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098B1 - 고소작업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098B1
KR100746098B1 KR1020040089388A KR20040089388A KR100746098B1 KR 100746098 B1 KR100746098 B1 KR 100746098B1 KR 1020040089388 A KR1020040089388 A KR 1020040089388A KR 20040089388 A KR20040089388 A KR 20040089388A KR 100746098 B1 KR100746098 B1 KR 100746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rame
ladder
adjustment shaf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158A (ko
Inventor
조미동
Original Assignee
조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미동 filed Critical 조미동
Priority to KR102004008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0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06C7/04Hand-operated extending means carried by the ladd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20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poles
    • E06C1/22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poles with extensible, e.g. telescopic, ladder part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06C7/182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situated at the top of the lad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고소작업용 사다리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과 승강프레임, 지지프레임의 길이를 각각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에 편의성과 안전을 부여하며, 사다리에 탑승한 1인의 작업자가 직접 운전수단을 조정해 줌으로써, 사다리의 방향은 물론, 전후진 이동과 적당한 위치에서의 사다리를 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소작업, 사다리, 수직프레임, 승강프레임, 지지프레임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사다리{A ladder for high place work}
도 1은 종래기술의 고소작업용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사다리를 도시한 일부분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제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구동구조를 나타낸 주요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높이조절 및 폭 조절상태를 예시한 일부분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사다리 2: 상부 바퀴조정축
4: 상부 이동조정축 6: 하부 바퀴조정축
8: 하부 이동조정축 9: 제1이동바퀴축
10: 제2이동바퀴축 12: 상부 승강프레임
14: 하부 승강프레임 22: 상부 수직프레임
24: 하부 수직프레임 31: 보강프레임
42: 제1지지프레임 52: 제2지지프레임
60: 제동부재
본 발명은 고소(高所)작업을 위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사다리의 구동과 높이조절 및 높이조절에 따른 안전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사다리 사용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사다리는 극장, 박물관, 전시회, 옥외가설업체 고천정 공장건물관리, 교회, 과수원, 성당...등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략 높이는 짧게 2.5M부터 길게는 7M정도의 높이로 제작된 사다리가 사용된다.
사다리는 작업인원이 1인에서 3인까지 작업할 수 있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보관성을 위해 여러 단으로 절첩가능하고, 이동성을 위해 이동바퀴가 구비되고, 지면 또는 계단으로부터의 설치에 따른 안정성을 제공하는 고정장치 등의 구성요소가 주로 사용되는 범위에 따라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고소작업용 사다리(1)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디딤봉(102a)이 부착 배열된 승강프레임(102)과, 상기 승강프레임(102)으로부터 일단이 부착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04)과, 상기 수직프레임(104)과 승 강프레임 사이에 경사지게 양단이 부착 설치되는 보강프레임(105)과,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104) 하부측과 승강프레임(102)의 종단에 부착되는 하부지지프레임(106)과, 수직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04) 사이에 하나이상 부착 설치되어 수직프레임(104)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바(107)와, 상기 지지바(107)로부터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T형의 조향핸들(H)이 설치된 바퀴조정축(108)과, 상기 바퀴조정축(108)과 연결되는 제1이동바퀴축(109) 및 제1이동바퀴(W1)와,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6)에 설치되는 제2동바퀴축(110) 및 제2동바퀴(W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이동바퀴축(109) 및 제2이동바퀴축(110)에 대해 각각의 이동바퀴(W1,W2)는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며, 단지 상기 제1이동바퀴축(109)만이 바퀴조정축(8)에 의해 좌우 조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104)과 경사지는 승강프레임(102)의 상부측에는 작업자가 올라 설수 있는 작업발판(A)이 설치되고, 승강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작업자의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B)가 부착된다.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 사이는 1인 작업자의 어깨넓이 정도로 제작된다.
상기 제2이동바퀴축의 윤거(제2이동바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이동바퀴축의 윤거(제1이동바퀴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설계하여 안정성을 두었으며, 이는 축거(제1이동바퀴축과 제2이동바퀴축 사이)에 대한 고소사다리의 높이에 따라 사이즈가 달리 설계된다.
즉, 고소작업용 사다리는 언급한 바와 같이, 2.5M에서 7M까지 각 크기 별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가령 사다리의 사용시 사용작업자의 신장정도에 따라 해당 하는 높이에서의 작업에 불편하거나 어려울 때도 있다.
심지어 작업발판 위에 발을 디딜 수 있는 물건을 올려놓고 그 위에 올라서서 작업할 수도 있지만 불안정하다. 이는 더욱이 높은 고소작업에 사용되는 사다리의 경우, 작업자가 심리적으로 불안한 마음을 가중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의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이동은 첨부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에 마련한 제1이동바퀴(W1)에 의존하며, 상부측으로부터 바퀴조정축(108)을 통해 제1이동바퀴축(109)의 좌우 회전정도 조정으로서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만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소작업용 사다리는 방향만 제어될 뿐 이동에 대해서는 별도의 인원이 보충되어야 한다.
이는 고소작업 사다리의 이동시 사다리에 1인의 작업자가 올라가서 바퀴조정축과 연결된 조작핸들을 이용하여 조향을 조정하여야 하고, 하부측에서는 여러 인원이 고소작업 사다리를 밀어 이동시켜 주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다리의 이동에 따른 구동성과 높이조절 및 높이조절에 따르는 안전기능을 부여하여 사다리 사용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더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측에 작업발판 및 작업자의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가 설치된 고소작업용 사다리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하나 이상의 길이조정공이 형성된 제1조정축이 부착되고, 일정간격으로 디딤봉이 배열 부착된 상부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1조정축을 안내하는 중공의 파이프로 길이방향에 고정나사가 체결 설치되고, 일정간격으로 디딤봉이 부착 배열된 하부 승강프레임과; 길이방향에 하나 이상의 길이조정공이 형성된 제2조정축이 부착되고, 상부 승강프레임으로부터 일단이 부착 설치된 복수의 상부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조정축을 안내하는 중공의 파이프로 길이방향에 고정나사가 체결 설치된 하부 수직프레임과; 길이방향의 일단에 상기 하부 승강프레임으로부터 유동가능한 클램프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 수직프레임에 연결되는 중앙에 베어링이 설치된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의 베어링에 일단이 관통 설치되고, 길이방향에 타단에 하나 이상의 길이조정공을 갖는 제3조정축이 일체로 형성된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3조정축을 안내하는 중공의 파이프로 길이방향에 고정나사가 체결 설치된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으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사다리의 이동 및 조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에 좌우 조향핸들이 부착되며, 하단으로부터 외측둘레에 결합홈이 형성된 상부 바퀴조정축과, 상기 상부 바퀴조정축의 상부로부터 관통 설치되고, 상부에 이동핸들이 연결되며, 하단에 각형의 길이조절축이 연장 형성된 상부 이동조정축과, 중공으로 상기 상부 바퀴조정축에 동축상으로 대응되고, 외측둘레 상부에 상기 결합홈과 삽입 연결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 중공의 기어케이싱이 부착된 하부 바퀴조정축과, 상기 하부 바퀴조정축에 관통 설치되고, 상부 일단에 상기 길이조절축을 안내하기 위한 각형의 길이조정홈이 형성되며, 하단에 제1베벨기어가 축 설치된 하부 이동조정축과, 상기 제1베벨기어와 직각으로 교섭되는 제2베벨기어가 축상에 설치되고, 양단에 제1이동바퀴가 설치된 제1이동바퀴축과, 상기 제1이동바퀴축과 대응되게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종단이 횡으로 부착되고, 하부 승강프레임의 하단이 부착되며, 양측에 제2이동바퀴가 구비된 제2이동바퀴축으로 이루어진 운전수단과;
상기 조향핸들에 관통되어 횡으로 좌우 안내되는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을 기점으로 상부에는 상기 이동핸들의 구동축이 되는 상부 이동조정축을 일방향으로부터 홀딩하는 포크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의 하부에는 상부 수직프레임으로부터 상부바퀴조정축을 지지하는 지지간에 수평 이송되는 ∩자형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운전수단을 제어하는 제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로, 고소작업용 사다리(1)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하나 이상의 길이조정공(11a)이 형성된 제1조정축(11)이 부착되고, 일정간격으로 디딤봉(12a)이 배열 부착된 상부 승강 프레임(12)과, 상기 제1조정축(11)을 안내하는 중공의 파이프로 길이방향에 고정나사(13)가 체결되고, 일정간격으로 디딤봉(14a)이 부착 배열된 하부 승강프레임(14)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12)에 대해 복수의 상부 수직프레임(22)과 하부 수직프레임(24)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은 길이방향에 하나 이상의 길이조정공(21a)이 형성된 제2조정축(21)이 부착되고, 상부 승강프레임(12)으로부터 일단이 부착 설치된다.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에 대한 하부 수직프레임(24)은 상기 제2조정축(21)을 안내하는 중공의 파이프로 길이방향에 고정나사(23)가 체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24)과 하부 승강프레임(14) 사이에는 이들을 지지하는 보강프레임(32)이 설치되며, 상기 보강프레임(32)은 길이방향의 일단에 상기 하부 승강프레임(14)으로부터 유동가능한 클램프(C)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24)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 수직프레임(24)에 연결되는 중앙에 베어링(31)이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C)는 일측에 보강프레임(32)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C-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편(C-1)과 보강프레임(32)은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32)이 설치되는 하부 수직프레임(24)과 하부 승강프레임(14)의 하측에는 제1지지프레임(42)과 제2지지프레임(52)에 의해 연결 지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42)은 보강프레임(32)의 베어링(31)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단에 하나 이상의 길이조정공(41a)을 갖는 제3조정축(4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52)은 상기 제3조정축(41)을 안내하는 중공의 파이프로 길이방향에 고정나사(51)가 체결 설치된다.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으로부터 하부 수직프레임(24)의 중앙으로는 사다리(1)의 이동 및 조향을 조정하는 운전수단이 수직되게 설치된다.
상기 운전수단의 구성요소를 살피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정면도, 중공으로 상부에 좌우 조향핸들(H1)이 부착되며, 하단으로부터 외측둘레에 결합홈(2a)을 갖는 상부 바퀴조정축(2)이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바퀴조정축(2)에는 상부에 이동핸들(H2)이 연결되며, 하단에 각형의 길이조절축(3)이 연장 형성된 상부 이동조정축(4)이 관통 설치된다. 상기 이동핸들(H2)은 지게차의 핸들 형상과 동일하며, 시계방향 또는 역방향회전에 따라 사다리(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상부 바퀴조정축(2)에 대해 그 하부에는 하부 바퀴조정축(6)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결합홈(2a)에 삽입 연결되는 결합돌기(5)가 상부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하부에 중공의 기어 케이싱(5-1)이 부착된다. 상기 기어 케이싱(5-1)은 후술하는 제1베벨기어(G1)와, 제2베벨기어(G2)를 포함하는 제1이동바퀴축(9)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 바퀴조정축(6)에는 이에 대응되는 하부 이동조정축(8)이 관통 설치되되, 하부 이동조정축(8)은 상부 일단에 상기 상부 이동조정축(4)상의 길이조정축(3)을 안내하기 위한 각형의 길이조정홈(7)이 형성되며, 하단에 제1베벨기어(G1)가 축 설치된다.
상기 하부 바퀴조정축(6)의 결합돌기(5)에 삽입 연결되는 상부 바퀴조정축(2)의 결합홈(2a)과, 상기 하부 이동조정축(8)의 길이조정홈(7)의 길이는 상부 수직프레임(22) 및 상부 승강프레임(12)의 최대 길이조정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이동조정축(8)은 제1이동바퀴축(9)이 설치되며, 제1이동바퀴축(9)은 상기 제1베벨기어(G1)와 직각으로 교섭되는 제2베벨기어(G2)가 축상에 설치되고, 양단에 제1이동바퀴(W1)가 설치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벨기어(G2)는 독립적으로 교섭되나 상기 제1이동바퀴축(9)상에 동일한 또 하나의 베벨기어를 대응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제1이동바퀴축(9)에 대해 하부 승강프레임(14)의 하단에는 제2이동바퀴축(10)이 설치되며, 제2이동바퀴축(10)의 양단에는 제2이동바퀴(W2)가 설치된다.
제2이동바퀴(W2)는 제2이동바퀴축(10)에 대해 회전하는 구조이고, 상기 제1이동바퀴축(10)은 상기의 베벨기어(G1,G2)의 동력전달로 인해 제1이동바퀴(W1)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2이동바퀴축(10)상에는 제2지지프레임(52)의 종단이 횡으로 부착되어 제1지지프레임(42)에 대해 하부 수직프레임(24)과 하부 승강프레임(14)을 연결 지지한다.
한편, 상기 운전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상기 제동부재(60)는 첨부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핸들(H1)에 관통되어 횡으로 좌우 안내되는 안내공(6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61)을 기점으로 상부에는 상기 이동핸들(H2)의 구동축이 되는 상부 이동조정축(4)을 일방향으로부터 홀딩하는 포크(62)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61)의 하부에는 상부 수직프레임(22)으로부터 상부바퀴조정축(2)을 지지하는 지지간에 수평 이송되는 ∩자형의 안내홈(63)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손잡이(6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동부재(60)의 안내공(61)은 그 내부 직경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이드홈(61a)을 형성하고, 상기 일자 형태의 조향핸들(H1)에는 상기 가이드홈(61a)과 일치하는 가이드돌기(H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동부재(60)의 포크(62)는 상부 이동조정축(4)을 홀딩할 수 있도록 ⊂자형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른 상부 이동조정축(4)의 적소부분은 정사각형의 단면적을 갖는 연결부(4a)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과 상부 승강프레임(12) 사이에는 작업자가 올라설수 있는 작업발판(A)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12)의 최상측에는 작업자의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B)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사다리 사용에 따른 작용 및 효과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소작업을 위한 장소로 사다리(1)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상부 승강프레임(12)과 하부 승강프레임(14)에 마련된 디딤봉(12a, 14a)을 딪고 작업발판(A)에 1인의 작업자가 올라가 사다리의 상부에 마련한 운전수단을 조정함으로서 해당위치로 사다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는 상부 이동조정축(4)의 상측에 마련된 이동핸들(H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이동핸들(H2)이 연결된 상부 이동조정축(4)과 하부 이동조정축(8)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하부 이동조정축(8) 일단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G1)를 회전시켜 준다.
여기서, 제1베벨기어(G1)의 회전은 직각으로 교섭된 제1이동바퀴축(9)상의 제2베벨기어(G2)를 회전시키고, 제2베벨기어(G2)는 제1이동바퀴축(9)과 함께 회전하여 양측에 설치된 제1이동바퀴(W1)를 전진시키며, 상기 제1이동바퀴(W1)와 대응되는 제2이동바퀴(W2)는 또한 연동되어 1인의 작업자가 전체적으로 사다리(1)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동핸들(H2)을 역으로 회전시키면, 제1이동바퀴축(9)의 상기으 역회전 동작으로 사다리는 후진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진 또는 후진 동작에 있어서, 사다리(1)의 방향제어는 상기 이동핸들(H2)의 하부에 위치한 조향핸들(H1)의 좌우동작에 의해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한손은 이동핸들(H2)을 쥐고, 또 다른 한손은 조향핸들(H1)을 조정함으로써, 전진 또는 후진동작과 함께 사다리(1)의 진행과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조향핸들(H1)과 연결된 상부 바퀴조정축(2)과 하부 바퀴조정축(6)을 전체적으로 좌우 조정하면, 상기 하부 바퀴조정축(6)의 하단에 부착된 기어 케이싱(5-1)을 좌우조정하는 것으로, 결국, 이와 연결된 제1이동바퀴축(9)을 좌우 조정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사다리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사다리를 이송한 상태에서는 상기 조향핸들(2)측에 구비된 제어부재(60)에 의해 사다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제어부재의 손잡이(60)를 쥐고 상기 조향핸들이 설치된 중심축상 즉, 상부 이동조정축(4)으로 제어부재(60)를 이동시켜주면, 포크(62)부분은 상기 상부 이동조정축(4)상에 마련한 연결부(4a)에 안내되고, 그 하부에 위치하는 안내홈(63)은 상부수직프레임(22)를 연결하는 지지간으로부터 수평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상기 제동부재(60)의 안내공(61)부분이 조향핸들(H1)에 안내됨에 있어, 안내공(61)에 형성된 가이드홈(61a)은 조향핸들(H1)에 형성한 가이드돌기(H1-1)에 안내되는 상태에서 수평 이동한다.
상기 연결부(4a)에 대한 포크(62)의 결합은 상부 바퀴조정축(2)과 상부 이동조정축(4)을 상호 잡아주는 형태가 되어 더이상의 바퀴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소작업 장소로 이동시킨 사다리의 사용은 종래와 동일하게 작업발판(A) 상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에 있어, 사다리의 높이를 좀더 높은 상태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사다리(1)를 옆으로 완전 눕혀 놓은 상태에서 해당하는 프레임의 각 길이를 조정하며, 길이 조정된 사다리는 다시 세워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길이조정은 각 상부 승강프레임(12)과 하부 승강프레임(14), 각 상부 수직프레임(22)과 하부 수직프레임(24), 상부 바퀴조정축(2)과 하부 바퀴조정축(6), 상부 이동조정축과 하부 이동조정축의 길이를 임의의 길이만큼 늘려준 상태에서 고정시켜 준다.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12)측의 제1조정축(11)은 하부 승강프레임(14)으로부터 고정나사(13)에 의해 관통 체결되고, 상부 수직프레임(22)의 제2조정축(21)은 하부 수직프레임(24)으로부터 마련된 고정나사(23)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나사(13)(23)에 의한 체결은, 하부 승강프레임(14)으로부터 상기 제1조정축(11)을, 하부 수직프레임(24)으로부터 상기 제2조정축(21)을 적당한 길이로 인출하고, 이때 각 제1조정축(11)과 제2조정축(21)에 형성된 길이조절공(11a)(21a)을 일치시켜 고정나사(13)(23)로 체결한다.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12) 및 상부 수직프레임(22)의 길이조정에 따라 상부 바퀴조정축(2)과 하부 바퀴조정축(6)은 자연스럽게 길이가 연장되는 상태이다.
즉, 상기 상부 바퀴조정축(2)에 형성된 결합홈(3)은 상기 하부 바퀴조정축(6)의 결합돌기(5)로부터 안내되어 그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상부 바퀴조정축(2) 내에 관통 삽입된 상기 상부 이동조정축(4)상의 길이조절축(3)은 대응되는 하부 이동조정축(8)의 길이조정홈(7)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인출된 상태에서도 각형의 길이조절축(3)은 대응되는 길이조정홈(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이동조정축(4)으로부터 하부 이동조정축(8)을 연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같이 사다리(1)의 높이조절된 상태에서 보강프레임(32)과, 보강프레임(32)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제1지지프레임(42)과 제2이동바퀴축(10)에 연결된 설치된 제2지지프레임(52)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먼저, 상기 보강프레임(32)은 일단에 연결편(C-1)으로 연결된 클램프(C)의 보울트, 너트를 해제한 상태에서 하부 수직프레임(24)의 종단으로부터 회동시키되, 하부 승강프레임(14)으로부터 회동되의 정도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42)과 제2지지프레임(52)의 길이 가변정도에 따라 하부 승강프레임(14)의 적정 위치에서 고정시켜 준다.
즉, 사다리(1)의 높이가 조절된 만큼 상기 상,하부 수직프레임(22)(24)에 대해 상기 상,하부 승강프레임(12)(14)의 각도를 벌려 준다. 이때 상기 제1지지프레임(42)의 제3조정축(41)은 제2지지프레임(52)으로부터 소정길이 인출되고, 제2지지프레임(52) 측에 마련한 고정나사(51)를 통해 상기 제3고정축(41)에 형성된 해당 길이조절공(41a)을 위치시켜 고정시켜 준다.
상기 각 지지프레임의 길이조정은 사다리의 상부측에 대해 300~500mm 정도에서 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사다리 상부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또 다른 사다리 구비하지 않아도 하나의 사다리로서 고소작업 하는데 있어, 작업자의 신장차이에 의한 높이정도를 조정하여 고소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에 따른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24)에 대해 상,하부 승강프레임(12)(14)의 간격을 늘려줌으로써, 높이가 늘어난 만큼 더욱 안정적인 사다리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조정에 의해 높아진 사다리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사다리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과 승강프레임, 지지프레임의 길이를 각각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에 편의성과 안전을 부여하며, 사다리에 탑승한 작업자가 직접 운전수단을 조정해 줌으로써, 사다리의 방향은 물론, 전후진 이동및 해당하는 위치에서의 제동할 수 있어 사용상에 따른 작업능률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측에 작업발판(A) 및 작업자의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B)가 설치된 고소작업용 사다리(1)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하나 이상의 길이조정공(11a)이 형성된 제1조정축(11)이 부착되고, 일정간격으로 디딤봉(12a)이 배열 부착된 상부 승강프레임(12)과;
    상기 제1조정축(11)을 안내하는 중공의 파이프로 길이방향에 고정나사(13)가 체결 설치되고, 일정간격으로 디딤봉(14a)이 부착 배열된 하부 승강프레임(14)과;
    길이방향에 하나 이상의 길이조정공(21a)이 형성된 제2조정축(21)이 부착되고, 상부 승강프레임(12)으로부터 일단이 부착 설치된 복수의 상부 수직프레임(22)과;
    상기 제2조정축(21)을 안내하는 중공의 파이프로 길이방향에 고정나사(23)가 체결 설치된 하부 수직프레임(24)과;
    길이방향의 일단에 상기 하부 승강프레임(14)으로부터 유동가능한 클램프(C)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은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24)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 수직프레임(24)에 연결되는 중앙에 베어링(31)이 설치된 보강프레임(32)과;
    상기 보강프레임(32)의 베어링(31)에 일단이 관통 설치되고, 길이방향에 타단에 하나 이상의 길이조정공(41a)을 갖는 제3조정축(41)이 일체로 형성된 제1지지프레임(42)과;
    상기 제3조정축(41)을 안내하는 중공의 파이프로 길이방향에 고정나사(51)가 체결 설치된 제2지지프레임(52)과;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으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사다리의 이동 및 조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에 좌우 조향핸들(H1)이 부착되며, 하단으로부터 외측둘레에 결합홈(2a)이 형성된 상부 바퀴조정축(2)과, 상기 상부 바퀴조정축(2)의 상부로부터 관통 설치되고, 상부에 이동핸들(H2)이 연결되며, 하단에 각형의 길이조절축(3)이 연장 형성된 상부 이동조정축(4)과, 중공으로 상기 상부 바퀴조정축(2)에 동축상으로 대응되고, 외측둘레 상부에 상기 결합홈(2a)과 삽입 연결되는 결합돌기(5)가 형성되며, 하부에 중공의 기어케이싱(5-1)이 부착된 하부 바퀴조정축(6)과, 상기 하부 바퀴조정축(6)에 관통 설치되고, 상부 일단에 상기 길이조절축(3)을 안내하기 위한 각형의 길이조정홈(7)이 형성되며, 하단에 제1베벨기어(G1)가 축 설치된 하부 이동조정축(8)과, 상기 제1베벨기어(G1)와 직각으로 교섭되는 제2베벨기어(G2)가 축상에 설치되고, 양단에 제1이동바퀴(W1)가 설치된 제1이동바퀴축(9)과, 상기 제1이동바퀴축(9)과 대응되게 상기 제2지지프레임(52)의 종단이 횡으로 부착되고, 하부 승강프레임(24)의 하단이 부착되며, 양측에 제2이동바퀴(W2)가 구비된 제2이동바퀴축(10)으로 이루어진 운전수단과;
    상기 조향핸들(H1)에 관통되어 횡으로 좌우 안내되는 안내공(6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61)을 기점으로 상부에는 상기 이동핸들(H2)의 구동축이 되는 상부 이동조정축(4)을 일방향으로부터 홀딩하는 포크(62)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61)의 하부에는 상부 수직프레임(22)으로부터 상부바퀴조정축(2)을 지지하는 지지간에 수평 이송되는 ∩자형의 안내홈(63)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손잡이(64)가 일체로 형성되어 운전수단을 제어하는 제동부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C)는 일측에 보강프레임(32)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C-1)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퀴조정축(6)의 결합돌기(5)에 삽입 연결되는 상부 바퀴조정축(2)의 결합홈(2a)과, 상기 하부 이동조정축(8)의 길이조정홈(7)이 갖는 길이는 상부 수직프레임(22) 및 상부 승강프레임(12)의 최대 높이로 조정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KR1020040089388A 2004-11-04 2004-11-04 고소작업용 사다리 KR100746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388A KR100746098B1 (ko) 2004-11-04 2004-11-04 고소작업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388A KR100746098B1 (ko) 2004-11-04 2004-11-04 고소작업용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158A KR20060040158A (ko) 2006-05-10
KR100746098B1 true KR100746098B1 (ko) 2007-08-03

Family

ID=3714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388A KR100746098B1 (ko) 2004-11-04 2004-11-04 고소작업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475B1 (ko) * 2006-09-06 2007-08-31 유은상 전도방지장치
KR101987369B1 (ko) * 2017-11-22 2019-06-11 홍기혁 사다리, 작업대 겸용 상하차 운반기구
CN114221260B (zh) * 2021-12-21 2023-07-21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电力塔架的绝缘子检修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534U (ko) * 1996-08-08 1998-05-15 임대우 고소 작업사다리
KR200347538Y1 (ko) * 2003-12-17 2004-04-17 이동중 사다리의 다리길이 조절장치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534U (ko) * 1996-08-08 1998-05-15 임대우 고소 작업사다리
KR200347538Y1 (ko) * 2003-12-17 2004-04-17 이동중 사다리의 다리길이 조절장치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158A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8202A (en) Scaffolding cart
US8662252B2 (en) Leveling system for portable work platforms
US20050056484A1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US20100096216A1 (en) Scaffolding
KR20190028932A (ko) 다층 비계용 사다리
KR100746098B1 (ko) 고소작업용 사다리
CA2141647A1 (en) Collapsible catwalk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KR102111617B1 (ko)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WO2012168684A1 (en) Support apparatus and improved height access apparatus
CN209780182U (zh) 一种行走式登高作业装置
WO1999041186A1 (en) Portable personnel lift with wheel drive mounted on outriggers
EP0335842A2 (en) Sectional scaffolding with motor-driven base und sidemounted elevator
KR20130073339A (ko) 작업정반 승하용 높이조절 사다리
KR20210015011A (ko) 사다리
CN220395381U (zh) 一种建筑工程用防护栏
KR102602451B1 (ko) 비계형 케이지
CN215717056U (zh) 一种装配式建筑用脚手架
KR102655803B1 (ko) 사다리
CN214302783U (zh) 一种建筑用安全脚手架
CN220451359U (zh) 一种建筑施工用安防装置
KR20240087031A (ko) 온실의 다양한 레일 간격에 적용 가능한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 장치
NO346113B1 (en) Assemblable and dis-assemblable work platform lift
KR19980010534U (ko) 고소 작업사다리
JP2006249822A (ja) 壁掛け型簡易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