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926B1 -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제조방법과 그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제조방법과 그 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926B1
KR100746926B1 KR1020060019322A KR20060019322A KR100746926B1 KR 100746926 B1 KR100746926 B1 KR 100746926B1 KR 1020060019322 A KR1020060019322 A KR 1020060019322A KR 20060019322 A KR20060019322 A KR 20060019322A KR 100746926 B1 KR100746926 B1 KR 10074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ow
temperature resin
low temperatur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진
Original Assignee
이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진 filed Critical 이순진
Priority to KR102006001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린필름을 제조방법과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원료인L/D폴리에틸렌 콤파운드에 누크렐폴리머 파우더입자를 일정한 비율로 건식 콤파운드 상태로 배합하여 고주파 가열기를 통과할 때 이 건식 콤파운드 상태로 배합하여 고주파 가열기를 통과시킬 때 이 혼합물이 용융상태로 되어 혼합하기 전의 용융온도 320℃~330℃보다 현저히 낮은 300℃ 이하에서 혼합 콤파운드 원료를 용융시켜 필림상태로 낙하할 때 용융폴리에틸렌을 중심으로 양면에 공급되는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이 밀착되는 과정에서 용융 접합하는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제조방법과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닐계 포장지를 생산하기 위한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을 압착 코팅하는데 있어서, 중간접합제인 L/D 폴리에틸렌콤파운드와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입자를 각각 1:99 또는 99:1의 비율 범위 안에서 콤파운드 상태로 배합하여 300℃ 이하의 저온에서 상기 콤파운드를 융해시킨 후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의 접합부위에 고주파가열에 의한 용융필름형상으로 연속 삽입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셀로판지 정착지필름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름 호퍼 관로 냉각로울러 우레탄로울러 저온수지 콤파운드 바켓용기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입자 L/D 폴리에틸렌콤파운드 제2교반용 호퍼 제1교반용 호퍼 고주파 가열기 용융원료배출구

Description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제조방법과 그 접합방법{Method of Lower Temperature Resin Polyethlene Film and Joining for Cellophane Film and Contact Film Joining of Low Tempera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름이 연속 압출되는 형상을 나타낸 계락도
도 2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름 양면에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을 로울러 압착으로 각각 접합하여 코일링 한 계락도
도 3은 주원료인 L/D 폴리에틸렌콤파운드와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입자를 건식배합하여 저온수지 콤파운드를 조성하는 설명도
도 4는 도 2의 공정과정을 거쳐 코팅이 완성된 필름제품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셀로판지 2: 정착지필름
3: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름 4: 호퍼
5: 관로 6: 냉각로울러
7: 우레탄로울러 10: 저온수지 콤파운드
11: 바켓용기 12: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입자
13: L/D 폴리에틸렌콤파운드 14: 제2교반용 호퍼
15: 제1교반용 호퍼 20: 고주파 가열기
25: 용융원료배출구
본 발명은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린필름을 제조방법과 그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원료인L/D폴리에틸렌 콤파운드에 누크렐폴리머 파우더입자를 일정한 비율로 건식 콤파운드 상태로 배합하여 고주파 가열기를 통과할 때 이 건식 콤파운드 혼합물이 고주파열에 의해 용융된다.
상기에 있어 콤파운드를 혼합하기 전의 L/D폴리에틸렌 단일원료의 용융온도320℃~330℃보다 현저히 낮은 300℃ 이하에서 혼합 콤파운드 원료를 용융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용융폴리에틸렌필름을 고주파 가열기의 배출구를 통하여 압출하게 되면 얇은 박판 현상의 필름으로 연속 생산되게 한다.
이 박판 필름(용융폴리에틸렌)을 중심으로 양면에 공급되는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이 밀착되는 과정에서 용융 접합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의 제조방법과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은 고온 로울러 압착에 의한 접합이나 단일 폴리에틸렌 수지원료의 용융 압착에 의한 코팅방법으로 접합하는 수단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 용융을 위한 가열온도가 섭씨 320℃~330℃ 이상으로 가열시켜야 하므로 고열이 잔존한 상태에서 셀로판지와 정착지 필름이 접착되기 때문에 로울 접합단계에서 잔존열에 의한 접합필름의 형상 변형 즉 뒤틀림 현상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완제품 필름은 단위면적에 있어서 필름 평활도가 불균형하여 부분별로 처짐 현상과 뒤틀림 현상의 필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의 접합필름 소재의 표면은 정밀한 인쇄 및 조색공정에서 많은 불량요소를 발생시키거나 인쇄 표식의 섬세한 배치를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완제품 완성가공 단계에서 고속회전중에 필름이 파손되어 절단되는 현상으로 생산공정이 정지되는 커다란 문제점을 유발하기도 한다.
상기에 상술한 내용의 문제점들은 모두 용융폴리에틸렌의 필름생성이 너무 높은 고온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주원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 사용해 오던 L/D폴리에틸렌 콤파운드의 고온 용융성 원료를 화학적으로 변형하여 좀더 낮은 온도에서용융필름을 생성할 수 있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첨가제(누크렐폴리머파우더)를 혼합 반응케 하여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온도범위 이내에서 용융폴리에틸렌 필름이 연속적으로 생산되게 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과, 상기 용융폴리에틸렌 필름의 양면에 각각 셀로판지 필름과 정착지 필름을 평활도가 안정된 상태에서 접착 코팅되어 연속 생산되도록 하는 접착방법에 관한 기술을 완성하고자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완제품인 3중필름코팅제 즉, 셀로판지와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과 접착지 필름으로 접착된 비닐계 필름의 접착공정에서의 문제점으로는 제조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한 3종의 필름 소재가 변형되어 불규칙한 처짐 현상, 또는 뒤틀림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고온, 고열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저온용융 촉매제인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원료를 혼합하여 낮은 온도에서 용융 압출시킬 수 있게 되어 셀로판지와 정착지 필름을 양면에 접착코팅하는데 있어서 열변형에 의한 완제품소재의 처짐현상과 뒤틀림 현상이 없는 높은 수준의 평활도를 유지하는 제품이 생산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L/D 폴리에틸렌콤파운드와 첨가제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입자를 각각 1:99 또는 99:1의 비율 범위 안에서 배합하기 위하여 교반장치에 의해 고르게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된 원료인 저온수지콤파운드(10) 혼합물을 호퍼(4)에 넣고 고주파 가열기(20)를 통과시키면서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림(3)을 압출시키는 압출단계와,
상기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름(3)을 셀로판지(1) 와 정착지필름(2) 가운데에 통과하는 과정에서 앞면에는 셀로판지(1)를 공급하여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림(3)과 접합하게 하고 뒷면에는 정착지필림(2)을 공급하여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림(3)과 접합하게 하여 냉각공정을 통과한 후 완제품을 드럼에 로울러 형태로 감기게 한 것이다.
상기 L/D 폴리에틸렌콤파운드(13)와 첨가제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입자(12)는 건식 콤파운드 상태에서 배합하여 저온수지콤파운드(10)화 한다.
상기의 L/D 폴리에틸렌콤파운드(13)와 첨가제 누크렐폴리머 파우더 입자(12)를 1:99 또는 99:1의 비율 범위 안에서 콤파운드 상태에서 배합하여 저온수지 콤파운드(10)화 한 것으로, L/D 폴리에틸렌콤파운드(13)를 제1교반용 호퍼(15)에 투입하고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입자(12)를 제2교반용 호퍼(14)에 투입하여 제1교반용 호퍼(15)와 제2교반용 호퍼(14)을 작동하여 교반하여 인출하면 저온수지콤파운드(10)화 되어 용기(11)에 담아진다.
상기와 같이 L/D글리에틸렌 콤파운드(13)와 누크렐플리머파우더 입자(12)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원료인 저온수지콤파운드(10)를 도 1과 같은 호퍼(4)에 투입하면 저온수지콤파운드(10)가 관로(5)를 통과하고 고주파가열기(20)에서 300℃ 이하로 가열되면 고주파가열기(20)에 부착되어 있는 압출기의 압력에 의해 용융원료배출구(25)를 통과하면서 연속적으로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름(3)이 생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양면에 셀로판지(1)와 정착지필름(2)이 제1가이드로울러 (8)와 제2가이드로울러(9)의 조정에 의해 평활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접합로울러인 냉각로울러(6)와 우레탄로울러(7)를 압착된 상태로 통과하면서 반용융 상태에서 용 융 접합되어 통과하면 완제품 필름드럼에 감기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공정에서 기존의 원료를 사용할 때보다 본 발명에서 첨가하는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입자(12)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3)을 기존제품원료의 용융온도보다 20℃ 이상의 낮은 온도 즉 300℃이내에서 용융폴리에틸렌필름을 생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저온에서 용융폴리에틸렌 필름을 생산하게 되므로서 변형으로 인한 소재의 불안정한 조직의 조건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되어 고품질의 폴리에틸렌 필름 소재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320℃~33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L/D폴리에틸렌 원료보다 약 20~30℃ 낮은 300℃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완전히 용해되므로 고온의 열에너지 절약은 물론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양면에 접착되는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의 접착시 기존의 용융유지 온도보다 현저히 낮은 온도에서 압착코팅이 이루어지므로서 완제품의 평찰도에 영향을 초래하는 열변형에 의한 필름의 처짐현상과 뒤틀림현상을 완전히 제거하게 되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또한 압착 코팅작업시 300℃이하의 낮은온도에서 실행하므로 서 필름의 냉각시 수축변형과 셀로판지의 표면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식품의 포장시 방수성과 기밀성을 확보하게 된다.

Claims (3)

  1. L/D 폴리에틸렌콤파운드와 첨가제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입자를 각각 1:99 또는 99:1의 비율 범위 안에서 배합하기 위하여 교반장치에 의해 고르게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된 원료인 저온수지콤파운드 혼합물을 호퍼에 넣고 고주파 가열기를 통과시키면서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림을 압출시키는 압출단계와,
    상기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름을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 가운데에 통과하는 과정에서 앞면에는 셀로판지를 공급하여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림과 접합하게 하고 뒷면에는 정착지필림을 공급하여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 필림과 접합하게 하여 냉각공정을 통과한 후 완제품을 드럼에 로울러 형태로 감아서 됨을 특징으로 한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제조방법.
  2. 중간접합제인 L/D 폴리에틸렌콤파운드와 누크렐폴리머파우더 입자를 각각 1:99 또는 99:1의 비율 범위 안에서 콤파운드 상태로 배합하여 300℃ 이하의 저온에서 상기 콤파운드를 융해시킨 후 셀로판지와 정착지필름의 접합부위에 고주파가열에 의한 용융필름형상으로 연속 삽입한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의 접합방법.
  3. 삭제
KR1020060019322A 2006-02-28 2006-02-28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제조방법과 그 접합방법 KR10074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322A KR100746926B1 (ko) 2006-02-28 2006-02-28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제조방법과 그 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322A KR100746926B1 (ko) 2006-02-28 2006-02-28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제조방법과 그 접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926B1 true KR100746926B1 (ko) 2007-08-08

Family

ID=3860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322A KR100746926B1 (ko) 2006-02-28 2006-02-28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제조방법과 그 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9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181A (ko) * 2000-11-03 2003-07-07 프린트팩 일리노이즈 인코퍼레이티드 압출 엠보싱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66679A (ko) * 2000-11-29 2003-08-09 애이취 . 비. 풀러. 라이센싱 앤드 파이년싱, 인코포레이티드 식품포장용 라미네트
KR20050092338A (ko) * 2004-12-07 2005-09-21 (주)씨에스이 진공포장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181A (ko) * 2000-11-03 2003-07-07 프린트팩 일리노이즈 인코퍼레이티드 압출 엠보싱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66679A (ko) * 2000-11-29 2003-08-09 애이취 . 비. 풀러. 라이센싱 앤드 파이년싱, 인코포레이티드 식품포장용 라미네트
KR20050092338A (ko) * 2004-12-07 2005-09-21 (주)씨에스이 진공포장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시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5918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0683B (zh) 一种pvc颗粒半通透卷材地板及其制造方法
CN102490366A (zh) 双挤出流延塑料夹网膜产品连续生产成型工艺及设备
CN107672144A (zh) 一种pvc异型材的生产方法
CN105196668A (zh) 一种高透明浅网印刷膜及其制备方法
TWI669436B (zh) 地面裝飾瓷磚製造裝置
CN102850685B (zh) 一种pvc颗粒通透卷材地板及其制造方法
KR100746926B1 (ko) 저온에서 셀로판지와 정착필름을 접합하게 하는 저온수지 용융폴리에틸렌필름 제조방법과 그 접합방법
CN205705208U (zh) 防爆节能复合型快递袋的吹膜机构
CN102205654A (zh) 一种一步式pe透气膜生产工艺
CN107088932A (zh) 一种热熔胶黏剂用于人造板生产的胶合方法
CN109337313A (zh) 利用3d打印形成梯度复合材料的方法
CN204418579U (zh) 一种保温装饰一体化板连续化生产线
CN216423766U (zh) 一种输送带一次涂覆覆合系统
CN106891514A (zh) 一种聚酯薄膜的制造方法
CN101722693A (zh) 免涂层珍珠棉(epe)热合镀铝复合膜
CN103144270B (zh) 一种共挤制备高界面结合强度木塑复合材料的方法
KR20190044892A (ko) 복합재료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8582823A (zh) 一种透明过水薄膜的生产系统
CN102009507A (zh) 一种超宽铝塑复合板的制备方法及其专用装置
CN107379465A (zh) 箱包抽板生产系统、生产方法及利用该方法生产的抽板
CN106363924A (zh) 一种变压器储油柜胶囊整体成型工艺
TWM601681U (zh) 一種多材料且流量可控之積層列印裝置
KR100647221B1 (ko) 난연성 알루미늄 복합패널 제조장치
CN106239858B (zh) 一种复合管状型材制作方法
KR102652856B1 (ko) 건강 기능용 필름의 절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