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728B1 - 핑거포인팅키보드 - Google Patents

핑거포인팅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728B1
KR100752728B1 KR1020050105966A KR20050105966A KR100752728B1 KR 100752728 B1 KR100752728 B1 KR 100752728B1 KR 1020050105966 A KR1020050105966 A KR 1020050105966A KR 20050105966 A KR20050105966 A KR 20050105966A KR 100752728 B1 KR100752728 B1 KR 100752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
pointer
finge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906A (ko
Inventor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이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섭 filed Critical 이종섭
Priority to KR102005010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72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핑거 포인팅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키보드의 자판키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방향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키보드의 특정 자판키 및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곳을 선택하는 스페이스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핑거 포인팅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핑거 포인트 키보드는 자판위의 각 손가락 위치에 손가락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동하지 않은 채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포인팅을 하므로 짧은 시간에 포인팅과 키 입력을 번갈아 수행하는 편리한 효과와, 키보드의 'F'키와 'J'키를 그대로 활용하므로 별도의 터치패드, 마우스 거치 등의 공간이 필요가 없으며, 아주 간단한 로직으로 작동하므로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위치와 속도가 동시 활용되어 더욱 민첩한 동작 실현이 가능하고 손목 및 어깨 피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핑거 포인트, 자판키, 포인터, 마우스, 스페이스바

Description

핑거포인팅키보드{Finger pointing keyboar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키보드와 마우스가 컴퓨터 본체에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F'키와 'J'키를 확대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포인팅 키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F'자판키 110 : 포토트랜지스터
120 : 광엘이디(LED) 130 : 적외선
140 : X축 감지스크린 150 : Y축 감지스크린
200 : 'J'자판키 300 : 왼쪽 스페이스바
400 : 오른쪽 스페이스바
본 발명은 핑거 포인팅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입력장치인 키보드에 보다 편리하고 정밀한 포인팅 기능을 결합하여 키보드 자판에서 손을 떼지 않고 자판위치에서 손가락으로 키 입력과 동시에 포인터를 제어할 수 있는 핑거 포인팅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인터를 제어하는 장치로는 볼마우스, 광마우스, 트랙포인트,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이 있다.
볼마우스는 볼을 굴리는 방향을 두개의 바퀴에 전달하고 이 두바퀴의 도는 방향과 회전수를 광센서를 통해 인식하여 컴퓨터 모니터의 포인터로 전달하는 입력장치이고, 광마우스는 상기 볼 방식이 개선된 디바이스로 광이 반사된 면을 DSP로 분석하여 포인터에 반영하는 입력장치이다.
이러한 입력장치들은 계속적으로 마우스와 키보드를 번갈아 사용하는 작업에서 손을 이동하는 것이 불편하며 마우스 사용 후 모니터를 응시한 채 제 위치에 손가락을 가져가는 것이 불편하고 장기 마우스 이용 시 손목에 심한 피로가 발생한다. 노트북과 사용시 별도로 지참해야하므로 휴대성이 불편하고 조작을 위해서 키보드에서 손을 떼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랙포인트는 손가락의 압력을 감지하여 방향, 힘을 인식하고 포인터로 활용하는 입력장치로서, LGIBM 랩탑에서 채택하고 있는 디바이스이지만 익숙해지기 전까지 상당히 많은 훈련이 요구되며 민첩성에 많은 한계가 있고,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포인터에 무리한 힘을 주게되어 고장에 대한 노출이 높고, 조작 을 위해서 키보드에서 손을 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화면위에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판별하여 포인팅을 하는 입력장치로써, 현재로서 가장 편리한 입력장치로 인식되고 있기도 하지만 키보드와 포인터를 계속적으로 번갈아하는 작업에서는 모니터 키보드 사이로 계속 손이 오가므로 가장 불편한 장치이다.
또한, 터치패드는 패드 위에 손가락을 움직이고 그 열의 이동경로를 인식하여 포인터로 활용하는 입력장치이지만, 제작단가가 비싼 것이 가장 큰 흠이며 포인터를 민첩하게 움직일 수 없고, 노트북 등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정밀하게 콘트롤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판위의 각 손가락위치에 손가락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동하지 않은 채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포인팅을 하므로 짧은 시간에 포인팅과 키 입력을 번갈아 수행할 수 있는 핑거 포인팅 키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키보드의 자판키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방향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키보드의 특정 자판키 및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곳을 선택하는 스페이스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핑거 포인팅 키보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와 마우스가 컴퓨터 본체에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F'키와 'J'키를 확대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핑거 포인팅키 보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키보드의 특정 자판키(100, 200)와 스페이스바(300, 400)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문자키, 숫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 등으로 구성되어 사람과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고, 상기 키보드의 특정 자판키(100, 200)는 한 개의 문자키, 숫자키 등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자키 또는 숫자키와 스페이스바(300, 400)를 동시에 누른 후, 모니터에 도시된 포인터를 마우스 대신에 상기 문자키나 숫자키를 이용하여 상하좌우 이동시킬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특정 자판키는 문자키나 숫자키 중 'F'키(100)나 'J'키(200)를 이용하거나 'D'키와 'K'키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스바(300, 400)는 상기 문자키 또는 숫자키와 스페이스바를 동시 에 누른 후, 모니터에 도시된 포인터를 상기 문자키나 숫자키로 포인터를 상하좌우 이동 시킨 후 해당 영역이나 대상물(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을 선택할 때 사용되는데, 상기 스페이스바는 한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두개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스페이스바를 왼쪽 스페이스바(300)와 오른쪽 스페이스바(400)로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왼쪽 스페이스바(300)는 마우스의 좌측 클릭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고, 오른쪽 스페이스바(400)는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포인팅 키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특정 자판키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특정 자판키(100, 200)는 문자키나 숫자키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는 문자키 중 'F'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F'키는 포토트랜지스트(110), 광엘이디(120), X축 감지스크린(140) 및 Y축 감지스크린(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토트랜지스터(110)는 두개가 나란히 붙어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X축 감지스크린(140)과 Y축 감지스크린(150)의 스크린바의 간격과 틀리게 배치한 후 위상차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X축 감지스크린(140)은 다수개의 스크린바로 구성되어 상기 'F'키의 X 축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Y축 감지스크린(150)은 다수개의 스크린바로 구성되어 상기 'F'키의 Y축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엘이디(120)는 상기 'F'키의 X축과 Y축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X축 감지스크린(140)과 Y축 감지스크린(150)의 움직임을 상기 포토트랜지스터(110)에 의해 감지되고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터의 입력포트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핑거 포인팅 키보드의 동작원리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키보드의 특정키는 'F'키나 'J'키로 한정하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해서는 키보드의 모든 문자키나 숫자키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키보드로 다양한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던 중 포인터를 움직이려고 할 때는 'F'키와 스페이스바(왼쪽이나 오른쪽 중 택일)를 동시에 누르거나 'J'키와 스페이스바(왼쪽이나 오른쪽 중 택일)를 동시에 누르게 되면(이하 '핑거포인팅모드'라 함), 소프트웨어 드라이버는 이 동작을 'F'키나 'J'키로 포인터를 제어하려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F'키나 'J'키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컴퓨터 입력포트로 전달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트랜지스터(110)는 실제로 각각 두개가 나란히 붙어 있는 구조인데 X축 감지스크린과 Y축 감지스크린의 스크린바의 간격과 틀리게 하여 위상차이를 만들어서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감지스크린이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오른쪽에 위치한 센서가 먼저 ON되는 방식이다.
상기 'F'키나 'J'키가 X축으로 이동하면 상기 감지스크린(140, 150)이 'F'키나 'J'키를 따라 이동하며 이 감지스크린의 움직임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110)의 스위칭으로 반영되고 이 신호를 2진수로 전환하여 어느 방향으로 몇 개의 스크린바가 이동했는지를 감지하여 방향과 속도를 부여 해준다. 이 방식은 종래기술의 볼마우스와 상당히 유사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영점위치로부터 X축 좌측으로 'F'키나 'J'키를 아주 살짝 움직여서 X축 감지스크린의 스크린바 하나가 포토트랜지스터(110) 위를 가리게 했을 때 나란히 2개 붙어있는 포토트랜지스터(110) 중 하나가 먼저 오프(OFF)되어 직류 컨버터(AD CONVERTER)로 전달되고 곧이어 오프(OFF)되는 두번째 포토트랜지스터(110)의 신호가 직류 컨버터(AD CONVERTER)를 통해 출력 되었을 때 방향이 결정된다.
이는 메모리에 좌측 1방향을 저장하고 포인터는 좌측으로 소프트웨어가 지정한 1방향에 해당하는 속도(예, 1cm/0.1s)로 움직인다.
만약, 좀 더 'F'키나 'J'키를 움직여서 좌측으로 감지스크린(140, 150)의 스크린바 3개가 포토트랜지스터(110)에 감지되도록 하면 메모리는 1+1+1=3을 저장하고 좌측 3설정값(예, 3cm/0.1s)으로 포인터를 움직인다.
'F'키나 'J'키를 다시 원상복구 시키면 포토트랜지스터(110)의 위상차에 의해 역방향이 감지되고 감지스크린(140, 150)의 스크린바 개수만큼 메모리값을 빼게 된다. 예를 들어 좌측으로 3만큼 움직인 후 2만큼 원상복구(우측으로 움직이면) 시키면 1+1+1-1-1=1의 설정값(1cm/0.1s)로 좌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속도는 소프트웨어로 각 감지스크린(140, 150)의 스크린바 개수에 대해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더욱 민첩한 컨트롤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한 후 'F'키나 'J'키가 눌려져 있는 상태에서 왼쪽 스페이스바를 눌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의 대상물을 선택할 수 있고, 오른쪽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대상물에 대한 부메뉴가 도시되어 부메뉴에 따라 실행할 수 있다.
즉, 마우스의 왼쪽 클릭버튼과 오른쪽 클릭버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포인터의 속도를 폭 넓게 해줄 수가 있는데 이는 'F'키와 'J'키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F'키로 6단계 상하좌우 속도 컨트롤을 할 수 있다고 하면, 'J'키와 함께 두 키를 동시에 사용하게 되면 12단계 즉 2배의 속도 컨트롤이 가능해진다. 이는 포인터를 민첩하게 만들기 때문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핑거포인팅모드의 상태에서는 'F'키나 'J'키 이외의 모든 자판키가 기능(FUNCTION)키로 작동되므로 무수히 많은 기능(FUNCTION)을 지정해 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F'키나 'J'키를 누른 상태에서 'I'키를 누르면 인터넷 익스플로 러상의 전페이지, 'O'키를 누르면 후페이지, 'K'키를 누르면 창의 최대 확대가 되도록 기능을 지정해 줄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핑거 포인트 키보드는 자판위의 각 손가락 위치에 손가락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동하지 않은 채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포인팅을 하므로 짧은 시간에 포인팅과 키 입력을 번갈아 수행하는 편리한 효과가 있고,
다른 효과로는, 키보드의 'F'키와 'J'키나 또는 'D'키와 'K'키를 그대로 활용하므로 별도의 터치패드, 마우스 거치 등의 공간이 필요가 없으며, 아주 간단한 로직으로 작동하므로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위치와 속도가 동시 활용되어 더욱 민첩한 동작 실현이 가능하고 손목 및 어깨 피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키보드의 자판키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두개가 나란히 붙어 구성되며 X축과 Y축감지스크린의 스크린바의 간격과 틀리게 하여 위상차이를 만드는 포토트랜지스터와, 다수개의 스크린바로 구성되며 상기 자판키의 X축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X축 감지스크린과, 다수개의 스크린바로 구성되며 상기 자판키의 Y축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Y축 감지스크린과, 상기 자판키의 X축과 Y축 움직임이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에 의해 감지되어 변환된 신호를 컴퓨터 입력포트로 전송하는 광엘이디(LED)를 포함하여 상기 포인터의 방향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키보드의 특정 자판키; 및
    좌우 두개로 분리되어,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곳을 선택하여 마우스의 좌우 클릭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페이스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핑거 포인팅 키보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키는
    'D'키와 'K'키를 사용하여 포인터의 상하좌우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포인팅 키보드.
  4. 삭제
KR1020050105966A 2005-11-07 2005-11-07 핑거포인팅키보드 KR100752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66A KR100752728B1 (ko) 2005-11-07 2005-11-07 핑거포인팅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66A KR100752728B1 (ko) 2005-11-07 2005-11-07 핑거포인팅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906A KR20070048906A (ko) 2007-05-10
KR100752728B1 true KR100752728B1 (ko) 2007-08-28

Family

ID=3827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966A KR100752728B1 (ko) 2005-11-07 2005-11-07 핑거포인팅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686B1 (ko) 2011-11-29 2014-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082A (ja) 1999-09-17 2001-03-30 Hitachi Ltd ホームポジションキー・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一体型キーボード装置
JP2003058301A (ja) 2001-08-14 2003-02-28 Sharp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付きの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2003256130A (ja) 2002-03-04 2003-09-10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2005084972A (ja) 2003-09-09 2005-03-31 Alps Electric Co Ltd スティック式座標入力装置および携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ならびにキーボ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082A (ja) 1999-09-17 2001-03-30 Hitachi Ltd ホームポジションキー・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一体型キーボード装置
JP2003058301A (ja) 2001-08-14 2003-02-28 Sharp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付きの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2003256130A (ja) 2002-03-04 2003-09-10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2005084972A (ja) 2003-09-09 2005-03-31 Alps Electric Co Ltd スティック式座標入力装置および携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ならびにキーボー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686B1 (ko) 2011-11-29 2014-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906A (ko)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4566B2 (en) Pressure-sensitive keyboard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US72452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tactile control and tactile feedback into a human-machine interface
US53673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ursor movement
US8432301B2 (en) Gesture-enabled keyboard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816964B2 (en) Sensor-augmented, gesture-enabled keyboard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300482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ction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user's fingers
JPH0683512A (ja) コマンド及びデータ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JP2006340370A (ja) 指先装着センサによる入力装置
JP2008203911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
US20060164392A1 (en) Integrated mouse and the keyboard device
US6567073B1 (en) Ambidextrous computer mouse
JPH1124834A (ja) 入力装置
JPH10228350A (ja) 入力装置
EP139466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RU2275674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урсор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010033268A1 (en) Handheld ergonomic mouse
KR100752728B1 (ko) 핑거포인팅키보드
KR100509913B1 (ko) 다중 형식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997840B1 (ko) 손가락을 접촉하여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CN111273851A (zh) 一种触控键盘及其指令产生方法
CN212135402U (zh) 一种触控键盘
CN104063046A (zh) 输入装置及切换输入方式的方法
KR102274780B1 (ko) 발의 6축 움직임에 따른 입력장치
KR102489760B1 (ko) 가상마우스와 키보드를 복합한 다기능 입력장치 및 그 작동방법
WO2011034330A2 (ko)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