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147B1 -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 Google Patents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147B1
KR100748147B1 KR1020050062588A KR20050062588A KR100748147B1 KR 100748147 B1 KR100748147 B1 KR 100748147B1 KR 1020050062588 A KR1020050062588 A KR 1020050062588A KR 20050062588 A KR20050062588 A KR 20050062588A KR 100748147 B1 KR100748147 B1 KR 100748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s
smsc
short message
mobile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791A (ko
Inventor
이동철
고재창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62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1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MSC가 가입자에게 단문메시지를 바로 송신하지 않고 단문메시지의 도달 여부만을 통보한 후, 해당 가입자의 ARS 접속에 의한 비밀번호 확인과,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의 확인이 되면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므로써, 불법 복제 휴대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불법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으로서, 상기 SMSC는 ARS를 이용한 SMS(Short Message Service)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HLR(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SMSC는 상기 단문메시지가 상기 SMSC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도달통보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SMSC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자 인증을 하는 단계와; 상기 SMSC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RS, 단문메시지

Description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A Short Message Service Us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단문메시지 송수신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에 관한 절차도이다.
본 발명은, SMSC가 가입자에게 단문메시지를 바로 송신하지 않고 단문메시지의 도달 여부만을 통보한 후, 해당 가입자의 ARS 접속에 의한 비밀번호 확인과,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의 확인이 되면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므로써, 불법 복제 휴대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불법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CDMA나 GSM 등과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은 휴대단말기 간에 단문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단문메시지 송신 및 수신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방법을 살펴보면, 송신측 휴대단말기에서 작성한 단문메시지는 송신 측 MSC(Mobile Switching Center, 이동교환국)를 거쳐서, 상기 MSC에 가장 가까운 SMSC로 전송된다.
상기 SMSC는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현재위치 등이 등록되어 있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에 접속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상기 SMSC는 수신측 MSC와 BTS를 거쳐서, 상기 단문메시지를 호출채널 상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한다.
휴대단말기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휴대단말기 전화번호)와 ESN(Electronic Serial Number, 휴대단말기 고유번호)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휴대단말기와 HLR에 등록되어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전원을 켰을때, 상기 휴대단말기내에 저장된 MIN, ESN과 상기 HLR에 등록되어 있는 MIN과 ESN을 비교하므로써, 상기 휴대단말기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는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가 HLR에 저장된다.
그런데, 상기 휴대단말기의 MIN과 ESN을 다른 휴대단말기에 그대로 탑재한 불법복제 휴대단말기가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불법복제 휴대단말기로 인해, SMSC는 단문메시지 전송시, 휴대단말기의 불법복제 여부의 확인 절차 없이 어느 휴대단말기이든지 가장 최근에 HLR에 위치등록한 휴대단말기로 단문메시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불법복제 휴대단말기가 있는 경우, 진성 가입자가 단문메시지를 제 대로 수신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SMSC가 가입자에게 단문메시지를 바로 송신하지 않고 단문메시지의 도달 여부만을 통보한 후, 해당 가입자의 ARS에 접속에 의한 비밀번호 확인과,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의 확인이 되면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므로써, 불법 복제 휴대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불법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든 단문메시지, 특정한 형태의 단문메시지 또는 수신측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HLR에 미리 등록한 특정 전화번호 등과 같은 유형별로, 불법복제 휴대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불법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으로서, 송신측 휴대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SMSC로 전송하는 SMSC전송단계와; 상기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는,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ARS에 접속하여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ARS를 이용한 SMS(Short Message Service)에 가입되었는지 여부, 상기 가입된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 및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HLR(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조회하는 서비스조회단계와; 상기 서비스조회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된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단문메시지가 상기 SMSC에 도 달했음을 알리는 도달통보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도달통보단계와; 상기 SMSC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자 인증을 하는 가입자인증단계와; 상기 가입자인증단계에서 상기 가입자 인증이 된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HLR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하는 위치정보확인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확인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SMS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HLR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었는지 여부와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을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SMSC는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비밀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은,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되는 모든 단문메시지, 수신측번호에 '#'이 추가되어 송신되는 단문메시지, 또는 상기 HLR에 등록된 발신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상기 ARS를 이용한 SMS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은, 송신휴대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SMSC로 전송하는 SMSC전송단계와; 상기 SMSC는,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ARS에 접속하여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가입된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을 상기 SMSC에서 검색하고, 상기 SMSC는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상기 HLR로부터 조회하는 서비스조회단계와; 상 기 서비스조회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된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단문메시지가 상기 SMSC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도달통보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도달통보단계와; 상기 SMSC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자 인증을 하는 가입자인증단계와; 상기 가입자인증단계에서 상기 가입자 인증이 된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HLR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하는 위치정보확인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확인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SMS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MSC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었는지 여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 및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비밀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은,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되는 모든 단문메시지, 수신측번호에 '#'이 추가되어 송신되는 단문메시지, 또는 상기 SMSC에 등록된 발신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상기 ARS를 이용한 SMS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달통보메시지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로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콜백코드(Callback Cod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서비스조회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 용한 SMS에 가입되지 않거나,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가 상기 HLR에 저장된,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수신측 MSC로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MSC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입자인증단계에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자 인증이 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수신측 MSC(Mobile Switching Center)에 비밀번호 미확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MSC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비밀번호 미확인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는 셀룰라폰, PCS폰, PDA폰,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RS를 이용한 SMS는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ARS 접속을 통하여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ARS에 접속하여 비밀번호로 가입자 인증을 받은 후,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를 비교 및 확인하여 단문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이다.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는 휴대단말기 가입자가 별도로 서비스 가입을 하여야 하며, 가입자가 원하는 서비스유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ARS는,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비밀번호의 입력 및 전송을 안내하며, 상기 SMSC로 가입자 인증을 요청할 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통보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가입자 인증은 상기 SMSC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에 대해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비밀번호로 진성가입자 여부를 인증하는 절차이다.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에서 입력한 비밀번호가, 상기 ARS를 거쳐서 상기 SMSC로 전송되면, 상기 SMSC는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상기 전송받은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검증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 인증이 된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HLR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SMSC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로서, 송신측 휴대단말기의 단문메시지는, 상기 송신측 휴대단말기가 속한 셀(Cell)의 BTS와, 상기 BTS와 연결된 MSC를 거쳐서, 상기 MSC에서 가장 가까운 SMSC로 전송된다.
따라서, 송신측 휴대단말기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전송받은 SMSC는, 수신측 휴대단말기 정보가 등록된 HLR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었는지를 조회한다.
상기 SMSC는 상기 HLR로 조회한 후,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존의 일반적인 단문메시지 송신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도달통보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도달통보메시지는 상기 SMSC가, 상기 SMSC에 단문메시지가 도달했음을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통보하는 것으로서, 콜백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콜백코드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로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상기 콜백코드로 전송하면 상기 SMSC로 연결된다.
상기 HLR은 가입자의 MIN, ESN, 현재위치정보 및 그외에 가입자가 별도록 가입한 다양한 부가서비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홈위치등록기이다.
따라서, 상기 가입자의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MIN, ESN과 상기 HLR에 등록된 MIN, ESN을 모두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가입자마다 별도로 가입한, 음악링백톤, 3자통화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정보도 함께 저장 및 관리된다.
상기 MIN은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이며, ESN은 휴대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이다.
상기 HLR은 가입자가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한 경우, ARS를 이용한 SMS에 관한 가입정보가 저장되며, 서비스유형별로도 저장된다.
그러나,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여부와 서비스유형을 SMSC에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SMSC에는 상기 기능을 갖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등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유형은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되는 모든 단문메시지에 대해 적용하거나, 수신측 전화번호에 '#'이 추가되어 송신되는 단문메시지에 대해 적용하거나 또는 가입자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HLR 또는 SMSC에 별도로 등록한 송신측 휴대단말기의 단문메시지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
그 외에 다른 여러가지 방법으로 서비스유형의 추가가 가능하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셀룰라폰, PCS폰, PDA폰, 스마트폰 등의 단문메시지 전송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에 관한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좀 더 살펴보면, 도 2 (a)는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여부 확인요청과 도달통보메시지 통보에 관한 절차이다.
먼저, 발신측 휴대단말기에서 송신측 MSC로 단문메시지 전송요청을 하면(SMD-REQ), 상기 송신측 MSC는 SMSC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SMDPP).
상기 SMSC는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 및 각종 서비스 가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HLR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여부의 확인 요청을 하면(SMSREQ), 상기 HLR은 가입여부 및 서비스유형을 상기 SMSC로 확인하여 전송한다(smsreq).
또는, 상기 SMSC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여부 및 서비스유형을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여, 상기 SMSC에서 직접 검색할 수 도 있다. 이는 시스템 구현상 선택 가능하다.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었거나, 상기 단문메시지가 상기 서비스유형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SMSC는 수신측 MSC로 도달통보메시지를 전송하고(SMDPP), 상기 수신측 MSC는 상기 도달통보메시지를 통화채널 상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한다(SMD-REQ). 아울러, 상기 도달통보메시지에는 콜백코드, 예를 들면 *888과 같은 특정 코드를 포함하여 송신한다.
한편, 상기 절차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지 않거나,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가 상기 HLR 또는 상기 SMSC에 저장된 서비스유형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SMSC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단문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2 (b)는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자 인증 및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확인과 단문메시지의 송신에 관한 절차이다.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는 콜백코드에 의해 상기 ARS에 접속한다.
그러면, 상기 SMSC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비밀번호를 입력요청을 안내하고,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ARS로 전송한다(DTMF, Dual Tone Multifrequency로 응답).
그리고 나면, 상기 ARS는 상기 SMSC로 비밀번호 확인요청을 하고, 상기 SMSC는 상기 SMSC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전송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의 가입자 인증을 한다.
상기 가입자 인증이 되면, 상기 SMSC는 상기 HLR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 로 현재위치정보를 조회한다(SMSREQ).
그리고, 상기 SMSC는 상기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가 동일한지 비교한다.
상기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한다(SMDPP 및 SMD-REQ).
또한, 상기 SMSC는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완료를 상기 ARS로 통보하고, 상기 ARS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단문메시지 전달완료통보를 안내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대화형 단문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방법에 의하면, SMSC가 가입자에게 단문메시지를 바로 송신하지 않고 단문메시지의 도달 여부만을 통보한 후, 해당 가입자의 ARS 접속에 의한 비밀번호 확인과,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의 확인이 되면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므로써, 불법 복제 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불법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단문메시지, 특정한 형태의 단문메시지 또는 등록된 특정 발신번호와 같이 유형별로, 불법복제 휴대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불법 수신하는 것을 선별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11)

  1.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휴대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SMSC로 전송하는 SMSC전송단계와;
    상기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는,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ARS에 접속하여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ARS를 이용한 SMS(Short Message Service)에 가입되었는지 여부, 상기 가입된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 및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HLR(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조회하는 서비스조회단계와;
    상기 서비스조회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된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단문메시지가 상기 SMSC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도달통보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도달통보단계와;
    상기 SMSC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자 인증을 하는 가입자인증단계와;
    상기 가입자인증단계에서 상기 가입자 인증이 된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HLR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하는 위치정보확인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확인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SMS송신단계를 포함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LR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었는지 여부와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을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SMSC는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비밀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은,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되는 모든 단문메시지, 수신측번호에 '#'이 추가되어 송신되는 단문메시지, 또는 상기 HLR에 등록된 발신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상기 ARS를 이용한 SMS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4.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송신휴대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SMSC로 전송하는 SMSC전송단계와;
    상기 SMSC는,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ARS에 접속하여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가입된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을 상기 SMSC에서 검색하고, 상기 SMSC는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상기 HLR로부터 조회하는 서비스조회단계와;
    상기 서비스조회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된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단문메시지가 상기 SMSC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도달통보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도달통보단계와;
    상기 SMSC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자 인증을 하는 가입자인증단계와;
    상기 가입자인증단계에서 상기 가입자 인증이 된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HLR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확인하는 위치정보확인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확인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SMS송신단계를 포함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SMSC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었는지 여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 및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비밀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은,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송신되는 모든 단문메시지, 수신측번호에 '#'이 추가되어 송신되는 단문메시지, 또는 상기 SMSC에 등록된 발신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상기 ARS를 이용한 SMS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달통보메시지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로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콜백코드(Callback C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조회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지 않거나,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가 상기 HLR에 저장된,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수신측 MSC로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MSC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인증단계에서 상기 ARS를 이용한 SMS의 가입자 인증이 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와 ARS 접속시점의 위치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SMSC는 상기 수신측 MSC(Mobile Switching Center)에 비밀번호 미확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MSC가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비밀번호 미확인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셀룰라폰, PCS폰, PDA폰,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조회단계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상기 ARS를 이용한 SMS에 가입되지 않거나,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가 상기 SMSC에 저장된, ARS를 이용한 SMS의 서비스유형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SMSC가 상기 수신측 MSC로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MSC에서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 상기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KR1020050062588A 2005-07-12 2005-07-12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KR10074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588A KR100748147B1 (ko) 2005-07-12 2005-07-12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588A KR100748147B1 (ko) 2005-07-12 2005-07-12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791A KR20070008791A (ko) 2007-01-18
KR100748147B1 true KR100748147B1 (ko) 2007-08-09

Family

ID=3801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588A KR100748147B1 (ko) 2005-07-12 2005-07-12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1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952A (ko) * 2003-12-29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93533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이동 통신 단말 불법 복제 방지 방법
KR20060039075A (ko) *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복제 검사 방법
KR20060042027A (ko) * 2004-02-19 2006-05-12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Sms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952A (ko) * 2003-12-29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60042027A (ko) * 2004-02-19 2006-05-12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Sms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3533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이동 통신 단말 불법 복제 방지 방법
KR20060039075A (ko) *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복제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791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2828B1 (en) Missed call notification to cellular telephone using short text messaging
US719096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ervice to multiple mobile stations having a common subscriber identifier
EP1499151A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activation of a wireless device
JP200018444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クローン端末検出方法
CN101321394B (zh) 一种主叫用户号码鉴权的方法及系统
US5615267A (en) Method for adaptively switching between PCS authentication schemes
CN1949889B (zh) 一种实现呼叫业务的方法和装置
CN103379450A (zh) 漏话通知方法、装置及系统
WO2007143922A1 (fr) Méthode de gestion de services de messagerie, module, réseau, terminal et système de communication
KR100748147B1 (ko) Ars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KR100882941B1 (ko) 아웃 바운드 로밍 이동 단말기에 대한 등기 문자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27768B1 (ko) 메시지 수신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44206B1 (ko) 대화형 단문메시지 송수신방법
KR100811809B1 (ko) 특정 구역 내의 발신 통화에 대한 통합 과금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KR100851588B1 (ko) 메시지 사서함 서버에 저장된 메시지 제공방법 및 이를위한 미디어 전달 서버
CN100423609C (zh) 一种接入移动通信装置的方法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KR101468431B1 (ko) 스펨 전화 차단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5004511A1 (en) Additional number provision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628935B1 (ko) 선택적 착신 제한 서비스 방법
KR101051021B1 (ko) 착신 이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53219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제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착신된 메시지 및 착신 전화 번호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3275B1 (ko)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KR100806512B1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선택적 발신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22822A (ko) 문자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