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453B1 - Method for parallel inputting korean character by using special key and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parallel inputting korean character by using special key and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453B1
KR100754453B1 KR1020060036040A KR20060036040A KR100754453B1 KR 100754453 B1 KR100754453 B1 KR 100754453B1 KR 1020060036040 A KR1020060036040 A KR 1020060036040A KR 20060036040 A KR20060036040 A KR 20060036040A KR 100754453 B1 KR100754453 B1 KR 10075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key
vowel
keys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4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4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by using a special key, a keypa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are provided to reduce a consonant inputting speed by two times at its maximum and a vowel inputting speed by three times at its maximum by using a concurrent pushing scheme of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keys and the special key i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by using a special key comprises the following several steps. If a specified consonant key among plural consonant ones and the special key are pushed concurrently, a fortis of the first consonant between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allocated to the specified consonant key is outputted wherein the first consonant has a corresponding fortis and aspiration and the second consonant does not have a corresponding fortis or aspiration. If the specified consonant key and the special key are pushed continuously, an aspiration of the first consonant is outputted. If the specified consonant key is pushed repeatedly, the second consonant between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allocated to the specified consonant key is outputted.

Description

특수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병행 입력 방법, 그를 위한 키패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Parallel Inputting Korean Character by Using Special Key and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Method for Parallel Inputting Korean Character by Using Special Key and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도 1은 통상적인 한글 입력 방식인 천지인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keypa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Cheonjiin, which is a typical Korean input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using a specia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를 나타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nput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using a specia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의 조합과 키 버튼 입력 회수를 나타낸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key buttons and the number of key button inputs for inputting consona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의 조합과 키 버튼 입력 회수를 나타낸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key buttons and a number of key button inputs for inputting a vow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수키를 이용한 한글 자음의 병행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allel input method of Hangul consonants using a specia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nput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using a cross-shaped specia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210: 키 입력부 220: 출력부210: key input unit 220: output unit

230: 메모리부 240: 무선 통신 처리부230: memory unit 240: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50: 제어부2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특수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병행 입력 방법, 그를 위한 키패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데 있어서, 캐패드의 한글 문자 구성을 기억하기 쉽게 하고 한글 문자의 입력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기 위해, 자음을 한글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한글 특성에 따라 자음의 격음 및 경음을 생성하도록 하고, 모음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키패드를 구성하고, 자음과 모음이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입력되거나 자음과 모음이 특정키와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입력되면 해당 자음의 격음 또는 경음이나 해당 모음의 복모음 또는 합성 모음을 입력하는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동시 입력과 연속 입력을 병행적으로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그를 위한 키패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character parallel input method using a special key, a keypa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More specifically, in inputting Hangul characters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sonants are arranged in Hangul order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remember the Hangul character composition of the pad and to speed up the input of Hangul characters. Create consonants and vowels, configure the keypad to visually recognize the vowel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input consonants and vowels simultaneously or consecutively, or consonants and vowels simultaneously or continuous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using simultaneous input and continuous input simultaneously by inputting a consonant or a vowel or a consonant or a composite vowel of a corresponding consonant, a keypa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부가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 하나는 간단한 문장을 입력하여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 다수 개의 전화번호를 사용자별로 구 분하여 입력 및 저장하고 조회하는 전화번호부 기능, 일정 기능 등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필요에 따라 저장하고 전송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이용한 기능들이다.As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becomes popula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lthough these additional functions are very diverse, one of them is a short message service function for inputting a simple sentence, a phone book function for inputting, storing, and retriev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for each user, and a schedule function. It is a function that uses the text input function to receive, output and save and transmit as needed.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문자를 입력받는 키 입력 장치 즉, 키패드 또한 소형으로 제작되어, 키패드에 구비된 키 버튼도 소수의 버튼으로 제한된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는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버튼,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 버튼 및 한글, 영문 또는 특수문자 등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버튼을 포함한다. 여기서, 숫자 버튼과 문자 버튼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키 버튼에 하나의 숫자와 다수 개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de compact for easy portability, a key input device that receives characters, that is, a keypad is also made compact, and the key buttons provided on the keypad are also limited to a few buttons. Typically,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function button for selecting a function, a numeric button for inputting a number such as a telephone number, and a character button for inputting a character such as Korean, English, or special characters. Here, the numeric button and the character button are typically configured to input one number and a plurality of characters in one key button.

여기서, 한글은 일차원적인 배열을 갖는 영문과는 달리 초성, 중성, 종성이 이차원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형성하므로 입력 방법이 영문에 비해 다소 복잡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과정을 간소화시키기 위한 한글 입력 방식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천지인과 이지(EZ) 한글 등 다양한 한글 입력 방식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Here, unlike English, which has a one-dimensional arrangement, Hangeul forms a single character by combining two-dimensionally, the first, the neutral, and the two-dimensionally, thus making the input method more complicated than English. Therefore, it has been required to develop a Hangul input method to simplify the process of inputting Hangu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Hangul input methods such as Cheonjiin and EZ (EZ) Hangul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도 1은 통상적인 한글 입력 방식인 천지인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keypa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Cheonjiin, which is a typical Korean input method.

천지인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패드에 총 12 개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12 개의 키 패드에 숫자와 문자(영문, 한글, 특수문자)를 적절히 배치하여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받는다.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Cheonjiin is provided with a total of 12 key buttons on the keypad as shown in the figure, and numbers or letters (English, Korean, special characters) are appropriately placed on the 12 keypads to display numbers or letters. Receive input.

천지인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의 3 개의 키 버튼에 3개의 천지인 모음('ㅣ,·,ㅡ')을 할당하고, 2 개의 행으로 이루어진 중단의 6 개의 키 버튼과 하단의 중앙 하나의 키 버튼에 자음('ㄱㅋ, ㄴㄹ, ㄷㅌ, ㅂㅍ, ㅅㅎ, ㅈㅊ,ㅇㅁ')을 할당하며, 하단의 좌우 2 개의 키 버튼에 특수문자('*, #')를 할당하여, 자음키 및 모음키를 한 번 또는 반복적으로 누르게 함으로써 자음 및 모음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of Cheonjiin, as shown in Fig. 1, three Cheonjiin vowels ('ㅣ, ·, ㅡ') are assigned to the three key buttons at the top, and the six key buttons at the middle of two rows and the bottom Allocate consonants ('ㄱㅋ, ㄹ, ㄷㅌ, ㅂㄷ, ㅎㅎ, ㅈㅊ, ㅇㅁ') to one key button in the center, and assign special characters ('*, #') to the bottom left and right key buttons Press the key and the vowel key once or repeatedly to select and enter consonants and vowels.

여기서, 총 18 개의 한글 자음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의 중단과 하단에 있는 키 버튼 즉, 4, 5, 6, 7, 8, 9 및 0의 총 7 개의 숫자 버튼에 할당된다. 즉, 숫자 버튼 4에는 'ㄱ, ㅋ, ㄲ'의 문자를, 숫자 버튼 5에는 'ㄴ, ㄹ'의 문자를, 숫자 버튼 6에는 'ㄷ, ㅌ, ㄸ'의 문자를, 숫자 버튼 7에는 'ㅂ,ㅍ, ㅃ'의 문자를, 숫자 버튼 8에는 'ㅅ, ㅎ, ㅆ'의 문자를, 숫자 버튼 9에는 'ㅈ, ㅊ, ㅉ'의 문자를, 그리고 숫자 버튼 0에는 'ㅇ, ㅁ'의 문자를 할당한다.Here, a total of 18 Hangul consonants are allocated to a total of seven numeric buttons, namely, 4, 5, 6, 7, 8, 9 and 0, that is, a key button on the middle of the keypad and the bottom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That is, the number button 4 has the letters 'ㄱ, ㅋ, ㄲ', the number button 5 has the letters 'b, ㄹ', the number button 6 has the letters 'ㄷ, ㅌ, ㄸ', and the number buttons 7 ', ,, ㅃ' character, '8', 'h' and '' 'in number button 8,' ',', '' in number button 9, '', '' in number button 0 Assign a character to

표 1은 천지인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의 조합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 shows a combination of key buttons for inputting consonants using Cheonjiin.

Figure 112006027815418-pat00001
Figure 112006027815418-pat00001

사용자는 자음을 입력할 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숫자 버튼을 한 번 내지 세 번 누름으로써 원하는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ㄱ'은 숫자 버튼 4를 한 번 누르면 선택되고, 'ㅋ'은 숫자 버튼 4를 두 번 누르면 선택되며, 'ㄲ'은 숫자 버튼 4를 세 번 누르면 선택된다. When the user inputs a consonant, as shown in Table 1,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consonant by pressing a specific number button once or three times. For example, 'ㄱ' is selected by pressing number button 4 once, 'ㅋ' is selected by pressing number button 4 twice, and 'ㄲ' is selected by pressing number button 4 three times.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한글 입력 방식인 천지인을 이용하면, 특정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해당 자음이 할당된 숫자 버튼을 두 번 이상 최대 세 번까지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격음인 'ㅋ, ㅌ, ㅍ, ㅎ, ㅊ'은 해당 숫자 버튼을 두 번 눌러야 하고, 경음인 'ㄲ, ㄸ, ㅃ, ㅆ, ㅉ'은 해당 숫자 버튼을 세 번 눌러야 하므로 자음을 입력하는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using Cheonjiin, which is a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in order to input a specific consonant, it is troublesome to press the number button to which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assigned two or more times up to three times. In other words, the consonants 'ㅋ, ㅌ, ,, ㅎ, ㅋ' need to press the number button twice, while the hard sounds 'ㄲ, ㄸ, ㅃ, ㅆ, ㅉ' need to press the number button three tim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eed is slow.

또한, 천지인의 경우, 앞글자의 종성과 뒷글자의 초성이 같은 자음이거나 같은 키에 배정된 자음들인 경우 연속 입력이 불가능하여 자음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국가'를 입력할 경우에, 앞글자의 종성과 뒷글자의 초성이 'ㄱ'과 'ㄱ'의 연속이기 때문에 연속 입력이 불가능하여, 방향 키를 눌러서 'ㄱ'과 'ㄱ'을 강제로 분리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약 2 초)이 지나기를 기다려야 계속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heonjiin,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onant collision occurs because continuous input is impossible in case of the consonants assigned to the same key or the same consonant or the initial letter of the initial letter. For example, in case of entering 'Country', it is impossible to input continuously because the last letter of the first letter and the first letter of the last letter are 'A' and 'A'. 'Was forced to separate or wait for a preset time (for example, about 2 seconds) to continue typing characters.

전술한 통상적인 한글 입력 방식인 천지인의 문제점은 자음뿐만 아니라 모음에서도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천지인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Cheonjiin, a conventional Korean input method, occurs not only in consonants but also in vowels. 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a vowel using Cheonjiin will be described.

천지인의 경우, 모음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숫자 버튼 1에는 'ㅣ'를, 숫자 버튼 2에는 '·'를 그리고 숫자 버튼 3에는 'ㅡ'를 할당하여,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개의 기본 모음('ㅣ,·,ㅡ')의 조합에 따라 모음을 입력한다.In the case of Cheonjiin, the vowels are assigned with 'ㅣ' to the number button 1, ' · ' to the number button 2 and '-' to the number button 3 as shown in FIG. Enter a vowel based on a combination of basic vowels ('ㅣ, ·, ㅡ').

표 2는 천지인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의 조합을 나타낸 것이다.Table 2 shows a combination of key buttons for inputting a vowel using Cheonjiin.

Figure 112006027815418-pat00002
Figure 112006027815418-pat00002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ㅣ'는 숫자 버튼 1을 눌러 입력하고, 'ㅏ'는 숫자 버튼 1을 누른 후 숫자 버튼 2를 눌러 입력하며, 'ㅑ'는 숫자 버튼 1을 누른 후 숫자 버튼 2를 두 번 연속해서 눌러 입력한다. 나머지 모음들도 이와 유사하게 입력된다. 이와 같이, 천지인의 경우,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의 획 수에 따라 키 버튼을 두 번 또는 세 번을 눌러야 원하는 모음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고, 그에 따라 입력 속도도 느렸다.As shown in Table 2, 'ㅣ' is entered by pressing number button 1, 'ㅏ' is entered by pressing number button 1 and then number button 2, and 'ㅑ' is entered by pressing number button 1 Press twice in succession to enter. The remaining vowels are similarly ente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Cheonjiin,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key button twice or three tim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vowels to be input, so that the selection of the desired vowels occurs and the input speed is slow.

한편, 한글 입력 방식으로서는 전술한 천지인 이외에도 이지(EZ) 한글도 널리 사용된다. 이지 한글의 경우, 6 개의 한글 단자음('ㄱ,ㄴ,ㄹ,ㅁ,ㅅ,ㅇ')을 자음 버튼에 할당하고, 한글 단모음 입력을 위해 6 개의 한글 단모음을 유사 단모음('ㅏ, ㅓ, ㅗ, ㅜ, ㅣ, ㅡ')으로 분류하여 3 개의 모음 버튼에 할당하며, 자음키와 모음키에 할당되지 않은 자음 및 모음을 가획 버튼('*')과 자음 버튼 및 모음 버튼과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자음과 모음을 입력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Hangul input metho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heonjiin, easy (EZ) Hangul is also widely used. In the case of Easy Hangul, 6 Hangul terminals ('ㄱ, ㄴ, ㄹ, ㅁ, ㅅ, ㅇ') are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s, and 6 Hangul short vowels ('ㅏ, ㅓ, ㅗ) are input for Hangul short vowels. , TT, ㅣ, ㅡ ') and assign them to three vowel buttons. Consonant keys and consonants and vowels not assigned to vowel keys are consecutively combined with capture buttons (' * ') and consonant buttons and vowel buttons. Enter consonants and vowels.

하지만, 이지 한글 또한 전술한 천지인과 유사하게, 한 번에 입력되지 않는 자음과 모음이 많아 두 번 또는 세 번 키 버튼을 눌러 입력해야 하고, 키 패드에 표시되지 않은 자음 및 모음이 많아 한글 입력을 위한 학습시간이 상당히 길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가획 버튼('*')과 복자음 버튼('#')을 자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운지 거리가 긴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이지 한글에 대해서는 널리 이용되는 한글 입력 방식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owever,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Cheonjiin, easy Hangul also has a lot of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not entered at one time, so you have to press two or three key buttons to enter them, and many Hangul inputs are not displayed on the keyp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arning time for learning is quite long. In addition, since the catch button ('*') and the consonant button ('#') must be frequently used, the fingering distance is long. Here, since easy Hangul is a widely used Hangul input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데 있어서, 캐패드의 한글 문자 구성을 기억하기 쉽게 하고 한글 문자의 입력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기 위해, 자음을 한글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한글 특성에 따라 자음의 격음 및 경음을 생성하도록 하고, 모음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키패드를 구성하고, 자음과 모음이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입력되거나 자음과 모음이 특정키와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입력되면 해당 자음의 격음 또는 경음이나 해당 모음의 복모음 또는 합성 모음을 입력하는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동시 입력과 연속 입력을 병행적으로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그를 위한 키패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s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remember the Hangul character composition of the pad and to increase the input speed of the Hangul characters, according to the Hangul order Arrange and generate consonants and consonants according to Hangul characteristics, configure the keypad to visually recognize the vowel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input consonants and vowels simultaneously or consecutively, When inputted simultaneously or consecutively, the method of inputting Hangul characters by using simultaneous and continuous inputs simultaneously by recognizing the consonant or vowels of the consonants or the vowels or compound vowels of the vowels, the keypad and movement for them.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 개의 한글 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자음키와 특수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에서, 자음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와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 및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 중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의 격음을 출력하는 단계; (b) 특정 자음키와 특수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의 경음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다수 개의 자음키 중 동일한 특정 자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 및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 중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 1 자음은 격음 및 경음이 있는 자음이고, 제 2 자음은 격음 및 경음이 없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한 병행 한글 자음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consonan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special keys assigned to a plurality of Korean consonants, (a) When a specific consonant key and a special key of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input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the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Outputting; (b) outputting a warning of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when th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pecial key are continuously input; And (c) a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of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when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is successively inputted; It includes the step of outputting, wherein the first consonant is a consonant with a consonant and a horn, the second consonant provides a parallel Hangul consonant input method using a spec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 and no consona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키를 입력받아 키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키 입력부, 한글의 자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자음을 인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출력부로 하여금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자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 입력부는 다수 개의 기본 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자음키와 특수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구비하고, 프로그램은,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와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 및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 중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의 격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특정 자음키와 특수키가 연속해서 입력 되면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의 경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및 다수 개의 자음키 중 동일한 특정 자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 및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 중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제 1 자음은 격음 및 경음이 있는 자음이고, 제 2 자음은 격음 및 경음이 없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자음을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and transmitting a key input signa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onsonant of Hangul, software for controlling to recognize and output the Hangul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a program; and a controller for executing a program when the key input signal is transmitted and controlling the output unit to output a consonant in Korea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algorithm of the program. The input unit includes a key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special key, which are key buttons to which a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are assigned, and the program includes inputting to a specific consonant key when a specific consonant key and a special key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sound of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the assigned first consonants and the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Process; Outputting a warning of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when th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pecial key are continuously input; And outputting a second consonant allocat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the first consonants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when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is continuously inpu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process, wherein a first consonant is a consonant with a consonant and a horn, and a second consonant is a consonant without a consonant and a horn.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키를 입력받아 키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키 입력부,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인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출력부로 하여금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 입력부는 다수 개의 기본 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자음키, 다수 개의 기본 모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모음키 및 특수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구비하되, 다수 개의 자음키는 다수 개의 기본 자음 중 격음 및 경음이 있는 기본 자음을 제 1 자음으로 할당받고, 다수 개의 기본 자음 중 격음 및 경음이 없는 기본 자음을 제 2 자음으로 할당받으며, 다수 개의 모음키는 다수 개의 기본 모음을 특수키를 중심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and transmitting a key input signa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nd recognizing and out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a program, which is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program, and a controller for executing the program when the key input signal is transmitted, and controlling the output unit to output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algorithm of the program.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key input unit includes a key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that are key buttons assigned with a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a plurality of vowel keys that are assigned with a plurality of basic vowels, and a special key,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assigned as the first consonant among the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with a consonant and a hard consonant, Among the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a basic consonant with no gaps and no audible sounds is assigned as a second consonant, and the plurality of vowel keys parallel Korean characters using a spec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asic vowels are located around the special key.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pad that can be input b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키를 입력받아 키 입력 신호를 전 달하는 키 입력부, 한글의 모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모음을 인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출력부로 하여금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모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 입력부는 다수 개의 기본 모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모음키와 특수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구비하고, 프로그램은, 다수 개의 모음키 중 서로 다른 특정 모음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서로 다른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을 합성하여 기 설정된 합성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와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의 합성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기본 모음의 합성 모음을 출력한 후, 특수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합성 모음의 복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기본 모음의 합성 모음을 출력한 후,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기본 모음의 합성 모음과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을 조합하여 기본 모음의 합성 모음의 조합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및 복모음을 출력한 후,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복모음과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을 조합하여 복모음의 조합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중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모음을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to pass the key input signa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Korean vowels, software for controlling to recognize and output the Korean vowels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an in program; and a controller for executing a program to control an output unit to output a vowel in Korea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algorithm of the program, when a key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he key input unit includes a key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vowel keys and special keys, which are key buttons to which a plurality of basic vowels are assigned, and the program includes different vowels when different vowel keys among the vowel keys are simultaneously input. Synthesizing a basic vowel assigned to a key and outputting a preset composite vowel; A process of outputting a composite collection of a basic collection assigned to a specific collection key when a specific collection key and a special key are simultaneously input among a plurality of collection keys; Outputting a composite vowel of the basic vowel after outputting the composite vowel of the basic vowel; After outputting the composite vowel of the basic vowel, if a certain vowel key is input consecutively, the composite vowel of the basic vowel is combined with the default vowel assigned to the specific vowel key. Process; And after outputting the vowel vowels, if a vowel key among a plurality of vowel keys is continuously input,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vowel vowels and a basic vowel assigned to the vowel vowel to output a combined vowel of the vowel vowels; Using a special key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nput the Hangul vowels in paralle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signat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using a special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입력부(210), 출력부(220), 메모리부(230), 무선 통신 처리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using a specia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210, an output unit 220, a memory unit 23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40. And a controller 250.

키 입력부(210)는 다수 개의 키 버튼으로 구성된 키 패드를 포함하고, 키 패드를 이용하여 키 입력을 감지한 후, 전기적인 신호인 키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210)는 총 9 개의 기본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이 할당된 5 개의 키 버튼(이하, '자음키'라 칭함), 총 4 개의 기본 모음('좌 ㅣ, 우 ㅣ, 하 ㅡ, 상 ㅡ')이 할당된 4 개의 키 버튼(이하, '모음키'라 칭함), 특수 키가 할당된 1 개의 키 버튼(이하 '특수키'라 칭함) 및 총 2 개의 특수 문자('*, #')가 할당된 2 개의 키 버튼(이하 '특수 문자키'라 칭함)을 구비하는 키 패드를 구비하여 키 패드를 이용하여 감지한 키 입력을 키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한다.The key input unit 210 includes a key pad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 buttons, detects a key input using the key pad, and converts the key input signal into a key input signal,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2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210 may include five key butt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 'b', 'c', 'd', '', ',', ',', ','). 4 key butt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vowel keys') to which a total of 4 basic vowels (left, right, lower, and upper) are assigned, and special keys are assigned. Key pad having one key butt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cial key') and two key butt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cial character key') to which a total of two special characters ('*, #') are assigned It converts the key input sensed using the keypad to a key input signal and delivers it.

출력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문자, 숫자, 음성, 영상 등의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메모리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하는 데 필요한 다수 개의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1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되면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키 입력부(210)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지정된 한글 문자를 인식하고 출력부(220)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소프트웨어인 병행 한글 입력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output unit 220 output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etters, numbers, voices, and imag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The memory unit 130 is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software required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emory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50, the memory unit 130 analyzes a key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 2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to recognize and output a designated Korean character. A parallel Hangul input program, which is software output by using the unit 220, is stored.

무선 통신 처리부(24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이나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수단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or 24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puter tha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제어부(250)는 키 입력부(510)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되고, 키 입력부(210)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메모리부(230)의 병행 한글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병행 한글 입력 프로그램의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출력부(220)를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250 is a control means that operates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51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25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Hangul input mode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and the key in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210, parallel to the memory unit 230 The Hangul input program is executed to control the output unit 22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of the parallel Hangul input program to output the input characters.

여기서, 병행 한글 입력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지정된 한글 문자를 선택하고 출력하는 소프트웨어로서, 연속되는 한글 입력 이벤트를 조합하여 한글을 입력받는 통상적인 한글 입력 방식(예를 들면, 천지인, 이지 한글 등)과는 달리 특수키를 누른 상태를 별도의 입력 상태로 정의하여 특수키('·')와 자음키('ㄱ, ㄷ, ㅂ, ㅅ, ㅈ') 또는 모음키('좌 ㅣ, 우 ㅣ, 하 ㅡ, 상 ㅡ')가 동시에 입력되면 각각 기 설정된 자음의 격음('ㅋ, ㅌ, ㅍ, ㅎ, ㅊ') 또는 모음 의 합성 모음('ㅏ, ㅓ, ㅗ, ㅜ')으로 인식하여 출력하고, 특수키('·')와 기본 자음키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자음의 경음('ㄲ, ㄸ, ㅃ, ㅆ, ㅉ')으로 인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기본 모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각 기본 모음키를 합성한 합성 모음으로 인식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좌 ㅣ'와 '하 ㅡ' 또는 '상 ㅡ'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는 'ㅢ'를, '우 ㅣ'와 '하 ㅡ' 또는 '상 ㅡ'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는 'ㅢ'를 출력한다.In this case, the parallel Hangul input program is a software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 designated Hangul character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as described above. Unlike,, Hangeul, etc.), the state of pressing the special key is defined as a separate input state, so that the special key ('·') and the consonant key ('ㄱ, ㄷ, ㅂ, ㅅ, ㅈ') or vowel key (left) When ㅣ,, 하, ,, 상 'are input at the same time, each of the preset consonants (' ㅋ, ㅌ,, ㅎ, ') or a composite vowel (' ㅏ, ㅓ, ㅗ, ㅜ ') If the special key ('·') and the basic consonant key are sequentially input, it is recognized as the consonant sound ('ㄲ, ㄸ, ㅃ, ㅆ, ㅉ'). Here, when different basic vowel keys are input continuously, each basic vowel key is recognized as a synthesized vowel and output. For example, if 'left' and 'down' or 'up' are entered at the same time, 'ㅢ' is entered, and 'right' and 'down' or 'up' are entered simultaneously. Prints ㅢ '

또한, 병행 한글 입력 프로그램은 기본 자음키 중 제 2 자음('ㄴ, ㄹ, ㅁ, ㅇ')이 할당된 자음키('ㄱ, ㄷ, ㅂ, ㅅ', 이하 '제 2 자음키'라 칭함)가 연속해서 두 번 입력되면 즉, 중복 입력되면 제 2 자음으로 인식하여 출력하고, 서로 다른 기본 자음키('ㄱ, ㄷ, ㅂ, ㅅ, ㅈ')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해당 기본 자음키의 조합이 그 순서에 관계없이 복자음('ㄳ, ㄵ, ㄶ, ㄺ, ㅄ')인 경우에는 해당 복자음으로 인식하여 출력하고, 복자음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기본 자음키의 제 1 자음을 연속해서 출력한다. 여기서, 제 1 자음 및 제 2 자음이란 키 패드의 각 키 버튼에 할당된 자음의 순서대로 구분된 자음으로서, 제 1 자음은 다섯 개의 키 버튼에 'ㄱ, ㄷ, ㅂ, ㅅ, ㅈ'의 5 개가 할당되고, 제 2 자음은 그 다섯 개의 키 버튼에 각각 'ㄱ, ㄷ, ㅂ, ㅅ'의 4 개가 할당된다. 제 1 자음과 제 2 자음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arallel Hangul input program is referred to as a consonant key ('ㄱ, ㅂ, ㅂ, ㅅ',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consonant key') to which a second consonant ('b, ㄹ, ㅁ, ㅇ') of the basic consonant keys is assigned. ) Is input twice in succession, that is, if it is duplicated, it is recognized as the second consonant and is output. If different basic consonant keys ('ㄱ, ㄷ, ㅂ, ㅅ, ㅈ') are continuously inputted, If the combination is a compound consonant ('ㄳ, ㄵ, ㄶ, ㄺ, ㅄ') regardless of the order, it is recognized and output as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if it is not the compound consonant, the first consonant of the basic consonant key is output continuously. . Here,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are consonants divided in the order of consonants assigned to each key button of the keypad, and the first consonants are five of the 'a, c, ㅂ, ㅅ, ㅈ' in the five key buttons. Dogs are assigned, and the second consonants are assigned four of 'a', 'c', 's' and 's' to the five key buttons, respectively.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또한, 병행 한글 입력 프로그램은 동일한 합성 모음('ㅏ, ㅓ, ㅗ, ㅜ')이 연속해서 두 번 입력되거나 즉, 중복 입력되거나 합성 모음('ㅏ, ㅓ, ㅗ, ㅜ')과 특수키가 연속해서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합성 모음의 복모음('ㅑ, ㅕ, ㅛ, ㅠ')으로 인식하여 출력하고, 전술한 합성 모음('ㅏ, ㅓ, ㅗ, ㅜ')과 기본 모음 중 특정 기본 모음('좌 ㅣ' 또는 '우 ㅣ')이 연속해서 입력된 경우에는 합성 모음과 그 특정 기본 모음을 조합한 합성 모음의 조합 모음('ㅐ, ㅔ, ㅚ, ㅟ')으로 인식하여 출력하며, 전술한 복모음 중 특정 복모음('ㅑ, ㅕ')과 기본 모음 중 특정 기본 모음('좌 ㅣ' 또는 '우 ㅣ')이 연속해서 입력된 경우에는 특정 복모음과 특정 기본 모음을 조합한 복모음의 조합 모음('ㅒ, ㅖ')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규칙은 다른 모음을 생성할 때에도 적용된다.In addition, a parallel Hangul input program has the same compound vowels ('ㅏ, ㅓ, ㅗ, ㅜ') inputted twice in succession, that is, duplicated inputs or compound vowels ('ㅏ, ㅓ, ㅗ, ㅜ') and special keys. In the case of continuous input, it is recognized as a double vowel ('ㅑ, ㅕ, ㅛ, ㅠ') of the corresponding compound vowel and outputs. ('Left' or 'Right') is recognized as a combination vowel ('ㅐ, ㅔ, ㅚ, ㅟ') that combines a compound vowel and its specific basic vowel, and outputs it. Combination of a combination of a specific vowel and a specific basic vowel when a specific vowel ('ㅑ, ㅕ') of the above-mentioned vowels and a specific basic vowel ('left' or 'right') of the basic vowels are continuously input. Print a vowel ('ㅒ, ㅖ'). The same rules apply when creating other collections.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keypad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haracter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nput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using a specia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패드(302)는 총 9 개의 기본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이 할당된 5 개의 자음키(304, 306, 308, 310, 314), 총 4 개의 기본 모음('좌 ㅣ, 우 ㅣ, 하 ㅡ, 상 ㅡ')이 할당된 4 개의 모음키(312, 316, 318, 320), 특수 키가 할당된 1 개의 특수키(318) 및 총 2 개의 특수 문자('*, #')가 할당된 2 개의 특수 문자키를 포함한다.The keypad 302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ive consonant keys 304 assigned with a total of nine basic consonants' ′, b, c, d, d, k, k, m, o, r. 306, 308, 310, 314), four vowel keys (312, 316, 318, 320) assigned a total of four basic vowels ('left', 'right', 'low', 'up'), and a special key One special key 318 and two special character keys assigned with a total of two special characters ('*, #').

즉, 키 패드(302)의 총 12 개의 키 버튼 중 10 개의 키 버튼에 0 내지 9까지 숫자를 할당한 10 개의 숫자 버튼(이하 '숫자키'라 칭함)에서 숫자키 1(304)에는 자음 'ㄱ, ㄴ'이, 숫자키 2(306)에는 자음 'ㄷ, ㄹ'이, 숫자키 3(308)에는 자음 'ㅂ, ㅁ'이, 숫자키 4(310)에는 자음 'ㅅ, ㅇ'이, 숫자키 5(312)에는 모음 '상 ㅡ' 가, 숫자키 6(314)에는 자음 'ㅈ'이, 숫자키 7(316)에는 모음 '좌 ㅣ'가, 숫자키 8(318)에는 특수키 '·'가, 숫자키 9(320)에는 모음 '우 ㅣ'가, 숫자키 0(324)에는 모음 '하 ㅡ'가 할당되어 각 숫자키와 특수키의 조합에 따라 한글 문자가 표현된다. 여기서, 숫자키 1, 2, 3, 4(각각, 304, 306, 308, 310)에는 두 개의 자음이 할당되어 있는데, 최초 자음 즉, 'ㄱ, ㄷ, ㅂ, ㅅ'이 제 1 자음이고, 다음 자음 즉, 'ㄴ, ㄹ, ㅁ, ㅇ'이 제 2 자음이라 한다.That is, in the ten number butt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umeric keys') in which the numbers from 0 to 9 are assigned to ten key buttons among the total of 12 key buttons of the keypad 302, the consonant ' A, b ', consonants' c, d' in number key 2 (306), consonants' ㅂ, ㅁ 'in number key 3 (308), and consonants' ㅅ, ㅇ' in number key 4 (310) , Vowel 'up ㅡ' in number key 5 (312), consonant 'ㅈ' in number key 6 (314), vowel 'left' in number key 7 (316), special in number key 8 (318). The key '·' i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9 (320), the vowel 'right', and the numeric key 0 (324) is assigned the vowel 'ha-' to represent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each numeric and special key. . Here, two consonants are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1, 2, 3, and 4 (304, 306, 308, and 310, respectively), and the first consonant, 'a, c, ㅂ, ㅅ' is the first consonant, The next consonant, 'b, d, ㅁ, ㅇ', is called the second consonant.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구체적인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inputting specific Korean characte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의 조합 및 키 입력 회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mbination of key buttons and the number of key inputs for inputting consona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는 단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의 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자음('ㄱ, ㄷ, ㅂ, ㅅ, ㅈ')은 각 제 1 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1, 2, 3, 4, 6)을 1 회만 입력하면 되고, 제 1 자음의 격음('ㅋ, ㅌ, ㅍ, ㅎ, ㅊ')은 제 1 자음에 할당된 키 버튼(1, 2, 3, 4, 6)과 특수키('·')를 동시에 1 회만 입력하면 되며, 제 2 자음('ㄴ, ㄹ, ㅁ, ㅇ')은 제 2 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1, 2, 3, 4)을 중복해서 2 회만 입력하면 되고, 제 1 자음의 경음('ㄲ, ㄸ, ㅃ, ㅆ, ㅉ')은 제 1 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1, 2, 3, 4, 6)을 누른 후 특수키('·')를 연속해서 2 회만 입력하면 된다.4A shows a combination of key buttons for inputting terminal tones. As shown, the first consonant ('a, c,, ㅅ, ㅈ') only needs to input the key button (1, 2, 3, 4, 6) to which each first consonant is assigned once. For the consonants of one consonant ('ㅋ, ㅌ,, ㅎ, ㅋ'), enter the key button (1, 2, 3, 4, 6) and the special key ('·') assigned to the first consonant at the same time only once. For the second consonant ('b, ㄹ, ㅁ, ㅇ'), the key button (1, 2, 3, 4) to which the second consonant is assigned need only be inputted twice, and the second consonant ( 'ㄲ, ㄸ, ㅃ, ㅆ, ㅉ') only need to press the key button (1, 2, 3, 4, 6) to which the first consonant is assigned, and then enter the special key ('·') only two times in succession. .

이러한 규칙은 한글에서 제 2 자음('ㄴ, ㄹ, ㅁ, ㅇ')의 경우에는 격음 또는 경음이 없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격음과 경음이 있는 제 1 자음은 해당 숫자 키와 특수키를 동시에 눌러 격음을 표시하고, 해당 숫자키와 특수키를 연속해서 눌러 경음을 표시한다. 이를 통해서 숫자키를 눌러야 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즉, 제 1 자음('ㄱ, ㄷ, ㅂ, ㅅ, ㅈ')과 격음('ㅋ, ㅌ, ㅍ, ㅎ, ㅊ')은 1 회만 입력하면 되고, 제 2 자음('ㄴ, ㄹ, ㅁ, ㅇ')과 경음('ㄲ, ㄸ, ㅃ, ㅆ, ㅉ')은 2 회만 입력하면 된다.This rule is possible in the case of the second consonant ('b, ㄹ, ㅁ, ㅇ') in Hangeul because there is no voicing or sounding. Accordingly, the first consonant with the horn and the horn may display the horn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and the special key at the same time, and display the horn by pressing the digit key and the special key consecutively. This reduces the number of times you need to press a numeric key. That is, the first consonant ('ㄱ,, ㅂ, ㅅ, ㅈ') and the vowel ('ㅋ, ㅌ,, ㅎ, ㅋ') only need to be entered once, and the second consonant ('b,, ㅁ) , ㅇ ') and hom (' ㄲ, ㄸ, ㅃ, ㅆ, ㅉ ') only need to be entered twice.

4B는 복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 조합과 입력 회수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방법으로 복자음('ㄳ, ㅄ, ㄵ, ㄶ, ㄺ, ㄽ, ㄻ, ㄼ, ㄿ, ㅀ, ㄾ')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ㄳ, ㅄ'의 복자음은 각각 숫자키 1과 숫자키 4를 동시에 누르거나 숫자키 3과 숫자키 4를 동시에 누르면 입력되고, 'ㄺ'의 복자음은 숫자키 2를 2 회 연속으로 누른 후 숫자키 1을 누르면 입력되고, 'ㄿ'의 복자음은 숫자키 2를 2 회 연속으로 누른 후 숫자키 3과 숫자키 8을 동시에 누르면 입력된다.4B shows a key button combination and the number of inputs for inputting a consonant soun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can be represented by the consonant ('ㄳ, ㅄ, ㄵ, ㄶ, ㄺ, ㄽ, ㄻ, ㄼ, ㄿ, ㅀ, ㄾ'). That is, for example, a double consonant of 'ㄳ' and 'ㅄ' is inputted by pressing the numeric keys 1 and 4 simultaneously or by pressing the numeric keys 3 and 4 simultaneously. After pressing consecutively, press numeric key 1 to input, and 'ㄿ' is entered by pressing numeric key 2 two times in succession and pressing numeric key 3 and numeric key 8 simultaneousl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에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자음을 숫자키를 최대 2 회만 눌러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한글 입력 방식인 천지인 또는 이지 한글에서 최대 3 회를 눌러야 모든 단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ㅋ, ㅌ, ㅍ, ㅊ, ㅎ, ㄲ, ㄸ, ㅃ, ㅆ, ㅉ')을 표현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자음의 경우 천지인과 마찬가지로 최대 4 회를 눌러야 표현할 수 있지만, 4 회를 눌러야 표현할 수 있는 복자음은 단 하나('ㄻ')일 뿐, 나머지 복자음은 3 회만 눌러서 입력할 수 있다. 반면, 천지인의 경우 'ㄿ, ㅀ, ㄾ' 등 여러 가지 복자음이 숫자키를 4 회를 눌러야 입력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consonants that can be expressed in Korean can be expressed by pressing the numeric key up to two times. This means that you should press up to three times in the common Hangul input method, Cheonjiin or Easy Hangul, all the phonemes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ㅋ, ㅌ, ッ, ㅊ, ㅎ, ㄲ , 입력, ㅃ, ㅆ, ㅉ ') can improve the input spe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ase of Cheonjiin can be expressed up to four times, but the four consonants can be expressed only four times to express only one ('ㄻ'), the remaining four consonants can be entered by pressing only three times. .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heonjiin, various consonants such as 'ㄿ, ㅀ, ㄾ' are inputted by pressing the numeric key four time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의 조합 및 키 입력 회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key buttons and the number of key inputs for inputting a vow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 모음('ㅣ, ㅡ')는 각각 숫자키(7 또는 9)를 1 회 누르거나('ㅣ'의 경우), 숫자키(5 또는 0)를 1회 누르면 되고('ㅡ'의 경우), 'ㅢ'는 숫자키(7 또는 9)와 숫자키 (5 또는 0)을 조합해서 동시에 1 회 누르면 된다.As shown, the basic vowel ('ㅣ, ㅡ') can be pressed once by pressing the number key (7 or 9) once (for 'ㅣ') or by pressing the number key (5 or 0) once (' ㅡ '),' ㅢ 'is a combination of numeric keys (7 or 9) and numeric keys (5 or 0) at the same time press once.

합성 모음 또는 복모음('ㅏ, ㅓ, ㅗ, ㅜ, ㅑ, ㅕ, ㅛ, ㅠ, ㅐ, ㅔ, ㅚ, ㅟ, ㅙ, ㅒ, ㅖ, ㅘ, ㅝ, ㅞ')의 경우, 기본 모음이 할당된 숫자키(7, 9, 5 또는 0)를 동시에 누르거나 연속해서 누르거나 동시 또는 연속해서 누르는 것을 조합해서 누름으로써 표현할 수 있다.For a composite vowel or compound vowel ('ㅏ, ㅓ, ㅗ,, ㅑ, ㅕ, ㅛ, ㅠ, ㅐ, ㅔ, ㅚ, ㅟ, ㅙ, ㅒ, ㅖ, ㅘ, ㅝ, ㅞ'), the default vowel is assigned It is possible to express by pressing a number key (7, 9, 5 or 0) at the same time, or pressing in combination, or pressing in combination or in succession.

예를 들면, 'ㅏ'의 경우, 숫자키 7과 특수키 8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1 회만 눌러서 표현할 수 있고, 복모음 'ㅑ'는 숫자키 7과 특수키 8을 동시에 눌러 'ㅏ'를 생성한 후 특수키 8을 연속해서 누름으로써 2 회만 눌러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ㅐ'는 전술한 바와 같이 7과 특수키 8을 동시에 눌러 'ㅏ'를 생성한 후 숫자키 9를 누름으로써 2 회만 눌러서 표현할 수 있고, 'ㅒ'는 7과 특수키 8을 동시에 눌러 'ㅏ'를 생성하고 숫자키 9를 누른 후 다시 숫자키 9을 누름으로써 3 회만 눌러서 표현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나머지 모음의 경우에도 도 5에 도시한 키조합과 같이 1 회 내지 3 회만 누름으로써 표현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ㅏ', pressing the numeric key 7 and the special key 8 at the same time can be expressed by pressing only once, and the double vowel '눌러' is generated by pressing the numeric key 7 and the special key 8 simultaneously. It can be expressed by pressing the special key 8 consecutively only two times. In addition, 'ㅐ' can be expressed by pressing 7 and special key 8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o generate 'ㅏ' and then pressing the numeric key 9 only two times, and 'ㅒ' by pressing 7 and special key 8 simultaneously. By creating 'ㅏ' and pressing number key 9 and then pressing number key 9 again, it can be expressed by pressing 3 times. In addition to this, the remaining vowels can be expressed by pressing only once or three times as in the key combination shown in FIG.

이와 같이 기본 모음과 특수키의 조합으로 다른 모음을 표현하고 그 모음에 다시 특수키와 기본 모음을 조합하도록 하여 한글에서 표현할 수 있는 모음을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키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한글 입력 방식 인 최대 4 회를 눌러야 모든 모음을 표현할 수 있는 천지인과 달리 최대 3 회만을 눌러서 모든 모음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음을 표현할 수 있는 최대 입력 회수뿐만 아니라 각 모음을 표현할 수 있는 최대 입력 회수도 각 모음에 따라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ㅘ'는 천지인의 경우 4회 눌러야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 회만 눌러서 표현할 수 있고, 'ㅐ, ㅚ, ㅟ'는 천지인의 경우 3 회 눌러야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1 회만 눌러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a combination of the basic vowel and a special key is used to express another vowel, and the vowel that can be expressed in Korean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special key and the basic vowel again. This has the advantage of expressing all vowels by pressing only up to 3 times, unlike Cheonjiin who can express all vowels by pressing up to 4 times, which is a typical Korean input method. In addition to the maximum number of inputs that can represent a vowel, the maximum number of inputs that can represent each vowel can be reduced according to each vowel. For example, 'ㅘ' should be pressed four times in the case of Cheonjiin, b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ressed by pressing only two times, 'ㅐ, ㅚ, ㅟ' should be pressed three times in the case of Cheonjiin, but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dvantage that can be expressed only by pressing onc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수키를 이용한 한글 자음 병행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imultaneously inputting Korean consonants using a special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키 입력부(210)를 통해 키를 입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50)는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병행 한글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키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된 키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한글 문자를 출력한다.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inputting a key through the key input unit 210 to input the Hangul, the control unit 2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es a parallel Hangul input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230 to predetermined The Korean character is output by analyzing the key input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10 according to the algorithm.

병행 한글 입력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한글 입력 모드가 설정되어(S602) 키 입력부(210)로부터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 즉, 즉, 키 패드(302)의 키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604), 키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해당 키 버튼이 자음키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06).When the parallel Hangul input program is started, the Hangul input mode is set (S602) to determine whether a key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10, that is, whether the key button of the keypad 302 is pressed (S604), When the key button is pressed, it is checked whether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a consonant key (S606).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계 S606에서 확인한 결과, 자음키가 입력되지 않고 모음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동시 입력, 연속 입력, 중복 입력 등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모음을 출력한다(S608). 자음과 달리 모음의 경우에는 기본 모음과 특수키 간의 조합 그리고 동시 입력인지 또는 연속 입력인지 여부에 따라 출력되는 모음을 결정하는 법칙이 복잡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하지만,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숫자키와 특수키를 조합함으로써 모음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606, when the consonant key is not input and the vowel key is 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preset vowel in consideration of simultaneous input, continuous input, duplicate input, and the like (S608). Unlike consonants, vowels are omitted here because the combination of the basic vowel and the special key and the rules for determining the vowel output based on whether they are input simultaneously or continuously. Howev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 vowel can be input quickly by combining a numeric key and a special key.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계 S606의 확인 결과, 자음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다른 키와 동시에 입력되었는지 여부 즉, 동시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610), 동시 입력인 경우에는 동시에 입력된 키가 특수키인지 여부 즉, 특수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612), 특수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선행 자음 즉, 특수키가 아닌 자음키의 제 1 자음의 격음을 출력하고(S614), 특수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자음들의 복자음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616) 복자음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복자음을 출력하고(S618), 해당 복자음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S604로 진행하여 다시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서로 다른 자음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는 그 자음키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복자음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해당 복자음을 출력하고, 하나의 복자음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그 자음들을 조합한 경우 한글에 해당 복자음이 없는 경우)에는 잘못된 입력으로 간주하여 다른 키 버튼을 입력받는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in step S606 that the consonant key is input, it checks whether it is simultaneously inputted with other keys, that is, whether it is a simultaneous input (S610).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a special key is input (S612), and when a special key is input, the first consonant, that is, the first consonant of the consonant key other than the special key, is output (S614), and the special key is input. If not, check whether there is a consonant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S616), if there is a consonant consonant, output the corresponding consonant (S618), and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sonant, proceed to step S604 to check whether a key is input again. do. That is, when different consonant keys are input at the same time, when the consonant keys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consonant,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output, and when one consonant is not formed (combined with the consonants, If there is no double consonant sound, it is regarded as wrong input and another key button is input.

한편, 단계 S608에서 동시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을 출력하고(S620), 자음키가 재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22).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계 S622의 확인 결과, 자음키가 재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키 입력을 대기하고, 자음키가 재입력되는 경우에는 연속해서 키가 입력된 경우이므로 입력된 키가 특수키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624), 특수키인 경우에는 즉, 연속해서 눌려진 키가 특수키인 경우에는 선행 자음의 제 1 자음 즉, 특수키가 아닌 처음 입력된 자음키의 제 1 자음의 경음을 출력한다(S626). 단계 S624에서 확인 결과, 연속해서 입력된 키가 특수키가 아닌 경우에는 동일한 키가 중복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628), 동일한 키가 중복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그 동일한 키 즉, 자음키에 제 2 자음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630), 제 2 자음이 있는 경우에는 그 제 2 자음을 출력하고(S632), 제 2 자음이 없는 경우에는 선행 자음의 제 1 자음을 2 회 출력한다(S634). 즉, 자음키가 연속해서 눌려졌는데 연속해서 눌린 키가 특수키가 아닌 경우 동일한 키가 눌려진 것이므로, 해당 자음키에 제 2 자음이 있는 경우에는 그 제 2 자음을 출력하고, 제 2 자음이 없는 경우에는 동일한 자음을 2 회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a simultaneous input in step S608,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key is output (S620),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consonant key is re-input (S622). If the consonant key is not re-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aits for key input. If the consonant key is re-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inuously inputs the key. If it is a special key (i.e., that is, the consecutively pressed key is a special key), the first consonant of the preceding consonant, that is, the first consonant of the first consonant key which is not the special key, is output. S626).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624, if the consecutively input keys are not special keys, it is checked whether the same key is repeatedly input (S628), and if the same key is repeatedly input to the same key, that is, the consonant key. Check whether there is a second consonant (S630), and if there is a second consonant, output the second consonant (S632), and if there is no second consonant, output the first consonant of the preceding consonant twice ( S634). That is, if the consonant keys are continuously pressed but the keys consecutively pressed are not special keys, the same key is pressed. If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have a second consonant, the second consonant is output, and there is no second consonant. Outputs the same consonant twice.

또한, 단계 S628에서 중복 입력이 아니라 서로 다른 자음키가 연속해서 눌려진 경우에는 해당 자음들의 조합에 해당하는 복자음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636), 해당 자음들의 조합에 해당하는 복자음이 있는 경우에는 그 복자음을 출력하고(S638), 해당 자음들의 조합에 복자음이 없는 경우에는 선행 자음의 제 1 자음과 다음 자의 제 1 자음을 각각 출력한다(S640).In addition, when different consonant keys are sequentially pressed instead of duplicate inputs in step S628, whether there is a consonan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s is checked (S636), and if there is a consonan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s If the consonant has no consonant, the first consonant of the preceding consonant and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consonant are output (S64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nput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using a cross-shaped specia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는 기본 모음을 나타내는 4 개의 모음키, 기본 자음을 나타내는 5 개의 자음키, 1 개의 특수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1 개의 특수키는 도 3에서 나 타낸 바와 같이 '·'로 나타낼 수 있지만, 사용자가 기본 모음으로 합성 모음을 구성하는 원리를 이해하기 쉽도록 도 7에 도시한 십자도형에서 중앙을 소정의 반경으로 도려낸 기호인 십자형 특수키(710)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vowel keys representing basic vowels, five consonant keys representing basic consonants, and one special key. The three special keys may be represented by '·' as shown in FIG. 3, but the center is cut off at a predetermined radius in the crosshairs shown in FIG. 7 so that a user may easily understand the principle of composing a composite vowel as a basic vowel. It is preferable to represent it by the cross-shaped special key 710 which is a symbol which is issued.

즉, 키 패드(302)에서 기본 모음을 나타내는 키 버튼 즉, 모음키가 '상 ㅡ'(312), '좌 ㅣ'(316), '우 ㅣ'(320), '하 ㅡ'(324)로 동서남북 4 방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십자형 특수키(710)가 4 개의 모음키의 중앙에 위치하여 십자형(실제로는 십자도형 중 중앙을 일정 반경으로 도려낸 듯한 형상)으로 표시되면 상하좌우와 연결되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인식됨으로써, 각각 'ㅗ', 'ㅜ', 'ㅏ', 'ㅓ'를 연상하기 쉽다. 따라서, 사용자는 'ㅏ'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키 7과 특수키 8을 눌러야 함을 쉽게 알 수 있다.That is, in the keypad 302, a key button indicating a basic vowel, that is, a vowel key is 'up' (312), 'left' (316), 'right' (320), 'down' (324). Since it is arranged in four rooms, east, west, north, and south, the cross-shaped special key 71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our vowel keys, and is displayed as a cross-type (actually, as if the center of the cross-shaped diagram is cut out at a certain radius). By being recognized by the user in the form, it is easy to associate 'ㅗ', 'TT', 'ㅏ' and 'ㅓ' respectively.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know that the numeric key 7 and the special key 8 must be pressed in order to input 'ㅏ'.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모음뿐만 아니라 자음의 경우에도 십자형 특수키(710)를 이용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격음 또는 경음을 구성하기 위해 어느 키를 눌러야 하는지 쉽게 연상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십자형 특수키(710)는 사방으로 빛이 퍼져나가는 듯한 형상을 하여 깜빡임을 연상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격음 또는 경음을 입력하려면 자음키와 깜빡임을 나타내는 십자형 특수키를 조합해야함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using the cross-shaped special key 710 in the case of consonants as well as vowel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easily associate which key to press in order to compose a sound or a sound. That is, the cross-shaped special key 710 has a shape that seems to spread light in all directions, reminiscent of flickering.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a consonant key and a cross-shaped special key indicating blinking must be combined in order to input a horn or a hor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키와 동시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 입력 속도를 자음(복자음의 경우는 제외)의 경우에는 최대 2 회로, 모음의 경우에는 최대 3 회로 단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orean input speed can be shortened by up to two circuits in the case of consonants (except in the case of double consonants) and up to three circuits in the case of vowels using a special key and a simultaneous input method.

또한, 한글 순서에 따라 기본 자음을 배열하고 한글 특성에 따라 기본 자음의 격음, 경음을 생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키 패드 구성을 더욱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즉, 자음의 경우 격음과 경음이 없는 자음을 제 2 자음으로 분리하여 하나의 키 버튼에 경음과 격음이 하나씩만 할당되게 하여 키 버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sic consonant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Hangul order and the sound consonants and the consonants of the basic consonant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Hangul characteristics, the user can more easily remember the keypad configuration. That is, in the case of consonants, a consonant without a horn and a horn is separated into a second consonant so that only one horn and a horn are assigned to one key button so that the key button can be used efficiently.

또한, 모음을 4 개의 기본 모음으로 구분하여 키패드에서 사방으로 배치하고 특수키를 4 개의 기본 모음을 위한 키의 중앙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모음을 구성하기 위한 키패드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ividing the collection into four basic collections and placing them all around the keypad, and by placing special keys in the center of the keys for the four basic collections, the user can visually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keypad to construct the collection. have.

또한, 특수키를 연속 입력과 동시 입력으로 나누어 정의하여, 자음의 경우에는 경음과 격음을 구분하고, 모음의 경우에는 복모음을 생성하는 데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경음, 격음, 복모음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efining a special key by dividing it into continuous input and simultaneous input, the consonant consonants a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consonants and the consonants, and in the case of vowels, to generate a consonant vowel. It's easy to see how.

또한, 특수키를 상하좌우에 배치된 기본 모음과 연결하여 합성 모음을 연상 하기 쉽도록 배치하여 사용자가 모음을 쉽게 생성할 수 있고, 특수키의 깜빡임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자음의 격음, 경음을 생성할 때 특수키를 이용하여야 함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special key with the basic vowels arrang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it is easy to associate the composite vowel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reate the vowels. You can easily recognize that you need to use a special key.

Claims (13)

다수 개의 한글 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자음키와 특수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자음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special key, which is a key button assigned with a plurality of Korean consonants, the method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consonants, (a)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와 상기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 및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 중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의 격음을 출력하는 단계;(a) when a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pecial key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simultaneously input, a first consonant key allocat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the first consonants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Outputting a consonant of one consonant; (b) 상기 특정 자음키와 상기 특수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의 경음을 출력하는 단계; 및(b) outputting a warning of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when th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pecial key are continuously input; And (c)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동일한 특정 자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 및 상기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 중 상기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을 출력하는 단계(c) when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is continuously input,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re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Outputting the second consonant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자음은 상기 격음 및 상기 경음이 있는 자음이고, 상기 제 2 자음은 상기 격음 및 상기 경음이 없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한 병행 한글 자음 입력 방법.Including, wherein the first consonant is the consonant with the horn and the horn, and the second consonant is the consonant without the horn and the conson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is 상기 단계 (c) 이후에,After step (c), (d)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서로 다른 특정 자음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 기 서로 다른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을 조합한 자음이 복자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d) checking whether a consonant combining first consonants assigned to different specific consonant keys is a consonant consonant when different specific consonant keys are simultaneously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e) 상기 단계 (d)의 확인 결과, 상기 조합한 자음이 상기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복자음을 출력하는 단계; 및(e) outputting the consonant sound when the combined consonants are the consonant sound as a result of checking of the step (d); And (f) 상기 단계 (d)의 확인 결과, 상기 조합한 자음이 상기 복자음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단계 (a)로 진행하는 단계(f) if the combined consonants are not the consonant consonant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step (d), proceeding to the step (a)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한 병행 한글 자음 입력 방법.Parallel Hangul consonant input method using a spec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is 상기 단계 (c) 이후에,After step (c), (g)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서로 다른 특정 자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서로 다른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을 조합한 자음이 복자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g) checking whether consonants combining the first consonants assigned to the different specific consonant keys are double consonants when different specific consonant keys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consecutively inputted; (h) 상기 단계 (g)의 확인 결과, 상기 조합한 자음이 상기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복자음을 출력하는 단계; 및(h) outputting the consonant if the consonant consonant is the consonant consonan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step (g); And (i) 상기 단계 (g)의 확인 결과, 상기 조합한 자음이 상기 복자음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서로 다른 특정 자음키에 각각 할당된 제 1 자음을 각각 출력하는 단계(i) outputting first consonants respectively assigned to different specific consonant keys when the combined consonants are not the consonant consonant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step (g)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한 병행 한글 자음 입 력 방법.Parallel Hangul consonant input method using a spec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키를 입력받아 키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키 입력부, 한글의 자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자음을 인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 하여금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자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and transmitting a key input signa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Korean consonant, a memory unit for storing a program which is software for controlling to recognize and output a Hangul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nd the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the program when th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control the output unit to output the consonant of the Hangu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algorithm of the program, 상기 키 입력부는 다수 개의 기본 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자음키와 특수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구비하고,The key input unit includes a key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special keys, which are key buttons to which a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are assigned, 상기 프로그램은,The program,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와 상기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 및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 중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의 격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When a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pecial key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first consonant of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Outputting the sound; 상기 특정 자음키와 상기 특수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의 경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및Outputting a warning of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when th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pecial key are continuously input; And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동일한 특정 자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 및 상기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 중 상기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When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is continuously input, a second consonant allocat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a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nd a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To output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자음은 상기 격음 및 상기 경음이 있는 자음이고, 상기 제 2 자음은 상기 격음 및 상기 경음이 없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자음을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Including, wherein the first consonant is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consonant, the second consonant is a consonant without the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can be input in parallel Hangul consonants using a special key Mobile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gram,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서로 다른 특정 자음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서로 다른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을 조합한 자음이 복자음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복자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자음을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When different specific consonant keys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input at the same time, a process of outputting the consonant consonants by checking whether the consonant combination of the first consonants allocated to the different specific consonant keys is a consonant consonant is perform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nput the Hangul consonants in parallel by using a spec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gram,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서로 다른 특정 자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서로 다른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을 조합한 자음이 복자음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조합한 자음이 상기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복자음을 출력하고, 상기 조합한 자음이 상기 복자음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서로 다른 특정 자음키에 각각 할당된 제 1 자음을 각각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자음을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When different specific consonant keys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continuously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sonant combination of the first consonants assigned to the different specific consonant keys is a consonant consonant, and when the combined consonants are the consonant consonants, And outputting a consonant consonant, and if the combined consonants are not the consonant consonants, outputting first consonants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different specific consonant keys. Mobile terminal that can be input in parallel. 키를 입력받아 키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키 입력부,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인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 하여금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and transmitting a key input signa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nd software for controlling to recognize and output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nd a control unit which executes the program when the key input signal is transmitted, and controls the output unit to output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Hangu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algorithm of the program. , 상기 키 입력부는 다수 개의 기본 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자음키, 다수 개의 기본 모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모음키 및 특수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구비하되,The key input unit includes a key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that are key buttons to which a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are assigned, a plurality of vowel keys that are assigned to a plurality of basic vowels, and a special key,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는 상기 다수 개의 기본 자음 중 격음 및 경음이 있는 기본 자음을 제 1 자음으로 할당받고, 상기 다수 개의 기본 자음 중 상기 격음 및 상기 경음이 없는 기본 자음을 제 2 자음으로 할당받으며,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는 상기 다수 개의 기본 모음을 상기 특수키를 중심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may be allocated as a first consonant having a pulsation and a horn among the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as a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without the pulsation and the horn as the second consonant among the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The plurality of vowel keys a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pad for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s in parallel using a spec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basic vowels are located around the special ke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음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sic consonant,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이되, 상기 제 1 자음은 'ㄱ, ㄷ, ㅂ, ㅅ, ㅈ'이고, 상기 제 2 자음은 'ㄴ, ㄹ, ㅁ, ㅇ'이며,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는 5 개의 키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b, c, d, ㅁ, ㅂ, ㅅ, ㅇ, ㅈ, wherein the first consonant is' a, c, ㅂ, ㅅ, ㅈ ', and the second consonant is' b, d, ㅁ And ㅇ ', wherein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five key button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pa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using special key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모음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sic vowel, '상 ㅡ, 좌 ㅣ, 우 ㅣ, 하 ㅡ'이되,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는 4 개의 키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특수키를 중심으로 상하좌우의 4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Up ㅡ, left ㅣ, right ㅣ, bottom ㅡ', wherein the plurality of vowel keys include four key buttons, the special key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around the special ke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pa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키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pecial key, 십자도형에서 중앙을 소정의 반경으로 도려낸 기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pa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by using a spec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a symbol is cut out of a center in a cross sha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gram,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와 상기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 및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 중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의 격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상기 특정 자음키와 상기 특수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의 경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동일한 특정 자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 및 상기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 중 상기 동일한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When a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pecial key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first consonant of the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A process of outputting a consonant sound, a process of outputting a consonant sound of a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when the specific consonant key and the special key are successively input, and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consecutively inputted And a process of outputting a second consonant allocat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mong a first consonant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nd a second consonant assigned to the same specific consonant ke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pa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gram,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서로 다른 특정 모음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서로 다른 특정 모음키를 합성한 합성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와 상기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모음키의 기 설정된 합성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합성 모음과 상기 특수키가 동시 또는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합성 모음의 기 설정된 합성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process of outputting a composite vowel combining different specific vowel keys when different vowel keys of the plurality of vowel keys are input simultaneously; And a process of outputting a preset composite vowel of a vowel key and a process of outputting a preset composite vowel of the composite vowel when the composite vowel and the special key are simultaneously or consecutively inputt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pa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parallel. 키를 입력받아 키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키 입력부, 한글의 모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모음을 인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 하여금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의 모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 key and transmitting a key input signa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wel of Hangul, a memory unit for storing a program which is software for controlling to recognize and output a vowel of the Hangu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nd the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the program when th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control the output unit to output the vowel of the Hangu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algorithm of the program, 상기 키 입력부는 다수 개의 기본 모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모음키와 특수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구비하고,The key input unit includes a key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vowel keys and special keys which are key buttons assigned with a plurality of basic vowels, 상기 프로그램은,The program,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서로 다른 특정 모음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서로 다른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을 합성하여 기 설정된 합성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A process of synthesizing a basic vowel assigned to the different specific vowel keys and outputting a preset synthetic vowel when different vowel keys among the plurality of vowel keys are simultaneously input;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와 상기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의 합성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A process of outputting a composite vowel of a basic vowel assigned to the specific vowel key when a specific vowel key and the special key are simultaneously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vowel keys; 상기 기본 모음의 합성 모음을 출력한 후, 상기 특수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합성 모음의 복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Outputting a composite vowel of the synthesized vowel after outputting the synthesized vowel of the basic vowel; 상기 기본 모음의 합성 모음을 출력한 후,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기본 모음의 합성 모음과 상기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을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의 합성 모음의 조합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 및After outputting the composite vowel of the basic vowel, if a specific vowel key among the plurality of vowel keys is input continuously, the composite vowel of the basic vowel is combined by combining the composite vowel of the basic vowel and the basic vowel assigned to the specific vowel key. A process of outputting a combination vowel; And 상기 복모음을 출력한 후,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복모음과 상기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을 조합하여 상기 복모음의 조합 모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스After outputting the vowel vowels, and when a vowel key among the plurality of vowel keys is continuously input, combining the vowel vowel and the basic vowel assigned to the specific vowel key and outputting the combined vowel of the vowel vowel 중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한글 모음을 병행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nput the Hangul vowels in parallel using a special ke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processes.
KR1020060036040A 2006-04-21 2006-04-21 Method for parallel inputting korean character by using special key and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7544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040A KR100754453B1 (en) 2006-04-21 2006-04-21 Method for parallel inputting korean character by using special key and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040A KR100754453B1 (en) 2006-04-21 2006-04-21 Method for parallel inputting korean character by using special key and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453B1 true KR100754453B1 (en) 2007-09-03

Family

ID=3873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040A KR100754453B1 (en) 2006-04-21 2006-04-21 Method for parallel inputting korean character by using special key and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4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63B1 (en) * 2009-04-03 2011-09-29 박노일 Method and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46A (en) * 1999-11-25 2000-08-05 정회선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s of HUNMINJUNGEUM
KR20010107446A (en) * 2000-05-29 2001-12-07 박형길 Mapp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on number key pad
KR20020016030A (en) * 2000-08-24 2002-03-04 홍경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 set in the mobile phone
KR20030096588A (en) * 2002-06-14 2003-12-31 박진수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46A (en) * 1999-11-25 2000-08-05 정회선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s of HUNMINJUNGEUM
KR20010107446A (en) * 2000-05-29 2001-12-07 박형길 Mapp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on number key pad
KR20020016030A (en) * 2000-08-24 2002-03-04 홍경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 set in the mobile phone
KR20030096588A (en) * 2002-06-14 2003-12-31 박진수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63B1 (en) * 2009-04-03 2011-09-29 박노일 Method and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88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28115A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mobile phone
JP2004133915A (en)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korean character input device, korean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0579814B1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40105714A1 (en) Arabic-persian alphabet input apparatus
KR100754453B1 (en) Method for parallel inputting korean character by using special key and keypa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6870528B2 (en) Portable mobile unit
KR100777815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by Using Simultaneous Inputt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20050225537A1 (en) Keypad having -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KR20110088311A (en) Character input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he same
KR100392353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data
JP4700758B1 (en) Input device
KR100457191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100428691B1 (en)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KR10061622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100918624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KR2007002244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hereto
KR2007008277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KR20010064214A (en) Character input device in cellular phone
JP2003241885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04375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Vietnam character using minimizing key pad
KR200318329Y1 (en) The way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 through Numeric Keypad
KR100530491B1 (en) Korean Language Input Apparatus Using A Numerical Keypad
KR20060091359A (en) Hangul input method
KR20020022623A (en)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key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