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392B1 -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392B1
KR100749392B1 KR1020060063086A KR20060063086A KR100749392B1 KR 100749392 B1 KR100749392 B1 KR 100749392B1 KR 1020060063086 A KR1020060063086 A KR 1020060063086A KR 20060063086 A KR20060063086 A KR 20060063086A KR 100749392 B1 KR100749392 B1 KR 100749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pare
parts
spare parts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부근
이동곤
유재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63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RFID와 ZigBee 및 RuBee(IEEE 1902.1) 등의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선박 내 여러 스페어 파트(Spare Part)나 부품들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스페어 파트(10)나 부품 박스에 태그(11)를 부착하여 코드(Code)를 부여하는 단계(S10)와; 상기 스페어 파트(10)나 부품 박스 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리더기(20)를 설치하는 단계(S20)와; 상기 리더기(20)에서 읽혀진 정보는 무선네트워크(30)를 통해 중앙컴퓨터(40)에서 취합하고 평가하는 단계(S30)와; 상기 취합 및 평가된 스페어 파트(10)나 부품들에 대한 정보를 육상기지(60)로 전송하고, 필요한 조처를 취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여 선박 내에 적재된 스페어 파트를 관리하고, 주요 장비의 부품 교체 시기를 자동적으로 검사하여 필요한 스페어 파트 목록을 하드 카피(Hard Copy)로 출력하게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사전에 준비할 수 있으며, 선박 내 스페어 파트 및 주요 장비의 부품 교체 시기 등에 대한 정보를 육상의 기지로 보내 이중검토가 가능하다.
스페어 파트, 태그, 리더기, 중앙컴퓨터, 육상기지

Description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spare parts of a ship using ubiquitous technolog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내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스페어 파트 11 : 태그
20 : 리더기 30 : 무선네트워크
40 : 중앙컴퓨터 50 : 안테나
60 : 육상기지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RFID와 ZigBee 및 RuBee(IEEE 1902.1) 등의 무선통 신기술을 이용하여 선박 내 여러 스페어 파트(Spare Part)나 부품들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선박 내 스페어 파트를 관리하기 위해서 선원들이 주기적으로 스페어 파트를 수작업으로 점검하여 관련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업은 많은 시수와 노력이 필요하고, 부족한 스페어 파트의 준비에 대한 응답시간이 상대적으로 늦기 때문에 선박의 운항에 있어 심각한 차질이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선박의 갑판과 기관실 등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은 스페어 파트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해 주어야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며,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술(Ubiquitous Technology)을 이용하여 선박 내의 주엔진, 발전기(Generator), 과급기(Turbo Charge), 펌프 등의 기관실 장비와 갑판에 설치된 여러 장비의 스페어 파트(Spare Part)를 관리하고, 주요 장비의 부품 교체 시기를 자동적으로 검사하여 필요한 스페어 파트를 작업자에게 인지시키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선박 내 스페어 파트 및 주요 장비의 부품 교체 시기 등에 대한 정보를 육상의 기지로 보내 이중검토(Double Check)를 가능하게 하고, 부족하거나 필요한 스페어 파트를 선박의 입항 전에 마련하여 미리 준비할 수 있게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선박용 스페어 파트나 부품 박스에 태그를 부착하여 코드(Code)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스페어 파트나 부품 박스 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리더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리더기에서 읽혀진 정보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컴퓨터에서 취합하고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취합 및 평가된 스페어 파트나 부품들에 대한 정보를 육상기지로 전송하고, 필요한 조처를 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무선네트워크의 무선통신체계는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RFID나 ZigBee 또는 450K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RuBee(IEEE 1902.1)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스페어 파트나 부품들에 대한 정보는 위성통신망을 위한 안테나를 이용하여 육상기지로 전송되며, 이중검토(Double Check)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내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의 공정도 및 개략적인 구성도로써, 선박용 스페어 파트(10)나 부품 박스에 태그(11)를 부착하여 코드(Code)를 부여하는 단계(S10)와; 상기 스페어 파트(10)나 부품 박스 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리더기(20)를 설치하는 단계(S20)와; 상기 리더기(20)에서 읽혀진 정보는 무선네트워크(30)를 통해 중앙컴퓨터(40)에서 취합하고 평가하는 단계(S30)와; 상기 취합 및 평가된 스페어 파트(10)나 부품들에 대한 정보를 육상기지(60)로 전송하고, 필요한 조처를 취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네트워크(30)의 무선통신체계는 2.4GHz 주파수 대역의 RFID나 ZigBee 또는 RuBee(IEEE 1902.1)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RuBee(IEEE 1902.1)는 450K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선박 내의 복잡한 구조물이나 철판 등의 장애물에 대해서 2.4GHz대를 사용하는 RFID나 ZigBee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며, 하나의 배터리로 10년 이상 사용 가능하므로 매우 효율적인 통신 기술이다.
상기 스페어 파트(10)나 부품들에 대한 정보는 위성통신망을 위한 안테나(50)를 이용하여 육상기지(60)로 전송되며, 이중검토(Double Check)가 가능하다.
상기 선박용 스페어 파트(10)나 부품 박스에 부착될 태그(11)는 세라믹이나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작동거리는 100m이내이고, 상기 태그(11)는 이동이 가능한 소형 부품이나 스페어 파트(10)용 박스에 부착하며, 이동성이 희박한 주요 장비에도 태그(11)를 부착하게 된다.
또한, 이동성이 없는 곳에 위치한 태그(11)를 위해서는 지형 장애물을 고려하여 10m 이내의 위치에 리더기(20)를 설치하고, 이동성이 있는 박스 및 스페어 파 트(10)를 위해서는 이동시 선박 내에서 반드시 지나쳐야 하는 기관실 출입구와 갑판으로 통하는 출입구 등에 리더기(20)를 설치하고, 접근성이 어려운 곳에 위치한 스페어 파트(10) 관리에 대해서는 이동식 리더기(20)를 이용한다.
상기 태그(11)로부터 리더기(20)를 통해 읽혀진 정보들은 유선 또는 무선네트워크(30)를 거쳐 중앙컴퓨터로 전송되고, 전송된 데이터들은 기계 정비 일정을 계획하고, 안내하는 PMS(Planned Maintenance System)와 연계하여 스페어 파트(10) 및 부품 가이드의 이력은 중앙컴퓨터(40)의 log파일에 저장된다.
상기 각 스페어 파트(10)나 부품들의 이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저장될 항목은 도 3의 선박 내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보여주는 참고도와 같이, 각 스페어 파트(10)나 부품들의 종류, 개수, 사용기간, 비고 등이며, 상기 log파일은 정기적으로 프린터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출력되어 작업자의 검토를 거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어 파트(10) 관리 시스템은 선박 내 스페어 파트(10)나 부품들이 적절한 때와 장소에서 유지 보수되도록 작업자에게 관련 정보를 공급한다.
선박이 항해 중일 경우, 스페어 파트(10)나 부품에 대한 정보를 육상기지(60)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인말샛(InmarSat)이나 팬암샛(PanAnSat) 등의 선박용 고속 위성통신망을 위한 안테나(50)를 사용하고, 상기 인말샛(InmarSat)의 경우 위성이동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며, 64kbps의 속도로 인터넷이나 전자우편을 사용할 수 있어 선박에서 송출되는 정보를 데이터 파일로 전송가능하고, 상기 팬암샛(PanAnSat) 경우 MVSAT(Maritime Very Small Aperture Terminal)를 사용하여 512kbps로 데이터를 위성통신 할 수 있다.
상기 육상기지(60)에서는 선박으로부터 도착한 정보를 육상의 주문/발주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전송받은 데이터들을 토대로 부족하거나 필요한 부품들을 선박이 입항하기 전에 주문/발주할 수 있으며, 현재 운항 중인 선박의 내부 스페어 파트(10)나 부품 상태를 시시각각 검토할 수 있으므로 필요 시 선박의 적절한 지시사항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여 선박 내에 적재된 스페어 파트를 관리하고, 주요 장비의 부품 교체 시기를 자동적으로 검사하여 필요한 스페어 파트 목록을 하드 카피(Hard Copy)로 출력하게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사전에 준비할 수 있으며, 선박 내 스페어 파트 및 주요 장비의 부품 교체 시기 등에 대한 정보를 육상의 기지로 보내 이중검토(Double Check)가 가능하다.
상기 이중검토는 선박 내의 부족하거나 필요한 스페어 파트를 선박의 입항 전에 주문/발주 등을 통해 제때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스페어 파트를 선박의 입항 후 뒤늦게 주문/발주하는 등의 불필요한 시수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선박용 스페어 파트(10)나 부품 박스에 태그(11)를 부착하여 코드(Code)를 부여하는 단계(S10)와;
    상기 스페어 파트(10)나 부품 박스 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리더기(20)를 설치하는 단계(S20)와;
    상기 리더기(20)에서 읽혀진 정보는 무선네트워크(30)를 통해 중앙컴퓨터(40)에서 취합하고 평가하는 단계(S30)와;
    상기 취합 및 평가된 스페어 파트(10)나 부품들에 대한 정보를 육상기지(60)로 전송하고, 필요한 조처를 취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네트워크(30)의 무선통신체계는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RFID나 ZigBee 또는 450K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RuBee(IEEE 1902.1)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파트(10)나 부품들에 대한 정보는 위성통신망을 위한 안테나(50)를 이용하여 육상기지(60)로 전송되며, 이중검토(Double Check)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
KR1020060063086A 2006-07-05 2006-07-05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 KR10074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086A KR100749392B1 (ko) 2006-07-05 2006-07-05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086A KR100749392B1 (ko) 2006-07-05 2006-07-05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392B1 true KR100749392B1 (ko) 2007-08-14

Family

ID=3860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086A KR100749392B1 (ko) 2006-07-05 2006-07-05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3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0647B2 (en) 2008-12-19 2012-10-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integrally managing ship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4361481A (zh) * 2014-12-08 2015-02-18 山东中创软件工程股份有限公司 船舶进出辖区的自动识别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711A (ko) * 2006-04-07 2006-04-26 강인철 알에프아이디카드가 설치된 선박부품용 보관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711A (ko) * 2006-04-07 2006-04-26 강인철 알에프아이디카드가 설치된 선박부품용 보관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0647B2 (en) 2008-12-19 2012-10-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integrally managing ship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4361481A (zh) * 2014-12-08 2015-02-18 山东中创软件工程股份有限公司 船舶进出辖区的自动识别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imino et al. Evaluating the impact of smart technologies on harbor’s logistics via BPMN modeling and simulation
CN102637027A (zh) 铁路信号设备检修控制系统和方法
CN103543711B (zh) 一种钢板余料监控方法和系统
CN102723002A (zh) 一种基于rfid技术的船舶过闸管理系统及其方法
CN104573971A (zh) 基于射频和wifi技术的金属矿山井下安全数字化管理系统
CN104076767B (zh) 铁路信号设备检修控制系统和方法
US201102159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data of personnel
CN101930230B (zh) 地铁屏蔽门远程故障定位及维护系统
Aydos et al. RFID-based system for Lean Manufacturing in the context of Internet of Things
KR100749392B1 (ko)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스페어 파트 관리 시스템
CN104362739B (zh) 一种变电站智能巡视系统及方法
Paik et al. Characteristics of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ull-scale ship application
CN103852107A (zh) 生鲜食品物流用远程温湿传感系统
Denkena et al. Interpretation and optimization of material flow via system behavior reconstruction
KR101401469B1 (ko) It융합형 해상 수송네트웍 통합 관리 기반의 온실가스-에너지 절감 지향 최적 경제안전운항 시스템
CN104346840A (zh) 巡逻信息上传装置及其巡逻信息确认系统
CN102663898A (zh) 一种利用雷达技术实现海缆维护的监控与管理系统及方法
KR102558165B1 (ko) 안벽 호선 환경 변화에 따른 공정 스케줄 최적화 시스템
KR20160132697A (ko) 유통 물류 산업의 온실가스 저감형 그린 체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avalli et al. Port of the Future-Addressing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at the Port of Livorno with 5G
WO2019145497A1 (en) Process management with location identification
Hoff-Hoffmeyer-Zlotnik et al. Automobile Logistics 4.0: Advances Through Digitalization
Osmolski et al. Logistics 4.0–Digitalization of the Supply Chains
CN106779386A (zh) 基于二维码的邮轮舱室建造管理系统及方法
KR102639929B1 (ko) 도크 블록 정보 및 작업지원 설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