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269B1 - Skate for freight transfer of container car - Google Patents

Skate for freight transfer of containe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269B1
KR100750269B1 KR1020060048227A KR20060048227A KR100750269B1 KR 100750269 B1 KR100750269 B1 KR 100750269B1 KR 1020060048227 A KR1020060048227 A KR 1020060048227A KR 20060048227 A KR20060048227 A KR 20060048227A KR 100750269 B1 KR100750269 B1 KR 10075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
cam
head
protrud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영만
Original Assignee
형제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산업(주) filed Critical 형제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04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2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A freight moving skate of a container car is provided to improve the stability by instantaneously stopping the moving skate with a stopper provided in the skate,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 product. In a freight moving skate of a container car, a movable pin(26) is installed in an operation link(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guide cap(16). The movable pin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guide cap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operation link from a skate body(10). When a cam(3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a pivot shaft, the skate is lifted. A safety unit is formed by protruding the other side of the stopper to the bottom surface of a skate head(12), with one side thereof being supported by a support shaft.

Description

컨테이너카의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Skate for freight transfer of container car}Skate for freight transfer of container car}

도 1은 종래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argo movement skate.

도 2는 도 1의 종래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의 측면구성도.Figure 2 is a sid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cargo movement skate of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구성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kate for moving cargo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도 3에에 따른 스케이트 헤드부를 확대도시한 도면.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kate head unit according to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의 작동상태도.Figure 5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skate for moving cargo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케이트 헤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kate head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jor Parts of Drawing>

10...스케이트 바디 12...스케이트 헤드10 ... skate body 12 ... skate head

14...돌출캠 16...가이드캡14 ... Extrusion Cam 16 ... Guide Cap

20...작동링크20 ... Operation Link

24a...승강로울러 24b...가동로울러24a ... lifting roller 24b ... operating roller

30...캠 40...스토퍼30 ... cam 40 ... stopper

P1...피벗축 P2...가동축 P3...지지축P1 ... Pivot Shaft P2 ... Moving Shaft P3 ... Support Shaft

본 발명은 컨테이너카 바닥면에 내장되는 트랙 내에서 이 트랙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위에 얹혀지는 중량의 적재물을 적소에 운반하는 컨테이너카의 화물이동용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에 접지된 채 리프팅되는 스케이트의 승강높이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장치에 의해 이동 중에 있는 스케이트를 순간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카의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ateboard for cargo movement of a container car which moves along this track within a track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ar and carries a load of weight placed thereon in particular, and in particular, a skate which is lifted while grounded to the track.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height of the lift, and relates to a cargo transport skate of a container car to stop the skate in motion by a safety device instantaneously.

일반적으로 알려진 화물 운송차량(컨테이너 차량)의 화물 적재(積載)작업은 보통 크레인이나 지게차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컨테이너에 실린 화물은 작업자에 의해 컨테이너 내부 적소로 운반된다. 그러나 상당 중량의 화물일 경우에는 화물이 적재되는 컨테이너 내에서 상기 화물을 이동시키고 이동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작업이 상당한 인력이 요구되는 힘든 일이었다. In general, cargo loading operations of known freight transport vehicles (container vehicles) are usually performed by cranes or forklift trucks, and the cargo carried in the container is transported in place by the worker. However, in the case of a substantial weight of cargo, the task of moving the cargo in the container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and accurately fixing it at the moved position was a difficult task requiring considerable manpower.

이를 위해 종래에는 컨테이너 바닥판에 다수의 함몰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트랙을 장설하고 트랙에는 이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그 위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를 장착하여 적은 인력으로도 컨테이너 내부에서 화물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To this end, 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are formed in the container bottom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stall a track, and the track is equipped with a cargo moving skate that can load cargo thereon while sliding along the track, and with less manpower. To facilitate the transport of cargo.

도 1내지 도 2는 종래 컨테이너에 사용되는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의 사시도 및 측면구성도이다.1 to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argo movement skate used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도 1내지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스케이트는 하부가 개구되면서 그 내부에는 공간이 제공되는 길이 방향으로 긴 스케이트 바디(10)와, 스케이트 바디(10)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면서 다수의 승강로울러(24a) 및 가동로울러(24b)를 갖는 작동링크(20)를 포함한다. 스케이트 바디(10) 일측에는 이 스케이트 바디(10)에 비해 보다 높게 스케이트 헤드(1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스케이트 헤드(12)는 상,하부가 개구되어 그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제공된다.1 to 2, the skate has a long skate body 1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a space is provided while a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a plurality of lifting rollers being accommodated in the space of the skate body 10 ( 24a) and an actuating link 20 having a movable roller 24b. One side of the skate body 10 is higher than the skate body 10, the skate head 12 is integrally provide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kate head 12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또한, 스케이트 헤드(12) 내부에는 상기 작동링크(20) 선단부와 연설되면서 이 작동링크(20)를 길이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캠(30)이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작동링크(20) 양 측벽에는 하향 경사진 가이드구멍(26)이 등간격에 걸쳐 형성되어 이곳에 스케이트 바디(10) 내측벽을 가로지르는 핀(16)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 바디(10) 내부 상면에는 경사부와 평면부로 이루어진 돌출캠(14)이 등간격에 걸쳐 마련되며, 돌출캠(14)에는 상기 작동링크(20)의 승강로울러(24a)가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skate head 12, the cam 30 for activating the operation link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speaking with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link 20 is pivotally mounted, and both side walls of the operation link 20 are pivotally mounted. The downwardly inclined guide hole 26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where the pin 16 is located across the inner wall of the skate body 10.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ate body 10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cam 14 consisting of an inclined portion and a flat portion at equal intervals, and the lifting roller 24a of the operation link 20 is adjacent to the projection cam 14. Is located.

상기한 종래 스케이트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캠(30)에 작동바(B)를 체결한 후 이 작동바(B)를 도면상 반 시계방향으로 당기면, 캠(30)의 피벗동작과 함께 이 캠(30)과 연설된 작동링크(20)가 길이방향 일측(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밀려나는 동시에 승강로울러(24a)는 돌출캠(14)의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평면부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캠(14)의 높이만큼 작동링크(20)는 스케이트 바디(10) 밑으로 돌출하여 작동링크(20)의 가동로울러(24b)가 트랙 바닥면에 접지되는 동시에 스케이트 바디(10) 및 헤드(12)는 상기 높이차 만큼 리프팅 된다. 이 상태에서 바닥에 접지되는 상기 가동로울러(24b)의 구름운동으로 인하여 스케이트는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케이트 위에 얹혀지는 중량의 화물을 적소에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skate, as shown in (b) of FIG. 2, when the operating bar B is fastened to the cam 30 and the operating bar B is pull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he cam 30 With the pivoting movement, the cam 30 and the actuated link 20 are push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to right in the drawing) while the lifting roller 24a moves alo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rotruding cam 14. Reach wealth Accordingly, the actuating link 20 protrudes below the skate body 10 by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cam 14 so that the movable roller 24b of the actuating link 20 is grounded to the track bottom and the skate body 10. ) And the head 12 are lifted by the height difference. In this state, due to the rolling motion of the movable roller 24b grounded to the floor, the skate can slide along the track, thereby carrying the heavy cargo on the skate in plac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케이트는 작동링크 가동에 따른 스케이트 바디(스케이트 헤드 포함)의 승강 폭이 제한되어 있어서 트랙을 따라 이동 중 트랙과 바닥면 경계선 상에 이물질 예컨대, 자갈 등이 끼어있는 경우 스케이트 위에 적치되는 화물바닥면과 간섭을 일으켜 스케이트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물론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를 크게하여 상기 스케이트 바디의 승강 폭을 늘이면 될 것이나, 이는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와 배치되는 것으로 제품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초래한다. 그렇다고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승강폭 만을 늘이는 것은 적어도 종래 스케이트 구조에서는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kates are limited in the lifting width of the skate body (including the skate hea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ink, so that foreign matters such as gravel or the like are stuck on the skates when moving along the trac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skate is not made smoothly by causing interference with the cargo bottom surfa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course, the overall size of the product may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lifting width of the skate body. However, there is a limit that it is impossible to at least increase the lifting width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size of the product, at least in the conventional skate structure.

또한, 종래에는 트랙을 따라 이동중에 있는 스케이트의 안전 제동수단이 수단이 부재하여 트랙 내부에 이물질 예컨대, 자갈 등이 끼어있을 경우 스케이트의 이동이 원할치 못하거나 이물질이 트랙과 스케이트 사이에 끼워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케이트를 억지로 가동시키는 경우 장비에 큰 손상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 safety braking means of the skates being moved along the track has no means, so if foreign matters such as gravel or the like are stuck in the track, the skate may not be moved or the foreign matter may be caught between the track and the skates. Forcing the skate to run can damage your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케이트의 구조개선을 통해 트랙에 접지된 채 리프팅되는 스케이트 바디의 승강높이를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가의 화물이동용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o provide a cargo transport skates that can improve the lifting height of the skate body lifting while grounded on the track through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skates There is a purpose.

또한 발명은, 스케이트에 안전수단을 구비하여 이동 중에 있는 스케이트를 순간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카의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 for cargo movement of a container car which can be provided with safety means on the skate to stop the skate in motion instantaneous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가 개구되면서 그 내부에는 공간이 제공되는 길이 방향으로 긴 스케이트 바디와, 스케이트 바디 일측 선단에 이 스케이트 바디에 비해 보다 높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하가 개구된 스케이트 헤드와, 스케이트 바디에 수용되면서 다수의 승강 및 가동로울러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작동링크 및, 스케이트 헤드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작동링크 선단부와 연결되어 이 작동링크를 길이방향으로 가동시키는 캠을 포함하는 화물이동용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 바디 내부 상면에는 경사부와 평면부를 갖는 다수의 돌출캠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돌출캠 사이사이의 스케이트 바디 내부 상면에는 경사부와 평면부를 갖는 중공의 가이드캡이 등간격으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캡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작동링크에는 가동핀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이 가동핀이 가이드캡 내측에 위치하면서 스케이트 바디로부터의 작동링크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스케이트 헤드내에 피벗축을 기준으로 피벗가능하게 체결된 상기 캠의 타측선단에는 스토퍼가 가동축을 통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피벗축을 지점으로 상기 캠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경우의 피벗축을 기준으로 한 상기 가동축의 회전궤적 상의 스케이트 헤드 내부 일측에는 지지축이 형성되어, 피벗축을 지점으로 상기 캠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스케이트가 리프팅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 일측은 지지축에 지지된 채 타측이 스케이트 헤드 바닥면으로 돌출되어 안전장치를 형성하는 컨테이너카의 화물이동용 스케이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ody is opened, the upper and lower body is formed integrally higher than the skate body at one end of the ska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provided with a space therein, and one side of the skate body. An opening skate head, an operation link formed by a plurality of lifting and moving rollers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the skate body, and pivotally mounted inside the skate head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link tip to move the operation link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argo transfer skate comprising a cam, a plurality of protruding cams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a fla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kate body at equal intervals, the hollow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a flat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kate body between the protrusion cam Guide caps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nd correspond to the guide caps. The cam is positioned at equal intervals in the actuating link at the position so that the actuating pin is positioned inside the guide cap to prevent deviation of the actuating link from the skate body, while the cam is pivotably fastened relative to the pivot axis in the skate head. A stopper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shaft through a movable shaft, and a support shaf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skate head on the rotational track of the movable shaft based on the pivot shaft when the cam is rotated counterclockwise from the pivot axis. When the cam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pivot axis, the skate is lift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pper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haft while the other side protrudes to the bottom of the skate head to form a safety device for cargo movement. Provide ska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캡은 그 내부에 위치하는 가동핀을 매개로 상기 작동링크의 외부이탈은 방지하면서 작동링크 축방향 가동에 따른 스케이트 바디 및 스케이트 헤드의 승강높이는 최대한 확보토록 가이드캡의 평면부 외주면이 상기 스케이트 바디의 하단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cap is guided so as to maximize the lifting height of the skate body and the skate head according to the axial movement of the operating link while preventing the external deviation of the operating link via the movable pin located t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t portion of the cap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skate body.

또한, 상기 캠의 피벗동작에 의해 스케이트 헤드 바닥면으로 돌출되는 스토퍼의 돌출거리(L1)는 캠의 피벗동작에 의해 스케이트 바디 바닥면으로 돌출되어 트랙 바닥면과 접하는 가동로울러의 돌출거리(L2)에 비해 적어도 짧은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distance (L1) of the stopper protruding to the skate head bottom surface by the pivoting motion of the cam is proj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kate body by the pivoting motion of the cam and protruding distance (L2) of the movable roller in contact with the track bottom surface. At least short compared to the feature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시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 동일한 도면참조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will be used for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shown abov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구성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kate for moving cargo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스케이트는 하부가 개구되면서 그 내부에는 공간이 제공되는 길이 방향으로 긴 스케이트 바디(10)와, 스케이트 바디(10) 일측 선단에 이 스케이트 바디(10)에 비해 보다 높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가 개구된 스케이트 헤드(12)를 포함한다. 상기 스케이트 바디(10) 내측에는 다수의 승강로울러(24a)와 가동로울러(24b)가 순차적으로 장착된 작동링크(20)가 수용된다. 그리고 스케이트 헤드(12)내에는 캠(30)이 피벗축(P1)을 매개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캠(30) 일측은 상기 작동링크(20) 선단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캠(30)의 피벗 동작에 의해 이와 연계하여 작동링크(20)는 길이방향으로 가동되면서 스케이트 바디(10) 및 스케이트 헤드(12)를 트랙면으로부터 리프팅 시킨다.Referring to FIG. 3, the skate is integrally higher than the skate body 10 at one end of the skate body 10 and the skate body 10 that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a space is provided therein, and a space is provided therein. It includes a skate head 12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Inside the skate body 10, a plurality of lifting rollers 24a and movable rollers 24b are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operation link 20 mounted thereon. In addition, the cam 30 is pivotally mounted in the skate head 12 via the pivot shaft P1, and one side of the cam 3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link 20. Accordingly, the actuating link 2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connection with this by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cam 30, thereby lifting the skate body 10 and the skate head 12 from the track surface.

나아가서, 스케이트 바디(10) 내부 상면에는 경사부와 평면부를 갖는 다수의 돌출캠(14)이 등간격 걸쳐 마련된다. 돌출캠(14)에는 상기 작동링크(20)의 승강로울러(24a)가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캠(30)의 피벗 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20)가 길이방향으로 가동되면 승강로울러(24a)는 돌출캠(14)의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평면부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캠(14)의 높이만큼 작동링크(20)는 스케이트 바디(20) 밑으로 돌출하여 작동링크(20)의 가동로울러(24b)가 트랙 바닥면에 접지되는 동시에 스케이트 바디(10) 및 헤드(12)는 상기 높이차 만큼 리프팅 된다.Furthermore, a plurality of protruding cams 14 having inclined portions and flat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kate body 10 at equal intervals. The lifting roller 24a of the operation link 20 is adjacent to the protruding cam 14. Accordingly, when the operation link 2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ivoting motion of the cam 30, the lifting roller 24a moves alo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rotruding cam 14 to reach the flat portion. Accordingly, the actuating link 20 protrudes below the skate body 20 by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cam 14 so that the movable roller 24b of the actuating link 20 is grounded to the track bottom and the skate body 10. ) And the head 12 are lifted by the height differenc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캠(14) 사이사이의 스케이트 바디(10) 내부 상면에는 경사부와 평면부를 갖는 중공의 가이드캡(16)이 등간격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캡(16)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작동링크(20)에는 가동핀(26)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이 가동핀(26)은 가이드캡(16) 내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스케이트 바디(10)로부터의 작동링크(20)가 이탈되지 않는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링크(20)의 축방향 가동 시 가동핀(26)이 가이드캡(16) 내벽면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작동링크(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guide cap 16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a flat portion i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ate body 10 between the protruding cams 14. The movable pin 26 is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in the operation link 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cap 16, and the movable pin 26 is located inside the guide cap 16. Accordingly, the actuating link 20 from the skate body 10 is not detached, while the movable pin 26 moves upwar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guide cap 16 when the actuating link 20 is axially operated as described above. Or to move up and down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operation link (20).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캡(16)의 평면부 외주면(160)은 상기 스케이트 바디(10)의 하단면(100)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캡(16)은 그 내부에 위치하는 가동핀(26)을 매개로 상기 작동링크(20)의 외부이탈은 방지하면서 작동링크(20) 축방향 가동에 따른 스케이트 바디(10) 및 스케이트 헤드(12)의 승강높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60 of the flat portion of the guide cap 16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bottom surface 100 of the skate body 10. Accordingly, the guide cap 16 is the skate body 10 in accordance with the ax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link 20 while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operation link 20 via the movable pin 26 located therein. And the lifting height of the skate head 12 can be secured to the maximum.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의 스케이트 헤드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kate head portion of the sk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스케이트 헤드(12)내에 피벗가능하게 체결된 상기 캠(30)의 타측선단에 가동축(P2)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스토퍼(40)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40)는 평상시 스케이트 헤드 내측에 위치하다가 캠(30)의 피벗동작에 따라 스케이트 헤드(12) 하단부 밖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피벗축(P1)을 지점으로 상기 캠(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경우의 피벗축(P1)을 기준으로 한 상기 가동축(P2)의 회전궤적(T1) 상의 스케이트 헤드(12) 내부 일측에는 지지축(P3)이 형성된다. 따라서, 피벗축(P1)을 지점으로 상기 캠(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캠(30)의 피벗동작과 연계된 작동링크(20)의 가동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이트 바디 및 스케이트 헤드가 리프팅된다. 동시에 도 4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스토퍼(40) 일측은 지지축(P3)에 지지된 채 타측이 스케이트 헤드(12) 하단으로 돌출되어 안전장치를 형성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pper 40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am 30 pivotably fastened in the skate head 12 through the movable shaft P2. The stopper 40 is normally positioned inside the skate head and protrudes out of the lower end of the skate head 12 according to the pivoting motion of the cam 30. Specifically, the skate head on the rotational track T1 of the movable shaft P2 on the basis of the pivot shaft P1 when the cam 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pivot shaft P1. 12) The support shaft (P3) is formed on one inner side. Therefore, when the cam 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pivot axis P1, the skate body and the skate head as described abov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ink 20 associated with the pivot motion of the cam 30. Is lift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b) of FIG. 4, one side of the stopper 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P3 and the other side protrudes to the lower end of the skate head 12 to form a safety device.

스토퍼에 의한 안전장치는 스케이트 바디 및 헤드가 리프팅된 상태에서 가동로울러에 의하여 트랙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경우 트랙 바닥면보다 높이 형성된 단턱 또는 자갈 등의 이물질등에 의해 반력을 형성하여 지지축에 지지된채 캠에 시계방향 스윙반력을 전가하여 캠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작동설명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afety device by the stopper, when the skate body and the head are lifted and slides in the track by the movable roller, forms a reaction force by foreign matter such as stepped stones or gravel formed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track and is supported by the cam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It serves to return the cam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ransferring the clockwise swing reaction force,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여기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캠의 피벗동작에 의해 스케이트 헤드 바닥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스토퍼의 돌출거리(L1)가 캠의 피벗동작에 의해 스케이트 바디 바닥면으로 돌출되어 트랙 바닥면과 접하는 가동로울러의 돌출거리(L2)에 비해 적어도 짧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캠의 피벗동작에 따른 스케이스 승강시 작동링크의 가동로울러가 트랙 바닥면과 접해 구름운동을 할 때 상기 스케이트 하단부로 돌출된 스토퍼는 트랙 바닥면과 어느 정도 갭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스케이트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유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important consideration here is that the protruding distance L1 of the stopper, which protrudes to the skate head bottom by the cam pivot, protrudes to the skate body bottom by the cam pivot and contacts the track bottom. It is to be formed at least short compared to the protrusion distance (L2) of the movable roller. This is because the stopper protru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skate when the movable roller of the operation link move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track according to the pivot movement of the cam keeps a gap with the bottom of the track so that the smoothness of the skating is achieved. This is to induce sliding.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스케이트의 리프팅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며 (b)는 리프팅후의 스케이트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lifting of the skate (b)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kate after lifting.

도 5를 참조하면, 캠(30)에는 작동바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멍(32)으로 작동바(B)를 체결한 후 이 작동바(B)를 당기면(도면상 반시계 방향), 피벗축(P1)을 기준으로 한 캠(30)의 피벗동작과 연계 하여 이 캠(30)과 연설된 작동링크(20)가 길이방향(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 일측으로 밀려난다. 동시에 승강로울러(24a)는 돌출캠(14)의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평면부에 도달한다. 아울러, 작동링크(20)에 체결되어 있는 가동핀(26)은 가이드캡(16) 내벽면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작동링크(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이에 따라, 도 5의 (b)에서와 같이 가동로울러(24b)가 트랙 바닥면에 접지된 채 상기 돌출캠(14)의 높이만큼 스케이트 바디(10) 및 헤드(12)는 승강된다.5, the cam 3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32 to fasten the operation bar. Accordingly, when the operating bar B is fastened with the fastening hole 32 and the operating bar B is pull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he pivoting motion of the cam 30 with respect to the pivot axis P1 is pivoted. In connection with the cam 30 and the actuated link 20 is push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to right in the drawing). At the same time, the lifting roller 24a reaches the flat portion while moving alo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rotruding cam 14. In addition, the movable pin 26 which is fastened to the actuating link 20 guide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actuating link 20 while moving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guide cap 16. Accordingly, the skate body 10 and the head 12 are elevated by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cam 14 while the movable roller 24b is grounded to the bottom of the track as shown in FIG. 5 (b).

이 상태에서 바닥에 접지되는 상기 가동로울러의 구름운동으로 인하여 스케이트는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케이트 위에 얹혀지는 중량의 화물을 적소에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roller can be slid along the track due to the rolling motion of the movable roller grounded to the floor, thereby carrying the heavy cargo on the skate in place.

여기서, 상기 가이드캡(16)의 평면부 외주면(160)은 상기 스케이트 바디(10)의 하단면(100)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어도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캡(16)은 그 내부에 위치하는 가동핀(26)을 매개로 상기 작동링크(20)의 외부이탈은 방지하면서 작동링크(20) 축방향 가동에 따른 스케이트 바디(10) 및 스케이트 헤드(12)의 승강거리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60 of the flat portion of the guide cap 16 is located at least on the same line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bottom surface 100 of the skate body 10. Accordingly, the guide cap 16 is the skate body 10 in accordance with the axial movement of the operation link 20 while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operation link 20 via the movable pin 26 located therein. And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maximum lifting distance of the skate head 12.

나아가서, 상기 캠(30)의 피벗동작과 함께 스토퍼(40)는 스케이트 헤드(12) 밑으로 돌출하여 안전장치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피벗축(P1)을 지점으로 상기와 같이 캠(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계된 동작에 의해 앞선 도면 도 4와 같이 스토퍼(40)가 스케이트 헤드(12) 바닥면 밑으로 돌출한다. 동시에 상기 캠(30)과 스토퍼(40)의 가동축(P2)에 의한 연결부분은 지지축(P3)에 지지된다. Furthermore, the stopper 40 protrudes below the skate head 12 together with the pivoting motion of the cam 30 to form a safety device. Specifically, when the cam 30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with the pivot axis P1 as the point, the stopper 40 moves downwards under the skate head 12 as shown in FIG. Extrude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m 30 and the stopper 40 by the movable shaft P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P3.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케이트의 이동 중 트랙 바닥면보다 높이 형성된 단턱 또는 자갈등이 걸려 이동관성에 의한 외력이 도 6과 같이(화살표방향 참조) 스토퍼(40) 단부 일측에서 작용하면, 스토퍼(40) 타단부는 지지축(P3)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받침대로 하여 캠(30)에 시계방향 스윙반력을 전가한다. 따라서, 상기 전가되는 스윙반력으로 캠(30)은 피벗축(P1)을 지점으로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케이트 헤드(12) 내측으로 복귀되며 동시에 캠(30)과 연계된 작동링크(20) 역시 전술한 승강시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도면상 왼쪽; 파선 참조)하면서 돌출캠의 높이 만큼 다시 스케이트 바디(10) 및 스케이트 헤드(12)는 하강하여 트랙 바닥면과 접지된다. 이로써, 이동중에 있는 스케이트는 순간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an external force due to moving inertia is applied at one end of the stopper 40 as shown in FIG. 6 (see arrow direction) when a skate or gravel formed higher than the track bottom surface is caught during the movement of the skate,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40 is stopped. Since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P3, it transfers clockwise swing reaction force to the cam 30 as a base. Accordingly, the cam 30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skate head 12 while rotating the pivot shaft P1 clockwise again to the point due to the swing sw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link 20 associated with the cam 30 is also used. The skate body 10 and the skate head 12 are lowered and grounded with the track bottom while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left in the drawing; see a broken line) by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cam. Thus, the skate in motion can be stopped momentarily.

따라서, 이동중에 있는 스케이트 헤드부가 트랙 선단에 스케이트 이탈을 방지할 목적으로 형성되는 단턱에 접하는 동시에 하강하여 이동이 중지될 수 있어서 상기한 작동바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트랙 내부에 이물질 예컨대, 자갈 등이 끼어있을 경우에도 이물질이 스토퍼와 접하면서 상기한 동작으로 스케이트를 하강시켜 제동시키므로 이물질이 트랙과 스케이트 사이에 끼워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케이트를 억지로 가동시키거나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ile the skate head portion being moved is in contact with the step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track to prevent skewing, the skate head portion can be lowered and the movement can be stopped so that the operation for returning the operation bar to the original position is not required. In addition, even if foreign matters, such as gravel, are stuck inside the track, the foreign material contacts the stopper and brakes by lowering the skates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operate the skates forcibly even if the foreign matter is sandwiched between the tracks and the skates. To prevent 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에 의하면, 가이드캡과 작동편에 의해서 트랙에 접지된 채 리프팅되는 스케이트 바디의 승강높이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케이트에 구비되는 스토퍼로 인하여 이동중에 있는 스케이트를 순간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어서 기기의 안정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rgo movement skate, the lifting height of the skate body which is lifted while being grounded to the track by the guide cap and the operating piec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skate in motion due to the stopper provided in the skate Can be stopped instantaneously to further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3)

하부가 개구되면서 그 내부에는 공간이 제공되는 길이 방향으로 긴 스케이트 바디와, 스케이트 바디 일측 선단에 이 스케이트 바디에 비해 보다 높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하가 개구된 스케이트 헤드와, 스케이트 바디에 수용되면서 다수의 승강 및 가동로울러가 순차적으로 장착된 작동링크 및, 스케이트 헤드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작동링크 선단부와 연결되어 이 작동링크를 길이방향으로 가동시키는 캠을 포함하는 화물이동용 스케이트에 있어서,It is accommodated in the skating body, and the skating body which has a long skating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art is opened, and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formed integrally higher than the skating body at one end of the skating body. In the cargo transfer sk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lifting and movable rollers are sequentially mounted, and a cam pivotally mounted within the skate head and connected to the tip of the operation link to move the operation lin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스케이트 바디(10) 내부 상면에는 경사부와 평면부를 갖는 다수의 돌출캠(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돌출캠(14) 사이사이의 스케이트 바디 내부 상면에는 경사부와 평면부를 갖는 중공의 가이드캡(16)이 등간격으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캡(16)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작동링크(20)에는 가동핀(26)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이 가동핀(26)이 상기 가이드캡(16) 내측에 위치하면서 스케이트 바디(10)로부터의 작동링크(20)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A plurality of protruding cams 14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a flat porti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kate body 10 at equal intervals, and a hollow having an inclined portion and a flat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kate body between the protruding cams 14. Guide caps (16)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movable pin (26) is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in the actuating link (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cap (16). Located inside the cap 16 to prevent the actuating link 20 from leaving the skate body 10, 스케이트 헤드(12)내에 피벗축(P1)을 기준으로 피벗가능하게 체결된 상기 캠(30)의 타측선단에는 스토퍼(40)가 가동축(P2)을 통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피벗축(P1)을 지점으로 상기 캠(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경우의 피벗축(P1)을 기준으로 한 상기 가동축(P2)의 회전궤적(T1) 상의 스케이트 헤드(12) 내부 일측에는 지지축(P3)이 형성되어, 피벗축(P1)을 지점으로 상기 캠(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스케이트가 리프팅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40) 일측은 지지축(P3) 에 지지된 채 타측이 스케이트 헤드(12) 바닥면으로 돌출되어 안전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카의 화물이동용 스케이트.A stopper 40 is hinged through the movable shaft P2 to the other end of the cam 30 pivotally coupled to the pivot shaft P1 in the skate head 12, and the pivot shaft P1. A support shaft on one side of the skate head 12 on the rotation trajectory T1 of the movable shaft P2 with respect to the pivot shaft P1 when the cam 30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P3) is formed, the skate is lifted when the cam 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pivot axis (P1) at the same time the one side of the stopper 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P3) the other side The skate head 12, the cargo moving skate of the container car,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to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safet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캡(16)은 그 내부에 위치하는 가동핀(26)을 매개로 상기 작동링크(20)의 외부이탈은 방지하면서 작동링크(20) 축방향 가동에 따른 스케이트 바디(10) 및 스케이트 헤드(12)의 승강높이는 최대한 확보토록 가이드캡(16)의 평면부 외주면(160)이 상기 스케이트 바디(10)의 하단면(100)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카의 화물이동용 스케이트.The guide cap 16 is the skate body 10 and the skating head according to the axial movement of the operating link 20 while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operation link 20 via the movable pin 26 located therein. The lifting height of 12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60 of the flat portion of the guide cap 16 so as to ensure as much as possible the skateboard for moving cargo of the container ca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lower surface 100 of the skate body 10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캠(30)의 피벗동작에 의해 스케이트 헤드(12) 바닥면으로 돌출되는 스토퍼(40)의 돌출거리(L1)는 캠(30)의 피벗동작에 의해 스케이트 바디(10) 바닥면으로 돌출되어 트랙 바닥면과 접하는 가동로울러(24b)의 돌출거리(L2)에 비해 적어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카의 화물이동용 스케이트.The protruding distance L1 of the stopper 40 protru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kate head 12 by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cam 30 protrud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kate body 10 by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cam 30. Skate for moving cargo of a container ca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short compared to the protruding distance (L2) of the movable roller (24b) in contact with the track bottom surface.
KR1020060048227A 2006-05-29 2006-05-29 Skate for freight transfer of container car KR100750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227A KR100750269B1 (en) 2006-05-29 2006-05-29 Skate for freight transfer of containe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227A KR100750269B1 (en) 2006-05-29 2006-05-29 Skate for freight transfer of container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269B1 true KR100750269B1 (en) 2007-08-17

Family

ID=3861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227A KR100750269B1 (en) 2006-05-29 2006-05-29 Skate for freight transfer of containe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2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713A1 (en) * 2019-09-10 2021-03-18 박영수 Cargo transporting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014U (en) * 1989-07-12 1991-03-01
GB2288785A (en) 1994-04-27 1995-11-01 Joloda Load handling trolley
KR20020080275A (en) * 2001-04-12 2002-10-23 블랙록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oad handling skates
JP2003040028A (en) 2001-07-30 2003-02-13 Tosho Butsuryu Kk Carrier for conveying cargo into cargo room of lor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014U (en) * 1989-07-12 1991-03-01
GB2288785A (en) 1994-04-27 1995-11-01 Joloda Load handling trolley
KR20020080275A (en) * 2001-04-12 2002-10-23 블랙록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oad handling skates
JP2003040028A (en) 2001-07-30 2003-02-13 Tosho Butsuryu Kk Carrier for conveying cargo into cargo room of lor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713A1 (en) * 2019-09-10 2021-03-18 박영수 Cargo transporting structure
CN112789230A (en) * 2019-09-10 2021-05-11 朴英洙 Structure for transferring go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330B1 (en) Carriage-type conveyance device
KR100750269B1 (en) Skate for freight transfer of container car
JPH0657764U (en) platform
JP5110884B2 (en) Manual travel lifter
CN110949420A (en) Positioning device and transport vehicle with same
EP2617621B1 (en) Step apparatus for vehicle
CN108545569A (en) A kind of elevator lifting protective device of the function with avoiding improper opening
KR200423789Y1 (en) Skate for freight transfer of container car
JP2010195508A (en) Conveying device and conveying system
JPH0237818Y2 (en)
JP4616720B2 (en) Platform step device
EP3441277B1 (en) Mechanism for lifting of car-carrying wagon boarding plates
JPH0723327Y2 (en) Railway vehicle carrier
CN212098847U (en) Safety pedal for train
JP3189705B2 (en) Pallet-type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101085545B1 (en) Freight ca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WO2011016667A9 (en) Freight car capable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JP4443246B2 (en) Manual travel lifter
CN213862227U (en) Railway wagon and transmission shaft stop mechanism thereof
JP3524893B2 (en) Pallet conveyor and three-dimensional parking equipment
JP4233988B2 (en) Simultaneous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KR101068453B1 (en) Dual mode traile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KR101085552B1 (en) Dual mode traile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KR200144902Y1 (en) Pallet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20110015129A (en) Dual mode traile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