이자 또는 원금의 금액을 계산하여 상기 차입금 데이터에 매칭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지급일을 조회 조건으로 하여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자금의 조회를 요청하는 조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및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상기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에 해당하는 상기 차입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포지션 관리 모듈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업으로 유입되는 유입자금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유입자금 데이터"라 함) 또는 계좌별 잔고금액을 입력받으면 상기 유입자금 데이터와 상기 계좌별 잔고금액을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상기 유입자금 데이터 또는 상기 계좌별 잔고금액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조회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조회 및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자금수지 관리 모듈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금융상품 운용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라 함)를 수신하면, 상기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별로 금융상품의 제시 수익률과 실수익률의 차이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저장된 상기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조회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조회 및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운용자금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산 관리 수단; 및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환율 데이터 및 상기 포지션 관리 모듈이 수행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포지션 데이터베이스, 상기 자금수지 관리 모듈이 수행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자금수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운용자금 관리 모듈이 수행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운용자금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시스템은 기업의 각 부서에 설치되는 컴퓨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자산 관리 서버(110) 및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자산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여 각 부서에서 필요로 하는 자금에 대한 정보(이하, "소요자금 데이터"라 함), 은행 등의 금융 기관으로부터 차입한 차입금에 대한 정보(이하, "차입금 데이터"라 함), 외환 거래 수행한 후의 외환 거래 내역에 대한 정보(이하, "외환 거래 데이터"라 함) 등 기업의 자산 관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 및 수정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는 금융 시장에 형성되어 있는 현물 환율, 선물 환율 등의 환율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환율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자산 관리를 수행하고, 그 수행 결과를 자동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와 자산 관리 서버(110)는 통상적인 네 트워크 서버로 구현되는데, 네트워크 서버란, 통상적으로 사설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하위 장치와 연결되어 작업 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네트워크 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서버는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또는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자산 관리 서버 간, 자산 관리 서버와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 간에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데, 본 발명은 기업 내부의 효율적인 자산 관리를 위한 것이므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자산 관리 서버(110)는 인트라넷(Intranet) 등의 사내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자산 관리 서버(110)와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는 인터넷 등의 외부 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구성 요소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서 버는 통신 수단(200), 인증/제어부(210), 자산 관리 수단(220) 및 저장 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수단(200)은 자산 관리 서버(11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간, 자산 관리 서버(110)와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사내 통신망 및 외부 통신망 각각에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여야 한다. 예컨대, 사내 통신망과 외부 통신망으로 인트라넷과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제어 수단(210)은 자산 관리 서버(1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특히, 각 부서의 담당자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자산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담당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의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 창을 제공하고, 입력 창을 통해 수신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기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즉 자산 관리 서버의 접속 및 이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인증/제어 수단(210)은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로부터 환율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환율 데이터를 포지션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232)에 업데이트(Update)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에는 데이터의 내용이나 성격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헤더(Header) 정보와 데이터의 발 신처를 나타내기 위한 소스 주소(Source Address)가 삽입되므로, 수신되는 데이터의 헤더 정보와 소스 주소를 분석함으로써 환율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수단(22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및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환율 데이터를 기초로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수단으로, 포지션 관리 모듈(222), 자금수지 관리 모듈(224) 및 운용자금 관리 모듈(2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포지션 관리 모듈(222)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소요자금 데이터 또는 차입금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소요자금 데이터와 차입금 데이터를 구분하여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조회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포지션 관리 모듈(222)은 담당자가 외환 거래를 수행한 후, 외환 거래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받은 외환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차손익, 외환 거래 손익 및 선물 거래 손익 등을 계산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포지션 관리 모듈(222)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자금수지 관리 모듈(224)은 영업이나 금융 상품 운용 등으로 인해 기업으로 유입되는 자금에 관한 정보(이하, "유입자금 데이터"라 함)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으면, 유입자금 데이터를 자금수지 데이터베이스(234)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유입자금의 현황에 대한 조회 요청 을 받으면 조회 요청의 대상이 되는 유입자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자금수지 관리 모듈(224)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계좌별 입출금 현황을 입력받아 계좌별로 자금수지 데이터베이스(234))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계좌별 입출금 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용자금 관리 모듈(226)은 기업이 여유 자금을 금융 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금융 상품 운용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아 운용자금 데이터베이스(236)에 저장/관리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금융 상품 운용 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금융 기관이 제시한 제시수익률과 금융 상품 운용에 따른 실수익률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연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에는 금융 기관, 상품명, 금액, 예치 일자, 만기 일자, 만기 종류(수시물 또는 기간물), 제시 수익률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 수단(230)은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환율 데이터 및 포지션 관리 모듈(222)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 자금수지 관리 모듈(224)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자금수지 데이터베이스(234) 및 운영자금 관리 모듈(226)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운용자금 데이터베이스(2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관리 모듈의 기능별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관리 모듈(222)은 소요자금 등록/관리 모듈(300), 차입금 등록/관리 모듈(310), 자금신청 현황 관리 모듈(320) 및 외환거래 수행 모듈(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요자금 등록/관리 모듈(30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소요자금 데이터를 관리하는 수단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거래 유형, 지급 내역, 통화 종류, 거래 금액, 미지급 계상 일자, 계상 환율, 지급일, 결제수단, 거래처 등을 포함하는 소요자금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 창을 제공하고, 그 입력 창을 통해 입력되는 소요자금 데이터를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의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조회 요청의 대상이 되는 소요자금 데이터를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기 저장된 소요자금 데이터에 대한 수정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입력 창을 제공하고, 수정된 소요자금 데이터를 입력받아 새로이 갱신/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소요자금 등록/관리 모듈(30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소요자금 데이터에 대한 수정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제어 수단(210)으로 현재 접속 중에 있는 담당자에게 수정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 고, 인증/제어 수단(210)으로부터 수정 권한이 있음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때에 한하여 수정을 위한 입력 창을 제공하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임의 변경이나 중복 신청을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입금 등록/관리 모듈(31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차입금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거래 유형, 차입명, 차입 금액, 차입 일자, 만기 일자, 차입 환율, 차입처, 사채 할인발행 차금, 이자 지급일, 공휴일 처리 조건, 원금 상환 조건, 이자 지급 조건 등을 포함하는 차입금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창을 제공하고, 그 입력 창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차입금 데이터를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관리하며, 특히, 차입 금액, 원금 상환 조건, 이자 지급 조건, 차입 일자 및 만기 일자 등을 바탕으로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가 지불되어야 할 일자 및 그 액수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원금 상환 조건은 원금 상환 방법, 거치 기간, 원금 상환 주기, 회당 상환 원금 등을 포함하며, 이자 지급 조건은 금리 유형, 금리 종류, 지급 주기, 지급 방법, 지급일 설정, 적용 금리 및 이자 베이시스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차입금 등록/관리 모듈(310)은 자산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차입금의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을 단위로 하여 작성된 차입금 현황표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금신청 현황 관리 모듈(32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지급일 범위를 조회 조건으로 하는 자금 신청 현황에 대한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되어 있는 소요자금 데이터 중 조회 조건에 해당하는 소요자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되어 있는 차입금 데이터 중 조회 조건에 해당하는 날에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가 지불되어야 하는 차입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나아가 자금신청 현황 관리 모듈(320)은 소요자금 데이터 및 차입금 데이터를 날마다 자동으로 체크하여 지급일이 도래하거나 도래하기 일정 기간 전에 소요자금 데이터 또는 차입금 데이터의 지급일이 도래하였거나 도래할 것임을 알리는 팝업 창을 소요자금 데이터 또는 차입금 데이터를 입력한 담당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자금신청 현황 관리 모듈(320)은 일정한 날에 지급되어야 할 소요자금이나 차입금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자금관리를 담당하는 담당자는 자금신청 현황 관리 모듈(320)을 이용하여 당일 지급되어야 할 소요자금 및 차입금을 조회함으로써, 착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요자금이나 차입금의 지급 누락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외환거래 수행 모듈(330)은 소요자금 등록/관리 모듈(300)에 의해 처리되어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되어 있는 소요자금 데이터 중 통화의 종류가 외환인 소유자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외환 거래 대상으로 별도로 관리하고, 외환 거래 를 담당하는 담당자가 외환 거래를 수행한 후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외환거래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받은 외환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차손익, 외환거래 손익, 선물거래 손익 등을 계산하여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그 결과를 조회 요청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환거래 수행 모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환거래 수행 모듈의 기능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환거래 수행 모듈(330)은 외환거래 대상 관리 모듈(400), 환차손익 계산 모듈(410), 외환거래 손익 계산 모듈(420), 선물거래 손익 계산 모듈(430), 외환거래 시뮬레이션 모듈(4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환거래 대상 관리 모듈(40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외환 거래 대상 목록의 조회 요청을 받으면, 소요자금 등록/관리 모듈(300)에 의해 처리되어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된 소요자금 데이터 중 통화 종류가 외환인 소요자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결제" 상태에 있는 외환 거래 대상에 대해 은행 등과 외환 거래가 수행된 후, 거래 일자, 거래 금액, 거래 유형(현물 거래, 선물 거래 등), 거래 환 율, 원화환산금액, 거래 은행 등을 포함하는 외환거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 창을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 창을 통해 외환거래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외환거래 데이터를 해당 외환 거래 대상에 매칭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외환 거래 대상을 기존의 "미결제" 상태에서 "결제" 상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결제가 완료된 경우 외환 거래 대상이 된 소요자금 데이터를 입력한 담당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창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자금을 관리하는 부서와 자금 신청 부서 간에 업무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외환거래 대상 관리 모듈(400)은 "결제" 상태에 있는 외환 거래 대상에 대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외환 거래가 체결된 은행 등에 보낼 외환거래 내역서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외환거래 내역서를 생성하여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생성된 외환거래 내역서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외환 거래가 이루어진 후에는 외환거래 내역서를 외환 거래가 체결된 은행 등으로 송부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외환거래 내역서가 자동으로 생성되므로, 실무자는 별도로 외환거래 내역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차손익 계산 모듈(410)은 결제가 된 외환 거래 대상마다 계상 환율과 거래 환율의 차이를 계산하고 환율 차에 따른 환차 손익을 산출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요청이 있으면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계상 환율은 소요자금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고, 거래 환율은 외환거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환거래 손익 계산 모듈(420)은 외환의 거래 환율과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현찰 매도율과의 차이를 연산하고, 그 차이에 따른 외환거래 손익을 산출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요청이 있으면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현찰 매도율은 외환 거래를 타 금융 기관 등에 위탁한 경우, 기준 환율에 수수료를 부가하여 산출되는 환율로서, 이는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환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물거래 손익 계산 모듈(430)은 외환거래 데이터의 거래 유형이 선물 거래인 경우(외환 거래가 선물 거래로 이루어진 경우), 선물환의 거래 환율과 지급일 기준율의 차이를 연산하고, 그 차이에 따른 선물거래 손익을 산출하여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지급일 기준율은 거래 일자가 도래하여 실제로 대금이 지급되는 당시의 환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환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환차손익 계산 모듈, 외환거래 손익 계산 모듈, 선물거래 손익 계산 모듈을 통해 자동으로 계산되는 환차손익, 외환거래 손익, 선물거래 손익 등은 차후의 통계 자료 및 실적 평가에 유용한 자료로 삼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환거래 시뮬레이션 모듈(440)은 외환 거래 대상에 대해 가상적으로 외환 거래를 수행해 볼 수 있는 툴(Tool)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외환 거래 대상과 현물 환율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외환 거래 대상에 대해 계상 환율과 현물 환율과의 차이, 현물 환율과 선물 환율과의 차이를 연산하여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현물 환율이 미입력된 경우, 외환거래 시뮬레이션 모듈(440)은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되어 있는 환율 데이터에 포함된 현물 환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게 된다.
따라서 외환 거래 담당자는 외환거래 시뮬레이션 모듈(440)을 이용하여 외환 거래의 시기 및 현물 거래를 할 것인지 아니면 선물 거래를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해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자산 관리 서버에 접속하였을 때, 전술한 각각의 모듈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관리 모듈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a는 포지션 관리 모듈(222)이 제공하는 각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단 메뉴에서 포지션 항목을 선택하면, 도 5a에 도시된 것처 럼, "소요자금등록", "차입금 현황", "차입금 현황표", "외환 거래 대상", "외환 거래 시뮬레이션", "외환 거래 내역", "외환 딜링 손익", "환차손익 실적", "선물거래 손익", "자금 신청 현황" 등의 세부 항목이 디스플레이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의해 특정 세부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실행된다.
도 5b는 "소요자금 등록"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소요자금 등록/관리 모듈(300)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에는 "조회 대상", "통화" 등의 조회 조건을 입력하는 입력 창이 있고, 이 입력 창에 조회 조건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그 조회 조건에 해당하는 소요자금 데이터 목록들이 디스플레이된다.
화면의 하단에는 소요자금의 등록 및 수정을 위해 사용되는 입력 창이 있는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의해 "새입력" 버튼이 입력되면, 입력 창이 모두 빈 칸으로 표시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각 입력 창에 해당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은 누르면, 소요자금 등록/관리 모듈(300)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포함하는 소요자금 데이터가 생성되어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된다.
그리고 소요자금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담당자가 접속을 하는 경우, "저장" 버튼 좌측의 "수정"버튼이 활성화되는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의해 수정을 원하는 소요자금 데이터가 선택되면, 선택된 소요자금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이 대응되는 각 입력 창에 표시되고, 입력 창에 수정 내용을 새로이 입력 한 후 "수정" 버튼을 누르면 수정된 내용의 소요자금 데이터가 생성되어 저장된다.
도 5c는 "차입금 현황"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차입금 등록/관리 모듈(310)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에는 만기일이나 차입일, 기간 등의 조회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이 표시되고, 이 입력 창에 조회 조건을 입력한 후 "조회" 버튼을 누르면, 그 조회 조건에 부합하는 차입금 데이터 목록들이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서 추출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화면의 하단에는 차입금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이 있는데, "새입력" 버튼을 누르고, 각각의 입력 창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한 후, "스케줄 생성" 버튼을 누르면, 차입금 등록/관리 모듈(310)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포함하는 차입금 데이터가 생성되어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된다.
도 5d는 "자금신청현황"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자금신청 현황 관리 모듈(320)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d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의 상단에는 지급일 범위를 조회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입력 창이 표시되고, 이 입력 창에 조회 조건이 입력되면, 자금신청 현황 관리 모듈(320)에 의해 입력된 조회 조건에 부합하는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소요자금 데이터 목록과 차입금 데이터 목록이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서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화면 상단의 우측에 있는 "자금신청내역출력"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된 목록들이 프린트된다.
따라서, 담당자는 당일 지급되어야 할 소요자금이나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를 확인할 수 있어 부주의나 착각으로 인한 지급 누락이나 지급 지연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e는 "외환거래대상"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외환거래 대상 관리 모듈(400)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e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의 상단에는 지급일 범위, 결제 상태, 통화 종류 등의 조회 조건을 입력하는 입력 창이 표시된다. 이 입력 창에 조회 조건을 입력하면, 외환거래 대상 관리 모듈이 그 조회 조건에 해당하는 외환 거래 대상 목록을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소요자금 데이터 중에서 추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화면의 하단에는 외환거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이 표시되는데, 아직 "미결제" 상태에 있는 외환 거래 대상 중 외환 거래가 수행된 특정 외환 거래 대상을 선택한 후 이 입력 창에 외환거래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외환거래 데이터가 특정 외환 거래 대상에 매칭됨과 동시에 결제 상태가 "미결제"에서 "결제"로 변환되어 포지션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된다.
또한, 화면 하단의 우측에는 "Back Office 확인" 버튼이 있는데, 외환 거래 대상 목록 중 결제 상태에 있는 외환 거래 대상을 선택한 후 이 버튼을 누르면, 선 택된 외환 거래 대상의 외환거래 내역서가 생성된다.
도 5f는 "외환거래내역"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외환거래 대상 관리 모듈(400)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단에는 지급일, 담당자 등의 조회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이 표시되고, 이 입력 창에 조회 조건을 입력하면 그 조회 조건에 부합하는 외환거래 내역서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된 외환거래 내역서 목록 중 특정 외환거래 내역서를 선택한 후, 화면 상단 우측의 "외환거래 내역서 출력" 버튼을 입력하면, 선택된 특정 외환거래 내역서가 프린트된다.
도 5g는 "환차손익실적"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환차손익 계산 모듈(410)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h는 "외환딜링손익"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외환거래 손익 계산 모듈(420)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i는 "선물거래손익"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선물거래 손익 계산 모듈(430)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화면에서 화면 상단의 조회 조건 입력 창에 조회 조건을 입력한 후, "조회" 버튼은 누르면, 결제 상태에 있는 외환 거래 대상 중 입력된 조회 조건에 부합되는 외환 거래 대상의 환차손익, 외환거래 손익, 선물거래 손익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5j는 "외환거래 시뮬레이션"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외환거래 시뮬레이션 모듈(440)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화면의 상단에 표시된 조회 조건 입력 창에 조회 조건을 입력한 후 "조회" 버튼을 누르면, 외환거래 시뮬레이션 모듈(440)이 입력된 조회 조건을 이용하여 계상 환율과 현물 환율의 차이에 의한 현물환율 평가 손익과 현물 환율과 선물 환율의 차이에 의한 선물환율 평가손익을 월별로 계산한 후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금수지 관리 모듈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a는 자금수지 관리 모듈(224)이 제공하는 각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화면의 상단 메뉴에서 "자금 수지" 항목을 선택하면,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유입자금 등록", "유입자금 현황", "계좌 입출금" 등의 세부 항목이 화면에 표시되고, 이 중 어느 한 세부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입자금 등록" 항목이 선택되면, 유입자금 데이터의 입력 창(미도시)이 제공되고, 이 입력 창에 유입일, 거래 유형, 유입 내역, 통화, 금액, 확정 여부, 거래처 등의 내용을 입력하면, 자금수지 관리 모듈(224)에 의해 유입자금 데이터가 생성되어 자금수지 데이터베이스(234)에 저장된다.
도 6b는 "유입자금 현황"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자금수지 관리 모듈(224)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화면의 상단에는 유입일, 거래 유형, 통화 종류, 확정 여부 등의 조회 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 창이 표시된다. 이 입력 창에 조회 조건을 입력하면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된 조회 조건에 해당하는 유입자금 데이터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6c는 "계좌 입출금"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자금수지 관리 모듈(224)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계좌 입출금" 항목이 선택되면 계좌별 잔고 내역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화면 하단의 "계좌 관리" 버튼을 누르면, 계좌별 입출금액을 갱신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용자금 관리 모듈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a는 운용자금 관리 모듈(226)이 제공하는 각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화면의 상단 메뉴에서 "자금 운용" 항목을 선택하면,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금융상품운용등록", "금융상품운용내역" 등의 세부 항목이 화면에 표시되고, 이 중 어느 한 세부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도 7b는 "금융상품운용등록"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운용자금 관리 모듈(22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화면의 상단에는 예치 일자를 조회 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조회 조건 입력 창이 표시된다. 이 조회 조건 입력 창에 조회 조건을 입력하면, 조회 조건에 부합하는 금융 상품 목록 중 아직 만기가 도래하지 않았거나 출금이 되지 않은 금융 상품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화면 하단에는 금융상품 운용 내역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이 표시되는데, 이 입력 창에 해당 내용을 입력하면 운용자금 관리 모듈에 의해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가 생성되어 운용자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도 7c는 "금융상품운용내역"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운용자금 관리 모듈(22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화면 상단의 조회 조건 입력 창에 출금 상태를 "출금"으로 선택하여 입력하면, 저장된 금융상품 데이터 목록과 각 금융상품 데이터 목록에 해당하는 실수익률 및 실수익률과 제시 수익률의 차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각 부서에서 필요로 하는 소요자금과 은행 등의 금융 기관으로부터 차입한 차입금의 총체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소요자금이나 차입금의 지급일에 지급을 하지 못하는 지급 누락 또는 지급 지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차입금의 경우 원금 상환 조건과 이자 지급 조건에 따라 원금 또는 이자의 지급일을 자동 계산하여 표시하여 줌으로써 차입금의 지급 누락 또는 지급 지연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금융 기관에 대한 기업의 신용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부서의 소요자금 등록이나 자금 담당 부서의 등록된 소요자금 관리가 본 발명인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에 의해 통합되어 이루어지므로, 자금을 신청한 부서와 자금 담당 부서 간에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외환 거래 대상을 총괄적으로 관리하고, 외환 거래 후에 자동으로 외환거래 내역서를 생성/출력함으로써 담당자의 업무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환 거래 후에 환율 차이로 인한 손익을 자동으로 계산함으로써, 실적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외환 거래 시뮬레이션을 통해 외환 거래의 최적 시점 및 외환 거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업으로 유입되는 자금 및 계좌별 잔고에 대한 전반적인 파악이 가능하여 소요자금이나 차입금 등과 연계함으로써, 장래의 현금 흐름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넷째, 기업이 운용하는 금융상품을 통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금융상품의 실수익률을 계산하여 알려줌으로써 장래 금융상품 투자를 위한 지표로 삼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소요자금이나 차입금의 지급 시기와 연계하여 금융상품에의 투자나 금융상품의 만기일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기업의 각 부서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환율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금융 데이터를 제공하는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업의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 각각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수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각 부서가 신청하는 자금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소요자금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중 통화의 종류가 외환인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외환 거래 대상으로 별도로 관리하며, 상기 외환 거래 대상에 대한 외환 거래 수행 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외환 거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외환거래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외환 거래로 발생한 손익을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차입금에 관한 정보(이하 "차입금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차입금의 이자 또는 원금 지급일과 상기 이자 또는 원금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이자 또는 원금의 금액을 계산하여 상기 차입금 데이터에 매칭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지급일을 조회 조건으로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자금의 조회를 요청하는 자금 조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및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상기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차 입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포지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산 관리 수단; 및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환율 데이터 및 상기 포지션 관리 모듈이 수행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포지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저장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2. 기업의 각 부서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환율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금융 데이터를 제공하는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기업의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 각각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수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각 부서가 신청하는 자금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소요자금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중 통화의 종류가 외환인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외환 거래 대상으로 별도로 관리하며, 상기 외환 거래 대상에 대한 외환 거래 수행 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외환 거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외환거래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외환 거래로 발생한 손익을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차입금에 관한 정보(이하 "차입금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으면, 상기 차입금의 이자 또는 원금 지급일과 상기 이자 또 는 원금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이자 또는 원금의 금액을 계산하여 상기 차입금 데이터에 매칭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지급일을 조회 조건으로 하여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자금의 조회를 요청하는 조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및 상기 지급일에 지불되어야 할 상기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에 해당하는 상기 차입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포지션 관리 모듈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업으로 유입되는 유입자금의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유입자금 데이터"라 함) 또는 계좌별 잔고금액을 입력받으면 상기 유입자금 데이터와 상기 계좌별 잔고금액을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상기 유입자금 데이터 또는 상기 계좌별 잔고금액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조회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조회 및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자금수지 관리 모듈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금융상품 운용 내역에 관한 정보(이하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라 함)를 수신하면, 상기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별로 금융상품의 제시 수익률과 실수익률의 차이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저장된 상기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조회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조회 및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운용자금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산 관리 수단; 및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환율 데이터 및 상기 포지션 관리 모듈이 수행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포지션 데이터베이스, 상기 자금수지 관리 모듈이 수행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자금수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운 용자금 관리 모듈이 수행하는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운용자금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저장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수단을 경유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을 경유하여 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환율 데이터인지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환율 데이터인 경우 상기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관리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요자금 데이터 입력 창을 제공하고,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입력 창에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상기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조회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조회 및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소요자금 등록/관리 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차입금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차입금 데이터 입력 창을 제공하고, 상기 차입금 데이터 입력 창에 상기 차입금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차입금의 상기 원금 또는 이자 지급일과 상기 원금 또는 이자 지급일에 지급되어야 할 상기 원금 또는 이자의 금액을 계산한 후 상기 차입금 데이터에 매칭시켜 상기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차입금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조회 및 수정할 수 있도록 조회 및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차입금 등록/관리 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금 조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지급일에 지급되어야 할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및 상기 지급일에 지급되어야 할 상기 차입금의 원금 또는 이자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차입금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자금신청 현황 관리 모듈;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외환 거래 대상 목록의 조회를 요청하는 외환 거래 대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중 상기 외환 거래 대상을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특정 외환 거래 대상에 대한 외환 거래가 수행된 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외환 거래 대상의 상기 외환거래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상기 외환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율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손익을 계산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손익 계산의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조회할 수 있도록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외환거래 수행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자금 등록/관리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의 수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제어 수단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의 수정 권한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제어 수단으로부터 수정 권한이 있음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금신청 현황 관리 모듈은,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 및 상기 차입금 데이터 각각을 체크하여 상기 지급일이 도래한 날 또는 상기 지급일이 도래하기 일정 기간 전에 상기 지급일이 도래하거나 도래할 것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환거래 수행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외환 거래 대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외환 거래 대상을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수신된 상기 외환 거래 대상 중 상기 특정 외환 거래 대상을 선택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외환거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을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외환거래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상기 특정 외환 거래 대상에 상기 외환거래 데이터를 매칭시킴과 동시에 상기 특정 외환 거래 대상의 결제 상태를 "미결제"에서 "결제"로 변환하여 상기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외환거래 대상 관리 모듈;
    상기 외환거래 데이터가 매칭된 상기 외환 거래 대상마다 상기 외환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상 환율과 거래 환율의 차이로 인한 환차손익을 산출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산출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환차손익 계산 모듈;
    상기 외환거래 데이터가 매칭된 상기 외환 거래 대상마다 상기 거래 환율과 상기 환율 데이터에 포함된 현찰 매도율의 차이로 인한 외환거래 손익을 산출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산출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외환거래 손익 계산 모듈; 및
    상기 외환거래 데이터가 매칭된 상기 외환 거래 대상마다 상기 거래 환율과 상기 환율 데이터에 포함된 지급일 기준율과의 차이로 인한 선물거래 손익을 산출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산출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선물거래 손익 계산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환거래 대상 관리 모듈은 상기 결제 상태가 상기 "미결제"에서 상기 "결제"로 변환되면 상기 결제 상태가 변환된 상기 외화 거래 대상을 입력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환거래 대상 관리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결제 상태가 "결제"로 변환된 상기 외환 거래 대상의 외환거래 내역서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외환거래 내역서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환거래 수행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상기 외환 거래 대상과 현물 환율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조건 입력 창을 제 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외환 거래 대상과 상기 현물 환율을 입력받으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입력받은 상기 외환 거래 대상의 현물 환율과 계상 환율의 차이 및 현물 환율과 선물 환율의 차이를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외화거래 시뮬레이션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환거래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시뮬레이션 조건 입력 창에 현물 환율이 미입력된 경우, 상기 금융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포지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환율 데이터에 포함된 현물 환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자금 데이터는 거래 유형, 지급 내역, 통화 종류, 거래 금액, 미지급 계상 일자, 계상 환율, 지급일, 결제수단 및 거래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입금 데이터는 거래 유형, 차입명, 차입 금액, 차입 일자, 만기 일자, 차입 환율, 사채 할인발행 차금, 이자 지급일, 공휴일 처리 조건, 원금 상환 조건 및 이자 지급 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금 상환 조건은 원금 상환 방법, 거치 기간, 원금 상환 주기, 회당 상환 원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자 지급 조건은 금리 유형, 금리 종류, 지급 주기, 지급 방법, 지급일 설정, 적용 금리 및 이자 베이시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환거래 데이터는 거래 일자, 거래 금액, 거래 유형, 거래 환율, 원화환산금액 및 거래 은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자금 데이터는 유입일, 거래 유형, 유입 내역, 통화, 금액, 금액의 확정 여부 및 거래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상품 운용 데이터는 금융 기관, 상품명, 예치 일자, 만기 일자, 만기 종류 및 제시 수익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KR1020050110975A 2005-11-18 2005-11-18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KR100754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975A KR100754833B1 (ko) 2005-11-18 2005-11-18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975A KR100754833B1 (ko) 2005-11-18 2005-11-18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034A KR20070053034A (ko) 2007-05-23
KR100754833B1 true KR100754833B1 (ko) 2007-09-04

Family

ID=3827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975A KR100754833B1 (ko) 2005-11-18 2005-11-18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934B1 (ko) * 2008-02-13 2010-05-11 한국산업은행 금융자금 차입/여신업무 통합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072A (ko) * 2000-11-13 2002-05-18 라응찬 통신망을 이용한 토털 금융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30009962A (ko) * 2001-07-24 2003-02-05 최정우 금융 자산 및 부채의 통합 관리 방법과 그 방법이 기록된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072A (ko) * 2000-11-13 2002-05-18 라응찬 통신망을 이용한 토털 금융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30009962A (ko) * 2001-07-24 2003-02-05 최정우 금융 자산 및 부채의 통합 관리 방법과 그 방법이 기록된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034A (ko)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9972B2 (en) Methodologies and systems for trade execution and recordkeeping in a fund of hedge funds environment
US6016482A (en) Enhanced collateralized funding processor
AU2008318451B2 (en) Payment handling
US6018721A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collateral monitoring and control
US20070226122A1 (en) Electronic trading system
US20020120537A1 (en) Web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siness to business online transactions
US20100268667A1 (en) Venture exchange system
KR101791470B1 (ko)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US20020184147A1 (en) System for paying invoices
US201402580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financial loan products
US201503796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remedying account error events in networked computer systems
EP108920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ce setting
AU2018256664A1 (en) System and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Transaction and Settlement of a Financial Instrument
KR101303300B1 (ko) 담보거래 서비스 방법
KR100754833B1 (ko) 외환 및 부채 관리 장치
KR20030078446A (ko)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기업 간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2318910A (ja) 海外証券(株式)の国際取引システム
US202200678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dynamic credit limit and recourse base for supply chain finance
WO19980534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collateral monitoring and control
JP2003050912A (ja) 情報システムを用いた金融オーダ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JP2001283126A (ja) 決済代行システム及び決済代行方法
KR100375913B1 (ko) 인터넷을 이용하여 은행거래되는 입금자원의 위험을관리하는 방법
KR100494082B1 (ko) 콜전자채권 업무처리방법
KR20060086399A (ko) 글로벌 청산 연계
JP2002056185A (ja) デリバティブ商品販売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