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654B1 -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654B1
KR100753654B1 KR1020050082840A KR20050082840A KR100753654B1 KR 100753654 B1 KR100753654 B1 KR 100753654B1 KR 1020050082840 A KR1020050082840 A KR 1020050082840A KR 20050082840 A KR20050082840 A KR 20050082840A KR 100753654 B1 KR100753654 B1 KR 10075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microphone
charge
charg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972A (ko
Inventor
강대득
Original Assignee
(주)인터훼이스삼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훼이스삼일 filed Critical (주)인터훼이스삼일
Publication of KR2007001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맨트를 녹음하여 재생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음성표시수단을 구비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및 전원을 공급하는 데이터 및 전원공급장치와, 충전지를 구비한 멀티미디어장치에 연결되어 데이터 및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장치로 데이터 및 전원을 전송하는 데이터 및 전원케이블과, 상기 멀티미디어장치에 결합된 멀티미디어커넥터와, 상기 데이터 및 전원케이블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커넥터에 연결되며, 충전을 관리하는 충전관리마이컴의 일측에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연결되고, 상기 충전관리마이컴의 타측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구동하는 음성재생마이컴이 연결되며, 상기 음성재생마이컴에 재생되는 음성을 확성하는 스피커가 연결되어 이루어지 충전관리부와, 상기 데이터 및 전원케이블에 의해 상기 충전관리부에 연결된 USB커넥터와, 상기 충전관리부에 데이터케이블에 의해 결합되어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음성 및 영상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연결되는 AV단자로 구성되는 통상의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리부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멀티미디어장치에 해당하는 전류 값을 충전관리마이컴에 연결된 콘덴서C5와 콘덴서C1과 저항R5와 콘덴서C4에 의해 찾고, 해당 전류 값의 감지에 의해 음성재생마이컴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가 온(ON)되어 음성재생마이컴이 동작하여 충전시작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성재생마이컴에 연결되어 음성메세지를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스위치와, 상기 음성재생마이컴에 연결되어 상기 녹음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음성메세지가 입력되는 마이크로 이루어지는 녹음 및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성맨트를 녹음하여 재생할 수 있어서 충전기의 충전상태를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재생마이컴이 동작하여 충전시작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음성맨트, 충전기, 통신케이블, AV단자, 컴퓨터, 멀티미디어

Description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 {Charging Condition Display Device Using Voice}
도 1은 본 발명의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충전기의 충전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회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부호설명>
1 : 데이터 및 전원공급장치 2 : 멀티미디어장치
3 : 멀티미디어커넥터 4 : 케이스
5 : USB커넥터 6 : AV단자
7 : 충전관리부 71 : 충전관리마이컴
73 : 표시부 75 : 음성재생마이컴
77 : 스피커
본 발명은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는 음성맨트를 녹음하여 재생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음성표시수단을 구비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음성"이란 가청주파수대의 모든 음성(voice) 또는 소리(sound)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장치인 MP3를 데이터공급장치인 컴퓨터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MP3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재생시키면서 사용한다. 이때, 컴퓨터에 USB포트가 구비되고 MP3에는 커넥터포트가 구비되어 USB커넥터가 일단에 설치되고 타단에는 MP3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설치된 케이블에 의해 컴퓨터와 MP3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장치인 디지털캠코더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한 후 이 촬영된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컴퓨터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 등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USB커넥터가 구비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캠코더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컴퓨터의 모니터나 TV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이때, 캠코더에 연결되는 커넥터와 모니터에 연결되어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AV(Audio Video)단자가 설치된 케이블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위에 언급한 멀티미디어장치인 MP3나 캠코더는 전원선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지만, 대부분의 멀티미디어장치는 휴대용이기 때문에 그 내부에 구비된 충전지에 전원을 충전하여 소정시간동아 사용한다. 이때, 충전용커넥터가 구비된 케이블을 전원선과 멀티미디어장치를 상호 연결하면 멀티미디어장치는 소정의 전력 이 충전되어 일정시간동안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장치는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TV에 연결하거나 충전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각각의 케이블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를 녹음하여 사용자에게 충전기의 충전상태를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는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시작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킬 수 있는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데이터 및 전원을 공급하는 데이터 및 전원공급장치와, 충전지를 구비한 멀티미디어장치에 연결되어 데이터 및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장치로 데이터 및 전원을 전송하는 데이터 및 전원케이블과, 상기 멀티미디어장치에 결합된 멀티미디어커넥터와, 상기 데이터 및 전원케이블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커넥터에 연결되며, 충전을 관리하는 충전관리마이컴의 일측에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연결되고, 상기 충전관리마이컴의 타측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구동하는 음성재생마이컴이 연결되며, 상기 음성재생마이컴에 재생되는 음성을 확성하는 스피커가 연결되어 이루어지 충전관리부와, 상기 데이터 및 전원케이블에 의해 상기 충전관리부에 연결된 USB커넥터와, 상기 충전관리부에 데이터케이블에 의해 결합되어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음성 및 영상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연결되는 AV단자로 구성되는 통상의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리부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멀티미디어장치에 해당하는 전류 값을 충전관리마이컴에 연결된 콘덴서C5와 콘덴서C1과 저항R5와 콘덴서C4에 의해 찾고, 해당 전류 값의 감지에 의해 음성재생마이컴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가 온(ON)되어 음성재생마이컴이 동작하여 충전시작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성재생마이컴에 연결되어 음성메세지를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스위치와, 상기 음성재생마이컴에 연결되어 상기 녹음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음성메세지가 입력되는 마이크로 이루어지는 녹음 및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음성재생마이컴은 EPROM, EEPROM, RAM, 커스텀 에이직(CUSTOM ASI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재생마이컴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저항의 조합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경고음을 낼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적색LED와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녹색LED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교류(AC)를 이용하여 직류(DC)로 받는 모든 충전기에 적용된다. 특히, USB커넥터와 연결되는 USB포트가 구비된 PC, MP3, 휴대폰,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및 PSP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발명이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성표시수단을 구비한 충전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충전기의 충전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회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USB포트를 이용한 충전기에 관한 것을 예로 든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성표시수단을 구비한 충전기 실시예는 커넥터(3)가 케이스(4)의 일측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은 전원공급용선과 데이터전송용선이다. 상기 케이스(4)의 외측 상부면에는 표시부(73)와 스피커(77)로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4)의 타측에는 USB커넥터(5)가 전원공급용선과 데이터전송용 선으로 된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고, 케이스(4)의 다른 측면에는 AV단자(6)가 오디오전용 선과 비디오전용 선으로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및 전원공급장치(1)에 멀티미디어장치(2)가 충전기의 멀티미디어커넥터(3)와 USB커넥터(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장치(2)는 데이터 및 전원공급장치(1)에 연결된 상태로 데이터를 전송 받아 저장할 수 있고, 전원을 공급받아 플레이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전원을 멀티미디어장치(2)에 구비되어 있는 충전지(2a)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AV단자(6)는 멀티미디어커넥터(3)와 USB커넥터(5)를 연결하는 데이터전용선에 연결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케이스(4)의 내부에는 전원공급용 선에 연결되는 충전관리부(7)가 연결되어 있다. 이 충전관리부(7)는 멀티미디어커넥터(3)와 USB커넥터(5)를 연결하는 전원공급용 선에 연결되어 충전을 관리하는 충전관리마이컴(71)이 구비되고, 충전관리마이컴(71)의 일측에는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3)가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관리마이컴(71)의 타측에는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구동하는 음성재생마이컴(75)이 연결되어 있고, 음성재생마이컴(75)에는 재생되는 음성을 확성하는 스피커(77)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음성재생마이컴(75)은 EEPRO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성재생마이컴(75)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저항(R8~R11)의 조합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경고음을 낼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73)는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적색LED와,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녹색LED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충전관리부(7)는 녹음 및 재생부(76)를 포함한다. 상기 녹음 및 재생 부(76)는 음성재생마이컴(75)에는 녹음 및 재생스위치(72, 74)가 연결되어 음성메세지를 녹음 및 재생할 수 있고, 음성재생마이컴(75)에는 마이크(78)가 연결되어 녹음스위치(72)의 작동에 의해 음성메세지가 입력된다.
충전관리부(7)는 전원공급장치(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멀티미디어장치(2)에 해당하는 전류 값을 충전관리마이컴에 연결된 콘덴서C5와 콘덴서C1과 저항R5와 콘덴서C4에 의해 찾고, 해당 전류 값의 감지에 의해 음성재생마이컴(75)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가 온(ON)되어 음성재생마이컴(75)이 동작하여 충전시작을 알리는 신호음 또는 저장된 음성맨트를 발생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설명은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멀티미디어커넥터(3)의 Vcc전압이 충전관리마이컴(71)의 핀1, 핀15 핀16으로 공급되고, 핀12, 핀13, 핀14에 의해 멀티미디어장치(2)의 충전지(2a)에 전원이 충전된다.
이때, 표시부(73)의 적색LED가 표시되어 충전중임을 표시하고, 콘덴서C3은 충전되는 총 충전시간을 제어하며, 저항R5와 저항R4의 조합으로서 온도탐지기능을 정상상태로 유지하고, 저항R6은 충전전류를 입력하고 저항R7은 충전표시를 제어하여 일정한 충전시간이 소요되어 충전이 완료되면 트랜지스터Q1이 구동하여 표시부(73)의 녹색LED가 표시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1에 공급된 신호가 트랜지스터Q2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음성재생마이컴(75)의 핀7이 작동되어 핀4부터 핀6에 미리 저장된 여러 가지 음성신호가 저항R8~R12의 조합에 의해 핀13과 핀11을 통해 스피커(77)로 전달되어, 음성재생마이컴(75)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알람소리 또는 "충전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멘트를 확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데이터선(D+, D-), GND선, Vcc선은 충전관리마이컴(71)과 케이블을 통해 멀티미디어장치(2)로 연결되며 충전관리마이컴(71)에서 AV단자(6)로 연결되어 외부 AV기기에 영상 및 음성신호가 공급되게 된다.
한편, 트랜지스터Q3은 멀티미디어커넥터(3)와 USB커넥터(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잔류전류를 감지하여 전류를 차단(OFF)한다.
그리고, 공급되는 전류의 감지는 콘덴서C5와 C1 그리고 저항R5와 콘덴서C4에 의해 멀티미디어장치(2)에 공급되어야 할 전류 값을 찾고, 전류 값이 찾아지면 감지된 포인트에 의해 트랜지스터Q2가 온(ON)되어 음성재생마이컴(75)이 동작하여 충전시작을 알리는 신호음 또는 "충전시작"이라는 음성맨트를 발생시킨다.
또한 음성재생마이컴(75)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기만의 새로운“음성맨트”를 녹음하여 재생할 수 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을 외국에서 사용할 경우 영어, 일어, 중국어등 외국어로 된 메시지를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 및 동작되는 본 발명은 일반 전자기기들에 적용할 수 있다. 향후 컴퓨터와 멀티미디어장치에 간편하게 일반 커넥터 또는 USB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전송 및 전원충전을 할 수 있고, AV단자에 영상장치를 더 연결하여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영상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장치의 충전지(2a)에 대해 충전이 완료된 후에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불필요한 전류, 전압을 줄이기 위해 가청주파수대인 비프, 멜로디, 음성메세지 등의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가 충전 완료된 상태를 쉽게 인지하여 멀티미디어장치를 케이블장치에서 제거함으로서 과충전에 의한 멀티미디어장치의 충전지(2a) 보호뿐 아니라 멀티미디어장치 자체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 변경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주로 간주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성맨트를 녹음하여 재생할 수 있어서 충전기의 충전상태를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재생마이컴이 동작하여 충전시작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특히 시각 장애인에게 더욱 유용하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데이터 및 전원을 공급하는 데이터 및 전원공급장치와, 충전지를 구비한 멀티미디어장치에 연결되어 데이터 및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장치로 데이터 및 전원을 전송하는 데이터 및 전원케이블과, 상기 멀티미디어장치에 결합된 멀티미디어커넥터와, 상기 데이터 및 전원케이블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커넥터에 연결되며, 충전을 관리하는 충전관리마이컴의 일측에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연결되고, 상기 충전관리마이컴의 타측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구동하는 음성재생마이컴이 연결되며, 상기 음성재생마이컴에 재생되는 음성을 확성하는 스피커가 연결되어 이루어지 충전관리부와, 상기 데이터 및 전원케이블에 의해 상기 충전관리부에 연결된 USB커넥터와, 상기 충전관리부에 데이터케이블에 의해 결합되어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음성 및 영상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연결되는 AV단자로 구성되는 통상의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리부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멀티미디어장치에 해당하는 전류 값을 충전관리마이컴에 연결된 콘덴서C5와 콘덴서C1과 저항R5와 콘덴서C4에 의해 찾고, 해당 전류 값의 감지에 의해 음성재생마이컴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가 온(ON)되어 음성재생마이컴이 동작하여 충전시작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성재생마이컴에 연결되어 음성메세지를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스위치와,
    상기 음성재생마이컴에 연결되어 상기 녹음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음성메세지가 입력되는 마이크로 이루어지는 녹음 및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
KR1020050082840A 2005-07-26 2005-09-06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 KR100753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850 2005-07-26
KR20050067850 2005-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972A KR20070013972A (ko) 2007-01-31
KR100753654B1 true KR100753654B1 (ko) 2007-08-30

Family

ID=3801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840A KR100753654B1 (ko) 2005-07-26 2005-09-06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940257U (zh) * 2022-09-30 2023-04-28 深圳市星享互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693U (ko) * 1994-09-06 1996-04-17 조경화 음성발생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KR200214913Y1 (ko) * 2000-09-14 2001-02-15 정재훈 유에스비 휴대폰 충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693U (ko) * 1994-09-06 1996-04-17 조경화 음성발생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KR200214913Y1 (ko) * 2000-09-14 2001-02-15 정재훈 유에스비 휴대폰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972A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3798C (en) Power management in a portable media delivery system
KR101427267B1 (ko) 외부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상태 표시 방법
US20070105599A1 (en) Assembly of a wireless earphone device and a charging base
JP2006511053A5 (ko)
JP2006014587A (ja) 携帯充電器
KR20140132660A (ko) 전자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능동소음제거 이어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US6342664B2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US20070046254A1 (en) Power supply device of an electronic product
JP2000333377A (ja) エンタ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および充電システム
JP3219600U (ja) 詐欺電話警報装置
KR100753654B1 (ko) 음성을 이용한 충전상태 표시장치
JP4798162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
JP2002090326A (ja) 携帯用電子機器
JP3119248U (ja) 無線イヤホンデバイスおよび充電ベースのアセンブリー
WO2011040364A1 (ja) 携帯機器、通知方法及び通知プログラム
JP2003153453A (ja) 小型電気機器および該小型電気機器を使用したデータ処理システム並びに電池パック
KR100810261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US9368986B1 (en) Vehicle reminder and charging device
US20050031298A1 (en) Electronic equipment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KR200371116Y1 (ko) 엠피쓰리 플레이어의 이중 충전구조
JP5180943B2 (ja) 携帯型コンテンツ再生装置用クレードル
JP4120687B2 (ja) 電子機器装置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装置の充電方法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の充電方法
JP6888966B2 (ja) 携帯型音声再生機
KR1006623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139661A (ja) 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