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837B1 -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837B1
KR100753837B1 KR1020060063470A KR20060063470A KR100753837B1 KR 100753837 B1 KR100753837 B1 KR 100753837B1 KR 1020060063470 A KR1020060063470 A KR 1020060063470A KR 20060063470 A KR20060063470 A KR 20060063470A KR 100753837 B1 KR100753837 B1 KR 10075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ler
connection
access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886A (ko
Inventor
소운섭
김도영
정해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1/634,64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70130245A1/en
Publication of KR20070059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1차적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는 2차적으로 유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코어부, 디스플레이, 키패드 및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주변기기들과의 연결을 제어하여 프로세서코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입출력부 및 프로세서코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액세스부를 포함하여, 인터넷 전화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집적하여 만든 통신서비스 제어기를 이용하여, 구성 부품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설계가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며, 저가이면서 소형으로서 휴대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하며, 무선망에 연결이 불가할 경우는 이더넷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전화용 단말장치를 구성할 수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신뢰성이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하드웨어를 추가하고, 소프트웨어를 추가로 탑재하여 여러가지 용도의 통신 단말장치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신서비스 제어기, 통신 단말장치, 인터넷전화, 휴대인터넷

Description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의 상세한 구성의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가 이더넷 연결 환경에서 사용되는 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를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하는 구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연결용 단말 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전세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무료 또는 아주 저렴하게 음성 전화 기능 및 인터 넷 접속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단말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유선 인터넷 전화용 통신 단말장치 장치를 구성하거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인터넷 전화용 통신 단말장치 장치를 각각 따로 구성하여 제한적으로 사용해야만 하였다. 최근에는 무선랜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용 단말을 따로 만들거나, CDMA 또는 GSM 을 이용한 이동망과 무선랜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듀얼 모드의 단말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를 사용할 경우 제한적인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듀얼 모드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이동망과 IP망간의 교환이 필요하여 번거롭고, 호 처리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의 통신 단말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도 각각 기능이 다른 여러 가지 장치들을 사용하여 구성하여야 하므로, 회로 구성이 복잡하고, 규모가 커지며, 불필요한 기능이 추가된다. 이로 인해 단말장치의 설계 및 개발이 어렵고, 개발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개발된 제품의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이더넷 환경이 없는 가정에서 인터넷 전화를 하기 위해서는 이더넷 포트가 있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과 유선 이더넷 포트가 있는 인터넷 전화기 또는 이더넷 포트를 가지고 블루투스 연결이 되는 ADSL 모뎀과 블루투스 인터넷 전화기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환경의 통신 환경에 적합한 적절한 휴대성이 있는 장치를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든지 무선으로 휴대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무선망에 연결이 불가능할 경우는 이더넷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의 일 태양은, 1차적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는 2차적으로 유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코어부; 디스플레이, 키패드 및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주변기기들과의 연결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세서코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입출력부; 및 상기 프로세서코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액세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코아부는 장치의 중앙 연산 처리 기능을 수행하면서, 무선 인터넷 접속 혹은 유선 인터넷 접속을 해야 하는 경우를 판단하여, 판단된 경우에 따라 무선 혹은 유선의 인터넷 접속이 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들이 송수신되어 상기 프로세서코아부에 포함된 기능 블록들이 연결되는 프로세서 버스; 소정의 리셋 신호에 따라 상기 장치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초기화하고 상기 프로세서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장치에서 필요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리셋 제어기; 소정의 클럭 신호를 입력으로 장치 내부에서 필요한 클럭들을 생성하는 클럭 제어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플래쉬 메모리, 동기용 동적 메모리 또는 메모리맵 형태의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외부 버스 제어기; 프로그램 수행절차를 감시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WDT; 상기 프로세서 버스에 연결되는 각 기능 블록들의 접근 영역을 디코딩하는 프로세서 버스 디코더; 1Hz의 클럭을 기준으로 초 단위로 카운트 하여 시각을 계산하는 RTC; 2개의 타이머로 구성되어 소정의 기준 클럭을 입력받아 지정된 시각에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중 타이머; 상기 프로세서의의 개입없이 상기 프로세서코어부에 포함된 각 제어기들과 메인 메모리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DMA 제어기; 및 프로그램 수행에서 발생되는 내부 및 외부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인터럽트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의 다른 태양은, 1차적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키패드 및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주변기기들과의 연결을 제어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무선 인 터넷 및 유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제어기;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필요한 리셋 신호를 공급해 주는 리셋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필요한 클럭 신호를 공급해 주는 클럭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키패드;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이동통신 또는 VoIP 접속을 통한 음성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송수화기 접속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범용 직렬 버스(USB)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USB 접속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이더넷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이더넷 접속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며 운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무선으로 기지국과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단말 장치의 내부에 포함되어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할 단일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장치는 1차적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는 2차적으로 유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코어부(100), 디스플레이, 키패드 및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주변기기들과의 연결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세서코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입출력부(200) 및 프로세서코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액세스부(3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의 상세한 구성의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코어부(100)는 프로세서코어부(100) 내부의 프로세서 버스의 일 예인 고급고성능버스(AHB : Advanced High-performance Bus)(110)에 연결되는 프로세서(105), 리셋 제어기(115), 클럭 제어기(120), 외부 버스 제어기(125), 감시 타이머인 WDT(130), 프로세서 버스 디코더인 AHB 디코더(135), 실시간 클럭을 제공하는 RTC(140), 이중 타이머(145), DMA 제어기(150), 인터럽트 제어기(155), 버스 브리지(16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출력부(200)는 사용자입출력부(200) 내부의 주변기기 버스인 고급주변버스(APB : Advanced Peripheral Bus)(210)에 연결되는 APB 디코더(270), USB 제어기(220), 비동기 제어기(230), 디스플레이 제어기로 디스플레이의 일 예인 CLCD(Color 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어하는 CLCD 제어기(240), 입출력 제어기(GPIO controller)(250), AC'97(Audio Codec '97) 제어기(2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액세스부(300)는 고급주변버스 APB(210)에 연결되는 무선 광대역 미디어 액세스 제어기(WiBro MAC)(310) 및 WiBro MAC에 연결되는 무선 광대역 물리층처리기(WiBro PHY)(3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5)는 32비트 RISC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도 1 또는 도 2에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포함된 제어 블록들 전체의 중앙 연산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05)는 프로세서 코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디버깅하기 위한 디버깅 접속 기능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JTAG(Joint Test Action Group) 접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05)는 무선 인터넷 신호의 강도가 소정 기준 이하가 되는 것을 감지하면 무선 인터넷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프로세서 버스인 AHB(110)는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들의 전송 경로를 제공하며, 프로세서 코아부(100)에 포함된 기능 블록들이 연결된다.
리셋 제어기(115)는 리셋부(도 3에 설명됨)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입력된 리셋 신호에 따라 프로세서 코아부(100)에 포함된 모든 제어 블록들을 초기화하고 각 제어 블록들에 필요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여 AHB(110)에 실어준다.
클럭 제어기(120)는 클럭부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입력된 클럭 신호인, 예를 들면 25MHz의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서 PLL(Phase Lock Loop) 제어를 거쳐 프로세서코아부(100) 내부에서 필요한 다양한 클럭을 만든다.
외부 버스 제어기(125)는 외부에 접속되는 플래쉬 메모리, 동기용 동적 메모리 또는 메모리맵 형태의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위해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거나, 메 모리에 데이터를 쓰기 위한 제어 신호를 타이밍에 맞춰서 생성해 준다. 그리고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이더넷 접속부의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WDT(130)는 프로그램 수행절차를 감시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Watch Dog Timer 기능을 수행한다.
AHB 디코더(135)는 AHB 버스(110)에 연결되어 있는 각 제어 블록의 액세스 영역을 디코딩 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하는 제어 블록의 액세스 영역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AHB 디코더(135)가 그 제어 블록의 액세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신호를 조합하여 해당되는 영역에 대한 접근이 있는 것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한다.
실시간 시간 제어기인 RTC(140)는 1Hz의 클럭을 기준으로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그 결과 초 이하의 시각, 초, 분, 시간, 일, 월, 년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중 타이머(145)는 2개의 타이머로 구성되어 소정의 기준 클럭을 입력받아서 프로그램에서 지정한 시간에 적절한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직접 엑세스 메모리 제어기인 DMA 제어기(150)는 프로세서코어부(100) 내부의 각 제어 블록들과 메인 메모리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프로세서(105)의 개입없이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한다.
인터럽트 제어기(155)는 프로그램 수행에서 발생되는 각종의 내부 및 외부 인터럽트를 처리를 해 주는 부분이다.
버스 브리지(160)는 AHB(110)와 APB(210) 간의 상호 버스를 각 버스의 타이밍에 맞도록 데이터 신호, 주소 신호, 제어 신호를 서로 정합되도록 연결해준다.
주변기기 버스인 APB(210)는 사용자 입출력부(200) 내부의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들의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며, 사용자 입출력부(200)에 포함된 모든 기능 블록들이 연결된다.
APB 디코더(270)는 APB(210)에 연결되어 있는 각 제어 블록의 액세스 영역을 디코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범용 직렬 버스(USB) 제어기(220)는 USB 포트에 접속하기 위해 USB 1.0 또는 USB 2.0 표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준다.
범용 비동기 송수신(UART)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비동기 제어기(230)는 EIA232 통신을 하기 위해 최대 230.4kbps의 속도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UART 프로토콜에 맞게 데이터를 처리한다(230).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CLCD 제어기(240)는 외부에 연결되는 CLCD에 고속으로 칼라 데이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CLCD 데이터와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한다.
입출력 제어기(250)는 각종 제어신호로 사용되는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 주로 키패드 데이터 입력, LED 구동 신호가 연결된다.
AC'97 제어기(260)는 무선 이동통신 혹은 VoIP를 통한 송수화를 위한 송수화기 접속부(도 3에서 설명됨)와 8비트 또는 16비트로 샘플링된 음성 또는 오디오 PCM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광대역 미디어 액세스 제어기(WiBro MAC)(310)는 IEEE 802.16 MAC 규격에 따르는 무선 광대역 MAC(Media Access Control) 기능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무선 광대역 물리층 처리기(WiBro PHY)(320)는 무선 광대역 MAC에 직접 연결되며, IEEE 802.16 PHY 규격에 따르는 OFDMA(O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oplexing Access) 모뎀 기능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다른 무선 인터넷 규격을 지원하는 모뎀 기능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무선 광대역 물리층 처리기(WiBro PHY)(320) 및 무선 광대역 미디어 액세스 제어기(WiBro MAC)(3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는 프로세서(105)로 전달되며, 프로세서(105)는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이 무선 인터넷 신호의 강도가 소정 기준 이하가 되는 것을 감지하면 무선 인터넷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1차적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키패드 및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주변기기들과의 연결을 제어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무선 인터넷 및 유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제어기(400),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에 필요한 리셋 신호를 공급해 주는 리셋부(405), 클럭 신호를 공급해 주는 클럭 부(410),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인 CLCD(415),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패드(420), 이동통신 또는 VoIP 접속을 통한 음성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송수화기 접속부;VoIP 송수화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송수화기 접속부(425), 범용 직렬 버스(USB)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USB 접속부(430), 이더넷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이더넷 접속부(435), 운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440), 무선으로 기지국과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접속부(435), 터미널과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EIA232 접속부(450) 및 다른 디버깅 장치와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JTAG 접속부(455)를 포함한다.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의 기능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리셋부(405)는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에 필요한 시간동안 전원 입력 리셋 신호 및 스위치 리셋 신호를 공급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럭부(410)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필요한, 예를 들면 25MHz 속도의, 클럭을 공급해주며, 이 클럭은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에 입력되어 각각 분주 및 배수가 되어 각 구성 블록들에 공급된다.
CLCD(Color Liquid Crystal Display)는 최대 24비트의 데이터 신호(CLD0~CLD23), 데이터 클럭(DCLK), 데이터 가능 신호(DEN), 수직동기 신호(VSYNC), 수평동기 신호(HSYNC)를 통해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에 연결되어 단말장치의 모든 상태 및 사용자에게 필요한 메시지를 표시해 준다. 표시되는 메시지는 전화기의 현재 상태, 발신 및 착신 전화번호, 현재 시각, 날짜, 요일, 수신신호 세기, 배터리 잔량 정보 등이 포함된다. 통신서비스 제어기(400)를 프로그램밍하여 다양한 메시지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키패드(420)는 전화 번호 및 특수 번호 다이얼링을 위한 12개의 기본 키 버튼과 추가적인 부가 서비스 기능을 위한 8개의 보조 키 버튼을 사용한다. 보조키 버튼에는 메뉴 키, 확인 키, 전화걸기 키, 전화종료 키, 기능 설정 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화기 접속부(425)는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에 이동통신 또는 VoIP 접속을 통한 음성 송수신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음성 신호의 송수화기 접속 기능을 수행하며, 접속 기능을 위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의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의 상호 변환 및 아날로그 신호의 증폭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는 마이크 및 스피커도 연결되어 스피커 폰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430)는 플러스 데이터 신호(DP)와 마이너스 데이터 신호(DM) 로 USB 포트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더넷 접속부(435)는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와 메모리(440)간의 메모리 버스에 메모리 맵 형태로 이더넷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더넷 미디어 엑세스 제어기와 이더넷 물리층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신호의 예로는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와는 주소신호(A0 ~ A14), 데이터 신호(D0 ~ D31), 칩 선택신호(ECS), 데이터 읽기 신호(MA_OE), 데이터 쓰기 신 호(MA_WE), 인터럽트 신호(EIRQ), 바이트 인에이블 신호(EBE0 ~ EBE3), 리셋 신호(RESET)가 연결되고, 이더넷 선로와는 출력 데이터 플러스 신호(TPOP), 출력 데이터 마이너스 신호(TPOM), 입력 데이터 플러스 신호(TPIP), 입력 데이터 마이너스 신호(TPIM) 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440)는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에 직접 연결되며 시작 프로그램이나 단말장치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8비트, 16비트, 32비트 버스로 접속이 가능한 플래쉬 롬(FROM : Flash Read Only Memory)을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나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8비트, 16비트, 32비트 버스로 접속이 가능한 동기용 동적 램(SDRAM :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 맵 형태로 엑세스가 가능한 외부 메모리 소자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접속부(445)는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와 베이스밴드 제어 데이터(B0 ~ B7), 직렬 입력 데이터(DIN), 직렬 데이터 클럭(SCLK), 칩 선택 신호(WCS), 송신 인에이블 신호(TXENA), 수신 인에이블 신호(RXENA), 셧다운 신호(SHDN), 수신 주파수 제어 신호(RXHP), 수신 세기 신호(RSSI)의 제어 신호와 출력 Q채널 차동 데이터 신호(RXBBQ+, RXBBQ-), 출력 I채널 차동 데이터 신호(RXBBI+, RXBBI-), 입력 Q채널 차동 데이터 신호(TXBBQ+, TXBBQ-), 입력 I채널 차동 데이터 신호(TXBBI+, TXBBI-)의 데이터 신호로 연결되어, 예를 들면 2.3GHz 대역의, 무선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EIA232 접속부(450)는 EIA232 포트를 통하여 모니터를 위한 터미널과 연결 기능을 갖는다. 신호 레벨 드라이버와 리시버가 구성되며, 송신 데이터 신호(TXD), 수신 데이터 신호(RXD), 송신 요구 신호(RTS), 수신 준비 신호(CTS)로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한다.
JTAG(Joint Test Action Group) 접속부(455)는 통신서비스 제어기(400)의 프로세서(도 2의 105)에 연결되어, 프로세서(105)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디버깅하기 위해 Multi-ICE 또는 RealView 라는 장치와 프로세스(105)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호 연결되는 신호에는 입력 데이터 신호(TDI), 출력 데이터 신호(TDO), 데이터 클럭 신호(TCK), 리셋 신호(TRST) 신호가 연결되어, 디버깅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는 직접 이더넷에 연결하거나 휴대인터넷을 통하여 고속의 무선으로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사용자에게 인터넷을 통한 음성 전화 기능 및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단말 장치는 상기의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간단한 기능 변경 및 기능 추가로 사용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신호 처리 소자를 추가하면 인터넷 영상전화 단말장치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소자를 추가하면 DMB 수신 단말장치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소자를 추가하면 GPS 수신 단말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500)가 이더넷 연결 환경에서 사용되는 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 말 장치(500)은 허브(51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를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하는 구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520)는 무선을 통해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RAS: Radio Access Station)과(530)과 연결되어 제어국(540)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의 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태양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1차적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는 2차적으로 유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코어부, 디스플레이, 키패드 및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주변기기들과의 연결을 제어하여 프로세서코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입출력부 및 프로세서코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액세스부를 포함하여, 인터넷 전화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집적하여 만든 통신서비스 제어기를 이용하여, 구성 부품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설계가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며, 저가이면서 소형으로서 휴대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하며, 무선망에 연결이 불가할 경우는 이더넷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전화용 단말장치를 구성할 수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신뢰성이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하드웨어를 추가하고, 소프트웨어를 추가로 탑재하여 여러가지 용도의 통신 단말장치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차적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는 2차적으로 유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코어부;
디스플레이, 키패드 및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주변기기들과의 연결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세서코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입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입출력부; 및
상기 프로세서코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액세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코아부는
장치의 중앙 연산 처리 기능을 수행하면서, 무선 인터넷 접속 혹은 유선 인터넷 접속을 해야 하는 경우를 판단하여, 판단된 경우에 따라 무선 혹은 유선의 인터넷 접속이 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들이 송수신되어 상기 프로세서코아부에 포함된 기능 블록들이 연결되는 프로세서 버스;
소정의 리셋 신호에 따라 상기 장치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초기화하고 상기 프로세서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장치에서 필요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리셋 제어기;
소정의 클럭 신호를 입력으로 장치 내부에서 필요한 클럭들을 생성하는 클럭 제어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플래쉬 메모리, 동기용 동적 메모리 또는 메모리맵 형태의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외부 버스 제어기;
프로그램 수행절차를 감시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WDT;
상기 프로세서 버스에 연결되는 각 기능 블록들의 접근 영역을 디코딩하는 프로세서 버스 디코더;
1Hz의 클럭을 기준으로 초 단위로 카운트 하여 시각을 계산하는 RTC;
2개의 타이머로 구성되어 소정의 기준 클럭을 입력받아 지정된 시각에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중 타이머;
상기 프로세서의의 개입없이 상기 프로세서코어부에 포함된 각 제어기들과 메인 메모리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DMA 제어기; 및
프로그램 수행에서 발생되는 내부 및 외부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인터럽트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코아부는,
상기 프로세서 버스와 상기 사용자입출력부의 내부 버스인 주변기기 버스 간의 신호들을 정합시키는 버스 브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 코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디버깅하기 위한 디버깅 접속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입출력부 내부의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들이 송수신되어 사용자 입출력부에 포함된 기능 블록들이 연결되는 주변기기 버스;
상기 주변기기 버스 연결되어 있는 각 기능 블록들의 액세스 영역을 디코딩하는 주변기기 버스 디코더;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SB 제어기;
EIA232 통신 데이터를 제어하고 범용 비동기 송수신(UART) 프로토콜에 따라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비동기 제어기;
외부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와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영상 표시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기;
키패드 데이터 입력 및 LED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로 사용되는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입출력 제어기; 및
샘플링된 음성 또는 오디오 PCM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VoIP 서비스의 음성 데이터의 경로를 제공하는 AC'97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액세스부는,
상기 사용자입출력부의 내부 버스인 주변기기 버스에 연결되며, 무선 광대역 MAC(Media Access Control) 기능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무선 광대역 미디어 액세스 제어기; 및
상기 무선 광대역 미디어 액세스 제어기에 연결되며, OFDMA(O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oplexing Access) 모뎀 기능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모뎀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광대역 물리층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1차적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키패드 및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주변기기들과의 연결을 제어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 자를 위한 입출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무선 인터넷 및 유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제어기;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필요한 리셋 신호를 공급해 주는 리셋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필요한 클럭 신호를 공급해 주는 클럭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키패드;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이동통신 또는 VoIP 접속을 통한 음성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송수화기 접속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범용 직렬 버스(USB)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USB 접속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이더넷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이더넷 접속부;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며 운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무선으로 기지국과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터미널과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EIA232 접속부; 및
상기 통신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다른 디버깅 장치와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JTAG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KR1020060063470A 2005-12-07 2006-07-06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KR10075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34,640 US20070130245A1 (en) 2005-12-07 2006-12-06 Portable internet terminal apparatus for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630 2005-12-07
KR20050118630 2005-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886A KR20070059886A (ko) 2007-06-12
KR100753837B1 true KR100753837B1 (ko) 2007-08-31

Family

ID=3835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470A KR100753837B1 (ko) 2005-12-07 2006-07-06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8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430A (ko) * 2000-09-08 2002-03-15 이대진 유무선 겸용의 통신 단말장치
KR20030063502A (ko) * 2002-01-22 2003-07-31 프로모바일테크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넷 서비스 로밍을 처리하는 무선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52404Y1 (ko) * 2004-02-11 2004-06-10 오차진 유, 무선전화 및 인터넷폰 송수신 핸드폰
KR20040054213A (ko) * 2002-12-18 2004-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및 방법
KR20060058901A (ko) * 2004-11-26 2006-06-01 브이케이 주식회사 유선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430A (ko) * 2000-09-08 2002-03-15 이대진 유무선 겸용의 통신 단말장치
KR20030063502A (ko) * 2002-01-22 2003-07-31 프로모바일테크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넷 서비스 로밍을 처리하는 무선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54213A (ko) * 2002-12-18 2004-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및 방법
KR200352404Y1 (ko) * 2004-02-11 2004-06-10 오차진 유, 무선전화 및 인터넷폰 송수신 핸드폰
KR20060058901A (ko) * 2004-11-26 2006-06-01 브이케이 주식회사 유선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886A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2568A1 (en) Wire and wireless internet phone terminal using wideband voice codec
US7526679B2 (en) Apparatus for developing and verifying system-on-chip for internet phone
KR100542436B1 (ko) 유무선 인터넷 전화용 시스템온칩 개발 장치
US8380243B2 (en) Dual-mod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ing CDMA and GSM
TW200618586A (en) System and method for background download of digital content to an intermittently connected peripheral device via a wireless device
CN109104261A (zh) 基于lbs的本地时间获取方法、终端及存储介质
US752258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for wire and wireless internet phone
US20070130245A1 (en) Portable internet terminal apparatus for wireless broadband internet
US7061904B2 (en) Integrated access device controller
KR101285390B1 (ko) 광대역 음성 코덱 적용 가능한 유무선통합 단말장치 및 그 방법과 호 제어 서버의 광대역 음성 코드 제공 방법
KR100753837B1 (ko) 휴대 인터넷 접속용 통신 단말 장치
KR100877735B1 (ko) 휴대용 통신단말, 휴대용 통신단말의 통신방법과 그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100272097A1 (en) Internet phone terminal using wideband voice codec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internet phone
KR100912533B1 (ko) 광대역 음성 코덱을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전화 단말
US20150325247A1 (en) Semiconductor Devic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KR100451164B1 (ko) 디지털 신호처리 모듈들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무선 랜전화 시스템
KR20100067447A (ko) 광대역 음성 코덱을 적용한 유무선 통합 통신 장치
JP2968794B1 (ja) ワイヤレスローカルループ用システム端末
CN207854196U (zh) 矿井用多模终端
JP2003125104A (ja) 電話機
KR1006802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299742Y1 (ko) 휴대폰의 이어폰소켓을 이용한 gps수신기 모듈
KR100724858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인터넷타임 표시 방법
JP2006136001A (ja) 携帯電話機
JP3392694B2 (ja) 双方向パラレルデータ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