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515B1 - Table for office machine - Google Patents

Table for offic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515B1
KR100751515B1 KR1020060070600A KR20060070600A KR100751515B1 KR 100751515 B1 KR100751515 B1 KR 100751515B1 KR 1020060070600 A KR1020060070600 A KR 1020060070600A KR 20060070600 A KR20060070600 A KR 20060070600A KR 100751515 B1 KR100751515 B1 KR 10075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bolt
nu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호남
Original Assignee
김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남 filed Critical 김호남
Priority to KR102006007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5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5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1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made to cas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A table for an office machine is provided to be easily stored by being stacked, to avoid a large amount of physical distribution cost and to prevent the office machine from being moved or falling down. A main frame is formed by coupling a couple of upper and lower frames(30,34)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and a couple of side frames(40) by using plural bolts(55). Panel members are placed and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or on the upper surface of an inner side portion of the main frame by using bolts. On a position of the panel member where the bolts are coupled, support nuts are coupled to the bolts. A screw shaped protrusion portion and a groove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and an upper end of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nut.

Description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Table for office machine}Table for office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각 주요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A-A선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ing the state of coupling of th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과 패널부재의 결합 부위 구조를 보여주는 B-B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the pan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인 인출대와 세절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ullout and the shredder as the main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주요부인 후방브라켓의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bracket which is the main part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인 측방브라켓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bracket which is a main part of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인프레임과 캐스터 사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Figure 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mainframe and the cast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메인프레임 20. 패널부재10. Main frame 20. Panel member

30. 상부프레임 34. 하부프레임30. Upper frame 34. Lower frame

40. 측면프레임40. Side frame

본 발명은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적재 보관시 용이하면서도 물류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며, 테이블 내에 설치된 세절기를 인출하여 사용할 때 유동되거나 넘어지는 것 등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테이블의 몸체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과 기타 각 부분의 연결 부위의 강도가 견고하여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for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it is easy to store and prevents a large amount of logistics costs, and is used by preventing the flow or falling when using a drawer installed in the table. It is convenient, and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mainframe and other parts constituting the table body can improv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roduct, and als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사무기기용 테이블은 입방체 형상의 프레임의 상면에 복합기 및 주변기기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평의 패널부재가 구비되고, 프레임의 저면에는 네 개의 캐스터가 장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테이블의 프레임 하측에는 패널부재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인출대가 설치되어, 이 인출대의 상측에 세절기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a table for office equipment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panel member on which a multi-function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be-shaped frame, and four casters ar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frame to be movable. In addition, a drawer spaced apart from the panel member is provided below the frame of the table, and in many cases, a thinner is placed on the drawer and used.

그런데, 이러한 사무기기용 테이블은 프레임이 조립되면 분리할 수 없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적재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동시 손상되어 물류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table for office equipment is made of a form that cannot be separated when the frame is assembled, which takes up a lot of space during loading and storage and is inconvenient,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t of logistics costs due to damage during movement.

또한, 세절기는 프레임의 하측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인출대에 올려져 사용되는데, 사용한 폐지를 세절하기 위해 인출대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세절기가 유동되면서 인출대에서 이탈되거나 넘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시 매우 불편한 등의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hredder is mounted on a drawer that is slidably installed forward and backwar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drawer in order to trim the waste paper used, the shredder flows out of the drawer or falls over.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such as very uncomfortable in us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 보관시 용이하면서도 물류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며, 테이블의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테이블 내에 설치된 세절기와 같은 사무용품을 인출하여 사용할 때 사무용품이 유동되거나 넘어지는 것 등을 방지하여 사용시 편리하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load and storage, while preventing a lot of logistics costs, office supplies such as a washing machine installed in the main table to form the body of the table It is to provide a table for a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of a new configuration that is convenient to use by preventing the flow or falling of office supplies when used withdrawal.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을 구성하는 메인프레임과 기타 각 부분의 연결 부위의 강도가 견고하여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roduct becaus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frame and other parts constituting the table, and, in addition, for the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able.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방체 틀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에 구비되어 물품을 올려놓도록 된 패널부재(20)을 포함하여 구성된 통상의 사무기기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상하부 프레임(30,34)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40)이 고정수단에 의해 입방체 틀형상을 이루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테이블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such an object, a main frame 10 having a cubic frame shape and a panel member 2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to place an article thereon. In the table for office equipment, the main frame 10 is detachable so that a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s 30, 34 and a pair of side frames 40 made of a rectangular frame form a cube frame shape by the fixing means. Provided is a table for offic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mbined.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하부 프레임(30,34)과 측면프레임(40)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체결공(50,52)과, 상기 볼트체결공(50,52)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5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50 and 52 formed at por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the side frame 40 and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50 and 52.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lt (55).

상기 상하부 프레임(30,34)의 볼트체결공(50)과 측면프레임(40)의 볼트체결공(52)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볼트체결공(50,52)에는 인서트너트(57)가 더 설치되어, 상기 볼트(55)가 다른 하나의 볼트체결공(52,50)을 관통하여 상기 인서트너트(57)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sert nut 57 is further installed in any one of the bolt fastening holes 50 and 52 of the bolt fastening holes 50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the bolt fastening holes 52 of the side frame 40. In addition, the bolt 5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insert nut 57 through the other bolt fastening holes (52, 50).

상기 인서트너트(57)는 상기 상하부 프레임(30,34)의 볼트체결공(50) 또는 측면프레임(40)의 볼트체결공(52) 내외벽에 걸려지는 한 쌍의 고정턱(57a)에 의해 상기 볼트체결공(50,5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ert nut 57 is connect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50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or a pair of fixing jaws 57a that are fastened to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bolt fastening hole 52 of the side frame 40.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bolt fastening holes (50, 52).

상기 메인프레임(10)을 구성하는 상기 하부프레임(34)과 양측 측면프레임(40) 사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인출대(60)가 장착되고, 상기 인출대(60)의 상면에는 세절기와 같은 사무기기(1)가 얹혀지는 수평지지판(62)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판(62)의 전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전면판(67)이 설치되되 상기 전면판(67)의 상단부는 상기 수평지지판(62)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사무기기(1)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걸림턱(67a)(64a)을 형성하며, 상기 사무기기(1)의 후방은 상기 수평지지판(62)에 설치된 후방브라켓(7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etween the lower frame 34 constituting the main frame 10 and the side frame 40 on both sides is equipped with a pull-out table 60 which is drawn out in front of the main frame 10, the pull-out table 60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is provided with an office equipment (1), such as a cutting machine is provided, the front plate 67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is installed the front plate (67)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upwards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forms a front locking jaw (67a) (64a)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office equipment 1, the rear of the office equipment (1)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rear bracket 70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상기 후방브라켓(70)은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2)와, 상기 고정부재(72)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수평지지판(62)에 얹혀진 사무기기(1)의 후면에 접촉되는 수직지지편(75)을 갖는 슬라이드부재(74)와, 상기 고정부재(72) 또는 슬라이드부재(74)에 관통 형성된 가압볼트 승강공(72a)과, 상기 고정부재(72) 또는 슬라이드부재(74)의 가압볼트 승강공(72a)과 마주하는 슬라이드부재(74) 또는 고정부재(72)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공(74a)과, 상기 가압볼트 승강공(72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공(74a)에 관통되도록 결합된 가압볼트(7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bracket 70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72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er 60, and slidably coupled forward and backward to the fixing member 72 and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at the front end. Slide member 74 having a vertical support piece 75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office equipment (1) mounted on the) and the pressure bolt lifting hole 72a formed through the fixing member 72 or the slide member 74 And a slide hole 74a formed in the slide member 74 or the fixing member 72 facing the pressure bolt lifting hole 72a of the fixing member 72 or the slide member 74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bolt 76 is coupled to be elevated to the pressure bolt lifting hole (72a)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lide hole (74a).

상기 가압볼트(76)는 상기 가압볼트 승강공(72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공(74a)에 관통되도록 결합된 나사축(76a)과, 상기 나사축(76a)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74) 또는 고정부재(72)의 상면에 가압접촉되어 상기 고정부재(72)와 슬라이드부재(74)가 서로 가압 밀착되어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가압헤드(76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sure bolt 76 is provided to the upper end of the screw shaft (76a) and the screw shaft (76a) is coupled to the pressure bolt lifting hole (72a) to be able to ascend and at the same time penetrates the slide hole (74a) And a pressure head 76b having a lower end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member 74 or the fixing member 72 such that the fixing member 72 and the slide member 74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and fixed in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상기 고정부재(72)는 중앙의 채널부(73a) 양측단에 직각 방향으로 볼트결합부(73b)가 형성된 단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결합부(73b)에는 구멍(73c)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결합부(73b)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측에서 전후방으로 인출되는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 상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 재(72)의 볼트결합부(73b)에 형성된 구멍(73c)과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72)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member 72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bolt coupling portions 73b are formed at right angles at both ends of the channel portion 73a in the center, and holes 73c are formed in the bolt coupling portions 73b. The bolt coupling portion 73b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pull-out table 60 that is pulled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frame 10, the bolt coupling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72 The fixing member 72 is configured to be fixed by a bolt B fastened through the hole 73c and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formed in the 73b.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은 엠디에프로 제작되어 상기 고정부재(72)의 볼트결합부(73b)의 구멍(73c)에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지지너트(63)가 매입되고, 상기 지지너트(63)의 외주연에는 나선형 돌기부(6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너트(63)의 내주연 상단에는 랜치홈(65)이 형성되어, 상기 랜치홈(65)에 랜치를 결합하여 상기 지지너트(63)를 회전시켜 상기 나선형 돌기부(64)가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나사 결합식으로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is manufactured by MDP, and a separate support nut 63 is embed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73c of the bolt coupling portion 73b of the fixing member 72.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nut 63 is formed with a spiral projection 64, the upper end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support nut 63 is formed with a trench groove 65, the ranch in the ranch groove 6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lical protrusion 64 is screwed in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60 by rotating the support nut 63 by coupling.

상기 메인프레임(10)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프레임(34)과 양측 측면프레임(40) 사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인출대(60)가 장착되고, 상기 인출대(60)의 상면에는 세절기와 같은 사무기기(1) 저면의 캐스터(C)가 접촉되어 얹혀지는 수평지지판(62)이 구비되고, 상기 사무기기(1) 저면의 캐스터(C)는 한 쌍의 측방브라켓(80)에 의해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고정되며, 상기 측방브라켓(80)은 중간연결부(82)의 상하단에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하여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상하측 지지부(83,84)를 갖는 단면 형태로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상측지지부(83)에는 상기 사무기기(1)의 캐스터(C)의 축부재(S)에 끼워지는 끼움홈(83a)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지지부(84)에는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구멍(8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etween the lower frame 34 constituting the main frame 10 and the side frame 40 on both sides is equipped with a pull-out table 60 which is drawn out in front of the main frame 10, the pull-out table 6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ffice equipment (1), such as a cutt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support plate 62 is placed on contact with the caster (C) bottom, caster (C) of the bottom of the office equipment (1) is a pair of side brackets It is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er 60 by the 80, the side brackets 80 ar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82 in the opposite direction, respectively ( The upper support portion 83 has a fitting groove 83a which is fitted to the shaft member S of the caster C of the office equipment 1 and has the lower support portion. In the 84, a hole 84a through which the bolt B to be fasten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is formed. The features.

상기 측방브라켓(80)의 상측지지부(83)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83a)은 상기 사무기기(1)의 캐스터(C) 갯수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두 개의 끼움홈(83a)이 전후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끼움홈(83a)의 전단과 후방끼움홈(83a)의 후단에는 상기 측방브라켓(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충분한 너비의 걸림지지부(83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tting groove 83a formed on the upper support part 83 of the side bracket 80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two fitting grooves 83a are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asters C of the office equipment 1.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fitting groove (83a) and the rear end of the rear fitting groove (83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support portion 83b of a sufficient width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bracket (80).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은 엠디에프로 제작되어 상기 측방브라켓(80)의 하측지지부(84)의 구멍(84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지지너트(63)가 매입되고, 상기 지지너트(63)의 외주연에는 나선형 돌기부(64)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너트(63)의 내주연 상단에는 랜치홈(65)이 형성되어, 상기 랜치홈(65)에 랜치를 결합하여 상기 지지너트(63)를 회전시켜 상기 나선형 돌기부(64)가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나사 결합식으로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take-out stand 60 is manufactured by MD, and a separate support nut 63 is embed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84a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84 of the side bracket 80.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nut 63 is provided with a helical protrusion 64, and a ranch groove 65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support nut 63 to couple the ranch to the ranch groove 65. By rotating the support nut 6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ral protrusion 64 is screwed in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6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방 상측에는 직립 방향으로 보조프레임(38)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38)은 단면 사각형 파이프를 사각틀 형상으로 접합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프레임(38)과 메인프레임(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55)에 의해 상기 보조프레임(38)이 메인프레임(10)의 후방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frame 38 is detachably installed in an upright direction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10, and the auxiliary frame 38 has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rectangular pipe is join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the auxiliary frame ( 38 and the auxiliary frame 38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10 by the bolt 55 fastened through the main frame 10.

상기 보조프레임(38)과 메인프레임(1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서로 연통되는 볼트체결공(39,52)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볼트체결공(52)에는 인서트너트(57)(도 3에 도시됨)가 더 설치되어, 상기 보조프레임(38)의 볼트체결공(39)을 관통하여 상기 인서트너트(57)에 볼트(55)가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olting holes 39 and 52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formed at portions of the auxiliary frame 38 and the main frame 10 that face each other, and an insert nut is formed at the bolting holes 52 of the main frame 10. 57 (shown in FIG. 3) is further installed, and the bolt 55 is fastened to the insert nut 57 by passing through the bolt fastening hole 39 of the auxiliary frame 38.

상기 인서트너트(57)는 상기 볼트체결공(52)의 내외벽에 걸려지는 한 쌍의 고정턱(57a)에 의해 상기 볼트체결공(52)에 인서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ert nut 57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is fix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52 by a pair of fixing jaw (57a) that is caught on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bolt fastening hole (52).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일측에는 스테플러 브라켓(90)에 의해 별도의 스테플러(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main fram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stapler 3 is mounted by a stapler bracket 90.

상기 스테플러 브라켓(90)은 니은자 형상의 중간연결부(92) 하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볼트결합부(93)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연결부(92) 상단부에 스테플러(3)의 저면에 볼트(B)로 고정되는 수평 방향의 스테플러 지지편(95)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pler bracket 90 is provided with a bolt coupling portion 93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92 having a needle-shaped shape, and a bolt (B) at the bottom of the stapler 3 at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92.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hape having a stapler support piece 9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fixed.

상기 메인프레임(10)를 구성하는 상기 상하부 프레임(30,34)과 양측방 측면프레임(40)은 동일한 두께의 각 파이프를 상호 접합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the both side frame 40 constituting the main frame 10 a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joining each pipe of the same thicknes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각 주요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과 패널부재의 결합 부위 구조를 보여주는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인 인출대와 세절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인 후방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인 측방브라켓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인프레임과 캐스터 사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블 몸체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10)이 사각틀 형상의 한 쌍의 상하부 프레임(30,34)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40)이 고정수단에 의해 입방체 형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ing each of th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upling portion of the mainframe and the pan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BB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ullout and the shredder as the main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bracket is the main part of Figure 5, Figure 7 is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bracket which is a main part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main fram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casters.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frame 10 constituting the table body is a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s 30, 34 and a pair of side frames 40 of the rectangular frame shape detachable in a cube shape by the fixing means. Possibly combined and configured.

상기 상하부 프레임(30,34)은 사각파이프를 정사각틀 형태로 접합하여 구성되고, 양측 측면프레임(40)은 사각파이프를 직사각 형태로 접합하여 구성되어, 입방체 형태의 메인프레임(10)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하부 프레임(30,34)과 좌우 양측 측면프레임(40)은 볼트(55)에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re formed by joining square pipes in a square frame shape, and both side frame 40 are formed by joining square pipes in a rectangular shape to form a main frame 10 having a cube shape. do.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the left and right both side frames 4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bolt 55.

부호 20은 측면프레임(30)의 상면에 볼트(B)로 고정된 패널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이나 메인프레임(10)의 내측부 상면에는 패널부재(20)가 얹혀져 설치되고, 패널부재(20)는 메인프레임(10)의 상면과 반대되는 면이나 메인프레임(10)의 내측부 상면과 반대되는 면에서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해 메인프레임(10)의 상면 또는 메인프레임(10)의 내측부 상면에 고정된다.Reference numeral 20 shows a panel member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rame 30 with a bolt (B), the panel member 2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or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It is installed, the panel member 20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by a bolt (B) fastened at the surface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or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0 or I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10.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을 구성하는 측면프레임(30)의 상면에는 패널부재(20)가 얹혀지고, 패널부재(20)는 측면프레임(30)의 상면의 반대편에서 측면프레임(30)을 관통하는 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panel member 2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rame 30 constituting the main frame 10, and the panel member 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rame 30. On the opposite side is fixed by a bolt (B) passing through the side frame (30).

이때, 상기 패널부재(20)는 볼트(B)가 체결되는 위치에 별도의 지지너트(63)가 매입되어 지지너트(63)에 볼트(B)가 체결되기 때문에, 패널부재(20)에 볼트(B)를 풀었다가 다시 체결하는 작업을 여러 번 수행하더라도 패널부재(20)의 볼트(B) 체결 부위가 파손되어 체결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패널부재(20)와 메인프레임(10) 사이의 볼트(B) 결합 부위의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panel member 20 is bolted to the panel member 20 because a separate support nut 63 is embed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bolt (B) is fastened and the bolt (B) is fastened to the support nut (63). Even if the (B) is loosened and then re-fastened several times, the fastening force of the bolt (B) of the panel member 20 is damaged and the fastening force is prevented, and thus, the panel member 20 and the main frame ( 1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ength of the bolt (B) coupling site between.

또한, 상기 지지너트(63)는 외주연과 내주연 상단부에 나선형 돌기부(64)와 랜지홈(65)이 각각 형성되어, 랜치홈(65)에 도시 안된 랜치를 결합하여 지지너트(63)를 회전시켜 나선형 돌기부(64)가 패널부재(20)의 저면에 나사 결합식으로 매입되므로, 지지너트(63)의 결합 공정도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nut 63 is formed with spiral projections 64 and a ranch groove 65 at upper and outer circumferential edges, respectively, to couple the support nut 63 to the ranch not shown in the trench groove 65. Since the spiral protrusion 64 is screw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nel member 20 by rotating, the joining process of the support nut 63 also becomes easier.

도 4는 본 발명의 각 주요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A-A선 단면도로서, 고정수단을 보여준다. 상기 고정수단은 메인프레임(10)의 상하부 프레임(30,34)과 측면프레임(40)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체결공(50,52)과, 이 볼트체결공(50,52)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55)로 구성된다. 즉, 상부프레임(30)의 내측면과 하부프레임(34)의 내측면에는 볼트체결공(50)이 형성되고, 측면프레임(40)에는 상하부 프레임(30,34)의 볼트체결공(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체결공(52)이 관통 형성된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each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fixing means. The fix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50, 52)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34 and the side frame 40 of the main frame 10, the bolt fastening holes (50, 52)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lts 55 fastened to. That is, bolt fastening holes 5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34, and the bolt fastening holes 50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re formed on the side frame 40.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fastening hole 52 is formed.

이때, 좌우 측면프레임(40)의 볼트체결공(52)은 사각파이프의 내측벽에만 관통 형성되는데, 측면프레임(40)의 볼트체결공(52)에 인서트너트(57)가 더 설치되어, 상하부 프레임(30,34)의 볼트체결공(50)을 관통하는 볼트(55)가 측면프레임(57)의 볼트체결공(52)에 인서트된 인서트너트(57)에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bolt fastening hole 52 of the left and right side frame 40 is formed through only the inner wall of the square pipe, the insert nut 57 is further installed in the bolt fastening hole 52 of the side frame 40, the upper and lower parts Bolts 55 passing through the bolt fastening holes 50 of the frames 30 and 34 are fastened to the insert nut 57 inserted into the bolt fastening holes 52 of the side frame 57.

따라서, 메인프레임(10)을 구성하는 상하부 프레임(30,34)과 양측 측면프레임(40)의 볼트(55) 체결부분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즉, 상하부 프레임(30,34)과 측면프레임(40)에 볼트체결공(50,52)만 형성하여 볼트(55)를 체결하면, 볼 트(55) 체결 부분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볼트(55)가 쉽게 풀어지고 지지력이 약해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측면프레임(40)의 볼트체결공(52)에 별도로 매입된 인서트너트(57)에 볼트(55)가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볼트(55) 체결 부분의 두께를 넓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하부 프레임(30,34)과 측면프레임(40)의 볼트(55) 체결부분이 쉽게 풀어지지 않으면서도 지지 강도를 보다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strength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bolts 55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both side frames 40 constituting the main frame 10 may be improved. That is, when the bolts 55 are fastened by only forming the bolt fastening holes 50 and 52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the side frame 40, the bolt 55 has a small thickness, so that the bolts ( 55 is easily released and the supporting force is weaken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55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insert nut 57 separately inserted into the bolt fastening hole 52 of the side frame 40 to fasten the bolt 55. The thickness of the part can be widened, and thus, the bolt 55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the side frame 40 is not easily released, thereby increasing the supporting strength.

이때, 인서트너트(57)는 측면프레임(40)의 볼트체결공(52) 내외벽에 걸려지는 한 쌍의 고정턱(57a)에 의해 볼트체결공(52)에 고정된다. 즉, 일단부에 고정턱(57a)이 있는 인서트너트(57)를 볼트체결공(50)에 먼저 삽입한 상태에서 공기압 인장기계(미도시)에 의해 인서트너트(57)를 전방으로 당기면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쪽의 고정턱(57a)이 형성되면서 인서트너트(57)가 한 쌍의 고정턱(57a)에 의해 볼트체결공(52)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공기압 인장기계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insert nut 57 is fix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52 by a pair of fixing jaws (57a) that is fastened to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bolt fastening hole (52) of the side frame (40). That is, when the insert nut 57 with the fixing jaw 57a at one end is first inserted into the bolt fastening hole 50, the insert nut 57 is pulled forward by a pneumatic tensioning machine (not shown). While the inner fixing jaw 57a is formed as shown, the insert nut 57 is fix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52 by a pair of fixing jaws 57a. At this time, since the pneumatic tensioning machine is a commonly used devic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나 보관 또는 운반시에는 볼트(55)를 풀어서 각 상하부 프레임(30,34)과 양측 측면프레임(40)을 분리하여 콤팩트한 사이즈로 분해할 수 있는 한편, 사무실 등의 사용 개소에서는 볼트(55)에 의해 각 상하부 프레임(30,34)과 양측 측면프레임(40)을 조립하여 입방체 틀형상의 메인프레임(10)를 형성하고, 메인프레임(10)의 상면에 패널부재(20)을 조립하여 사용하면 된다. 아울러, 메인프레임(10)의 후방에는 필요에 따라 사각틀 형상의 보조프레임(38)을 볼트(55)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이 보조프레임(38)에 거울, 홍보 판넬, 보드판 등을 선택적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loading, storing or transpor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the side frames 40 can be separated and disassembled in a compact size by releasing the bolts 55. At the point of use,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both side frames 40 are assembled by bolts 55 to form a main frame 10 having a cube frame sha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is formed. The panel member 20 may be assembled and used. In addition, the rear frame of the main frame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ctangular frame-shaped auxiliary frame 38 by the bolts 55, if necessary, a mirror, a promotional panel, a board board, etc. are selectively selected to the auxiliary frame 38. You can also configure it for installation.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34)과 양측 측면프레임(40) 사이에는 메인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인출대(60)가 장착된다. 인출대(60)의 상면에는 세절기(1)와 같은 사무기기가 얹혀지는 수평지지판(62)이 구비되고, 수평지지판(62)의 전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전면판(67)이 설치된다. 이때, 전면판(67)의 상단부는 수평지지판(62)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세절기(1)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걸림턱(67a)을 형성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between the lower frame 34 and the both side frame 40 constituting the main frame 10 is equipped with a pull-out table 60 is drawn out in front of the main frame 10 do.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60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n which office equipment such as a cutting machine 1 is placed, and the front plate 67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At this tim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ront plate 67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to form a front catching jaw 67a supporting the front of the cutter 1.

또한, 세절기(1)의 후방은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설치된 후방브라켓(70)에 의해 지지된다. 후방브라켓(70)은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2)와, 이 고정부재(72)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세절기(1)의 후면에 접촉되는 수직지지편(75)을 갖는 슬라이드부재(74)와, 고정부재(72)에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가압볼트 승강공(72a)과, 슬라이드부재(74)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되 슬라이드부재(74)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연장된 슬라이드공(74a)과, 슬라이드부재(74)의 슬라이드공(74a)을 관통함과 동시에 고정부재(72)의 가압볼트 승강공(72a)에 승강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가압볼트(76)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ar of the cutting machine 1 is supported by a rear bracket 70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er 60. The rear bracket 70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72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take-out table 60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 the fixing member 72,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ar bracket 7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cutter 1. The slide member 74 having the vertical support piece 75 in contact, the pressure bolt lifting hole 72a penetrat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by the fixing member 72, and penet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member 74 to the bottom surface. A pressurizing bolt lifting hole 72a of the fixing member 72 passes through the slide hole 74a extending in the form of a lo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member 74 and the slide hole 74a of the slide member 74. Consists of a pressure bolt (76) that is screwed up and down.

이때, 가압볼트(76)는 고정부재(72)의 가압볼트 승강공(72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공(74a)에 관통되도록 결합된 나사축(76a)과, 상기 나사축(76a)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부재(74)의 상면에 배치된 가압헤드(7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pressure bolt 76 is coupled to the pressure bolt lifting hole 72a of the fixing member 72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the screw shaft 76a coupled to penetrate the slide hole 74a, and the screw shaft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ing head (76b)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76a)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member (74).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절기(1)의 전방을 인출대(60) 전방의 전면판(67)에 의해 형성된 전방걸림턱(67a)에 맞닿도록 한 다음 후방브라켓(70)의 슬라이프부재(74) 선단부의 수직지지편(75)을 세절기(1)의 후방에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가압볼트(76)를 조여주면, 가압볼트(76)의 가압헤드(76b)의 하단부가 슬라이드부재(74)와 고정부재(72)를 서로 가압밀착시켜 위치고정하기 때문에, 세절기(1)의 후방은 후방브라켓(70)의 슬라이드부재(74) 전단의 수직지지편(75)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세절기(1)의 전방은 인출대(60)의 전면판(67)에 의해 형성된 전방걸림턱(67a)에 의해 지지되므로, 세절기(1)가 인출대(60) 상면의 수평지지판(62)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front of the cutter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catching jaw 67a formed by the front plate 67 in front of the takeout stand 60 and then the rear bracket 70 of the rear bracket 70. When the pressure bolt 76 is tightened while the vertical support piece 75 of the tip of the slide member 7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cutter 1,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head 76b of the pressure bolt 76 is tightened. Since the slide member 74 and the fixing member 72 are fixed to each other by fixing the position, the rear of the cutter 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piece 75 of the front end of the slide member 74 of the rear bracket 70. While the front of the cutter 1 is supported by the front catching jaw 67a formed by the front plate 67 of the leader 60, the cutter 1 is the upper surface of the leader 60. It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이처럼 세절기(1)가 인출대(60)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되기 때문에, 폐지를 세절하기 위해 인출대(60)와 세절기(1)를 함께 인출시킬 때 세절기(1)가 유동되거나 넘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매우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Since the cutting machine 1 is firm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keout stand 60, the cutting machine 1 flows when the takeout stand 60 and the cutting machine 1 are pulled out together to cut the waste paper. Because it does not fall, it provides a very convenient effect.

아울러, 세절기(1)의 전후방 너비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후방브라켓(70)의 슬라이드부재(74)를 고정부재(72)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진시켜 위치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세절기(1)의 규격에 따라 후방브라켓(70)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cutting machine (1) is different, since the slide member 74 of the rear bracket 70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72, the cutting machine (1)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of the rear bracket 70 can also be used interchangeably.

한편,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세절기(1) 이외에 사무용 소모품이나 휴지통과 같은 다른 물품을 올려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후방브라켓(70)이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서 쉽게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필요에 따라 후방브라켓(70)을 치우고 수평지지판(62) 위에 부피가 큰 사무용 소모품이나 주변기기 등을 간편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other items such as office consumables or waste bins may be us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take-out stand 60 in addition to the cutter 1. At this time, since the rear bracket 7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pullout 60, the rear bracket 70 is removed as necessary, and a bulky office consumable or peripheral device is plac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You can easily put and use.

또한, 상기 후방브라켓(70)을 구성하는 고정부재(72)는 중앙의 채널부(73a) 양측단에 직각 방향으로 볼트결합부(73b)가 형성된 단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결합부(73b)에는 볼트(B)가 관통되는 구멍(73c)이 형성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72 constituting the rear bracket 70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a bolt engaging portion 73b is formed at right angles to both end portions of a central channel portion 73a, and the bolt engaging portion 73b. ) Is formed by forming a hole 73c through which the bolt B penetrates.

따라서, 고정부재(72)의 볼트결합부(73b)가 메인프레임(10)의 하측에 전후방으로 인출되는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부재(72)의 볼트결합부(73b)의 구멍(73c)과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해 고정부재(72)가 고정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고정부재(72)는 중간의 채널부(73a)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는 효과와 더불어 채널부(73a) 양측단의 볼트결합부(73b)가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밀착되도록 고정되어 결합 구조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bolt engaging portion 73b of the fixing member 72 of the fixing member 7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take-out table 60 which is pulled forward and backwar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frame 10. The fixing member 72 may be fixed by the bolt B fastened through the hole 73c of the bolt coupling part 73b and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As a result, the fixing member 72 has the effect that the strength is reinforced by the channel portion 73a in the middle, and the bolt coupling portions 73b at both ends of the channel portion 73a are horizontal support plates 62 of the leader 60. It is fix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verall strength of the bonding structure.

또한,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은 엠디에프로 제작되어 후방브라켓(70)의 고정부재(72)의 볼트결합부(73b) 구멍(73c)에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지지너트(63)(도 6에 도시됨)가 매입되고, 지지너트(63)의 외주연에는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매입시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부(64)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pullout 60 is manufactured by MD to support separate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coupling portion 73b hole 73c of the fixing member 72 of the rear bracket 70. A nut 63 (shown in FIG. 6) is embedded, and a protrusion 64 is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nut 63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nut 63 from being embed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이때, 상기 지지너트(63) 외주연의 돌기부(64)는 나선형으로 구성되고, 지지너트(63)의 내주연 상단에는 랜치홈(65)이 형성되어, 지지너트(63)의 랜치홈(65)에 미도시한 랜치를 결합하여 지지너트(63)를 회전시키면 나선형 돌기부(64)가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나사 결합식으로 매입되기 때문에, 지지너트(63) 매입 작업이 보다 원활하고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64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nut 63 is formed in a helical shape, and a ranch groove 65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support nut 63 to form a ranch groove 65 of the support nut 63. ) And the support nut 63 is rotated when the support nut 63 is rotated, and the support nut 63 is embed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pullout 60. This has a smoother and easier effect.

또한, 볼트(B)가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매입된 지지너트(63)에 체 결되기 때문에, 후방브라켓(70)과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 사이의 결합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lt B is fastened to the support nut 63 embed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between the rear bracket 70 and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다시 말해,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과 다른 부분이 통상 MDF로 제작되는데, 볼트(55)를 MDF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반복적으로 체결하다 보면, 볼트(55)가 체결되었던 자리가 손상되기 때문에, 후방브라켓(70)을 떼었다 붙이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후방브라켓(70)을 제대로 인출대(6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금속재 지지너트(63)가 별도로 매입되기 때문에, 반복적인 볼트(B) 체결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상기화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a portion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take-out table 60 is usually made of MDF. When the bolt 55 is repeatedly fasten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MDF lead-out table 60, the bolt ( Since the seat 55 is damaged, if the rear bracket 70 is detached and attached repeatedly, the rear bracket 70 cannot be stably fixed to the lead 60,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tal support nut 63 is separately embed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er 60, an undesirable phenomenon such as the above may be prevented even when the bolt B is repeatedly engaged.

한편, 패널부재(20)도 메인프레임(10)을 구성하는 상부프레임(30)에 볼트(B)로 체결되어 고정되는데, 패널부재(20)의 저면에도 상부프레임(30)의 볼트공(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너트(63)가 매입되어 상부프레임(30)의 볼트공을 관통하는 볼트(B)가 지지너트(63)에 매입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패널부재(20)과 상부프레임(30)의 볼트 결합구조는 상기한 후방브라켓(70)과 인출대(60)의 볼트(B) 결합구조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효과의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anel member 20 is also fastened to the upper frame 30 constituting the main frame 10 by a bolt (B) is fixed, the bolt hole of the upper frame 30 (not show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nel member 20 The support nut 63 is embed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so that the bolt B penetrating the bolt hole of the upper frame 30 is embedded in the support nut 63. Since the bolt coupling structure of the panel member 20 and the upper frame 30 is similar to the bolt (B) coupling structure of the rear bracket 70 and the leader 60, the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effect thereof is omitted. Let's do it.

이러한 볼트(B)와 지지너트(63)의 나사 결합 상태는 도 4와 본 발명의 후술할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7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한 후방프레임(70)과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 사이의 볼트(B) 결합부위의 구성과 패널부재(20)과 상부프레임(30) 사이의 볼트(B) 결합부위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 유사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The screw engagement state of the bolt (B) and the support nut 63 is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in Figure 4 and Figure 7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bolt (B)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rear frame 70 and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er 60 and the bolt (B) coupling between the panel member 20 and the upper frame 30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site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 6.

한편, 도 7은 본 발명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인 측방브라켓(80)의 사시도로서,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메인프레임(10)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34)과 양측 측면프레임(40) 사이에는 메인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인출대(60)가 장착되고, 인출대(60)의 상면에는 세절기(1) 저면의 캐스터(C)가 접촉되어 얹혀지는 수평지지판(62)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bracket 80, which is the main part of Figure 7, 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frame 10 Between the lower frame 34 and both side frame 40 constituting the pulley 60 is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main frame 10 is mounted,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60, the bottom of the cutter (1)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is provided with the caster (C) of the contact.

또한, 상기 세절기(1) 저면의 캐스터(C)는 한 쌍의 측방브라켓(80)에 의해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고정된다. 즉, 측방브라켓(80)은 중간연결부(82)의 상하단에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하여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상하측 지지부(83,84)를 갖는 단면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측방브라켓(80)의 상측지지부(83)에는 세절기 캐스터(C)를 지지하는 축부재(S)에 끼워지는 끼움홈(8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브라켓(80)의 하측지지부(84)에는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구멍(84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aster (C) of the bottom of the cutter 1 is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er 60 by a pair of side brackets 80. That is, the side brackets 80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ross section having upper and lower support parts 83 and 84 bent in a right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8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portion 83 of the side bracket 80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83a) to be fitted to the shaft member (S) for supporting the cutter machine (C). In addi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84 of the side bracket 80 has a hole 84a through which the bolt B to be fasten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is formed.

따라서, 도 7과 도 8에 의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측방브라켓(80)을 준비하여 측방브라켓(80)의 상측지지부(83)에 형성된 끼움홈(83a)을 캐스터(C)의 축부재(S)에 끼운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C)의 축부재(S)에 측방브라켓(80)의 상측지지부(83)에 형성된 끼움홈(83a)이 끼워져서 축부재(S) 외주연의 환형돌출턱(P)에 상측지지부(83)의 저면이 걸려져 결합되므로, 세절기(1)의 양측 저면을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 위에 예비적으로 지지하여 얹혀 놓을 수 있다. 다음으로, 측방브라켓(80)의 하측지지부(84)에 형성된 구멍(84a)을 관통하는 볼트(B)를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체결함으로써, 세절 기(1)를 인출대(60) 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7 and 8, a pair of side brackets 80 are prepared and casters 83a formed on the upper support part 83 of the side brackets 80 are casters. Insert into the shaft member (S) of (C). Then, as shown in Figure 7, the fitting groove (83a) formed in the upper support portion 83 of the side bracket 80 to the shaft member (S) of the caster (C)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shaft member (S)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83 is coupled to the annular projection jaw P, both bottom surfaces of the cutting machine 1 may be preliminarily supported and plac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pullout 60. . Next, the cutting machine 1 is pulled out by fastening the bolt B penetrating the hole 84a formed in the lower support portion 84 of the side bracket 80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take-out table 60. It can be firmly fixed on the base 60.

따라서, 세절기(1) 사용을 위하여 인출대(60)를 인출시키더라도 세절기(1)가 유동되거나 넘어지지 않기 때문에, 세절기(1)의 사용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drawer 60 is pulled out for the use of the shredder 1, since the shredder 1 does not flow or fall, the use of the shredder 1 is very easy.

한편, 상기 측방브라켓(80)의 상측지지부(83)에 형성된 끼움홈(83a)은 세절기의 캐스터(C) 갯수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두 개의 끼움홈(83a)이 전후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끼움홈(83a)의 전단과 후방끼움홈(83a)의 후단에는 측방브라켓(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충분한 너비의 걸림지지부(83b)가 형성되기 때문에, 세절기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힘을 걸림지지부(83b)에 의해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tting groove (83a) formed in the upper support portion 83 of the side bracket 80 is configured so that at least two fitting grooves (83a) are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asters (C) of the cutter. The front end of the front fitting groove (83a) and the rear end of the rear fitting groove (83a) is formed because the engaging support portion (83b) of a sufficient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bracket 80, the force that the cutting machine flow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locking support (83b).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은 엠디에프로 제작되어 측방브라켓(80)의 하측지지부(84)의 구멍(84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지지너트(63)가 매입되고, 상기 지지너트(63)의 외주연에는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매입시 이탈을 방지하는 나선형 돌기부(64)가 형성된다. 이러한 측방브라켓(80)을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고정하는 구조는 후방브라켓(70)의 경우와 동일하다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한 후방브라켓(70)의 경우와 효과도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is manufactured in an MD, and is separately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84a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84 of the side bracket 80. The support nut 63 is embedded, and a spiral protrusion 6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nut 63 to prevent separation when the support nut 63 is embed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side bracket 80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pullout 60 may be the same as the case of the rear bracket 70, and, accordingly, the case of the rear bracket 70 Since the effect is the same,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측방브라켓(80)의 하측지지부(84)에 형성된 구멍(84a)은 하측지지부(84)의 폭방향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ole 84a formed in the lower support portion 84 of the side bracket 8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84.

따라서, 상기 측방브라켓(80)은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매입된 지지너트(63)의 위치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격을 확보하기 때문에, 측방브라켓(80)의 장착이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since the side bracket 80 secures the clearance that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pport nut 63 embed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the side bracket 80 is secured. There is a more easy effect of mounting.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방 상측에는 직립 방향으로 보조프레임(38)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보조프레임(38)은 사각파이프를 사각틀 형상으로 접합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보조프레임(38)과 메인프레임(10)(즉, 양측 측면프레임(40)의 후방)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55)에 의해 보조프레임(38)이 메인프레임(10)의 후방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frame 38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10 in an upright direction, and the auxiliary frame 38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square pipe is join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the auxiliary frame 38 ) And the auxiliary frame 38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10 by bolts 55 that are fastened through the main frame 10 (that is, rear of both side frame 40). .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38)과 메인프레임(10)의 볼트(55) 결합부위는 상하부 프레임(30,34)과 양측의 측면프레임(40)의 볼트(55) 결합 부위와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 즉, 보조프레임(38)과 메인프레임(1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서로 연통되는 볼트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되고, 메인프레임(10)의 볼트삽입공에는 상기 상하부 프레임(30,34)과 측면프레임(40)에 적용된 인서트너트(57)가 더 설치되어, 보조프레임(38)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하는 볼트(55)가 인서트너트(57)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장착된 보조프레임(38)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울, 홍보 판넬, 수납부, 보드판 등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of the bolt 55 of the auxiliary frame 38 and the main frame 1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oupling part of the bolt 55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the side frame 40 on both sides. That is, bolt insertion holes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formed in portions of the auxiliary frame 38 and the main frame 10 that face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re formed in the bolt insertion holes of the main frame 10. And the insert nut 57 applied to the side frame 40, the bolt 55 passing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 of the auxiliary frame 38 is fastened to the insert nut 57. As described above, a mirror, a promotional panel, a receiving unit, a board board, and the like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mounted auxiliary frame 38.

이때, 보조프레임(38)과 메인프레임(10) 사이의 볼트(55) 체결 부분을 인서트너트(57)로 보강하는 구조로 인한 효과는 상기한 상하부 프레임(30,34)과 측면프레임(40)을 인서트너트(57)로 보강하는 효과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effect of the structure to reinforce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bolt 55 between the auxiliary frame 38 and the main frame 10 with the insert nut 57 is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34 and the side frame 40 Since it is similar to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insert nut 57,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9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에 의하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일측에 스테플러 브라켓(90)에 의해 별도의 스테플러(3)가 장착되는데, 상기 스테플러 브라켓(90)은 니은자 형상의 중간연결부(82) 하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볼트결합부(73b)가 구비되고 중간연결부(82) 상단부에 스테플러(3)의 저면에 볼트(B)로 고정되는 스테플러 지지편(95)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separate stapler 3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 by a stapler bracket 90, and the stapler bracket 90 is perpendicular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82 having a needle-shaped shape. The bolt coupling portion 73b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have a stapler support piece 95 fixed to the bottom of the stapler 3 at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82 by a bolt B.

따라서, 도 9에 의하면, 사무용 복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메인프레임(10) 일측에 별도로 장착된 스테플러(3)를 이용하여 문서 위치를 자유롭게 제철 작업할 할 수 있으므로, 사무 능률이 보다 편리해 지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즉, 사무용 복합기의 경우, 내부에서 문서 제철작업을 할 수 있으나, 선택 사양이고, 가격이 고가이므로, 일부만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메인프레임(10)의 일측에 별도로 구비된 스테플러(3)를 이용하면 되므로, 문서 스테플링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FIG. 9, the user using the office multifunction device can conveniently freely perform the document position by using the stapler 3 separate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 as necessary, so that offic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It is more convenient. That is, in the case of an office multifunction machine, the document steelmaking work can be performed internally, but since it is an optional feature and the price is high, only a part is us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pler 3 provided separately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 may be used, the document stapling operation may be more easily performed.

스테플러 브라켓(90)은 니은자 형상의 중간연결부(82)에 의해 메인프레임(10)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사무를 보는 도중에 사용자의 신체가 메인프레임(10)와 스테플러(3) 사이에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무를 볼 때의 편리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stapler bracket 90 secures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 by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82 having a needle-shaped shape, the user's body is displayed on the main frame 10 while viewing office work. Sin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nd stapler 3 is preven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when viewing office work more.

아울러, 상기 메인프레임(10)을 구성하는 상하부 프레임(30,34)과 양측방 측면프레임(40)은 동일한 두께의 각 파이프를 상호 접합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상하부 프레임(30,34)과 측면프레임(40)의 모든 부분이 외관상 균일한 두께를 이루므로, 외관적으로 미려한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and the two side frame 40 constituting the main frame 1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joining pipes of the same thickness to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 And all parts of the side frame 40 to form a uniform thickness in appearanc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appearance beautiful effect.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인프레임과 캐스터 사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의하면, 상기 하부프레임(34)의 저면 또는 양측 측면프레임(40)의 저면에는 인서트너트(57)가 매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측 측면프레임(40)의 저면에 인서트너트(57)가 매입되어, 인서트너트(57)에 캐스터(c) 상단의 축부재(s)가 볼트식으로 결합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메인프레임(10)과 캐스터(c) 사이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Figure 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mainframe and the cast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0, an insert nut 57 is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34 or the bottom of both side frame 40.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 nut 57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both side frame 40, the shaft member (s) of the upper end of the caster (c) is coupled to the insert nut 57 is mounted in a bolted manner, the mai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ength of the coupling site between the frame 10 and the caster (c) is reinforc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permuta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it.

따라서, 본 발명의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은 입방체 형상의 메인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을 분리하여 콤팩트한 사이즈로 만들 수 있으므로, 적재 보관 및 운반 등의 취급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물류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세절기를 인출하여 사용할 때 세절기가 유동되거나 넘어지는 것 등을 방지하여 사용하기 매우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기타 각 부분의 연결 부위의 강도가 견고하여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table for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into a compact size by separating each frame constituting the main frame of the cube shape, it is very easy to handle the storage and transport, etc., as well as a lot of logistics cost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nd when the drawer installed in the mainframe withdraw the use of the cutting machine is prevented from flowing or falling, such as very convenient to u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roduct becaus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rame and other parts of the main frame is robust, and further, there are various effects such a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입방체 틀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0)의 상측에 사무용품을 올려놓도록 구성된 통상의 사무기기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상하부 프레임(30,34)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40)이 서로 입방체 틀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 프레임(30,34)과 측면프레임(40)의 서로 맞닿는 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55)에 의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고,In a table for general office equipment configured to place office supplies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10 having a cubic frame shape, the main frame 10 includes a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s 30 and 34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A pair of side frames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uboid frame shape,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34 and the plurality of bolts 55 to be fastened through the surface abutting each other of the side frame 40 By being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이나 메인프레임(10)의 내측부 상면에는 패널부재(20)가 얹혀져 설치되고, 상기 패널부재(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과 반대되는 면이나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측부 상면과 반대되는 면에서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 또는 메인프레임(10)의 내측부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패널부재(20)는 상기 볼트(B)가 체결되는 위치에 별도의 지지너트(63)가 매입되어 상기 지지너트(63)에 상기 볼트(B)가 체결되며, 상기 지지너트(63)는 외주연과 내주연 상단부에 나선형 돌기부(64)와 랜지홈(65)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랜치홈(65)에 랜치를 결합하여 상기 지지너트(63)를 회전시켜 상기 나선형 돌기부(64)가 상기 패널부재(20)의 저면에 나사 결합식으로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The panel member 2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and the panel member 20 is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or the main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I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10 by a bolt (B) fasten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0, the panel member 20 is the bolt A separate support nut 63 is embedded at the position where (B) is fastened so that the bolt B is fastened to the support nut 63, and the support nut 63 has a spiral protrusion at an upper end of an outer circumference and an inner circumference thereof. 64 and a ranch groove 65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ranch is coupled to the ranch groove 65 to rotate the support nut 63 so that the spiral protrusion 6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nel member 20. Table for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in typ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34)의 저면 또는 측면프레임(40)의 저면에는 인서트너트(57)가 더 설치되어, 상기 인서트너트(57)에 캐스터(c) 상단의 나사축(s)이 볼트식으로 결합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According to claim 3, Insert nut 57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rame 34 or the side frame 40 constituting the main frame 10, the caster (57) on the insert nut 57 c) Table for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shaft (s) of the upper end is mounted in a bolted manner. 입방체 틀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측에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장착된 인출대(60)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대(60)의 상면에는 세절기와 같은 사무기기(1)가 얹혀지는 수평지지판(62)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판(62)의 전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전면판(67)이 설치되되 상기 전면판(67)의 상단부는 상기 수평지지판(62)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사무기기(1)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걸림턱(67a)을 형성하며, 상기 사무기기(1)의 후방은 상기 수평지지판(62)에 설치된 후방브라켓(7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A main frame 10 having a cube frame shape, and a drawer 60 mounted below the main frame 10 so as to be pulled forward, and an upper surface of the drawer 60 includes office work such as a cutter. A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n which the device 1 is mounted is provided, and a front plate 67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67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o form a front latching jaw (67a)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office equipment (1), the rear of the office equipment (1) is a rear bracket 70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Table for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브라켓(70)은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2)와, 상기 고정부재(72)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수평지지판(62)에 얹혀진 사무기기(1)의 후면에 접촉되는 수직지지편(75)을 갖는 슬라이드부재(74)와, 상기 고정부재(72) 또는 슬라이드부재(74)에 관통 형성된 가압볼트 승강공(72a)과, 상기 고정부재(72) 또는 슬라이드부재(74)의 가압볼트 승강공(72a)과 마주하는 슬라이드부재(74) 또는 고정부재(72)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공(74a)과, 상기 가압볼트 승강공(72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공(74a)에 관통되도록 결합된 가압볼트(7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According to claim 5, The rear bracket (70) is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er 60, 72 and the front end slid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72, the front end portion The slide member 74 has a vertical support piece 75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office equipment 1 mount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and the pressure member penetrates the fixing member 72 or the slide member 74. A slide hole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bolt lifting hole 72a and the slide member 74 or the fixing member 72 facing the pressure bolt lifting hole 72a of the fixing member 72 or the slide member 74. (74a) and the pressurizing bolt lifting hole (72a) coupled to be lifted and at the same time a table for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comprising a pressurized bolt (76) coupled to penetrate the slide hole (74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은 엠디에프로 제작되어 상기 고정부재(72) 양측단의 볼트결합부(73b)의 구멍(73c)에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지지너트(63)가 매입되고, 상기 지지너트(63)의 외주연에는 나선형 돌기 부(6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너트(63)의 내주연 상단에는 랜치홈(65)이 형성되어, 상기 랜치홈(65)에 랜치를 결합하여 상기 지지너트(63)를 회전시켜 상기 나선형 돌기부(64)가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나사 결합식으로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er 60 is manufactured in the MD to separate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73c) of the bolt engaging portion (73b)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72). Of the support nut 63 is embedde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nut 63 is formed a spiral projection 64, the upper end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support nut 63 is formed with a trench groove 6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lical protrusion 64 is screwed in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60 by rotating the support nut 63 by coupling the wrench to the wrench groove 65. Table for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34)의 저면 또는 양측 측면프레임(40)의 저면에는 인서트너트(57)가 매입되어, 상기 인서트너트(57)에 캐스터(c) 상단의 축부재(s)가 볼트식으로 결합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8. The insert nut 57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rame 34 or the bottom surface of both side frame 40, and a cast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 nut 57. c) Table for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haft member (s) is coupled and mounted in a bolted manner. 삭제delete 입방체 틀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측에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장착된 인출대(60)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대(60)의 상면에는 세절기와 같은 사무기기(1) 저면에 장착된 캐스터(C)가 얹혀지는 수평지지판(62)이 구비되고, 상기 사무기기(1) 저면의 캐스터(C)는 한 쌍의 측방브라켓(80)에 의해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고정되며,A main frame 10 having a cube frame shape, and a drawer 60 mounted below the main frame 10 so as to be pulled forward, and an upper surface of the drawer 60 includes office work such as a cutter. A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n which the caster C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apparatus 1 is mounted is provided, and the caster C of the bottom of the office apparatus 1 is connected by the pair of side brackets 80.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60, 상기 측방브라켓(80)은 중간연결부(82)의 상하단에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하여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상하측 지지부(83,84)를 갖는 단면 형태로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상측지지부(83)에는 상기 사무기기(1) 저면의 캐스터(C)의 축부재(S)에 끼워지는 끼움홈(83a)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지지부(84)에는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구멍(8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The side bracket 80 has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83 and 84 bent at right angles to opposite directions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82,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83 has the office work. A fitting groove 83a is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shaft member S of the caster C of the bottom of the device 1,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84 is bol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A table for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84a) through which (B) penetrates is form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은 엠디에프로 제작되어 상기 측방브라켓(80)의 하측지지부(84)의 구멍(84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지지너트(63)가 매입되고, 상기 지지너트(63)의 외주연에는 나선형 돌기부(64)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너트(63)의 내주연 상단에는 랜치홈(65)이 형성되어, 상기 랜치홈(65)에 랜치를 결합하여 상기 지지너트(63)를 회전시켜 상기 나선형 돌기부(64)가 상기 인출대(60)의 수평지지판(62)에 나사 결합식으로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12. The support nut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lead stand 60 is made of MD to support a separate support nu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84a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84 of the side bracket 80. (63) is embedde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nut 63 is provided with a spiral projection 64, the upper end of the inner peripheral of the support nut 63 is formed a ranch groove 65, the ranch groove ( 65 is a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lical protrusion 64 is screwed in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62 of the pull-out unit 60 by rotating the support nut 63 by coupling to the wrench. table.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34)의 저면 또는 양측 측면프레임(40)의 저면에는 인서트너트(57)가 매입되어, 상기 인서트너트(57)에 캐스터(c) 상단의 축부재(s)가 볼트식으로 결합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According to claim 10 or 11, Insert nut (57) is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34 or the bottom of both side frame 40, the insert nut (57) of the upper caster (c) Multipurpose office equipment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member (s) is coupled to the bolt type.
KR1020060070600A 2006-07-27 2006-07-27 Table for office machine KR100751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600A KR100751515B1 (en) 2006-07-27 2006-07-27 Table for offic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600A KR100751515B1 (en) 2006-07-27 2006-07-27 Table for office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515B1 true KR100751515B1 (en) 2007-08-22

Family

ID=3861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600A KR100751515B1 (en) 2006-07-27 2006-07-27 Table for office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5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477B1 (en) * 2017-11-06 2019-04-29 황승연 Support frame and frame fastening structure for table and a table having i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223A (en) * 1993-06-10 1994-12-20 Daifuku Co Ltd Frame assembly shelf
JPH11126981A (en) 1997-10-24 1999-05-11 Kawamura Electric Inc Cabinet-fixing device
JP2000125958A (en) 1998-10-22 2000-05-09 Kyoei Kikaku:Kk Cabinet
KR200259532Y1 (en) 2001-09-13 2002-01-05 김호남 Office supplies exclusive use table
KR200348996Y1 (en) 2004-02-04 2004-04-29 최용섭 Anchor for Assembling a Furniture
KR200386515Y1 (en) 2005-03-21 2005-06-13 김호남 A complex tab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223A (en) * 1993-06-10 1994-12-20 Daifuku Co Ltd Frame assembly shelf
JPH11126981A (en) 1997-10-24 1999-05-11 Kawamura Electric Inc Cabinet-fixing device
JP2000125958A (en) 1998-10-22 2000-05-09 Kyoei Kikaku:Kk Cabinet
KR200259532Y1 (en) 2001-09-13 2002-01-05 김호남 Office supplies exclusive use table
KR200348996Y1 (en) 2004-02-04 2004-04-29 최용섭 Anchor for Assembling a Furniture
KR200386515Y1 (en) 2005-03-21 2005-06-13 김호남 A complex t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477B1 (en) * 2017-11-06 2019-04-29 황승연 Support frame and frame fastening structure for table and a table hav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4144B2 (en) Storage unit
JP3210142U (en) High cabinet quick release structure
US6702128B2 (en) Storage system
US6935518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holding an item in storage
US20190029417A1 (en) Portable organizer system
US20040065633A1 (en) Sectional rack with drawers
US11104478B2 (en) Half-size plastic pallet with grommets in the top deck
US20080128372A1 (en) Pegboard with through peg-hole mounting
KR100751515B1 (en) Table for office machine
WO2016055998A1 (en) Utility support
JP2001072066A (en) Article transporting and keeping apparatus
CN208248748U (en) Plastic box
US20130048584A1 (en) Shelf system for elongated articles
KR101893644B1 (en) a board shelf of assembly angle display case
KR200242507Y1 (en) Pallet for use of glass only
KR200386515Y1 (en) A complex table
KR102396080B1 (en) palette with castor attached
GB2395188A (en) Compact cart assembly
FR2710867A1 (en) Storage and presentation device for sale for tools.
US20070210023A1 (en) Peg board
JPH0631946Y2 (en) Wagon top plate mounting structure
JP3732222B1 (en) Desk with bookcase
JP5934494B2 (en) Desk equipment
KR20070114457A (en) Detachable shelf fixing structure
JP3105544U (en) Product display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