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724B1 -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724B1
KR100752724B1 KR1020060076678A KR20060076678A KR100752724B1 KR 100752724 B1 KR100752724 B1 KR 100752724B1 KR 1020060076678 A KR1020060076678 A KR 1020060076678A KR 20060076678 A KR20060076678 A KR 20060076678A KR 100752724 B1 KR100752724 B1 KR 100752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center
sides
rotating plat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준
Original Assignee
허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준 filed Critical 허승준
Priority to KR1020060076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체인을 당겨서 잡고 있으면 원단이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측으로 내려가 하강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원단의 승하강 속도를 감속시켜 안전하고 부드럽게 작업이 이루어지며, 스프링을 설치하지 않아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후방 면 중앙에 삽입공(11)을 가지며 내부 공간(12) 내주 면에 한쪽이 경사진 기어(13)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 공간(12)에 설치되며 내면 상,하측에 서로 대칭되게 받침턱(21)을 형성하고 받침턱(21) 양측으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판(22)을 가지며 외주면 상,하측에 걸림공(23)이 구비되고 전방 중앙에 결합홈(24)을 갖는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20)의 받침턱(21) 상면에 설치되며 상면 중앙에 턱(31)을 가지며 양쪽 하측에 절곡편(32)을 형성하고 양측 면에 스프링(35)이 설치되는 고정판(33)을 갖는 이송구(30)와; 상기 회전판(20)의 결합홈(24)에 결합하며 전방 면 중앙에 결합공(41)이 형성되고 몸체(10)의 전방 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40)와; 상기 몸체(10)의 삽입공(11)으로 삽입되어 회전판(20)에 체결하며 외주 면에 볼 체인(51)이 체결되는 볼 홈(52)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하면 중앙으로 단속 돌기(53)를 형성하고 단속 돌기(53) 양쪽으로 단속 편(54)을 갖는 단속구(55)가 구비된 회전구(50);로 구성한다.
회전판, 이송구, 회전구, 감속구

Description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Movement ascent device gear of roll screen}
도 1은 종래의 롤 스크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판과 이송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0: 몸체
11,62: 삽입공 12: 내부 공간
13: 기어 20: 회전판
21: 받침턱 22: 가이드판
23: 걸림공 24: 결합홈
30: 이송구 31: 턱
32: 절곡편 35: 스프링
40: 덮개 41: 결합공
50: 회전구 53: 단속 돌기
54: 단속 편 55: 단속구
60: 감속구 61: 회전체
63,66: 지지편 64: 회전 가이드판
65: 결합축 67: 회전축
본 발명은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 체인을 잡아당기고 있으며 원단이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고 볼 체인을 놓게 되면 정지하도록 구성하여, 원단의 승하강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며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 소음 발생이 거의 없어 실내 공간이 쾌적한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스크린은 사무실이나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커튼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브라켓의 한쪽에 설치된 스프로켓(sprocket)의 볼 체인을 일 방향으로 잡아당겨 스크린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관에서 풀리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창문 등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롤 스크린(10)은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브라켓(9)으로 회동부재(5)와 감속부재(8)를 설치하고 그 외면에 스크린이 감겨있는 권취관을 체결한다.
상기 회동부재(5)는 회동체(1)의 전방에 회동구(2)가 형성된 연결축(3)을 설치하고, 연결축(3)의 외면으로 스프링(4)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의 양쪽 끝은 회동체(1)와 회동구(2)의 한쪽 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회동구(2)는 스프링(4)의 탄성에 의해 연결축(3)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감속부재(8)는 어저스터를 갖는 회동체(1)의 전방으로 감속기(6)를 설치하고 그 전방에 감속너트(7a)를 갖는 고정축(7)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양쪽의 회동체(1) 외면으로 스크린이 감겨 있는 권취관을 체결하고, 브라켓(9)을 나사 등을 이용하여 창틀 및 유리벽 틀에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은 롤 스크린의 스크린를 하측으로 내려오게 하기 위해서는 볼 체인을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스크린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롤 스크린은 장시간 사용시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마모되어 오작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제품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린을 하측으로 내리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볼 체인을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겨야 하므로 사용상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판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몸체의 기어에 구속 및 해지되면서 원단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승하강 되도록 하며, 특히 볼 체인을 당겨서 잡고 있으면 원단이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측으로 내려가 하강 작업이 매우 용이한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 중 부호 100은 본 발명의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 공간(12) 내면 둘레에 기어(13)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기어(13)에 체결되어 회전 방향을 한쪽으로만 진행되도록 하는 이송구(30)가 체결되어 있는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20)에 체결되며 볼 체인(51)의 작동에 의해 이송구(30)를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회전판(20)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구(50)로 구성한다.
상기 몸체(10)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일정 공간(12)을 가지며 후방에 받침판(10a)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10a) 중앙에는 삽입공(11)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12) 내주면에는 한쪽으로 경사진 경사면(13a)을 갖는 기어(13)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판(20)은 원형으로 내면 상,하측에 서로 대칭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곡선 형태로 양쪽 끝이 절곡된 받침턱(21)을 형성하고 받침턱(21)의 양측으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판(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0)의 외주면 상,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장공 형태로 형성된 걸림공(23)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고 전방 면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된 결합홈(24)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판(20)은 몸체(10)의 내부 즉, 기어(13)가 형성된 내부 공간(1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한다.
상기 이송구(30)는 첨부된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스프링(35)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턱(31)을 구비하고 양쪽 끝 하측 면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쪽 측면에는 하측으로 고정 돌기(33a)가 형성된 고정판(33)을 형성하고, 고정 돌기(33a)로 스프링(35)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이송구(30)의 상측은 가이드판(22)의 하측 면에 밀착되게 결합하고 상면의 턱(31)은 회전판(20)의 걸림공(23)에 삽입한다.
또, 이송구(30)의 양쪽 절곡편(32)은 회전판(20)의 가이드판(22)의 내측에 체결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단속구(55)의 양측 단속편(54)의 하측 면에 맞닿은 상태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이송구(30)가 설치된 회전판(20)을 몸체(10)의 내부 공간(12)에 삽입한다. 이때 이송구(30)의 턱(31)이 몸체(10)의 기어(13)에 체결되고,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턱(31)의 오른쪽에는 직각 면이 왼쪽에는 경사면(13a)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덮개(4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전방 면 중앙에 결합공(41)을 가지며 피스를 이용하여 몸체(10)의 전방 면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덮개(40)의 결합공(41) 으로는 회전판(20)의 결합홈(24)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회전구(50)는 후방 면 중앙에 결합공(50a)을 가지며 외주면에 볼 체인(51)이 체결되는 볼 홈(52)이 형성되고 전방 면 중앙에는 상,하면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단속 돌기(53)를 형성하고 단속 돌기(53)의 양쪽으로 수평의 단속 편(54)을 갖는 단속구(55)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구(50)의 단속구(55)는 몸체(10)의 삽입공(11)으로 삽입되고 그 전방이 회전판(20)의 받침턱(21) 사이 공간에 설치한다. 또한, 단속구(55)의 단속 돌기(53)는 회전판(20)의 받침턱(21) 내측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면에 롤 스크린의 원단이 감겨있는 회전 롤러(80)의 한쪽 끝에 형성된 축(81)을 회전판(20)의 결합홈(24)에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50)의 결합공(50a)에는 공지의 브라켓(90)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회전구(50)의 볼 홈(52)에 체결되어 있는 볼 체인(51)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회전구(50)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구(50)의 단속구(55)가 설치된 회전판(20)도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판(20)의 가이드판(22)에 상,하로 설치된 이송구(30)의 턱(31)이 몸체(10)의 형성된 기어(13)의 경사면(13a)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또, 상기 회전판(20)의 결합홈(24)에 체결되어 있는 회전 롤러(80)도 회전하면서 원단(85)을 상측으로 감아 올리게 된다.
상기 회전판(20)은 몸체(10)의 기어(13)에 결합한 이송구(30)의 턱(31)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즉, 턱(31)은 기어(13)의 경사면(13a)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직각 면에는 고정 상태가 되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원단을 상측으로 감아 올린 후에 다시 하측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방법은 회전구(50) 볼 체인(51)을 다시 화살표 방향으로 세게 잡아당긴 상태를 유지하면, 회전구(50)의 단속구(55)가 회전하면서 이송구(30)의 절곡편(32)을 눌러 가이드판(22)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구(30)의 턱(31)이 회전판(20)의 걸림공(23) 까지 슬라이드 됨과 동시에 몸체(10)의 기어(13)에 결합하여 있는 상태가 해지되고, 원단의 하측 단에 설치된 하단바의 무게에 의해 원단이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잡고 있던 볼 체인(51)을 놓게 되면 하측으로 내려갔던 이송구(30)의 턱(31) 스프링(35)의 탄성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오면서 몸체(10)의 기어(13a)에 체결되어 정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판(20)도 정지하므로 회전 롤러(80)도 정지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원단이 상,하 슬라이드 될 때, 감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공간(12) 전방 내주면에 나사산(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0)의 전방 중앙에 외주면에 나사산(24a)을 갖는 결합홈(24)을 형성하고, 결합홈(24)으로 감속구(60)를 체결한다.
상기 감속구(60)는 후방 면에 4개의 결합 돌기(64a)를 형성하고 결합 돌 기(64a)로 외면에 나사산(61a)이 형성된 회전체(6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중앙 면에는 삽입공(62)을 가지며 전방 면에 양측이 내측 절곡되고 라운드 형태의 지지편(63)이 형성된 회전 가이드판(6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가이드판(64)의 삽입공(62)에 체결되며 전방과 후방 중앙에 삽입공(65c)을 갖는 결합축(65)을 가지며 후방에 양측이 내측으로 절곡된 반원형의 지지편(66)을 갖는 회전축(67)을 형성한다.
상기 전방 결합축(65a)은 회전 가이드판(64)의 삽입공(62)에 삽입되고, 후방 결합축(65b)은 전방보다 길게 형성되고 원단의 감겨 있는 회전 롤러(80)의 축(81)이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전방 면에는 후방 외면에 양측에 걸림턱(42a)을 갖는 스프링(42)이 체결되며 덮개(4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보면,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공간(12)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구(30)가 결합한 회전판(20)을 설치한다. 그리고 몸체(10)의 후방에서 회전구(50)를 삽입하여 단속구(55)가 회전판(2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이송구(30)의 턱(31)이 몸체(10)의 기어(13)에 구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판(20)의 결합홈(24)으로 4개의 회전체(61)가 서로 맞물리도록 나사 결합시켜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 가이드판(64)을 설치한다.
이때, 회전 가이드판(64)의 회전체(61) 외면은 몸체(10)의 내부 공간(12)에 형성된 나사산(14)에 체결된다.
상기 회전판(20)이 일 회전할 때, 회전체(61)는 여러 번 회전하면서 그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 가이드판(64)의 삽입공(62)에는 회전축(67)의 전방 결합축(65a)을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몸체(10)의 전방 면으로 스프링(42)이 체결되어 있는 덮개(40)를 설치한다. 이때 스프링(42)의 양측 걸림턱(42a)은 회전 가이드판(64)의 지지편(63)과 회전축(67)의 지지편(66)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67)의 후방 결합축(65b)으로 원단이 감겨 있는 회전 롤러의 축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먼저, 회전구(50)의 볼 홈(52)에 체결되어 있는 볼 체인(51)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회전구(50)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구(50)의 단속구(55)가 설치된 회전판(20)도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판(20)의 가이드판(22)에 상,하로 설치된 이송구(30)의 턱(31)이 몸체(10)의 형성된 기어(13)의 경사면(13a)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또, 상기 회전판(20)의 결합홈(24)과 서로 맞물려 있는 회전체(61)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 가이드판(64)과 회전축(67)이 회전하고 회전축(67)에 체결되어 있는 회전 롤러(80)도 회전하면서 원단(85)을 상측으로 감아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원단을 상측으로 감아 올린 후에 다시 하측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방법은 회전구(50) 볼 체인(51)을 다시 화살표 방향으로 세게 잡아당긴 상태를 유지하면, 회전구(50)의 단속구(55)가 회전하면서 이송구(30)의 절곡편(32)을 눌러 가이드판(22)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구(30)의 턱(31)이 회전판(20)의 걸림공(23) 까지 슬라이드 됨과 동시에 몸체(10)의 기어(13)에 결합하여 있는 상태가 해지되고, 원단의 하측 단에 설치된 하단바의 무게에 의해 원단이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0)의 결합홈(24)과 서로 맞물려 있는 감속구(60)의 회전체(61)가 빠르게 회전하면서 원단의 하강 속도를 감속시켜 원단이 부드럽게 내려가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판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몸체의 기어에 구속 및 해지되면서 원단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승하강 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볼 체인을 당겨서 잡고 있으면 원단이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측으로 내려가 하강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스프링을 설치하지 않아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 원단이 하측으로 내려갈 때 그 속도를 감속시켜 안전하고 부드럽게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후방 면 중앙에 삽입공을 가지며 내부 공간 내주 면에 한쪽이 경사진 기어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내면 상,하측에 서로 대칭되게 받침턱을 형성하고 받침턱 양측으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판을 가지며 외주면 상,하측에 걸림공이 구비되고 전방 중앙에 결합홈을 갖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받침턱 상면에 설치되며 상면 중앙에 턱을 가지며 양쪽 하측에 절곡편을 형성하고 양측 면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고정판을 갖는 이송구와;
    상기 회전판의 결합홈에 결합하며 전방 면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전방 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회전판에 체결하며 외주 면에 볼 체인이 체결되는 볼 홈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하면 중앙으로 단속 돌기를 형성하고 단속 돌기 양쪽으로 단속 편을 갖는 단속구가 구비된 회전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2. 후방 면 중앙에 삽입공을 가지며 내부 공간 후방 내주 면에 한쪽이 경사진 기어가 형성되고 전방 내주 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내면 상,하측에 서로 대칭되게 반원형의 받침턱을 형성하고 받침턱 양측으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판을 가지며 외주면 상,하측에 걸림홈이 구비되고 전방 중앙에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을 갖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받침턱에 설치되며 상면 중앙에 턱을 가지며 양쪽 하측에 절곡편을 형성하고 양측 면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고정판을 갖는 이송구와;
    상기 회전판의 결합홈에 설치되며 후방 면에 복수 개의 회전체가 설치되고 중앙 면에 삽입공을 가지며 전방으로 지지편이 형성된 회전 가이드판을 형성하고, 회전 가이드판의 삽입공으로 전후방에 결합축을 가지며 후방에 지지편을 갖는 회전축이 결합한 감속구와;
    상기 감속구의 회전축에 삽입되고 전방면 중앙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후방 외면에 양측에 걸림턱을 갖는 스프링이 체결되며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회전판에 결합하며 외주면에 볼 체인이 체결되는 볼 홈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하면 중앙으로 단속 돌기를 형성하고 단속 돌기 양쪽으로 단속 편을 갖는 단속구가 구비된 회전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KR1020060076678A 2006-08-14 2006-08-14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KR100752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678A KR100752724B1 (ko) 2006-08-14 2006-08-14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678A KR100752724B1 (ko) 2006-08-14 2006-08-14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871U Division KR200429776Y1 (ko) 2006-08-16 2006-08-16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724B1 true KR100752724B1 (ko) 2007-08-30

Family

ID=3861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678A KR100752724B1 (ko) 2006-08-14 2006-08-14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7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561Y1 (ko) * 1993-09-10 1997-05-13 박해성 커텐 권취기의 구동장치
KR200187439Y1 (ko) * 2000-02-02 2000-07-01 박상헌 차단막의 권취자동 조정장치
KR200281210Y1 (ko) * 2002-04-22 2002-07-13 김수호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KR200318026Y1 (ko) * 2003-04-04 2003-06-27 김수호 커튼의 처짐 방지를 위한 로만쉐이드 어저스터
KR20050093910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회전롤의 권회속도 제어용 감속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561Y1 (ko) * 1993-09-10 1997-05-13 박해성 커텐 권취기의 구동장치
KR200187439Y1 (ko) * 2000-02-02 2000-07-01 박상헌 차단막의 권취자동 조정장치
KR200281210Y1 (ko) * 2002-04-22 2002-07-13 김수호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KR200318026Y1 (ko) * 2003-04-04 2003-06-27 김수호 커튼의 처짐 방지를 위한 로만쉐이드 어저스터
KR20050093910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회전롤의 권회속도 제어용 감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640B1 (ko) 롤 스크린의 자동 승강 구동장치
KR100875633B1 (ko) 원 코드 블라인드
US20050178509A1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CN105525857B (zh) 窗帘控制器
TWI402414B (zh) Blinds device
KR200429776Y1 (ko)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KR100752724B1 (ko)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AU2012259845B2 (en) Operating apparatus for solar radiation shielding device
KR100815924B1 (ko) 한 줄로 승 하강이 가능한 롤 스크린 블라인드
KR100730339B1 (ko) 롤 스크린의 하중 조절장치
KR200449680Y1 (ko) 롤 스크린의 스크린 회동장치
EP2695550B1 (en) Solar radiation shield device and device for operating same
JP2008267115A (ja) ブラインド
JP4710043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5768905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2009062778A (ja) ブラインド用安全装置及びブラインド
JP5304769B2 (ja) ブラインド装置
WO2019136625A1 (zh) 一种电动窗帘杆
JP4609002B2 (ja) ブラインド装置
CN217354212U (zh) 自动降落或上升式卷帘
JP4710044B2 (ja) ブラインド装置
KR200358014Y1 (ko) Tv의 위치조절장치, 및 위치조절장치가 장착된 tv
CN213391921U (zh) 一种可调高度的电动窗帘卷帘管支架
JP2006063704A (ja) ブライン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