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516B1 -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516B1
KR100748516B1 KR1020010060193A KR20010060193A KR100748516B1 KR 100748516 B1 KR100748516 B1 KR 100748516B1 KR 1020010060193 A KR1020010060193 A KR 1020010060193A KR 20010060193 A KR20010060193 A KR 20010060193A KR 100748516 B1 KR100748516 B1 KR 10074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oor
dust
vacuum clea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188A (ko
Inventor
류호선
남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5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팬 및 집진부를 구비한 본체와, 일단은 상기 본체와 연통되고 타단은 실내의 각 공간을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주흡입관과, 상기 주흡입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공간의 벽으로 연장되는 분지흡입관과, 저부에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헤드와, 상기 흡입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연장관과, 상기 분지흡입관과 상기 연장관이 상호 연통되게 접속될 수 있도록 벽에 형성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상기 실내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구동부와; 일단은 상기 흡입구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주흡입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흡입관과; 상기 케이싱이 설치된 공간의 습기 또는 먼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가 개방되게 상기 도어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실내의 다습한 영역에 배치되어 유체를 흡입함으로써 습기 또는 먼지를 흡입 및 제거할 수 있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SUCTION APPARATUS FOR CENTRAL DUST COLLECTION TYPE VACUUM CLEANER}
도 1은 종래의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의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흡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본체의 종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의 흡입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7은 도 2의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본체 11 : 흡입팬
15 : 토출관 17 : 필터부재
21 : 주흡입관 23 : 분지흡입관
25 : 흡입헤드 33 : 전면케이싱
34 : 흡입구 35 : 연결흡입관
36 : 토출구 37 : 도어
39 : 고온공기공급관 41 : 도어구동부
42 : 랙치형부 44 : 피니언
46 : 도어구동모터 47 : 습기감지센서
49 : 먼지감지센서 51 : 슬라이딩가이드
53 : 절환밸브 54 : 개폐밸브
55 : 필터부 57 : 온도감지센서
59 : 히터 61 : 제어부

본 발명은,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다습한 영역에 배치되어 유체를 흡입함으로써 습기 또는 먼지를 흡입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과 흡입팬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유체와 함께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구비한 본체와, 본체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장관과, 저부면에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구비되고 연장관의 끝단에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흡입헤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하부에 바퀴를 구비하여 청소시 흡입헤드와 함께 본체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어, 사용이 번거롭고 흡입팬의 구동시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흡입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비교적 온도가 높고 냄새를 발산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체를 사용자의 거주 실내공간과 분리되는 영역에 설치하고, 실내의 각 구획공간내에 본체와 상호 연통되는 흡입관을 매설하고, 각 구획공간에 흡입관과 연통되는 연장관접속부를 마련하여, 해당 구획공간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연장관을 해당 연장관접속부에 접속하여 청소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이용이 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는,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미도시)과 유체와 함께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실내와 소음이 차단가능한 베란다(105) 또는 실외에 배치되는 본체(111)와, 일단은 본체(111)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실내의 각 공간(103)을 경유하도록 벽(107)내에 매설되는 흡입관(113)과, 저부에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헤드(117)와, 일단은 흡입헤드(117)에 연결되는 연장관(115)과, 연장관(115)이 흡입관(113)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해당 공간의 벽(107)에 형성되는 연장관접속부(119)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해당 공간(103)을 청소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는 연장관(15) 및 흡입헤드(117)를 가지고 청소하고자 하는 공간(103)으로 이동하고, 연장관(15)을 해당 공간(103)의 연장관접속부(119)에 삽입결합한 상태에서 연장관(115)에 형성된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흡입팬이 구동되도록 한다.
흡입팬이 구동을 개시하면 흡입헤드(117)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체와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고, 흡입된 유체 및 이물질은 연장관(115) 및 흡입관(113)을 통해 집진부의 내부로 유입된다. 집진부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팬을 통해 본체(111)의 외부로 토출되고, 먼지 및 이물질은 집진부의 내부에 포집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는 주로 실내 공간의 바닥면을 청소하도록 되어 있을 뿐이고, 천장영역, 가구의 상측 또는 다습한 곳, 예를 들면 붙박이장의 내부 등과 같은 영역은 청소도구의 접근이 곤란하고, 또 적절히 청소할 만한 도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다습한 영역에 배치되어 유체를 흡입함으로써 습기 또는 먼지를 흡입 및 제거할 수 있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흡입된 유체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구비한 본체와, 일단은 상기 본체와 연통되고 타단은 실내의 각 공간을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주흡입관과, 상기 주흡입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공간의 벽으로 연장되는 분지흡입관과,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헤드와, 일단은 상기 흡입헤드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흡입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연장관과, 상기 분지흡입관과 상기 연장관이 상호 연통되게 접속될 수 있도록 벽에 형성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상기 실내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구동부와; 일단은 상기 흡입구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주흡입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흡입관과; 상기 케이싱이 설치된 공간의 습기 또는 먼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가 개방되게 상기 도어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는 습기를 감지하는 습기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상기 도어와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랙치형부와, 상기 랙치형부와 맞물림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구동시키는 도어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본체의 토출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는 고온공기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온공기공급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고온공기공급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흡입구를 개방하는 제1개방위치와,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를 가지고 구동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설치영역의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의 설치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흡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본체의 종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의 흡입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는,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11)과,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12)를 구비하여 실내의 거주 공간에 소음이 전달되지 않도록 격리된 장소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일단은 본체(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각 실내공간을 경유하도록 벽속에 매설되는 주흡입관(21)과, 주흡입관(21)으로부터 각 실내공간의 일측 벽으로 분기되는 분지흡입관(23)과, 저부에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헤드(25)와, 일단은 흡입헤드(25)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흡입헤드(25)로부터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연장관(27)과, 연장관(27)의 타단이 각 실내 공간에서 분지흡입관(23)과 상호 연통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속부(29)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13)과, 본체케이싱(13)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11)과, 흡입팬(11)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유체와 함께 흡입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 팬(11)의 유출측에는 유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관(15)이 구비되어 있으며, 토출관(15)의 입구영역에는 공기중의 미세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17)가 마련되어 있다.
실내의 거주 공간중 다습하거나 먼지가 많은 영역 또는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영역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천장영역(5) 및 붙박이장(7)의 내부에 본 흡입장치(3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흡입장치(31)는, 판면을 관통하여 흡입구(34) 및 토출구(36)가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방향을 따라 상호 대면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싱(33) 및 후면케이싱(미도시)과, 전면케이싱(33)의 배면에 배치되어 흡입구(34) 및 토출구(36)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도어(37)와, 도어(37)를 구동시키는 도어구동부(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면케이싱(33)의 전면부에는 설치영역의 습기를 감지하는 습기감지센서(47)가 구비되어 있으며, 습기감지센서(47)의 일측에는 주변의 먼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먼지감지센서(49)가 마련되어 있다.
전면케이싱(33)의 배면에는 흡입구(34) 및 토출구(36)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37)가 배치되어 있으며, 도어(37)의 양측에는 도어(37)를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가이드(5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어구동부(41)는, 도어(37)의 일측연부에 도어(37)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랙치형부(42)와, 랙치형부(42)와 상호 치형결합되는 피니언(44)과, 피니언(44)을 회전구동시키는 도어구동모터(4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흡입구(34)에는 일단이 주흡입관(21)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연결흡입관(35)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으며, 토출구(36)에는 일단이 본체(10)의 토출관(15)으로부터 분기된 고온공기공급관(39)이 접속되어 있다.
고온공기공급관(39)의 분기영역에는 본체(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고온공기공급관(39) 또는 토출관(15)으로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절환하는 절환밸브(53)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온공기공급관(39)의 각 말단영역에는 개폐밸브(5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고온공기공급관(39)의 내부에는 본체(10)로부터 토출되어 실내로 복귀되는 공기중의 미세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부(55)가 형성되어 있다. 고온공기공급관(39)의 내부에는 본체(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센서(57)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온공기공급관(39)의 각 말단영역에는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59)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7은 도 2의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부(6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부(61)에는 흡입팬(11), 도어구동모터(46), 히터(59) 및 절환밸브(53)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61)에는 또한, 이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습기감지센서(47), 온도감지센서(57) 및 먼지감지센서(49)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습기감지센서(47)에 의해 케이싱의 주변의 습도가 감지되면 제어부(61)는 습기감지센서(47)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흡입구(34)가 개방 되도록 도어구동모터(46)를 제어한다. 이와 거의 동시에 제어부(61)는 흡입팬(11)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케이싱(33)의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61)는 습기감지센서(47)의 감지결과 매우 다습한 경우로 판단되면 도어구동모터(46)를 제어하여 토출구(36)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와 거의 동시에 고온공기공급관(39)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절환밸브(53)를 제어하고, 해당 토출구(36)에 연결된 고온공기공급관(39)의 개폐밸브(54)를 개방되도록 한다.
이 때, 온도감지센서(57)는 고온공기공급관(39)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부(61)는 온도감지센서(57)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공기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해당 히터(59)를 동작시킨다.
또, 제어부(61)는 먼지감지센서(49)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흡입팬(11)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케이싱(33) 주변에 먼지가 퇴적되는 것을 억제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흡입구와 주흡입관을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연결흡입관과, 흡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를 구동시키는 도어구동부와, 주변의 습기를 감지하는 습기감지센서와, 습기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도어구동부 및 흡입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실내의 비교적 다습하고 접근이 곤란한 영역에 배치되어 습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유체를 흡입함으로써 습기를 흡입/제거할 수 있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1)

  1.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흡입된 유체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구비한 본체와, 일단은 상기 본체와 연통되고 타단은 실내의 각 공간을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주흡입관과, 상기 주흡입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공간의 벽으로 연장되는 분지흡입관과,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저부에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헤드와, 일단은 상기 흡입헤드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흡입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연장관과, 상기 분지흡입관과 상기 연장관이 상호 연통되게 접속될 수 있도록 벽에 형성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상기 실내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구동부와;
    일단은 상기 흡입구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주흡입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흡입관과;
    상기 케이싱이 설치된 공간의 습기 또는 먼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가 개방되게 상기 도어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습기를 감지하는 습기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상기 도어와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랙치형부와, 상기 랙치형부와 맞물림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구동시키는 도어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구가 개방되게 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의 먼지가 흡입되게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본체의 토출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는 고온공기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공기공급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중의 미세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공기공급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공기공급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흡입구를 개방하는 제1개방위치와,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제2개방위치를 가지고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20010060193A 2001-09-27 2001-09-27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074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93A KR100748516B1 (ko) 2001-09-27 2001-09-27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93A KR100748516B1 (ko) 2001-09-27 2001-09-27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188A KR20030028188A (ko) 2003-04-08
KR100748516B1 true KR100748516B1 (ko) 2007-08-13

Family

ID=2956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193A KR100748516B1 (ko) 2001-09-27 2001-09-27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87B1 (ko) * 2014-01-14 2014-08-25 이춘우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붙박이 청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392A (ja) * 1995-08-10 1997-02-18 Takasago Thermal Eng Co Ltd 中央式真空掃除設備を利用した乾燥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392A (ja) * 1995-08-10 1997-02-18 Takasago Thermal Eng Co Ltd 中央式真空掃除設備を利用した乾燥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188A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817A (en) Edge and spot cleaning system for vacuum cleaners
CN101357052A (zh) 立式真空吸尘器
KR101487791B1 (ko) 흡입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748516B1 (ko)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70052446A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65898B1 (ko) 전기 진공 청소기
KR100901026B1 (ko) 로봇 청소기
JP2007170789A (ja) 空気調和機
JP4289298B2 (ja) 手乾燥装置
EP126769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KR101305326B1 (ko) 공기조화기
JP2010115360A (ja) 電気掃除機
KR102147043B1 (ko) 콘덴서 크리닝 의류건조기
KR100628197B1 (ko) 배기 환류식 업라이트 청소기
KR100854144B1 (ko) 청소로봇
KR100417428B1 (ko) 물청소 가능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
JP436935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698114B1 (ko) 진공청소기용 노즐어셈블리
KR100667861B1 (ko) 진공청소기
KR100913189B1 (ko) 공기정화 및 분진배출장치
KR200322350Y1 (ko) 로봇청소기의 수동겸용 장치
JP2513522Y2 (ja) レンジフ―ド
KR0136092Y1 (ko) 공기조화기
KR100751934B1 (ko)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
KR20080058730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