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31B1 -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구입 방법 - Google Patents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구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31B1
KR100753331B1 KR1020060043968A KR20060043968A KR100753331B1 KR 100753331 B1 KR100753331 B1 KR 100753331B1 KR 1020060043968 A KR1020060043968 A KR 1020060043968A KR 20060043968 A KR20060043968 A KR 20060043968A KR 100753331 B1 KR100753331 B1 KR 10075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s object
purchase
content
drm
va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60043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권리 객체에 대한 구입 요구가 있으면, 권리 객체 발행 서버와의 접속이 가능한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권리 객체 발행 서버와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권리 객체에 선(先)이용 후(後)구입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권리 객체에 선이용 후구입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DRM 컨텐츠 종류별로 설정되어 있는 유효한 권리 객체 구입 전까지 사용 가능한 회수/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디폴트 권리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디폴트 권리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DRM 컨텐츠를 재생/디스플레이/실행시키고, 후구입 정산에 사용될 후구입 정산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와의 접속이 가능해지면, 상기 후구입 정산 정보를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의 발행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후구입 정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서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를 생성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권리 객체 전송에 따른 요금을 컨텐츠 이용자에게 부과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RM 컨텐츠, 권리 객체, 권리 객체 발행 서버, 디폴트 권리 객체

Description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METHOD FOR PURCHASING RIGHTS OBJECT IN DEVICE CAPABLE OF USE DRM SERVICE}
도 1은 OMA DRM v1.0에서 'Combined Delivery' 방식을 이용한 권리 객체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OMA DRM v1.0에서 'Separate Delivery' 방식을 이용한 권리 객체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OMA DRM v2.0에서 2 경로를 이용한 권리 객체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OMA DRM v2.0에서 1 경로를 이용한 권리 객체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M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DRM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수신 환경이 열악하여 권리 객체 발행(Rights Issuer) 서버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디폴트 권리 객체를 제공하여 컨텐츠를 미리 사용하게 하고,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이 가능해지면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DRM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RM(Digital Content Rights Management:디지털 컨텐츠 저작권 관리)은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 복제를 막고 사용료 부과와 결제 대행 등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에서 유통·관리까지를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기술로, 적법한 사용자만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하고 적절한 요금을 지불하도록 만드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 저작권 승인과 집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보안 기술, 지불·결제 기술이 모두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는 DRM 기술에 의하여 생성에서부터 배포, 사용, 폐기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걸쳐서 컨텐츠의 불법 배포나 불법 사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암호화 과정을 통해서 보호받게 되는 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재생시키려면 디지털 컨텐츠 이용에 관한 권리(회수, 기간)를 명시한 권리 객체(Rights Object)라는 라이센스가 있어야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권리 객체를 필요로 하게 되는 데, 종래 디바이스가 권리 객체를 획득하는 방법은 다 음과 같다.
우선, OMA DRM v1.0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가 브라우저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공급하는 컨텐츠 공급자 서버(3)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구입하면, 컨텐츠 공급자 서버(3)가 권리 객체를 발행하는 권리 객체 발행 서버(5)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구입한 디바이스(1)로 구입한 컨텐츠와 관련 권리 객체가 포함된 DRM 메시지를 디바이스(1)로 전송하거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가 컨텐츠를 구입한 후, 브라우저를 통해 권리 객체 발행 서버(5)에 접속하여 이용하려는 컨텐츠의 권리 객체 구입을 요청하면, 권리 객체 발행 서버(5)는 WAP 푸쉬를 통해 디바이스(1)로 권리 객체를 전송한다.
한편, OMA DRM v2.0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가 사업자 망을 통해 권리 객체 발행 서버(5)로 권리 객체를 요구하는 권리 객체 요구(RO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면, 권리 객체 발행 서버(5)가 해당 디바이스(1)로 권리 객체를 포함하는 권리 객체 응답(RO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 경로를 통한 디바이스(1)의 권리 객체 구입 요청에 대해 WAP 푸쉬를 통해 디바이스(1)로 권리 객체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디지털 컨텐츠 이용에 관한 권리를 명시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권리 객체 발행 서버와의 접속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송수신 환경이 열악하여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권리 객체를 구입할 수 없게 되어 구입한 디지털 컨텐츠를 즉시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송수신 환경이 열악하여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디폴트 권리 객체를 제공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추후 권리 객체 발행 서버 접속이 가능해지면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이용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DRM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M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은,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권리 객체에 대한 구입 요구가 있으면, 권리 객체 발행 서버와의 접속이 가능한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권리 객체 발행 서버와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권리 객체에 선(先)이용 후(後)구입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권리 객체에 선이용 후구입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DRM 컨텐츠 종류별로 설정되어 있는 유효한 권리 객체 구입 전까지 사용 가능한 회수/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디폴트 권리 객체를 생성하는 과 정과; 상기 생성된 디폴트 권리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DRM 컨텐츠를 재생/디스플레이/실행시키고, 후구입 정산에 사용될 후구입 정산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와의 접속이 가능해지면, 상기 후구입 정산 정보를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의 발행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후구입 정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서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를 생성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권리 객체 전송에 따른 요금을 컨텐츠 이용자에게 부과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후구입 정산 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와; 유효한 권리 객체의 구입을 원하는 컨텐츠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컨텐츠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키와;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기 전에 상기 DRM 컨텐츠를 미리 사용한 회수/기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서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를 생성할 때,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이 허용된 회수/기간에서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기 전에 상기 DRM 컨텐츠를 미리 사용한 회수/기간을 차감시킨 값을 이용하여 권리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RM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 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DRM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권리 객체에 대해 선(先)이용 후(後)구입 기능을 사용할 것인 지의 여부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는 데, 선이용 후구입 기능 사용 여부는 디바이스가 출시될 때, 미리 세팅되어 출시될 수도 있고,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하여 권리 객체를 구입할 때 컨텐츠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컨텐츠에 대해 또는 컨텐츠 종류별로 또는 컨텐츠별로 컨텐츠 사용자가 해당 권리 객체에 대해 선이용 후구입 기능을 사용할 것인 지의 여부를 설정할 수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하여 권리 객체를 구입할 때, 컨테츠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컨텐츠의 권리 객체에 대해 선이용 후구입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현재 구입하고자 하는 권리 객체가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권리 객체이면,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권리 객체에 대해서만 선이용 후구입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현재 구입하고자 하는 권리 객체에 대해서만 선이용 후구입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선이용 후구입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권리 객체 발행 서버로부터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기 전에 디지털 컨텐츠를 미리 사용할 수 있는 회수(또는 기간)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는 데, 이는 컨텐츠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컨텐츠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P3 파일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 회수는 3회, 비디오, 이미지, 영화 파일과 같은 비주얼 컨텐츠 의 재생 회수는 1회, 게임 파일과 같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들의 실행 회수는 2회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M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컨텐츠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DRM 컨텐츠를 재생/디스플레이/실행하라는 요구가 입력되면(S10),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12).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컨텐츠 사용자에게 유효한 권리 객체를 새로 구입할 것인 지를 묻는 메시지를 출력하고(S14),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유효한 권리 객체를 새로 구입하겠다는 요구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S16).
상기한 과정 S16의 판단결과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유효한 권리 객체를 새로 구입하지 않겠다는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전 메뉴로 복귀한다(S18).
한편, 상기한 과정 S16의 판단결과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유효한 권리 객체를 새로 구입하겠다는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에서의 신호대잡음비(Ec/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환경이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지를 판단한다(S20).
상기한 과정 S20의 판단결과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하여 권리 객체를 구입하고(S22), 새로 구입한 유효한 권리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한 과정 S10에서 재생/디 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를 재생/실행시킨다(S24).
한편, 상기한 과정 S20의 판단결과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 구입하고자 하는 권리 객체에 선이용 후구입 기능이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26).
상기한 과정 S26의 판단결과 새로 구입하고자 하는 권리 객체에 선이요 후구입 기능이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18로 진행하여 이전 메뉴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 S26의 판단결과 새로 구입하고자 하는 권리 객체에 선이용 후구입 기능이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10을 통해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의 종류를 파악한다(S28).
이후에는, 상기한 과정 S28을 통해 파악된 컨텐츠의 종류에 의거하여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기 전까지 해당 DRM 컨텐츠를 미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회수(또는 기간)에 의거하여 상기한 과정 S10을 통해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에 대한 디폴트 권리 객체를 생성하고(S30), 생성된 디폴트 권리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한 과정 S10을 통해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를 재생/디스플레이/실행시키되, 상기한 과정 S30을 통해 생성된 디폴트 권리 객체에 명시되어 있는 회수만큼만 재생/디스플레이/실행시킨다(S32).
상기한 과정 S30을 통해 디폴트 권리 객체를 생성한 후에는, 후구입 정산에 사용될 후구입 정산 정보를 생성하는 데(S34), 후구입 정산 정보에는 권리 객체의 구입을 원하는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와, 권리 객체의 구입을 원하는 컨텐츠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해당 컨텐츠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키 값,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기 전에 DRM 컨텐츠를 미리 사용한 회수(또는 기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후에는, 신호대잡음비(Ec/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에 의거하여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지를 판단한다(S36).
상기한 과정 S36의 판단결과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이 가능해지면, 디바이스는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한 과정 S34를 통해 생성한 후구입 정산 정보를 권리 객체 발행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한 과정 S10을 통해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에 대한 권리 객체의 발행을 요구한다(S38).
상기한 과정 S38을 통해 디바이스로부터 후구입 정산 정보를 전송받은 권리 객체 발행 서버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후구입 정산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 사용자가 원하는 권리 객체를 생성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40).
상기한 과정 S40에서 권리 객체 발행 서버는 컨텐츠 사용자가 원하는 권리 객체를 생성할 때, 사용이 허용된 회수(또는 기간)에서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기 전에 해당 DRM 컨텐츠를 미리 사용한 회수(또는 기간)를 차감시킨 값을 이용하여 권리 객체를 생성한다.
상기한 과정 S40을 통해 디바이스로 권리 객체를 전송한 권리 객체 발행 서버는 요금 정산 서버와 연동하여 권리 객체 구입에 따른 요금을 해당 컨텐츠 이용자에게 부과한다(S42).
한편,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권리 객체에서 제시하는 컨텐츠 사용 권리(예를 들어, 회수, 기간)에 의거하여 상기한 과정 S10에서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를 재생/실행시킨다(S24).
본 발명의 DRM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DRM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에 따르면, 송수신 환경이 열악하여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디폴트 권리 객체를 제공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추후 권리 객체 발행 서버 접속이 가능해지면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이용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 환경에 관계없이 권리 객체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권리 객체 보급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재생/디스플레이/실행이 요구된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권리 객체에 대한 구입 요구가 있으면, 권리 객체 발행 서버와의 접속이 가능한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권리 객체 발행 서버와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권리 객체에 선(先)이용 후(後)구입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권리 객체에 선이용 후구입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DRM 컨텐츠 종류별로 설정되어 있는 유효한 권리 객체 구입 전까지 사용 가능한 회수/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디폴트 권리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디폴트 권리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DRM 컨텐츠를 재생/디스플레이/실행시키고, 후구입 정산에 사용될 후구입 정산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와의 접속이 가능해지면, 상기 후구입 정산 정보를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의 발행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후구입 정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서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를 생성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권리 객체 전송에 따른 요금을 컨텐츠 이용자에게 부과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구입 정산 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와;
    유효한 권리 객체의 구입을 원하는 컨텐츠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컨텐츠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키와;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기 전에 상기 DRM 컨텐츠를 미리 사용한 회수/기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리 객체 발행 서버에서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유효한 권리 객체를 생성할 때,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이 허용된 회수/기간에서 유효한 권리 객체를 구입하기 전에 상기 DRM 컨텐츠를 미리 사용한 회수/기간을 차감시킨 값을 이용하여 권리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 구입 방법.
KR1020060043968A 2006-05-16 2006-05-16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구입 방법 KR10075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68A KR100753331B1 (ko) 2006-05-16 2006-05-16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구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68A KR100753331B1 (ko) 2006-05-16 2006-05-16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구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331B1 true KR100753331B1 (ko) 2007-08-29

Family

ID=3861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968A KR100753331B1 (ko) 2006-05-16 2006-05-16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구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744B1 (ko) 2008-09-12 2012-11-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재생 관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760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저작권관리 시스템에서의 권리객체 처리를 위한메시지 및 이를 이용한 권리객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760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저작권관리 시스템에서의 권리객체 처리를 위한메시지 및 이를 이용한 권리객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744B1 (ko) 2008-09-12 2012-11-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재생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2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tents containing advertising contents
US9875312B2 (en) System and devices for digital media distribution
US7966261B2 (en) Systems and methods to distribute content over a network
KR100846508B1 (ko) 디지털 권한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디바이스
KR101478337B1 (ko) 호스트 장치의 drm 유형을 기초로한 암호화 키를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4520755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保護及び管理のための方法並びにこれを利用したシステム
JP2005523487A (ja) リチャージ可能なメディア配布/再生システム
KR20100130641A (ko) 디지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KR101287929B1 (ko)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40172365A1 (en) Method for performing electronic re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with fee assessment and proceeds distribution capability
KR20140088065A (ko) Drm 권리객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53331B1 (ko) 디알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서의 권리 객체구입 방법
KR100768501B1 (ko) 디지털저작권이 보호된 디지털콘텐츠 전자상거래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2003256597A (ja) 再販可能な著作権保護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著作権保護管理方法、著作権保護管理端末、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958427B1 (ko) 컨텐츠 데이터 재생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6085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drm 방법
KR101139727B1 (ko)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전송방법
KR20110092605A (ko) 전자도서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8911B1 (ko) 다이나믹 디지털 콘텐츠 권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2831A (ko) 팩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0967484B1 (ko) 공인 ip 주소를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방법
KR2008004581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작권 관리방법
KR1006574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100048723A (ko) 컨텐츠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0207340A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